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685B1 -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685B1
KR850001685B1 KR1019830003866A KR830003866A KR850001685B1 KR 850001685 B1 KR850001685 B1 KR 850001685B1 KR 1019830003866 A KR1019830003866 A KR 1019830003866A KR 830003866 A KR830003866 A KR 830003866A KR 850001685 B1 KR850001685 B1 KR 85000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level
gate
design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937A (ko
Inventor
심상찬
Original Assignee
심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찬 filed Critical 심상찬
Priority to KR101983000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685B1/ko
Priority to JP59172313A priority patent/JPS6062316A/ja
Publication of KR85000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제1도는 저수지의 수위변동에 따라 수문이 자동적으로 개폐하여 자동적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자동 수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문 개폐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4도는 하천의 보대신 설치한 자동 수문 개폐장치와 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여수토 3 : 수문
4 : 여수토의 만수위 5 : 변경만수위
6,6' : 부구 7 : 이상홍수위
8,8' : 대형치차 9,9' : 소형치차
15 : 설계계획 일류수위 17 : 하상
18:취수위 19 : 설계계획 홍수위
22,22' : 지주 23,23' : 가대
24,24' : 축봉 26 : 유수안내대
27 : 가이드레일 28,28' : 추
29,29' : 체인휘일 30,30' : 소형체인휘일
31,31' : 대형도르레 32,32',33,33',35,35' : 로우프
본 발명은 저수지와 하천의 보(洑)의 수위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저수지에 있어서 여수토(余水吐)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 설계계획 홍수량을 설계계획대로의 일류(溢流)를 할 수 있으면서 설계계획일류심(設計計劃溢流深)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수토의 높이에 대응한 여수토의 만수위(從前滿水位) 저수량 보다 많은 저수량, 즉 설계계획일류심에 대하여 최대한의 저수가능량을 저수하게 하는 자동수위조절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저수지는 일정수위 이상의 물은 배수토록 여수토를 설치하여 월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여수토높이 이내의 저수의 한정은 가용의 자연수자원을 이용않고 그대로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의 저수지 시설에 있어서 설계계획일류심의 일류에 차질을 주지 않는 조건하라면 현재의 저수량보다 많은 물을 저수하여 가용할 수가 있다.
현재까지 저수지의 만수위를 높이 조절하려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실시되어 왔었다. 즉, 여수토의 높이를 높이기 위하여, (a) 흙가마니나 판자로 높이는 경우, (b) 고무댐(DAM)을 설치하는 경우, (c) 텐타게이트를 설치하는 경우, (d) 사이폰(Syphon)을 설치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수위를 높여서 보다 많은 저수량을 확보하고 있으나, (a)의 경우는 홍수시에 흙가마니가 유실되므로 강우시마다 다시 흙가마니를 쌓아야 하고 따라서 경제적 손실, 인력의 소모 및 불편이 뒤따른다. (b)의 경우, 고무댐은 홍수시 고무댐 자체가 도복(倒覆)될때 홍수량이 설계계획홍수량보다더 증가되어 하류방수로의 피해와 하천의 피해가 심하며, (c)의 경우, 홍수시 인위적으로 수문개폐를 해야 하고 수문을 열면 홍수가 일시에 월류하기 때문에 방수로와 하천에 막대한 피해를 주므로 대형댐에서는 댐상류의 유량관측소에서 댐에 수시로 유량보고를 함에 따라서 수문을 작동하는 불편이 있을뿐 아니라 대형댐에 있어서 동계만수위와 하계만수위를 두어 홍수이전에 미리 조절하므로 수문사용빈도가 많지 않으며, 소규모의 댐에서는 댐관리인을 둘 수 없기 때문에 위급시에 수문조작이 곤란하며, (d)의 경우, 여수토에 사이폰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사이폰이 일정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면 일시에 작동하여 많은 홍수량이 배제되므로 하류의 방수로와 하천에 피해가 크며, 작동이 중지될 때에는 당초 만수위보다 더 수위가 내려가는 결점과 시
다음에 하천의 보의 경우에 있어서는 하천을 가로질러 고정콘크리트보를 축조하여 취수위(取水位)를 높여서 수로를 통하여 취수이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보때문에 그 지점에 홍수위(洪水位)가 높아져 제방의 붕괴위험과 하상(河床)의 파괴 유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저수지에 있어서의 저수량의 증대확보화 하천보에 있어서의 취수위 조절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기설저수지 여수토의 시설과 제당(堤塘)의 증고축조와 수몰지역의 확대 없이, 그리고 설계계획일류수량의 일류를 설계계획대로 할 수 있으면서 여수토의 높이에 대응한 여수토의 만수위 저수량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저수하게 하되 계획저수위(변경만수위)를 자동적으로 조절 확보하게 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신설저수지에 있어서는 소요저수량 확보에 상응한 여수토의 높이, 제당의 높이 그리고 수몰지역의 범위를 계획의 여수토, 제당의 높이, 그리고 수몰지역의 범위보다 낮게 시설할 수 있다.
그리고 하천의 보에 있어서는 보를 하천바닥에 고정설치하였으므로 보 때문에 그 지점에 홍수위가 높아져 제방과 하상을 파괴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보와 같은 시설물을 하천에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설의 보에는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를 적용할 수 없으나, 보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곳에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를 시설하면 제방이나 하상의 파괴손실없이 필요한 취수위를 자동조절 유지할 수 있으면서, 홍수시에 하천의 계획홍수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자동수위조절방법에 있어서, 저수지(1)에 있어서 여수토(2)상에 수문(3)을 설치하여 여수토의 만수위(4)보다 많은 변경만수위(5)에 물을 저수하고 변경만수위(5)에 부구(6)(6')를 설치하되 변경만수위(5)로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의 수위의 승강에 따른 수문(3)의 개폐율을 여수토(2)에서 설계계획일류수위(I5)에 이상홍수위 (異狀洪水位)(7)를 더한 수위대변경만수위(5)에서 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의 비율로 하여 변경만수위(5) 이상의 유입수량에 대하여 동량의 수량을 배수하도
즉, 부구(6)(6') 상승(수위상승)은 저수지(1)에 유입되는 수량만큼 수위가 상승하게 되므로 수문(3)은 대형치차(8)(8')와 소형치차(9)(9')의 회전속도비로 인양작동하여 열려서 유입수량을 자동적으로 배제(排除)하게 된다. 이때에 배제량이 유입량보다 많으면 수위가 점점 내려가서 수문(3)은 치차(8)(8')(9)(9')의 회전속도비로 내려가서 닫히게 된다. 또 수문(3)이 내려가서 닫히면 다시 수위가 상승하여 또 다시 수문(3)이 치차(8)(8')(9)(9')의 회전속도비로 자동 인양되어 열리는 이러한 승강운동의 반복으로 변경만수위(5)가 자동적으로 조절 유지되는 것이다.
만일 유입량이 배제량보다 점차 많아지면 물은 계속 배제하면서도 수위가 계속 상승하며, 설계계획일류수위(15)가 될때의 수문(3)의 위치는 설계계획일류수위(15) 이상 열려서 설계계획 홍수량은 수문(3) 설치이전과 같은 현상으로 배제되므로 홍수량 배제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여기에 있어서, 수위의 자동조절을 위한 수위조절용 수심(10)은 깊어야 좋으나 설계계획 일류심(11)이 일정하므르 상대적으로 더 저수할 수 있는 수심(12)이 낮게 되는 더 저수한 수 있는 수량이 적게 되는 결과가 되므르 변경만수위(5)의 높이를 적절히 조정하면 따라서 수위조절용수심(10)도 조절된다. 즉 다음과 같은 등식이 성립한다. 변경만수위(5)의 수심(12)+수위조절용수심(10)=설계계획일류심(11)이 된다. 이 수위조절용수심(10)을 이용하여 변경만수위(5)의 수위에 부구(6)(6')를 띄워놓고 이 부구(6)(6')가 수위조절용수심(10)의 높이를 상하로 운동하면 상기한 바와 갈이 이 운동량의 일정비율로 수문(3)이 개폐되도록 장치하여 변경만수위(5)의 수위 이상의 홍수량이 유입하면 유입한 양만큼 자동으로 홍수량을 배제하여 항상 변경만수위(5)를 유지하도록 수위를 항상 자동조절하는 수문개폐장치 (13)를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변경만수위(5)를 조절하게 된다. 즉 변경만수위(5)상에 부구(6)(6')를 띄워놓고 상류에서 홍수가 저수지(1)에 유입되면 유입된 수량만큼 변경만수위(5)는 상승하게 된다. 이 상승된 수심(14)에 상응하여 수문(3)은 일정비율로 열리게 되므로 유입된 수량이 수문(3)을 통하여 배제된다.
예를 들어 설계계획일류심(11)의 높이를 1m로 하였을때 부구(6)(6')의 위치는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 올라가므로 수문(3)의 개폐높이는 설계계획일류심(11)의 높이보다 더 높아야 하되, 이상홍수위(7)(설계계획일류수위(15)의 20% 증가=1m+20cm=1.2m)를 더하여 1.2m이상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본 발명 장치를 시설하지 않은 상태대로의 설계계획일류수위(15)와 수맥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않고 설계계획일류수위(15) 이하로서 수위가 순문(3)에 닿으면 수위가 설제계획일류수위(15) 이상 상승하여 제당의 위험과 수몰지 범위의 확대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여기서 더 저수할 수 있는 수심(12)을 얼마로 정하느냐, 즉 수위조절용수위(10)를 얼마로 정하느냐에 따라서 수문(3)의 개폐비율이 정해지는 것으로서, 즉 여수토(2)에서 설계계획일류수수위(15)에 이상홍수위(7)를 더한 수위대변경만수위(5)에서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의 수위의 비율이 되는 것으로써 이를 예시 하면 다음과 같다.
① 수위조절용수심(10)을 10cm로 하면(더 저수할 수 있는 수심(12)은 90cm) 수문(3)개폐높이는 수위조절용수심(10)의 12배 이상이 된다. 즉, 수위조절용수심(10)대 수문(3) 개폐비는 1 : 12 이상이 된다.
② 수위조절용수심(10)을 20cm로 하면(더 저수할 수 있는 수심(12)은 80cm) 수문(3)개폐높이는 수위조절용수심(10)의 6배 이상이 된다. 즉 수위조절용수심(10)대 수문(3) 개폐비는 1:6 이상이 된다.
③ 수위조절용수심 (10)을 30cm로 하면(더 저수할 수 있는 수심 (12)은 70cm) 수문(3)개폐높이는 수위조절용수심(10)의 4배 이상이 된다. 즉 수위조절용수심(10)대 수문(3) 개폐비는 1 : 4 이상이 된다.
④ 수위조절용수심(10)을 50cm로 하면(더 저수할 수 있는 수심(12)은 50cm) 수문(3)개폐높이는 수위조절용수심(10)의 약 2.4배 이상이 된다. 즉 수위조절용수심(10)대 수문(3) 개페비는 1 : 2.4 이상이 된다.
여기서 수위조절용수심(10)은 너무 적으면 저수량은 많이 확보하나 수면변동(유량에 의한 수위변동이 아닌 파도등으로 인한 수면변동)의 미등에도 수문(3)의 승강활동이 크게 일어남으로서 저수량의 유실의 염려가 있으며, 또 너무 많으면 수문(3)의 승강활동은 크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저수량 확보가 적으므로 최소한의 조절용수심(10)은 설계계획일류심(11)의 30% 정도로 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설계계획일류심(11)의 높이가 1m이고 수위조절용수심(10)이 30cm인때 수문(3)은 치차자(8)(8')(9)(9')의 회전속도비(1 : 4)에 의해서 4배인 120cm 이상 열린다. 즉 여수토(2) 정상에서부터 1.2m위치에 있으므로 당초 설계계획일류심(11)을 유지하면서 홍수량은 배제된다.
이와 같이 수위의 승강에 따른 수문(3)의 개폐율을 여수토(2)에서 설계계획 일류수위(15)에 이상홍수위(7)를 더한 수위대 변경만수위(5)에서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하였으므로 변경만수위(5) 이상의 유입수량에 대하여 동량의 수량을 배제함으로써 수위변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문(3)이 개폐하여 수위를 조절함으로서 항시 자덩적으로 변경만수위(5)에 물을 저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하천(16)에 있어서 하상(17)에 수문(3)을 설치하여 취수위(18)에 부구(6)(6')를 설치하되 취수위(18)로부터 설게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승강에 따른 수문(3)의 개폐비율을 하상(17)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치의 수위대 취수위(18)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하여 취수위(18)를 넘는 유입수량에 대하여 동량의 수량을 배제하도록 수문(3)에 연결하여 항시 자동적으로 취수위(18)를 유지하는 수위변동에 의한 자동수위조절방법으로서, 취수위(18)에서 설계계획홍수위(19)가 될때까지의 수위와 수문(3)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부구(6)(6') 상승(수위상승)은 하천(16)에 유입되는 수량만큼 수위가 상승하게 되므로 수문(3)은 대형치차(8)(8')와 소형치차(9)(9')의 회전속도비로 인양 작동하여 열려서 유입수량을 자동적으로 배제하게된다. 이때에 배제량이 유입량보다 많으면 수위가 점점 내려가서 수문(3)은 치차(8)(8')(9)(9')의 회전속도비로 내려가서 닫히게 된. 또 수문(3)이 내려가서 닫히면 다시 수위가 상승하여 또다시 수문(3)이 치차(8)(8')(9)(9')의 회전속도비로 자동 인양되어 열리는 이러한 승강운동의 반복으로 취수위(I8)가 자동적 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만일 유입량이 배제량보다 점차 많아지면 물은 계속 배제하면서도 취수위(18)가 계속 상승하며, 설계계획홍수위(19)가 될때의 수문(3)의 위치는 설계계획홍수위(19) 이상 열려서 설계계획홍수량은 수문(3) 설치 이전과 같은 현상으로 배제되므로 홍수량 배제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이어 수문(3)의 개폐높이는 저수지 (1)에 있어서 수위조절용수심 (10)이 고정이 아니므로(따라서 변경만수위(5)도 고정이 아님) 수위조절용수심(10)대 홍수심(45)(설계계획일류심(11)+이상홍수심(46))의 비에 있어서 적정비율을 정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하천(16)에 있어서는 취수위(18)가 고정이므로(따라서 수위조절용수심(21)이 고정됨) 수위조절용수심(21)대 설계계획홍수심(47)의 비는 고정되므로 당해 하천(16)의 실정에 적합한 비율로 개폐된다. 즉, 예를 들면 취수심(43)이 2m이고 조절용수심(21)이 5m일때, 설계계획홍수심(47)은 7m로 된다. 이때 치차비율을 저수지과 같이 1 : 4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설계계획홍수시 수문(3)은 20m 이상 열리게 된다. 그러면 문주(가이드레일(27))의 높이 또한 20m이상이어야 하는 불필요하게 수문(3)이 인양되는 모순이 생기므로, 수문(3)의 인양높이는 7m 이상만 상승할 수 있는 치차비율이면 된다. 즉 치차비율은 I : 1.4이면 된다. 이 취수위(18)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조절용수심(21)을 이용하여 취수위(18)의 수위에 부구(6)(6')를 띄워놓고 이 부구(6)(6')가 수위조절용수심(21)의 높이를 상하로 운동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이 운동량의 일정비율로 수문(3)이 개폐되도록 장치하여 취수위(18)의 수위이상의 홍수량이 유입하면 유입한 양만큼 자동으로 홍수량을 배제하여 항상 취수위(18)를 유지하도록 수위를 항상 자동조절하는 수문개폐장치(13)를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취수위(18)를 조절하게 된다. 즉, 취수위(18)상에 부구(6)(6')를 띄워놓고 상류에서 홍수가 하천(16)에 유입되면 유입된 수량만큼 취수위(18)의 상승하게 된다. 이 상승된 수심에 상응하여 수문(3)은 일정비율로 열리게 되므로 유입된 수량이 수문(3)을 통하여 배제된다.
이와 같이 취수위(18)의 승강에 떠른 수문(3)의 개폐율을 하상(17)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대 취수위(18)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하였으므로 취수위(18) 이상의 유입된 수량에 대하여 동량의 수량을 배수함으로써 수위변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문(3)이 개폐하여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항시 자동적으로 취수위(18)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0은 이상홍수위이다.
둘째, 본 발명의 자동수위조절장치에 있어서, 지주(22)(22')로 지지된 가대(23)(23') 하측에 각각 축봉(24)(24')을 축으로 하여 상하 승강자재토록 형성한 부구(6)(6'), 유수안내대(26) 상면 좌단, 또는 하상(17)에 고착된 가이드레일(27) 내측으로 상하 승강 자재토록 형성한 수문(3) 및 추(28)(28')를 구성하고, 가대(23)(23') 상측의 좌단으로부터 체인휘일(29)(29'), 소형체인휘일(30)(30')을 형성한 대형치차(8),(8'), 대형도르레(31)(31')를 형성한 소형치차(9)(9')가 각각 축설되며, 부구(6)(6'), 체인휘일(29)(29'), 소형체인휘일(30)(30') 및 추(28)(28')는 양단부가 로우프(32) (32) (32') (33) (33')로 결착된 체인 (34) (34')으로 연결하고, 대형도르레(31)(31')와 수문(3)을 로우프(35)(35')로 연결하되 대형치차(8)(8')와 소형치차(9)(9')와와 회전속도비를, 저수지(1)에 있어서 여수토(2)에서 설계계획일류수위(15)에 이상홍수위(7)를 더한 수위대 변경만수위(5)에서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하천(16)에 있어서 하상(17)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대 취수위(18)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에 의한 자동수위조절장치 (13)로서, 이와 같은 장치는 전후방에 형성된 동일형상의 가대 (23)(23')는 "ㄷ"자 형상의 레일(36)(36')에 의하여 4각형상으로 각각 형상된다. 이 가대(23)(23') 상면 전후측에 각각 지지구(37(37,)가 착설되어 있으며 그 하면에는 지주(22)(22')가 형성되어 있다. 전후방에 형성된 가대(23)(23')의 좌방에는 하측에 재치편(38)(38')이 조정가능하게 유착된 축봉(24)(24')을 상·하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 부구(6)(6')가 유착되는데, 이 원통상의 부구(6) (6') 상하면의 중공부(39) (39')에는 베아링을 내장하여서 부구(6) (6')가 축봉(24) (24')을 원활하게 상하 왕복 이동하게 된다. 또한 부구(6)(6')의 상면에는 와이어 로우프(32)(32')가 결착될 격착구(40)(40')가 착설되어 있고 내부에는 부재로 충입한다. 가대(23)(23')의 우측하단 여수토(9)에 연하여 유수안내대(26) 상면 또는 하상(17)에 고착된 가이드레일(27) 내측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유착되는수문(3)이 형성된다. 상면의 양측에 결착구(41)(41')가 형성된 수문(3)의 양측면에는 로울러(42)가 유착되며 유수안내대(26)의 상면길이(43)는
따라서 가대(23)(23') 일측에는 각각 부구(6)(6')와 추(28)(28')를 양단부가 로우프(32)(32')(33)(33')로 결착된 체인(34)(34')으로 연결하고, 가대(23)(23')의 타측에는 각자 대형도르레(31)(31')를 형성한 소형치차(9)(9')와, 소형체인휘일(30)(30')을 형성한 대형치차(8)(8')를 맞물려 회전하도록 치합하며, 개폐용 로우프(35)(35')는 대형도르레(31)(31')의 일측에 결합하고, 대형도르레(31)(31')와 수문(3)을 개폐용 로우프(35)(35')로 연결하되 부구(6)(6')와 수분(3)을 각각 일정높이만큼 승강자재토록 한다. 이때 수문(3)에 착설된 로우프(35)(35')는 파도에 의하여 수면유동시 수문(3)이 작동되지 않도록 너우 팽팽하지않게 그 깊이를 느슨하게 이완(loose)시켜 준다. 여기서 추(28)(28')의 중량은 수문(3)의 인양하중과 증속비, 기계마찰손실의 합보다 크며, 부구(6)(6')의 자중은 추(28)(28')의 중량과 기계마찰손실의 합보다크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예시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여수토(2)에 본 장치를 설치하여 결과적으로 여수토(2)의 높이를 높여주는 구실을 함으로서 변경만수위(3)까지 저수하되 홍수시에 수위가 상승할 경우에는 부구(6)(6')가 떠오르면써 추(28)(28')가 하강되므로 체인(24)(34')은 체인휘일(29)(29')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일체로 형성된 대형치차(8)(8')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와 맞물린 소형치차(9)(9')를 회전시키며, 이때 대형도르레(31)(31')에 감겨 있던 개폐용 로우프(35)(35')가 감겨서 수문(3)을 상승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때 추(28)(28')는 수문(3)보다 무겁고 또 부구(6)(6')가 떠오르기 때문에 추(28)(28')의 중력에 의하여 수문(3)은 상승하면서 열리게 된다.
예를 들어서 수면이 l00m 상승하면 추(28)(28')가 10cm 하강되고, 수문(3)은 40cm(대형치차(8)(8')와 소형치차(9)(9')의 회전속도의 비가 1 : 4인때) 상승하게 되어 수위상승율보다 4배의 비율로 수문(3)이 열리게 된다. 다시 물이 줄어서 수위가 하강하면 부구(6)(6')가 하강하는데 부구(6)(6')의 무게가 추(28)(28')의 무게보다 무겁기 때문에 추(25)(28')는 상승되고 수문(3)도 가이드레일(27)의 내면을 통하여 하강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저수지에 있어서 여수토의 높이를 높이치 않고 설계계획홍수량의 설계계획대로의 일류를 할 수 있으면서 설계계획일류심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수토의 높이에 대응한 여수토의 만수위의 저수량보다 많은 저수량, 즉 설계계획일류심에 대하여 최대한의 저수가능량을 저수하는 것으로서 당초 계획된 설계계획일류수위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여수토의 만수위를 높여 물을 더 저수하여도 저수지의 여수토의 높이나 제당의 중고축조와 수몰지역을 확
또한 하천에 있어서도 보 자체를 설치하지 않고 보대신 콘크리트 바닥만 설치하고 이 콘크리트 바닥 상면에 본 장치인 자동수문개폐장치를 설치하면 된다. 기설보에서와 같이 격류에 의한 보의 하부 및 그 부위에 충격을 받아서 파괴 및 큰 웅덩이가 형성되는 일이 전혀 없다. 따라서 수문을 통하여 흐르는 유수는 순탄하게 원활히 흘러 내려간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퇴사가 쌓이는 결점까지도 개선된 것이다.

Claims (3)

  1. 저수지(1)에 있어서 여수토(2)상에 수문(3)을 설치하여 여수토의 만수위(4)보다 많은 변경만수위(5)에 물을 저수하고 변경만수위(5)에 부구(6)(6')를 설치하되 변경만수위(5)로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의 수위의 승강에 따른 수문(3)의 개폐율을 여수토(2)에서 설계계획일류수위(15)에 이상홍수위(7)를 더한 수위대 변경만수위(5)에서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하여 변경만수위(5) 이상의 유입수량에 대하여 동량의 수량을 배수하도록 수문(3)에 연결하며 항시 자동적으로 변경만수위(5)에 물을 저수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에 의한 자동수위조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상(17)에 수문(3)을 설치하여 취수위(18)에 부구(6)(6'0를 설치하되 취수위(18)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승강에 따른 수문(3)의 개폐비율을 하상(17)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대 취수위(18)에서부터 설계계획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하여 취수위(18)를 넘는 유입수량에 대하여 동량의 수량을 배수하도록 수문(3)에 연결하여 항시 자동적으로 취수위(18)를 유지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16)에 있어서 수위변동에 의한 자동수위조절방법.
  3. 상면에 지지구(37)(37')가 고착되고 지주(22)(22')로 지지된 가대(23)(23') 하측에 각각 재치펀(38)(38')이 조정가능하게 유착된 축봉(24)(24)을 축으로 하여 상하 승강자재토록 형성한 부구(6)(6'), 유수안내대(26) 상면 좌단 또는 하상(17)에 고착된 가이드레일(27) 내측으로 상하 승강 자재토록 형성한 수문(3) 및 추(28)(28')를 구성하고, 가대(23)(23') 상측의 좌단으로부터 체인휘일(29)(29'), 소형체인휘일(30)(30')을 형성한 대형치차(8)(8'), 대형도르레(31)(31')를 형성한 소형치차(9)(9')가 각각 축설되며, 부구(6)(6'), 체일휘일(29)(29'), 소형헤인휘일(30)(30') 및 추(28)(28')는 양단부가 로우프(32)(32')(33)(33')로 결착된 체인(34)(34')으로 연결하고, 대형도르레(31)(31')와 측부에 로울러(42)가 유착된 수문(3)을 로우프(35)(35')로 연결하되 유수안내대(26)의 상면길이(43)는 적정길이로 설치하고 가이드레일(27)은 유수안내대(26) 상면 좌단에 고착하며 대형치차(8)(8')와 소형치차(9)(9')와의 회전속도비를 여수토(2)에서 설계계획일류수위(15)에 이상홍수위(7)를 더한 수위대 변경만수위(5)에서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까지의 수위비율로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에 위한 자동수위조절장치.
KR1019830003866A 1983-08-18 1983-08-18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KR85000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866A KR850001685B1 (ko) 1983-08-18 1983-08-18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JP59172313A JPS6062316A (ja) 1983-08-18 1984-08-18 自動水位調節方法およ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866A KR850001685B1 (ko) 1983-08-18 1983-08-18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937A KR850001937A (ko) 1985-04-10
KR850001685B1 true KR850001685B1 (ko) 1985-11-22

Family

ID=1922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866A KR850001685B1 (ko) 1983-08-18 1983-08-18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62316A (ko)
KR (1) KR850001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96B1 (ko) * 2012-10-12 2014-02-20 주식회사 준수이앤텍 어류의 생태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서식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632A (ja) * 2005-07-04 2007-01-18 Ryozo Kimura 調整池の放流量調整装置および調整池
JP6405939B2 (ja) * 2014-11-27 2018-10-17 株式会社朝日技研 閉門装置
JP2021110085A (ja) * 2019-12-30 2021-08-02 仲二 和田 水門門扉の自動開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96B1 (ko) * 2012-10-12 2014-02-20 주식회사 준수이앤텍 어류의 생태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서식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7883B2 (ko) 1992-06-22
JPS6062316A (ja) 1985-04-10
KR850001937A (ko) 198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88809A (en) Buoyant weir
KR850001685B1 (ko)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JP3500116B2 (ja) 自動可動式魚道水路設備
JP3711502B2 (ja) 堰等の水位の変化を利用した無動力自動起立倒伏ゲート
KR20110031517A (ko) 부상식 조류발전장치
US3293862A (en) Overflow fishway
JP3427324B2 (ja) チェーンゲート装置
CN221663780U (zh) 一种水闸分段取水装置
KR100245630B1 (ko) 롤러를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
JP3653620B2 (ja) 連結桁堰
CN220746801U (zh) 一种斜拉式开合的闸门
CN216551784U (zh) 一种水利工程用高效耐久防洪堤
KR102590421B1 (ko) 유량 제어가 가능한 수력 발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유량 제어 방법
SU1761858A1 (ru) Передвижна , переливна плотина
CN210636401U (zh) 一种水力启动式生态堰闸
KR20010008139A (ko) 로타리형 자동보의 구성방법
CN212714790U (zh) 一种水坝降噪装置
JPS5996318A (ja) 昇降式発電設備
JP3075109B2 (ja) 貯水構造物から魚道への取水構造
RU2093639C1 (ru) Вакуумный водоприемник для селективного забора воды из поверхностных слоев водохранилища
JP4082260B2 (ja) フロート式選択取水設備
KR20060010411A (ko) 하천보의 자동수위 조절방법
JPH06101223A (ja) 河川の導水設備
SU1002452A1 (ru) Рыбоход А.И.Простова
Develay et al. Desilting basin system of the Dul Hasti hydroelectric pro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