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536Y1 -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 Google Patents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536Y1
KR850001536Y1 KR2019830008936U KR830008936U KR850001536Y1 KR 850001536 Y1 KR850001536 Y1 KR 850001536Y1 KR 2019830008936 U KR2019830008936 U KR 2019830008936U KR 830008936 U KR830008936 U KR 830008936U KR 850001536 Y1 KR850001536 Y1 KR 850001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lutch
winding drum
rail
tape mea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8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462U (ko
Inventor
강의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도량
강의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도량, 강의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도량
Priority to KR2019830008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536Y1/ko
Publication of KR850003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5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07Means for locking
    • G01B2003/101Means for locking acting on the dr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23Winding mechanisms
    • G01B2003/1025Winding mechanisms operated manually, e.g. crank-han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33Means for activating the locking, braking or releasing of the tape, e.g. buttons
    • G01B2003/1035Means for activating the locking, braking or releasing of the tape, e.g. buttons by pivotal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의 권취드럼과 리일핸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서 권취드럼과 리일핸들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일 2 : 권취드럼
4 : 리일핸들 6 : 클러치승강구
7 : 고정판 9 : 원동클러치판
본 고안은 크로스(cross)형으로 된 리일(reel)의 회전축에 줄자를 권회시키게 된 측량용 줄자에 있어서, 휴대시 줄자의 풀림을 방지하고, 측량작업시에는 줄자가 리일에서 용이하게 풀려나올 수 있도록 한 줄자의 리일핸들(reel-handle)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크로스형 리일에 감게된 줄자는 일반적으로 리일의 회전축과 리일핸들을 고정상태로 결합시킨 것이었으므로 줄자의 선단을 잡아당기면 회전축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축과 고정된 리일핸들도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서 리일핸들이 플라이휘일(fly wheel)과 같은 작용을 하게되어 줄자가 과도하게 풀리게되고 이에따라 다시 줄자를 되감아야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었고, 리일핸들이 회전중 작업자의 신체부분에 접촉하게 되면 회전축의 회전이 급격히 정지하게 됨으로서 잡아당기던 줄자를 놓치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줄자가 절단되는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은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여 줄자의 권취드럼과 리일핸들을 분리시켜 권취드럼만이 단독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고, 리일핸들의 전도방향에 따라 권취드럼과 리일핸들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로스형으로 된 리일(1)의 중앙부에 착설한 권취드럼(2)에 줄자(3)를 권회시키게 된 공지한 것에 있어서 권취드럼(2)을 내주면에 발톱(claw)(2')이 돌설된 종동클러치판으로 형성하고, 리일핸들(4)의 선단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융기부(4')를 형성하여 이에 길다란 안내공(4")을 천공하였으며, 체결축(5)이 돌설되고 클러치승강구(6)가 형성된 고정판(7)을 리일핸들(4)의 안내공(4")에 핀(8)으로 축착하고, 고정판(7)의 하측에는 클러치승강구(6)내에 삽입되는 안내돌기(9')가 형성된 원동클러치판(9)을 체결축(5)에 삽착하여 원동클러치판(9)과 종동클러치판인 권취드럼(2)사이에 스프링(10)이 개재되도록 고정판(7)과 뚜껑판(11)을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부호 12는 리일핸들(4)의 손잡이용 꼭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줄자(3)를 감을때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일핸들(4)을 일측으로 전도시켜 융기부(4')가 하면으로 위치되게 하면 고정판(7)의 클러치승강구(6)위로 돌출되어 있던 원동 클러치판(9)의 안내돌기(9')가 융기부(4')에 의하여 밑으로 눌려 내려가게 되고 이에따라 원동클러치판(9)이 스프링(10)을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종동클러치판인 권취드럼(2)과 물리게 되는 것인바, 이 상태에서 리일핸들(4)을 회동시키면 원동클러치판(9)의 회전에 따라 권취드럼(2)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줄자(3)가 감기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줄자(3)를 풀어 측량작업할 때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일핸들(4)을 반대쪽으로 전도시키면 이제까지 융기부(4')의 압박으로 하강되어 있던 안내돌기(9')가 압박상태에서 해방되므로 원동클러치판(9)이 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권취드럼(2)과 분리되고 이에따라 줄자(3)를 잡아당기더라도 권취드럼(2)만이 회전할 뿐 원동클러치판(9)과 이에 연결된 리일핸들(4)은 움직이지 않게 되면서 줄자(3)만이 물러나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평상시 줄자를 보관하거나 휴대시에는 제4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리일핸들(4)을 안쪽으로 밀게되면 융출부(4)에 천공된 길다란 안내공(4")을 따라 리일핸들(4)이 이동하면서 리일핸들(4)의 자루 부분이 상향돌출상태에 있는 원동클러치판(9)의 안내돌기(9')를 밑으로 밀어내리게 되므로서 원동클러치판(9)과 권취드럼(2)이 물리게 되면서 리일핸들(4)도 권취드럼(2)과 함께 회전상태로 놓이게 되는 것이나, 이 상태에서는 리일핸들(4)의 손잡이용 꼭지(12)가 리일(1)의 크로스바아에 걸려 있게 되므로서 리일핸들(4)이 회동하지 못하게 되고 권취드럼(2)도 리일핸들(4)과 함께 고정되어 줄자(3)가 풀리지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권취드럼(2)과 리일핸들(4)을 물리기클러치(dogclutch)형으로 형성하여 각기 별도로 회동될 수 있게 하므로서 줄자의 감김과 풀림작용이 원활하게 행하여지고, 줄자의 과도한 풀림이나 절단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휴대시에도 줄자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상 편리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크로스형 리일(1)의 중앙부에 착설한 권취드럼(2)에 줄자를 권회시킨 공지한 것에 있어서, 권취드럼(2)을 종동클러치판으로 형성하고, 고정판(7)에 형성된 클러치승강구(6)에는 원동클러치판(9)의 안내돌기(9')를 삽입하여 리일핸들(4)의 융기부(4')와 안내돌기(9')의 접리에 따라 원동클러치판(9)이 승강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KR2019830008936U 1983-10-19 1983-10-19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KR850001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936U KR850001536Y1 (ko) 1983-10-19 1983-10-19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936U KR850001536Y1 (ko) 1983-10-19 1983-10-19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462U KR850003462U (ko) 1985-06-17
KR850001536Y1 true KR850001536Y1 (ko) 1985-07-25

Family

ID=7015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8936U KR850001536Y1 (ko) 1983-10-19 1983-10-19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5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22B1 (ko) * 2013-01-23 2014-12-24 정석진 오픈식 줄자
KR20190033150A (ko)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론앤론 핸들 역회전 방지기능이 구비된 줄자를 권취하기 위한 핸들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22B1 (ko) * 2013-01-23 2014-12-24 정석진 오픈식 줄자
KR20190033150A (ko)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론앤론 핸들 역회전 방지기능이 구비된 줄자를 권취하기 위한 핸들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462U (ko) 198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535A (en) Locking means for a cover of a bait cast reel in which a button is pressed to unlock the cover and enable its separation
US4349962A (en) Cutting down machine
EP0203011A2 (en) Apparatus for cutting grass
JPH0135627Y2 (ko)
US4106165A (en) Retractable cord guiding and locking devices
KR850001536Y1 (ko)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JPH026749Y2 (ko)
JPS61111073U (ko)
US3442025A (en) Plumb bob device
JPH0369248B2 (ko)
JPS6011773Y2 (ja) コ−ド形刈刃装置
JPS6245545Y2 (ko)
KR850000092Y1 (ko) 줄자의 리일핸들장치
JPS5847363Y2 (ja) 巻尺
JPS5847361Y2 (ja) 巻尺
JP2532137Y2 (ja) 刈払機の紐ヘッド構造
JPH0451126B2 (ko)
JPS62210911A (ja) 刈払機
JPS6112182Y2 (ko)
JPS5847362Y2 (ja) 巻尺
KR940008054Y1 (ko) 샌드페이퍼(snad paper)공구
JPS61268106A (ja) 刈払機のコ−ド繰出し装置
JPH0423017Y2 (ko)
JPS5837233B2 (ja) コ−ド案内装置
KR890005729Y1 (ko) 접착 테이프 부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