KR790001968Y1 -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968Y1
KR790001968Y1 KR750007230U KR750007230U KR790001968Y1 KR 790001968 Y1 KR790001968 Y1 KR 790001968Y1 KR 750007230 U KR750007230 U KR 750007230U KR 750007230 U KR750007230 U KR 750007230U KR 790001968 Y1 KR790001968 Y1 KR 790001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tank
supply pip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7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이찌 이또
Original Assignee
안승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정 filed Critical 안승정
Priority to KR750007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968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급수장치를 설치한 수세변기의 일부 수직단면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급수관과 노즐 및 배수통로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확대도.
제3도는 배수밸브를 구동하는 레버와 여기에 부수되는 부품을 표시하는 확대도.
본 고안은 재래식 변소의 변기를 수세식으로 개량하여 취기방지형으로 한 간이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래식 변기의 밑에 부설된 오물조에 있어서는,오물조 내에 다량의 물을 배수시킬 수 없으므로 본 고안인 수세변기의 급수장치에 대한 목적은 변기세척을 위하여 극히 소량의 물로서 충분하게 세척가능하게 하고, 또한 세면기 부착식 변기에도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세척수 탱크로부터 변기에 연결되는 급수관 내에 잔류수가 남지 않도록 한 수세변기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수도가 부설되어 있지 않는 지역에서 오물조 내의 수량을 가급적으로 적게 하며 변기를 수세화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곳에서는 다량의 물을 배수할 수가 없으므로 이 변기에 수세기를 부설할 수가 없으며 또 일반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세기를 부설하여도 오물조 내에는 소정 이상의 수량을 배수함이 없이 또 수조 및 배설통의 물이 넘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게 하고 또 급수관에 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한 수세변기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급수장치를 비치한 수세변기(10)을 표시하고 이 수세변기는 하우징(12)를 비치하고 이 하우징 내에는 적당한 수단으로 배설통(14)이 고정되어 있다. 오물밸브(16)은 배설통(14)의 배출구(14a)에 연통하여 비치되고 이 오물밸브(16)은 패달(18)을 밟으면 열어지는 회전식의 구형 또는 반구형의 밸브본체(20)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본체는 닫혀져 있을 때 그 위의 배출구(14a)에 물을 채워둘 수가 있도록 액밀(液密)하게 밀봉된다. 오물밸브(16)은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관(22)에 의하여 표시없는 오물조에 연결되어 있다. 수세변기(10)은 도시의 실시예에는 하우징(12)에 일체로 부착된 수조(24)를 비치하고 이 수조는 그 상부에 세면기(26)가 부착되어 있다. 세면기(26)은 급수구(28)을 포함하고 이 급수구는 도시하지 않
수조(24)의 바닥에는 배수밸브(3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배수밸브는 그 밸브 본체에 부착된 체인(36)에 의하여 개폐된다. 체인(36)은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단을 레버(38)의 일단에 매어달고, 레버(38)은 수조(24)의 바닥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된 파이프(40)의 상단에 피보트되어 있다. 레버(38)의 다른 단은 파이프(40) 내를 관통하는 체인(42)에 고정되고 체인(42)의 하단은 파이프(40)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하우징(12)의 후방을 통하여 오물밸브(16)의 구동개통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폐달(18)을 밟고 오물밸브(16)을 열면 체인(42)이 하방으로 당겨지므로 레버(38)가 제3도의 시계방향으로 요동하며, 체인(36)을 들어 올리므로 배수밸브(34)가 열려서, 수조(24) 내의 물이 이 배수밸브(34)로부터 배출된다. 또 레버(38)의 복수의 구멍(38a)은 체인(36)의 매어달린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고 체인(36)을 적당한 구멍에 선택적으로 매어달리므로서 배출량을 미량조절할 수가 있다.
또 레버(39)은 체인(36a)에 의하여 체인(36)에 연결되고 따라서 수동으로 수조에서 배수할 수가 있다. 이 레버는 배설통을 세정하는데 사용된다. 급수관(44)은
노즐(46)은 제4도에서 아는 바와 같이 스리트 측공의 분출구의 직전에 횡단면의 하반부를 차단하는 격벽(56)을 가진다. 이 격벽은 노즐(46) 내를 흘러내리는 물의 일부를 차단하고 이 격벽을 넘어서 흐르는 물이 노즐 끝의 막힌 벽에 부딪히므로 물은 측공(52)으로부터 양측방에 분출하고 그리고 격벽(56)과 상기 막힌 벽 사이로 흘러내린 물은 스리트(50)으로부터 하향으로 분출하게 된다.
수조(24)는 또 그 내부에 허용수위에 맞춘 높이의 위치에서 상단이 개구된 일수관(58)를 가지면 이 일수관의 하단은 수조의 저벽을 액밀하게 관통하고 그 연장단에 배수통로(60)가 연결되어 있다. 이 배수통로(60)는 조인트(62)에 의하여 일수관(58)의 연장단에 연결된 경직성의 제1파이프(64)와 그 하단에 조인트(66)에 의하여 연결된 경직성의 제2파이프(68)와 다시 또 그 하단에 조인트(70)에 의하여 연
따라서 세수용으로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도 수조(24) 내의 수위는 일수관(58) 상면 이상은 되지 않고 수조 밖으로 일수하는 법은 없다.
배수통로(60)의 제2파이프(68)는 대략 T자형의 분기관의 형태를 가지며 그 분기구는 급수관(44)과 연결하는 분기통로(78)에 연결되어 있다.
분기통로(78)는 제3파이프와 같은 주름진 가요관으로부터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세척용수분출노즐의 구성에 의하여 오물조 내에 유하시킬 수량(노즐(46)로부터 일회 분출하는 선수량)은 약 250cc로서 오물통 전체를 세척할 수 있고 또한 수조(24)로터 외부로 일수를 배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수조에 세면기를 병설할 수가 있으며 또한 급수관(44)으로부터도 외부로 배수통로를 부설하였으므로 급수관에 물이 잔류하지 않아 동기 한냉지대에서도 급수관이 파열하는 사고를 회피할 수가 있어 여러 가지 실익이 있다.

Claims (1)

  1. 오물을 받는 배설통과 상기 배설통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오물밸브와 상기 배설통에 급수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와 배설통을 연결하는 급수관으로 형성되는 수세변기의 급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세수를 급수구와,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어 상단이 허용수위에서 개구하는 일수관과 상기 일수관의 하단에 연결되고 외부배수부에 연결되는 배수통로와, 상기 급수관을 상기 배수통로에 접속하는 분기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급수관의 선단은 상기 배설통의 상부에 배치되고 분출구의 바로 앞에 하반부를 차단하는 격벽이 있는 노즐을 가진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KR750007230U 1975-12-30 1975-12-30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KR790001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7230U KR790001968Y1 (ko) 1975-12-30 1975-12-30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7230U KR790001968Y1 (ko) 1975-12-30 1975-12-30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968Y1 true KR790001968Y1 (ko) 1979-11-27

Family

ID=1920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7230U KR790001968Y1 (ko) 1975-12-30 1975-12-30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9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62132A (en) Composite commode and overflow trough
US4777676A (en) Sanitary appliances with an indirect outlet and hidden drainage mechanism
KR790001968Y1 (ko)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JPS6131094Y2 (ko)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EP0202308B1 (en) Sanitary appliances with an indirect outlet and hidden drainage mechanism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200146968Y1 (ko) 변기의 세척수 절수장치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JPS5925986Y2 (ja) セツスイガタスイセンベンジヨソウチ
KR960002952Y1 (ko) 절수형 변기 저수조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306433Y1 (ko) 절수형 양변기의 분뇨개폐장치
FI94792C (fi) Huuhdeltava takaiskuventtiilillä varustettu viemärin lattiakaivo
JPH04327617A (ja)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10562Y1 (ko) 절수형 변기
KR970005514Y1 (ko) 좌변기
JPH0423963Y2 (ko)
KR950007726B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KR810001182Y1 (ko) 변기의 취기 배출장치
JPH06299588A (ja) 移動トイレシステム
JPH0738449Y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KR820001339Y1 (ko)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