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57Y1 -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57Y1
KR850001457Y1 KR2019810004527U KR810004527U KR850001457Y1 KR 850001457 Y1 KR850001457 Y1 KR 850001457Y1 KR 2019810004527 U KR2019810004527 U KR 2019810004527U KR 810004527 U KR810004527 U KR 810004527U KR 850001457 Y1 KR850001457 Y1 KR 850001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argo
rope
hang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4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957U (ko
Inventor
소도시오
Original Assignee
소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도시오 filed Critical 소도시오
Publication of KR830000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역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하역장치에 있어서의 4개의 로우프를 걸었을 경우의 사시도.
제1(a)도는 본 고안의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푸를 4개 걸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로우프를 거는 다이아그램으로써 두개의 역 삼각추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XYZ-P와 XYZ-P').
제2도는 본 고안의 로우프를 4개에서 2개로 했을 경우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를 2개 걸었을 경우의 로우프를 거는 다이아그램으로서, 대형상(臺形狀)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XY-PP').
제3도는 현행 다른 방식의 한게의 역삼각추형 방식의 비교용 사시도.
제3a도는 그 로우프를 거는 다이아그램(XYZ-P).
제4도는 현행 다른 방식의 역사각추형 방식의 비교용 사시도.
제4(a)도는 그 로우프를 거는 다이아그램(WXYZ-P).
제5도는 현행 다른 방식의 대형상 방식의 비교용 사시도.
제5(a)도는 그로우프를 거는 다이아그램(XY-P).
제6도는 현행 다른 방식의 한개의 역삼각추형 방식의 비교용 사시도.
제6(a)도는 로우프를 거는 다이아그램(XYZ-P).
본 고안은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중기 특히 선박용의 한 개의 선회데릭(derrick) 또는 크레인 하역장치에 있어서의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의 흔들림 방지 및 회전방지(꼬임방지) 대책을 어떻게 하여 현행의 모든 다른 방식보다 간편하면서도 경제성 있게 보급시키느냐 그리고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의 수를 몇개로하여 신속하게 증감 조정할 수 있는지를 목적으로 한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가 걸린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장치는 데릭 부움(Derrick Boom)이나 지브크레인 머리부분에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 예를 들면, 톰슨이나 스피드 크레인 방식등과 같이 한개의 역삼각추형 또는 역사각추형으로 된 것과, 구조상으로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요동방지 효과가 그다지 없는 베레방식 등과 같이 가로방향의 단일 연직면내 즉, 가로 방향으로만 흔들림을 방지할 수 밖에 없고, 세로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없는 것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들은 일층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지마는 회전방지(꼬임방지)에 대한 효과가 전혀없는 이와 같은 점들을 본 고안과 현행의 다른 방식과 비교하기 위해서 대표적으로 4가지 방식을 열거하여 순차적으로 그 결점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들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움머리 부분에 고정활차(a, b, c, d)를 최소한 4조를 필요로 하며 매달기활차(e, f, g)는 3조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윈치 드럼(Winch Drun)으로 부터 도출된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는 필요한 안내활차 및 모든 활차를 도시한 바와 같이 경유시키고, 도출된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는 화물을 매다는 금구를 매달아 지지하는 동활차(h, i)를 걸어 매달아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XYZ를 저변으로 하고 P를 정점으로 하는 한 개의 역삼각추형을 형성하여 흔들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합계 최소한 9조 이상의 활차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한개의 역삼각추형 방식에 있어서의 결점은 부움머리 부분에 고정활차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성이 본 고안에 비해 훨씬 복잡하며 또한 비경제적이다.
또 활차수가 필요이상으로 많기 때문에 하역장치의 전체적인 기계적 효율이 저하하는 등 와이어 로우프의 마모도 심하여 더욱 꼬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다.
다음에, 제4도에 나타낸 방식은 부움 머리부분에 평형하게 길게 튀어나온 두개의 부재를 설치하고, 4조의 고정활차(a, b, c d)에 2개의 동활차(e, f)를 매달아 지지하여 제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WXYZ를 저변으로 하고 P를 정점으로 하는 한개의 역사각추형을 형성하여 매달려지는 화물에 흔들림 감쇠작용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 역사각추형 방식에 있어서의 결점은 부움 머리 부분에 길게 튀어나온 두개의 부재를 설치해야 되기 때문에 이것은 이중(二重)의 뒤틀림을 부움에 부여하여 변형을 쉽게 발생시키고 도한 설계상의 곤란성 및 제작상의 비경제성을 초래하여 실용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 제5도에 나타낸 방식은 머리 부분에 고정활차(a, b, c)를 매달아 지지하였고, 고정활차(a, b, c)는 가로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으며, 그들이 매달려진 화물용 동활차(d, e)를 걸에 매달아서 모든 활차가 연직의 동일 평면상에 제5(a)도에 나타낸 것처럼 배열되어 있도록 XY를 저변으로 하고 P를 정점으로 하는 한 개의 대형상(臺형상形狀)을 이루고 있다. 이 대형상 방식의 결점은 매달아진 화물의 가로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지만 세로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데는 성능면으로 감안해볼 때 결함이 많다.
마지막으로 제6도에 나타낸 방식은 화물을 매다는 로우프가 개각(開角)을 가진 고정활차(a, d)를 통하여 고정활차(b, c)를 경유하여, 모두 1개소로 집중시켜 동활차(e, f)를 걸어 매달아서 제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XYZ를 저변으로 하고 P를 정점으로 하는 한개의 역삼각추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 한개의 역삼각추형 방식의 결점은 제3도, 제3(a)도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또 고정활차(b, c)는 개폐식(스내치 : Snatch)이 아니기 때문에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의 증감을 꾀할 수 없으며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의 속도나 하중의 변환을 꾀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모든 결점을 감안하여 개량한 하역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지브나 부움(1)의 맨 앞끝부분의 양측에 유효폭을 가지고 길게 튀어나온 돌출부재(2)를 설치하여 그 돌출부재(2)에 제1, 2활차(a, b)를 설치하였다. 또 지브나 부움의 중심선상에는 길게 튀어나온 돌출부재(2)로 부터 적당히 떨어진 앞부분이나 뒷부분에 제3활차(개폐식 활차 : Snatch Block)(c')를 설치하고, 화물을 매다는 비임(3)을 매달아 지지하는 제4,5활차(d, e)를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로서 걸어맨다. 화물을 매다는 비임은 적당한 길이를 가지고, 제4,5활차(d, e)에 유효거리를 주어 제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XYZ를 저변으로 하고 P 및 P'를 그 정점으로 한 두개의 역삼각추형을 형성시킨다.
로우프를 거는 방법으로서는 우선 단동 또는 쌍동 드럼의 하역윈치로부터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4)를 제1활차(a), 제4활차(d), 제3활차(c'), 제5활차(e), 제2활차(b)의 순서로 건 다음에 그 다른 한 끝을 다시 하역윈치로 복귀시키든가 마스트 또는 데릭의 구조물상에 고정시키든지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1도 또는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4)는 제1,2활차(a, b) 및 제3활차(c')를 저변으로 하고 비임(3) 상에 있는 2개의 제4,5활차(d, e)를 2정점으로 하는 두 개의 역삼각추형을 형성하고, 이 두 개의 역삼각추형의 상호작용즉, 각각의 로우프(4) 부분(XP, YP, ZP, XP', YP', ZP')의 장력의 수평방향의 분력이 훅크(5)에 매달려 있는 화물의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현행의 어떠한 다른 방식과 비교하여도 가장 간편하면서도 경제적으로 흔들림방지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움에 개폐식의 제3활차(c')를 부착하고, 그 활차의 외부 하우징을 개폐시킴에 따라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4)를 신속하게 걸거나 벗겨낼 수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활차(c')를 열어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를 벗겨내면 화물을 매다는 비임(3)은 화물을 들어올리는 두개의 로우프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어 제2(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XPP'Y의 대형을 형성한다. 그래서 최저한 좌우방향에 대해서의 화물의 흔들림을 억제시킬 수 있고 또 매달려 있는 비임(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가 4개에서 2개로 감소하기 때문에 하역 호이스트는 지금까지 보다는 두배의 속도로 상승시킬 수 있는 우수한 이점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역장치는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부의 두 개의 역삼각추형의 로우프를 거는 다이아그램에 의해 가장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방법으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흔들림 방지와 꼬임방지 및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의 증감이 가능함에 따른 하중 및 하역속도의 조정이 가능한 하역장치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맨앞 끝부분에 부착시켜 양측으로 길게 튀어나오게한 소정길이의 가로방향 아암(2)의 한 끝부에 부착한 제1활차(a) 및 반대측의 끝부에 부착한 제2활차(b)와 상기 가로방향 아암(2)과 데릭부움의 교점으로 부터 소정거리의 위치에서 데릭부움에 부착한 제3활차(c')등을 구비한 데릭부움(1)과, 상부에 제4활차(d)와 제5활차(e) 등을 부착한 화물용 훅크(5)와, 최소한 한 끝을 화물용 윈치에 감아 길이의 중간 부분을 차례로 제1활차(a), 제4활차(d), 제3활차(c'), 제5활차(e) 및 제2활차(b)에건 화물을 들어올리는 로우프(4)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용훅크(5)가 상부에 부착된 소정 길이의 비임(3)을 구비하여 제4활차(d)와 제5활차(e)를 각각 그 비임(3)의 각 맨뒷끝에 부착시킴으로써 양자를 소정의 거리로 분리함과 동시에 제3활차(c')를 개폐식활차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치.
KR2019810004527U 1980-11-04 1981-06-24 하역장치 KR85000145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158367 1980-11-04
JP1980158367U JPS5791777U (ko) 1980-11-04 1980-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57U KR830000957U (ko) 1983-09-22
KR850001457Y1 true KR850001457Y1 (ko) 1985-07-15

Family

ID=2951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4527U KR850001457Y1 (ko) 1980-11-04 1981-06-24 하역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91777U (ko)
KR (1) KR8500014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91777U (ko) 1982-06-05
KR830000957U (ko) 198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1478A (en) Overhead crane with lifting beam provided with C-shaped claws
KR850001457Y1 (ko) 하역장치
US3486635A (en) Jib crane
CA2004976A1 (en)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KR20010021248A (ko) 크레인 장치
CA2004973A1 (en)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JP2002087758A (ja) 船槽の荷揚げ用バケットの揺れ止め装置
CN210214583U (zh) 一种起升机构及起重机
US3739922A (en) Sway-arrest system improvement
CN210214589U (zh) 一种防摇装置及起重机
CN112479032A (zh) 一种龙门吊起重机
JPH0422836B2 (ko)
JP2020111432A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JPH1111857A (ja) 天井クレーン
JPS6327277B2 (ko)
RU2006447C1 (ru) Грузовая подвеска крановой стрелы
US3685669A (en) Derrick cranes and swinging derricks
SU1321666A1 (ru) Стреловой самоходный кран
JP3036563U (ja) ジブクレーン
CN214243499U (zh) 一种龙门吊起重机
JPH1111856A (ja) 天井クレーン
JPS60252588A (ja) トロリ−走行式クレ−ン
JPH11255471A (ja) 吊り荷装置
SU12112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и установки оборудовани на металлоконструкции
JPH1135283A (ja) クレーン吊荷の揺動及び旋回の制御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