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937A -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937A
KR850001937A KR1019830003866A KR830003866A KR850001937A KR 850001937 A KR850001937 A KR 850001937A KR 1019830003866 A KR1019830003866 A KR 1019830003866A KR 830003866 A KR830003866 A KR 830003866A KR 850001937 A KR850001937 A KR 850001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water level
water
design plan
f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685B1 (ko
Inventor
심상찬
Original Assignee
심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찬 filed Critical 심상찬
Priority to KR101983000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685B1/ko
Priority to JP59172313A priority patent/JPS6062316A/ja
Publication of KR85000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저수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수문이 자동적으로 개폐하여 자동적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자동 수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문 개폐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Claims (3)

  1. 저수지(1)에 있어서 여수로(2)상에 수문(3)을 설치하여 종전 만수위(4)보다 많은 변경만수위(5)에 물을 저수하고 변경만수위(5)에 부구(6)(6′)를 설치하되 변경만수위(5)로부터 설계계획 일류수위(15)까지의 수위의 승강에 따른 수문(3)의 걔폐물을 여수로(2)에서 설계계획 일류 수위(15)에 이상홍수위(7)를 더한 수위대 변경 만수위(5)에서부터 설계계획일류수위(15)의 비율로 하여 변경만수위(5) 이상의 유입수량에 대하여 동량의 수량을 배수하도록 수문(3)에 연결하여 항시 자동적으로 변경 만수위(5)에 물을 저수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변동에 의한 자동 수위 조절방법.
  2. 하천(16)에 있어서, 하상(17)에 수문(3)을 설치하여 취수위(18)에 부구(6)(6′)를 설치하되 취수위(18)로부터 설계 계획 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승강에 따른 수문(3)의 개폐비율을 하상(17)에서부터 설계 계획 홍수위(19)까지의 수위 대 취수위(18)에서부터 설계계획 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하여 취수위(18)를 넘는 유입수량에 대하여 동량의 수량을 배수하도록 수문(3)에 연결하여 항시 자동적으로 취수위(18)을 유지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변동에 의한 자동 수위 조절방법.
  3. 상면에 지지구(37)(37′)가 고착되고 지주(22)(22′)로 지지된 가대(23)(23′) 하측에 각각 재치편(38)(38′)이 조정 가능하게 유착된 축봉(24)(24′)을 축으로 하여 상하 승강 자재토록 형성한 부구(6)(6′), 유수안내대(26) 상면 좌단 또는 하상(17)에 고착된 가이드레일(27) 내측으로 상하 승강자재토록 형성한 수문(3) 및 추(28)(28′)를 구성하고, 가대(23)(23′) 상측의 좌단으로부터 체인휘일(29)(29′), 소형체인휘일(30)(30′)을 형성한 대형 치차(8)(8′), 대형 도르레(31)(31′)를 형성한 소형 치차(9)(9′)가 각각 축설되며, 부구(6)(6′) 체인휘일(29)(29′), 소형 체인휘일(30)(30′) 및 추(28)(28′)는 양단부가 로우프(32)(32′)(33)(33′)로 결착된 체인(34)(34′)으로 연결하고, 대형 도르레(31)(31′)와 측부에 로울러(42)가 유착된수문(3)을 로우프(35)(35′)로 연결하되 유수 안내대(26)의 상면길이(43)는 적정길이로 설치하고 가이드레일(27)은 유수 안내대(26) 상면 좌단에 고착하며 대형치차(8)(8′)와 소형치차(9)(9′)와의 회전 속도비를 저수지(1)에 있어서, 여수로(2)에서 설계 계획 일류 수위(15)에 이상 홍수위(7)를 더한 수위대 변경 만수위(5)에서부터 설계 계획 일류 수위(15)의 비율로, 하천(16)에 있어서, 하상(17)에서부터 설계 계획 홍수위(19)까지의 수위대 취수위(18)에서부터 설계 계획 홍수위(19)까지의 수위의 비율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변동에 의한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30003866A 1983-08-18 1983-08-18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KR85000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866A KR850001685B1 (ko) 1983-08-18 1983-08-18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JP59172313A JPS6062316A (ja) 1983-08-18 1984-08-18 自動水位調節方法およ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866A KR850001685B1 (ko) 1983-08-18 1983-08-18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937A true KR850001937A (ko) 1985-04-10
KR850001685B1 KR850001685B1 (ko) 1985-11-22

Family

ID=1922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866A KR850001685B1 (ko) 1983-08-18 1983-08-18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62316A (ko)
KR (1) KR850001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632A (ja) * 2005-07-04 2007-01-18 Ryozo Kimura 調整池の放流量調整装置および調整池
KR101362996B1 (ko) * 2012-10-12 2014-02-20 주식회사 준수이앤텍 어류의 생태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서식처
JP6405939B2 (ja) * 2014-11-27 2018-10-17 株式会社朝日技研 閉門装置
JP2021110085A (ja) * 2019-12-30 2021-08-02 仲二 和田 水門門扉の自動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7883B2 (ko) 1992-06-22
KR850001685B1 (ko) 1985-11-22
JPS6062316A (ja) 198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937A (ko) 자동 수위 조절방법과 그 장치
KR100479226B1 (ko) 어도가 구비된 자동 수중보
CN2463450Y (zh) 浮箱分离式水力自控门
US2882919A (en) Sewer regulator
KR20090027496A (ko) 합류식 하수 시스템의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JP5366382B2 (ja) 取水口の開度調整構造
US2621484A (en) Hydraulic gate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100608336B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KR970043621A (ko) 수위 조절장치가 부착된 수문
JPH089857B2 (ja) 自動逆潮防止ゲート
JP2004316383A (ja) 魚道を備えた水門堰の扉体。
JP2627479B2 (ja) 貯溜量配分ゲート
JP2764311B2 (ja) 自動水位調節開閉ゲート装置
JP4055057B2 (ja) 下流水位制御装置
JPS61237712A (ja) 水力自動開閉水門
KR200215796Y1 (ko) 중력 자동 수문
KR200351893Y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JPS5948512A (ja) 自動水門扉
JP3300959B2 (ja) ゲートの開閉装置
KR200338295Y1 (ko) 어도가 구비된 자동 수중보
KR970065900A (ko) 유동식수문
SU905368A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затвор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уровн воды
JP3653620B2 (ja) 連結桁堰
SU920649A1 (ru) Регул тор уровн в бьефах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