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339Y1 -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 Google Patents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339Y1
KR820001339Y1 KR7900478U KR790000478U KR820001339Y1 KR 820001339 Y1 KR820001339 Y1 KR 820001339Y1 KR 7900478 U KR7900478 U KR 7900478U KR 790000478 U KR790000478 U KR 790000478U KR 820001339 Y1 KR820001339 Y1 KR 820001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bowl
water
support
suppor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텐슨
Original Assignee
한텐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텐슨 filed Critical 한텐슨
Priority to KR7900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도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종단 측면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1부 파단 평면도.
제3도는 제2실시예의 종단 측면도.
제4도는 동 실시예의 1부 파단 평면도.
본 고안은 양식수 세변기에 있어서 변기통의 배변구(徘便口)의 하부에, 레버장치 등에 의하여 경도가능(傾倒可能)의 변받이를 배변구에 대하여 개폐자재로 추설한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식수세변기는 저수탱크내에 물이 있는 경우는 사용후, 환상배수로의 분수공에서 분출하는 물과, 배변구에 연통하는 사이폰관의 사이폰작용에 의하여 배설물을 변기통에서 물과 함께 배출관에 배출하는 것이지만, 펌프의 고장 또는 정전, 정수사고로 저수탱크안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는 배설물이 배출되지 않고, 매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시간이 약간 경과하면 배설물이 건조해서 단단하게 되어, 뒤처리가 곤란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공중변소의 경우에, 물이 없는 것을 알면서 그대로 계속하여 두세 사람이 사용한 경우, 나중에 물이 나와서만 탱크가 되어도 많은 사람의 배설물을 한번에 배출할 수가 없었으며 때때로 사이폰관의 만곡부에 막혀서 뒤처리에 큰 곤란을 가져오는 결점이 있었다.
다음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태양에 대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기는 종래의 양식수세변기와 대략 같은 외관을 갖추고 있고 있다. 변기의 상부는 완형(椀形) 변기통으로써, 그 상방개구부의 주연부에는 하면에 복수개의 분수공(11)을 설치한 환상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수로(12)의 후단부에는 급수공(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변기통(1)의 하단 중앙부에는 배변구(14)가 설치되어 있다.
변기통(1)의 하부에는 저면에 대좌(21)를 설치한 밑이 있는 통형의 변기통 지지각(2)이 변기통(1)을 상단에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각(2)의 대좌(21)의 대략 중앙부에는 배출공(22)이 상기 배변구(14)와 상하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각(2)의 내부에는 구형(鉤型)의 사이폰관(3)이 그 흡입구(31)가 상기 배변구(14)의 후부에 인접하고 또 배출구(32)가 상기 배출공(22)의 후부와 연통되도록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또 변기통(1)의 하방에는 완형의 변받이(4)가 1단의 힌지축(4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변기통(1)의 하면에 설치한 힌지부(15)에 추착되어 있으며, 이 받는 용기(4)는 수평상태로 보지된 경우, 상기 배변구(14)와 사이폰관(3)의 흡입구(31)를 변받이안에 수납하고 이들 3개부분이 트랩구조를 구성하는 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다.
변받이(4)의 힌지부(15)에 가까운 하면부에는 핀(42)에 의해서 연동자재의 레버(43),(44)로 구성되는 레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44)의 1단에는 테이퍼면을 갖는 고무등의 탄성재료제의 파수(45)의 선단부가 지지각(2)의 외면에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파수(45)의 테이퍼면을 지지각(2)의 구멍(23)에 단단히 계합함으로써 변받이(4)를 수평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배출구(22)로부터의 악취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 (5)는 사이폰관(3)의 소제공(33)에 나착한 볼트로 사이폰관(3)의 만곡부가 만일 배설물로 막힌 경우, 이 볼트(5)를 제거하고 소제공(33)에서 철선 등을 통하여 소제할 수가 있다.
제3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변받이(4)를 회전시키는 레버장치를 지지각(2)의 측면에 있어서 조작하는 장치로 바꾼 것 이외에, 다른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받이(4)의 추착단에는 축(41a)이 고설되어 있고, 이 축(41a)의 1단은 지지각(2)의 한쪽의 내측벽에 설치한 축공(24)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다른 1단은 지지각(2)의 다른쪽의 측벽에 설치한 축공(25)을 관통하여 지지각(2)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단에 핀(42a)에 의해서 굴절 가능하게 연결한 파수(4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수(45a)는 핀(43a)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에 수평으로 절곡시킨 경우, 그 선단부가 변기통 지지각(2)의 측벽에 설치한 계합홈(26)에 계합하여 변받이(4)를 수평상태로 보지하고, 또 상기 파수(45a)를 계합홈(26)에서 끌어낸 경우는, 변받이(4)가 그 중량으로 축(41a)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에 회전하여 대략 수직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합홈(26)은 사용자의 조작의 편리를 꾀하기 위하여 앞쪽벽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반대쪽인 후측벽에도 설치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변기는 탱크에 물이 고여 있는 정상적인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변받이(4)는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유지되며, 그 속에는 물(W)이 고여 있으며, 또 배변구(14)단, 사이폰관(3)의 흡입구단(31)과 변받이(4)가 트랩을 구성하여 악취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한뒤, 저수탱크(2)의 수세용 조작레버를 눌르면, 탱크안의 물은 급수구(13)에서 환상배수로(12)에 들어가고, 분수공(11)에서 변기통(1)의 경사면에 따라서 배변구(14)에 흐르고, 변받이(4)의 수면이 상승하고, 이면이 사이폰관(3)의 만곡부의 최고단과 동일수평면에 달하면, 사이폰관(3)은 사이폰작용을 일으켜서 변기통(1) 안의 배설물을 물과 함께 흡입(31)구에서 흡입하고, 배출구(32)에서 배출공(22)에 배출하는 작용은 종래의 수세변기와 변함이 없으며, 유효하게 배설물을 배출하고 또 변기통을 수세하는 효과가 있다. 수면이 상승하여 있는 경우, 작은 부분의 물이 변받이의 주연에서 넘쳐 흐른 물은 배출공(22)에 유입되므로 사이폰 작용에는 전연 지장이 없다.
만약, 펌프의 고장 또는 정전사고에 의한 수원(水源)의 단절로 탱크안의 물이 끊어졌을 경우, 레버장치의 파수(45) 또는 (45a)의 조작으로 변받이(4)를 축(41) 또는 (41a)를 중심으로 하여 하방에 향해서 회전시켜 변받이를 제1도의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각(2)의 앞쪽부분에 대략 수직으로 된 상태로 유지시키면, 변기통(1)의 배변구(14)와 대좌(21)의 배출공(22)이 직접 대향하는 상태로 되어서 변기가 구식직통형의 변기로 신속히 변경하여 지장없이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한뒤, 악취가 배변구에서 누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레버장치로 변받이 용기를 수평상태로 복귀시키면 좋다. 또 배출공의 하단에 연결한 배출관(도시하지 않음)이 막힌 경우에는 변받이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직접 변기통의 배변공에서 배변공을 통하여 배출관을 청소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변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으므로 평상시에 물이 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사이폰식 수세변기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물이 없는 경우에는 변받이를 경도시켜서 직통형의 변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고, 종래의 수세변기와 같이 정수후의 사용 및 사용후의 처리문제 등의 곤란이 없으며, 또 배변관이 막힌 경우, 용이하게 배제할 수가 있으며, 종래의 변기와 같이 변기를 마루 밖으로 제거해서 청소할 필요가 없고, 사용상 매우 편리하고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의 주연부에 하방으로 향하여 분수하는 복수개의 분수공을 설치한 환상배수로를, 그리고 저부의 중앙부에 배변구를 각기 형성한 완형(椀形)의 변기통과, 이 변기통의 하부에 설치하고, 저면 중앙부에 배수구를 형성한 통형의 변기통 지지각과 이 지지각의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구단이 상기 변기통의 배변구의 후단과 인접하고, 또 배출구단이 상기 지지각의 배수구와 연통하는 만곡형의 사이폰관으로 구성되는 수세변기에 있어서, 상기 배변구와 배수구를 상하 대향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변기통의 하부에 레버장치에 의해서 경도 가능한 변받이를 회동자재로 추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KR7900478U 1979-01-29 1979-01-29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KR820001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478U KR820001339Y1 (ko) 1979-01-29 1979-01-29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478U KR820001339Y1 (ko) 1979-01-29 1979-01-29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339Y1 true KR820001339Y1 (ko) 1982-06-28

Family

ID=1921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478U KR820001339Y1 (ko) 1979-01-29 1979-01-29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3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229B1 (en) Automated flap and cup cleaner water-saving toilet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JP4051404B2 (ja) 固液分離洗浄水循環便器
US3719958A (en) Water closets
KR102251074B1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CN101812863A (zh) 折叠式电动坐便器
KR820001339Y1 (ko)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N201649252U (zh) 折叠式电动坐便器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JPS6214207Y2 (ko)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JPH07207730A (ja) 屎尿破砕圧送装置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KR200360710Y1 (ko)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
CN201381545Y (zh) 直排式无水箱节水马桶
KR102209000B1 (ko) 소변기
JPH09189063A (ja) 便器の洗浄水回収装置
JPS6126456Y2 (ko)
KR20050116326A (ko) 소변받이를 둔 수세식 변기
KR970005514Y1 (ko) 좌변기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JPH06299588A (ja) 移動トイレシステム
RU2160809C2 (ru) Унитаз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