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761B1 -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761B1
KR850001761B1 KR1019810000383A KR810000383A KR850001761B1 KR 850001761 B1 KR850001761 B1 KR 850001761B1 KR 1019810000383 A KR1019810000383 A KR 1019810000383A KR 810000383 A KR810000383 A KR 810000383A KR 850001761 B1 KR850001761 B1 KR 85000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ethyl
calculated value
f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129A (ko
Inventor
이마이 가쯔오
니이가따 구니히로
후지꾸라 다까시
하시모또 신이찌
다께나까 도이찌
Original Assignee
야마노우찌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모리오까 시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노우찌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모리오까 시게오 filed Critical 야마노우찌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761B1/ko
Publication of KR83000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129A/ko
Priority to KR1019840004615A priority patent/KR840001558B1/ko
Priority to KR1019850000026A priority patent/KR850001758B1/ko
Priority to KR1019850000028A priority patent/KR850001760B1/ko
Priority to KR8500027A priority patent/KR850001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5/00Preparation of sulfones; Preparation of sulfoxides
    • C07C315/04Preparation of sulfones; Preparation of sulfox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one or sulfox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3/0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 C07C303/36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amides of sulfonic acids
    • C07C303/4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amides of sulfonic aci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on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32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강력한 α-아드레날린 차단 작용을 가지며 혈압강하제 및 울혈성 심부전증 치료제로 유용한 다음 일반식( I )의 신규한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 및 그의 산부 가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l은 아미노그룹, 또는 모노-또는 디-저급알킬 아미노그룹을 나타내며;
R2는 하이드록실그룹, 저급알킬그룹, 또는 저급 알콕시그룹을 나타내고;
R3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저급알킬그룹, 저급알콕시그룹, 페닐티오그룹, 또는 페닐설피널그룹을 나타내며;
R4,R5,R6,R7,R8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그룹을 나타내고;
R10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그룹, 또는 저급알콕시 그룹을 나타내며;
Y는 산소원자 또는 메틸렌그룹을 나타내고, 단 R2가 하이드록실그룹이면 Y는 산소원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더욱 특히 다음 일반식(I1)의 신규한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 및 그의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l은 아미노그룹, 또는 모노-또는 디-저급알킬아미노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하이드록실그룹, 저급 알킬 그룹 또는 저급알콕시 그룹을 나타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 그룹을 나타내며;
X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내고;
R4,R5,R6,R7,R8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그룹을 나타내며;
R10은 수소원자, 저급 알킬 그룹 또는 저급 알콕시 그룹을 나타내고;
Y는 산소원자 또는 메틸렌 그룹을 나타내며, 단 R2가 하이드록실이면 Y는 산소원자를 나타낸다.
영국 특히 제2,006,772호에는 α- 및 β-아드레날린 차단작용을 나타내는 일련의 화합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또한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이 강력한 α- 및 β-아드레날린 차단작용을 나타낸다고 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03
미합중국 특허 제3,860,647호에는 다음 일반식(A)의 화합물이 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을 나타내며;
R'는 탄소수 1내지 6의 알킬,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 XC6H4(CH2)2CH(CH3),XC6H4-(CH2)2C(CH3)2, XC6H4CH2CH(CH3) 또는XC6H4CH2C(CH3)2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X는 수소, 하이드록실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며;
Y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낸다.
상기 특허에는 또한 이들 화합물이 β-아드레날린 차단작용을 나타낸다고 기술되어 있다.
영국 특허 제902,617호에는 다음 일반식(B)의 화합물이 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l은 하이드록실, 메틸, 메톡시등이며;
R2는 수소, 메틸등이며;
R3는 페닐, 벤질 또는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에톡시-, 클로로- 또는 브로모-치환된 페닐 또는 벤질라디칼 등이며;
R4 수소 등이다.
이들 화합물은 α-아드레날린 차단작용을 나타내며 [참조: J.Med. Chem. 9,812내지 818(1966)], 혈압강하활성을 갖는다.
또한 문헌 [J.Med.Chem. 9,812 내지 818(1966)]에는 다음 일반식(C)의 페녹시에틸아민一형 화합물이 α-아드레날린 차단작용을 갖고 있음이 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1은 o-OCH3를 나타내며;
R2는 o-또는 p-OCH3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α-아드레날린 차단작용에 의한 혈압강하활성을 가지며, 혈압강하제 및 울혈성 심부전증의 치료제로 유용한, 신규 설파모일-치한된 펜에틸아민 유도체 및 그의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
상기 일반식(I) 및 (I1)의 정의에서 사용된 용어 “저급”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측쇄인 탄소쇄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저급알킬 그룹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이소부틸그를 등이 포함되며, 저급알콕시그룹에는 메특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일반식에서 벤젠환상의 치환기인 Rl0은 측쇄에 대해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 중 어느 위치에나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I)의 화합물은 쉽게 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비대칭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 화합물에는 그의 염, 그의 라세미체 화합물, 라세미체 화함물의 혼합물 및 개개의 광학적 활성물질이 포함된다 .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의 산부가염은 α-아드레날린 차단작용을 나타내며, 따라서 여러 용도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증, 협심증, 하부요로기능장애, 전립선비대, 크롬치환성 세포종 및 말초혈관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I)의 화합물은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킬 다음, 경우에 따라 (a) 수득된 할로겐 생성물을 환원시키거나, (b) 할로겐화 생성물을 알칼리성 물질과 반응시킨 후, 생성물을 요오드화수소, 저급알코올 또는 티오페놀과 반응시키고, 경우에 따라 티오페놀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을 산화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고룹이고,
Rl,R2,R4,R5,R6,R7,R8,R9,R10및 Y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상기 일반식(Ⅱ)의 출발물질을 할로겐화제와 반응시켜 일반식(I1)외 화합물을 생성시킨 다음, 경우에 따라 (a) 일반식(I1)의 할로겐화 화합물을 환원시켜 일반(I2)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거나, (b) 일반식(I1)의 할로겐화 화합물을 알칼리성물질로 처리하여 일반식(Ⅲ)의 아지리딘 화합물을 생성시킨 후 아지리딘 화합물을 요오드화수소, 저급알코올 또는 티오페놀과 반응시켜 일반식(I3)의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경우에 따라 일반식(I3)의 화합물에서 R'가 페닐티오 그룹이면 일반식(I3)의 화합물을 산화시켜 일반식(I4)의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상식기에서,
R,R1,R2,R4,R5,R6,R7,R8,R9,R10및 Y는 상기 정의한 의미와 같으며 ;
X는 염소 또는 브롬원자이고 ;
R'는 요오드원자, 저급알콕시그룹 또는 페닐티오 그룹이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반응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일반식 (I1),(I2),(I3), 및 (I4)의화합물은 본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상기 반응도식중 각 단계에서의 반응조건은 다음과 같다.
단계 1 : 일반식(Ⅱ) 화합물의 할로겐화는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과 같은 유기용매중, 실온 또는 가열하에서, 티오닐클로라이드,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삼염화인, 오염화인, 옥시염화인, 티오닐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할로겐화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 : 일반석(Il)화합물의 환원은 메탄올, 에탄올,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과 같은 유기용매중, 수소기류하에 상온 및 상압에서 산화백금, 탄소상 필라듐과 같은 촉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 : R 및 R6가 수소인 일반식(Il)의 화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디옥산, 벤젠 등과 같은 유기용매중, 실온 내지 50℃에서 탄산나트륨, 금속알콜레이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과 같은 알칼리성 물질로 처리하여 일반식(Ⅲ)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단계 4 : i) R'가 페닐티오그룹인 일반석(I3)의 화합물은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티오페놀을 메탄올,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옥산, 벤젠 등과 같은 유기용매중, 실온에서 반응시키므로써 수득될 수 있다.
ii) R'가 저급알콕시그룹인 일반석(I3)의 화합물은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저급알코올을 i)단계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BF3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므로써 수득될 수 있다.
iii) R'가 요오드원자인 일반식(I3)의 화합물은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요오드화 수소산을 디옥산, 메탄을 등과 같은 유기용매중, 실온에서 반응시키므로써 수득될 수 있다.
단계 5 : R'가 페닐티오그룹인 일반식(I3)의 화합물의 산화반응은 H2O2를 산화제로 사용하여 아세트산중, 50내지 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 중에서 일반식(I5) 화합물은 일반식(Il)의 화합물을 저급알콜 또는 티오페놀과 직접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
R"는 저급알콕시그룹 또는 페닐티오그룹을 나타내고 ;
R,Rl,R2,R4,R5,R6,R7,R8,R9,Rl0및 Y는 상기 정의한 의미와 같다.
본 발명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일반식(Ⅱ)의 화합물(여기에서 R은 수소원자이다)은 영국 특허 제2,006,772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또한 R이 저급알킬그룹인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상기 영국 특허에 기술된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을 그리그나드시약(저급알킬-MgX)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13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일반식(I1) 내지 (I5)의 화합물은 여과, 용매추출, 칼럼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분리, 재결정 등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약물학적 활성은 다음 실험에 의해 입증된다. 대표적인 본 발명 화합물의 효과를, 영국특허 제2,006,772호에 기술된 대표적 화합물중의 하나인 5-{1-하이드록시-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화합물A) 및 펜톨아민과 비교한다.
A. α-아드레날린 차단작용 : 우레탄으로 마취시켜 펜톨리늄으로 처리한 쥐에서 혈압을 측정한다. 페닐에프린에 대한 혈압상승반응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시험 샘플(정맥주사)의 효과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I 에 나타내었다.
B. 특발성 고혈압쥐에 있어서의 혈압강하 효과
경구투여 : 수축기 혈압이 150mmHg이상인 특발성 고혈압쥐에 대해서 프로그램식 전기혈압계(NarcoBio-System Inc. 제품, PE-301)를 사용하여 테일커프법(tail cuff method)에 의해 간접적으로 수축기 혈압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Ⅱ에 나타내었다.
[표 Ⅰ]
α-아드레날린 차단작용
Figure kpo00014
[표 Ⅱ]
혈압강하 효과
Figure kpo00015
본 발명 화합물은 임상적인 목적으로 유리염기 또는 그의 산부가염(에 :염산염, 설페이트, 말리에이트, 아세테이트, 푸마레이트, 락테이트, 시트레이트 등)으로 정맥내주사 하거나 경구로 투여한다. 정맥내 주사의 경우에는 1회 10mg 내지 1mg의 화합물을 1일 수회 투여하는 것이 적절하며,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1일에 0.1내지 100mg의 화합물을 2 또는 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 화합물은 정제, 캅셀제, 환제, 액제 등과 같은 통상의 용량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 우에 통상의 약학적 부형제를 사용하여 통상적 방법에 의해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다음 실시예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출발물질에는 신규 화합물이 포함되며, 그 제조방법은 대조실시예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Figure kpo00016
17g의 -{2-[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2-메틸에틸} -2-메톡시벤젠 설폰아미드 염산염을 1000㎖ 의 아세토니트릴 중에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9g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적가하면 생성물은 용해되었다가 점차적으로 결정화하기 시각한다.
혼합물을 2일간 교반한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여 회수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면 15g의 5-{1-클로로-2-[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메틸에틸 }-2-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염산염이 수득된다.
생성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융 점 : 197 내지 200℃
원소분석 : C20H27N2O5SCi.HCi
C(%) H(%) N(%)
계 산 치: 50.11 5.89 5.84
실 측 치: 50.06 5.96 5.95
핵자기공명스펙트럼(CD3OD):
δ: 1.30(3H,d,CH-CH3)
1.40(3H,t,CH2-CH3)
3.63(2H,t,CH2-CH2-N)
4.01(3H,s,O-CH3)
4.12(2H,q,CH3-CH2-O)
4.36(2H,t,CH2-CH2-O)
5.30(1H,d,Ci-CH)
[실시예 2]
Figure kpo00017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5-{1-클로로-2-[2- (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을 수득한다.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90 내지 191℃
원소분석 : Cl8H23N2O4SCl·HCl
C(%) H(%) N(%)
계 산 치: 49.66 5.56 6.43
실 측 치: 49.51 5.70 6.53
핵자기공명스펙트럼(d6-DMSO)
Figure kpo00018
[실시예 3]
Figure kpo000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5-{ 1一클로로-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메틸에틸}-2-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을 수득한다.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95 내지 197℃(분해)
원소분석 : Cl9H25N2SCi.HCi
C(%) H(%) N(%)
계 산 치 : 49.04 5.63 6.02
실 측 치 : 49.02 5.64 6.08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0D+d6-DMSO)
Figure kpo00020
[대조실시예 1]
Figure kpo00021
50㎖의 에틸아세테이트에 4.35g(0.01몰)의 5-{1-클로로-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 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현탁시킨 다음, 50㎖의 수성 10% 탄산나트륨용액을 교반하면서 현탁액에 가한다. 밤새 격렬하게 교반시킬 후, 반응혼합물을 경사시켜 회수한다. 회수한 에틸 아세테이트충을 실리카겔칼럼(50㎖의 실리카겔)에 통과시켜 무기물질을 제거한 후, 반응생성물을 증발건고시켜 3.2g (88%)의 5-{1-[2-(2-메톡시페녹시)-에틸]아지리딘-2一일}-2-메틸벤젠설폰아미드를 무색수지로 수득한다.
생성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무정형
원소분석: Cl8H22O4S
C(%) H(%) N(%)
계 산 치 : 59.65 6.12 7.73
실 측 치 : 59.37 6.12 7.61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Ci3) :
Figure kpo00022
[실시예 4]
Figure kpo00023
50㎖의 디옥산에 2.5g의 5-{1-[2-(2一메톡시페녹시)에틸]아지리딘-2-일 }-2-메틸벤젠설폰아미드를 용해하고, 1g의 농요오드화수소산을 가한 후,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다. 반응이 끝난 후, 용매를 감압하에 중류시키고, 잔사를 30㎖의 물로 3회 수세한 다음, 이어서 200㎖의 에테르로 3회 세척하고, 에틸 아세트이트를 가하여 결정화한다. 결정을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수세하고, 건조한 후 1.7g의 5-{1-요오도-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하이드로요오다이드를 수득한다.
생성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융 점 : 154 내지 155℃
원소분석 : Cl8H23N2O4SI·HI
C (%) H(%) N(%)
계 산 치 : 34.97 3.91 4.53
실 측 치 : 35.07 3.98 4.39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
Figure kpo00024
[실시예 5]
Figure kpo00025
50㎖의 메탄올중에 2.5g의 5-{1-[2-(2一메톡시페녹시)에틸]아지리딘一2-일}-2-메틸벤젠설폰아미드를 용해하고, 1g의 티오페놀을 가해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메탄올을 증류한다. 잔사를 실리카겔칼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시키고, 생성물을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9 : 1 용적비)의 혼합용매로 용출하여 2.4g의 5-{2-[2- (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1-페닐티오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를 점성 오일물질로 수득한다.
생성물의 물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무정형
원소분석 : C24H28N204S2
C (%) H(%) N(%)
계 산 치 : 60.99 5.97 5.93
실 측 치 : 60.72 6.11 5.71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Cl3) :
Figure kpo00026
[실시예 6]
Figure kpo00027
50㎖의 메탄올에 2.5g의 5-{1-[2-(2-메톡시페녹시)에틸]아지리딘-2-일} -2-메틸벤젠설폰아미드를 용해하고, 2㎖의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에테르 착화합물을 실온에서 가한 후,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다. 다음에 메탄올을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시킨다. 생성물을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용적비 9:1)의 혼합용매로 용출하여 무색의 점성오일물질 1.5g을 수득한다.
생성물에 5㎖의 메탄올 및 수적의 암모니아를 가해 결정화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수세하고 건조시킨 후 1.2g의 5-{1-메톡시-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이드를 수득한다.
생성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융 점 : 150 내지 152℃
원소분석 : Cl9H26N2O5S
C (%) H(%) N(%)
계 산 치 : 57.85 6.64 7.10
실 측 치 : 57.58 6.79 7.24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
Figure kpo00028
[실시예 7]
Figure kpo00029
20㎖의 아세트산에 2g의 5-{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1-페닐티오에틸}-2-메틸벤젠 설폰아미드를 용해하고, 0.5㎖의 3% H2O2를 가한 후, 혼합물을 3시간동안 50 내지 60℃로 가열한다. 다음에 100㎖의 물을 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200㎖의 에틸아세데이트로 추출한다.
에딜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1%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를 감압하에 증류시킨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시키고, 생성물을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용적비 9:1)의 혼합용매로 용출시켜, 무색의 점성 오일상 생성물을 수득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해 결정화 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여 회수하면 1.3g의 5-{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1-페닐설피닐에틸}-2-메틸 벤젠설폰아미드가 수득된다 .
생성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융 점 : 139 내지 141℃
원소분석 : C24H28N2O5S2
C (%) H(%) N(%)
계 산 치 : 59.00 5.78 5.73
실 측 치 : 58.91 5.74 5.72
[실시예 8]
Figure kpo00030
150㎖의 메탄올에 3.8g의 5-{1-클로로-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2-메톡시벤젠 설폰아미드 염산염을 용해하고, 0.5g의 10%탄소상 팔라듐을 가한 후, 상온 및 상압에서 수소기류하에 탈색시킨다. 탄소상팔라듐을 여과해내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3.1g의 2-메톡시-5-{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을 생성시키고, 이를 120㎖의 메탄올 및 에탄올(용적비 1:4)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하면 2.3g의 무색결정이 생성된다.
생성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융 점 : 196 내지 198℃
원소분석 : Cl8H24N2O5S·HCi
C (%) H(%) N(%)
계 산 치 : 51.86 6.04 6.72
실 측 치 : 51.72 6.23 6.68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
δ: 3.84 및 3.98(3H,s,-CCH3)
4.24(2H,t,-CCH2-)
실시예 9 내지 27의 화합물은 실시예 8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다.
[실시예 9]
Figure kpo00031
5-{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73 내지 175℃
원소분석 : Cl8H24N2O4S·HCi
C (%) H(%) N(%)
계 산 치 : 53.93 6.28 6.99
실 측 치 : 53.83 6.27 6.97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32
[실시예 10]
Figure kpo00033
5-{2-[2-(2-에톡시페늑시)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80 내지 181.5℃
원소분석 : Cl9H26N2O4S·HCi
C (%) H(%) N(%)
계 산 치 : 55.00 6.56 6.75
실 측 치 : 54.81 6.56 6.89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
Figure kpo00034
[실시예 11]
Figure kpo00035
5-}2-[2(2-메톡시페녹시)-1-메틸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69 내지 171℃
원소분석 : Cl9H26N2O4S·HCi
C (%) H(%) N(%)
계 산 치 : 55.00 6.56 6.75
실 측 치 : 54.89 6.60 6.76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36
[실시예 12]
Figure kpo00037
5-{2-[3-(2-메톡시페닐)-1-메틸프로필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98 내지 200℃
원소분석 : C20H28N2O3S·HCi
C (%) H(%) N(%)
계 산 치 : 58.17 7.08 6.78
실 측 치 : 58.09 7.01 6.62
핵자기공명스펙트럼 (d6-DMSO)
Figure kpo00038
[실시예 13]
Figure kpo00039
2-히이드록시-5-{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벤젠설폰아미드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97 내지 99℃
원소분석 : C17H22N2O5S·H2O
C (%) H(%) N(%)
계 산 치 : 53.10 6.29 7.29
실 측 치 : 52.75 6.22 7.09
핵자기공명스펙트럼 (d6-DMSO)
δ: 3.76(3H,s,-OCH3)
4.04(2H,t,-OCH2-)
[실시예 14]
Figure kpo00040
2-메톡시-5-{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메틸에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250℃ 이상
원소분석 : C19H26N2O5S·HCi
C (%) H(%) N(%)
계 산 치 : 52.96 6.31 6.50
실 측 치 : 52.44 6.31 6.47
핵자기공명스펙트럼 (d6-DMSO)
Figure kpo00041
[실시예 15]
Figure kpo00042
2-메틸-5-{2-[2-(2-메틸페녹시)-1-메틸에틸아미노]에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83 내지 185℃
원소분석 : C19H26N2O3S·HC1
C (%) H(%) N(%)
계 산 치 : 57.20 6.82 7.02
실 측 치 : 57.13 6.79 6.99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43
[실시예 16]
Figure kpo00044
2-메틸-5-[2-(2-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특성
융 점 : 208.5 내지 210℃
원소분석 : C17H22N2O3S·HC1
C (%) H(%) N(%)
계 산 치 : 55.05 6.25 7.55
실 측 치 : 54.83 6.23 7.48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45
[실시예 17]
Figure kpo00046
5-2-[2-(2-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2-디메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99 내지 202℃
원소분석 : C20H28N2O4S·HC1.CH3OH
C (%) H(%) N(%)
계 산 치 : 54.71 7.21 6.08
실 측 치 : 54.50 7.17 6.14
핵자기공명스펙트럼 (d6-DMSO)
Figure kpo00047
[실시예 18]
Figure kpo00048
5-{2-[2-(2一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메틸에틸}-2-메톡시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254 내지 256℃
원소분석 : C20H28N2O5S·HC1
C (%) H(%) N(%)
계 산 치 : 53.99 6.57 6.30
실 측 치 : 53.79 6.58 6.26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49
[실시예 19]
Figure kpo00050
5-{2-[2-(2一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1-메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83 내지 183℃
원소분석 : C19H26N2O4S·HC1
C (%) H(%) N(%)
계 산 치 : 55.00 6.56 6.75
실 측 치 : 54.76 6.56 6.74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51
[실시예 20]
Figure kpo00052
5-{2-[2-(2一메톡시페녹시)-2-메틸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231 내지 232℃
원소분석 : C19H26N2O4S·HC1
C (%) H(%) N(%)
계 산 치 : 55.00 6.56 6.75
실 측 치 : 54.86 6.58 6.83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53
[실시예 21]
Figure kpo00054
5-{2-[2-(2一메톡시페녹시)-1,1-디메틸에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91 내지 193℃
원소분석 : C20H28N2O4S.HC1
C (%) H(%) N(%)
계 산 치 : 56.00 6.81 6.53
실 측 치 : 55.83 6.86 6.32
핵자기공명스펙트럼 (d6-DMSO)
Figure kpo00055
[실시예 22]
Figure kpo00056
5-{2-[N-[2-(2一메톡시페녹시)에틸-N-메틸아미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69 내지 171℃
원소분석 : C19H26N2O4S.HC1
C (%) H(%) N(%)
계 산 치 : 55.00 6.56 6.75
실 측 치 : 54.88 6.51 6.64
핵자기공명스펙트럼 (d6-DMSO)
Figure kpo00057
[실시예 23]
Figure kpo00058
5-{2-[2-(2一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메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250 내지 252℃
원소분석 : C19H26N2O4S·HC1
C (%) H(%) N(%)
계 산 치 : 55.00 6.56 6.75
실 측 치 : 54.68 6.49 6.58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C13+d6-DMSO+D2O+Na2CO3)
Figure kpo00059
[실시예 24]
Figure kpo00060
5-{2-[2-(2一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메틸에틸}-2-메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98 내지 200℃
원소분석 : C20H28N2O4S·HC1
C (%) H(%) N(%)
계 산 치 : 56.00 6.81 6.53
실 측 치 : 55.76 6.88 6.51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C3+d6-DMSO+D2O+Na2CO3)
Figure kpo00061
[실시예 25]
Figure kpo00062
2-하이드록시-5-{2-[2-(4一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에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237 내지 241℃ (분해)
원소분석 : C17H22N2O5S.HC1
C (%) H(%) N(%)
계 산 치 : 50.68 5.75 6.95
실 측 치 : 50.45 5.64 6.99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δ: 3.74(3H,s, O-CH3)
4.22(2H,t,- CH2-O)
[실시예 26]
Figure kpo00063
2-하이드록시-5-{2-[2-(4一메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메틸에틸}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211 내지 214℃
원소분석 : C18H24N2O5S·HC1
C (%) H(%) N(%)
계 산 치 : 51.86 6.04 6.72
실 측 치 : 51.72 6.00 6.59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64
[실시예 27]
Figure kpo00065
5-{2-[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2-메틸에틸}-2-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 염산염
물리화학적 특성
융 점 : 1 내지 173℃
원소분석 : C18H24N2O5S·HC1
C (%) H(%) N(%)
계 산 치 : 51.86 6.04 6.72
실 측 치 : 51.72 6.00 6.59
핵자기공명스펙트럼 (CD3OD)
Figure kpo00066

Claims (1)

  1.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할로겐화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 I1)의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밀유도체 및 그의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67
    상기식에서 ,
    Rl은 아미노그룹, 또는 모노-또는 디-저급알킬아미노그룹을 나타내고;
    R2는 하이드록실그룹, 저급알킬그룹 또는 저급알콕시그룹을 나타내며;
    R10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그룹 또는 저급알콕시그룹을 나타내며;
    R4,R5,R6,R7,R8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그룹을 나타내고 ;
    Y는 산소원자 또는 메틸렌그룹을 나타내고, 단 R2가 하이드록실그룹이면 Y는 산소원자를 나타내며;
    R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그룹을 나타내고; X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낸다.
KR1019810000383A 1981-02-07 1981-02-07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5000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383A KR850001761B1 (ko) 1981-02-07 1981-02-07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4615A KR840001558B1 (ko) 1981-02-07 1984-08-02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 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0026A KR850001758B1 (ko) 1981-02-07 1985-01-05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0028A KR850001760B1 (ko) 1981-02-07 1985-01-05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500027A KR850001759B1 (en) 1981-02-07 1985-01-05 Process of producing sulfamoyl-substituted phenethylamide derivat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383A KR850001761B1 (ko) 1981-02-07 1981-02-07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615A Division KR840001558B1 (ko) 1981-02-07 1984-08-02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 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0026A Division KR850001758B1 (ko) 1981-02-07 1985-01-05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0028A Division KR850001760B1 (ko) 1981-02-07 1985-01-05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129A KR830005129A (ko) 1983-08-03
KR850001761B1 true KR850001761B1 (ko) 1985-12-09

Family

ID=1922015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383A KR850001761B1 (ko) 1981-02-07 1981-02-07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4615A KR840001558B1 (ko) 1981-02-07 1984-08-02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 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0028A KR850001760B1 (ko) 1981-02-07 1985-01-05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0026A KR850001758B1 (ko) 1981-02-07 1985-01-05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500027A KR850001759B1 (en) 1981-02-07 1985-01-05 Process of producing sulfamoyl-substituted phenethylamide derivatives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615A KR840001558B1 (ko) 1981-02-07 1984-08-02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 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0028A KR850001760B1 (ko) 1981-02-07 1985-01-05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0026A KR850001758B1 (ko) 1981-02-07 1985-01-05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500027A KR850001759B1 (en) 1981-02-07 1985-01-05 Process of producing sulfamoyl-substituted phenethylamide derivativ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850001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493B1 (ko) * 2001-02-23 2005-11-02 연성정밀화학(주) 설파모일 치환 페네틸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493B1 (ko) * 2001-02-23 2005-11-02 연성정밀화학(주) 설파모일 치환 페네틸아민 유도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759B1 (en) 1985-12-09
KR830005129A (ko) 1983-08-03
KR850001758B1 (ko) 1985-12-09
KR840001558B1 (ko) 1984-10-05
KR850001760B1 (ko) 1985-12-09
KR850006933A (ko) 198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4432B1 (en) Sulfamoyl-substituted phenethylami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005528B1 (en) Imidazol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6118965B2 (ja) 2環性化合物
US5391825A (en) Sulfamoyl substituted phenethylamine intermediates
KR840001552B1 (ko) 시클로헥센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156331B1 (en) Benzofuran derivativ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tihypertensive agents containing the same
KR850001761B1 (ko) 설파모일-치환된 펜에틸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70000275B1 (ko) 3-메틸플라본-8-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US4558156A (en) Sulfamoyl-substituted phenethylamine derivatives
US5063246A (en) Phenethylamine derivative compositions and use
US5198587A (en) Phenethylamine derivatives
US4341718A (en) α-[(Alkylamino)-methyl]-β-aryloxy-benzeneethanols exhibiting antiarrhythmic activity
EP0146155B1 (en) Ether of n-propanolamine derivative
KR20010074498A (ko) 생환원적인 세포 독성 제제
WO1990004590A1 (en) Benzothiadiazepine derivatives
CA1256897A (en) Amide compound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401832A (en) Process for preparing α-[(alkylamino)methyl]-β-aryloxy-benzeneethanols
JPH0212948B2 (ko)
JPS6257620B2 (ko)
KR860000650B1 (ko) 퀴놀론 화합물의 제조방법
US4093648A (en) Therapeutically active benzoic acid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KR820000508B1 (ko) 페닐에탄올 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20001449B1 (ko)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50000383B1 (ko) 2-(4-하이드록시알킬-1-퍼페라지닐)-2,4,6-사이클로헵타트리엔-1-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20001339B1 (ko) 4-아미노-2-피페리디노-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