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07B1 - 소수성 사의 풀먹임 방법 - Google Patents

소수성 사의 풀먹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07B1
KR850001407B1 KR1019810004643A KR810004643A KR850001407B1 KR 850001407 B1 KR850001407 B1 KR 850001407B1 KR 1019810004643 A KR1019810004643 A KR 1019810004643A KR 810004643 A KR810004643 A KR 810004643A KR 850001407 B1 KR850001407 B1 KR 85000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polymer
yarn
hydrophobic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32A (ko
Inventor
콘리 모리스 헐
Original Assignee
롬 앤드 하스 캄파니
죠지. 더블유. 에프. 시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드 하스 캄파니, 죠지. 더블유. 에프. 시몬즈 filed Critical 롬 앤드 하스 캄파니
Priority to KR101981000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407B1/ko
Publication of KR83000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1/00Successive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수성 사의 풀먹임 방법
본 발명은 가연(twisting), 중첩(doubling), 위이빙(weaving), 편물(knitting), 편조(braiding)와 같은 직조공정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방적사 또는 연속적인 필라멘트 사
Figure kpo00002
의 풀먹임(sizng 또는 dressing)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또는 수분 사직기(water jet looms)용 사
Figure kpo00003
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적용후 제거가능 한 형태의 사이즈(size: 섬유, 사, 직물등에 먹이는 풀)에 관한 것이다.
녹말, 폴리비닐 알코올 및 산성아크릴 공중합체등과 같은 여러가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 콜로이드 물질들이 나일론과 같은 소수성사(hydrophobic yarn)의 풀먹임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공지의 사이즈 물질들은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더욱 소수성인 사에 대해서는 불충분한 접착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필라멘트나 섬유의 불충분한 보호를 보충하고 직조기의 가이드나 기타부품에 사이즈가 마찰되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 보충하기 위하여 다량의 사이즈 물질을 사용하여야 하였다. 적당한 중합체 사이즈물질은 직조기를 통과하는 동안 입자들을 유동시키기에 너무 어려워도 또한 너무 쉬워도 안되며, 그것이 섬유나 사
Figure kpo00004
에 보다도 금속에 더 잘 부착하는 경향을 가져서도 안된다. 그리고 공정동안 금속구동체및 건조드럼등에 잔류하여 퇴적되어서도 안된다.
수분사 직기용사의 풀먹임에서는 직기 위의 셰드 오프닝(shed opening)이 매우 작고 전자제어가 매우 정교하기 때문에 해연사가 분출구로 이송되거나 또는 전자제어유니트내에서의 정지상태로 가려는 경향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중합체 사이즈물질은 광범위한 영역의 소수성사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동시에 우수한 내수성을 도모하기 위한 극단적인 건조조건 또한 요하지 않는다.
매우 소수성임에도 불구하고, 본 중합체는 약알칼리성 세척제로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상의 셔틀직기, 비셔틀직기 또는 수분사직기에서 직조될 소수성사에 대해 매우 우수한 사이즈(size)인 것이다. 더구나 본 중합체는 필름형태에서는 비점성적이고, 라텍스 에멀젼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희석이 용이하며, 내수성의 비점성적인 폴리머에 대한 통상의 조건에서도 쉽게 건조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일종의 라텍스를 소수성사에 적용하고 처리된 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라텍스는 산성으로서 평균 분자량이 약 300,000내지 2,500,000인 자유라디칼개시 비닐 공중합체 라텍스이다. 본 중합체는 건조된 필름형태에서 소수성이며 낮은 pH, 즉, 2-5, 바람직하게는 7까지에서는 수용액에 분산되지 않으나 알카리수성매체에서는 재분산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중합체는 평균부피용해도 파라미터(volume average solubility parameter, s. p.)가 약 9.0-9.5이며, 약 8-14%가 에틸렌계 불포화산으로 구성된 단량체들의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라텍스는 다음에서 알려진 통상의 에멀젼 중합공정에 따라서 약 30-60%고체함량 수준으로 제조된다.
Emulsion Polymerization(D. C. Blackley: Wiley, 1975 및 S. A. Bovey: Interscience Publishers, 1965), Applications of Synthetic Resin Emulsions(H. Warson: E. Benn, Ltd., 1972) Emulsion Polymerization of Acrylic Monomers(Rohm and Haas Co. Bulletin CM104A/cf)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교차쇄나 분지점이 없는 직선형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구현에 있어서, 본 중합체는 약 45-65wt%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28-45wt%의 스티렌 및/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14wt%의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으로 구성된 단량체들로부터 제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60wt%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약 28-40wt%의 스티렌, 10-13wt%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구성된 단량체들로부터 제조된다. 중합체는 약 300,000-2,500,000, 바람직하게는 500,000-2,000,000, 가장바람직하게는 약 600,000-1,500,000의 평균분자량을 갖는다.
중합체 라텍스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66, 나일론 6과 같은 나일론등의 소수성사 위에 필름을 형성한다. 이 필름은 접착성과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서 직기와의 마찰운동및 습기(심지어는 100%에서까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단단하고 질긴 보호성 필름을 제공하여 준다. 이 필름은 묽은 알카리성 수용액과 함께 세척함에 의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소수성사는 물에 담그거나 또는 고습도에 방치하였을때 거의 물을 흡수하지 않는 성질을 가진 섬유를 의미한다. 소수성은 섬유의 성분에 상응하는 중합체필름의 흡수정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고정된 상대습도의 기권에 있는 탈수 섬유의 흡습정도를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그러한 것에 대한 데이타는 다음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Handbook of Common Polymers(J. R. Scott & W. J. Roff, et al: CRC Press, Cleveland, Ohio, 1971), Chemistry of Pulp & Paper Making(E. Sutermeister: John Wiley & Sons, New York, 1941) Textile World(McGrow-Hill Publications, Atlanta, Georgia).
다음의 도표는 1978년 8월호 Textile World의 51페이지 이하의 1978 Textile World Made Fibers Chart에서 발췌한 것이다.
Figure kpo00005
소수성 섬유란 흡습도가 약 5%이하, 바람직하게는 0.1-4.5%, 가장 바람직하게는 0.2-3인 섬유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소수성사는 바람직하게는 약 50%이상 그러한 소수성섬유로 구성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의 100%소수성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나일론 섬유 1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직물에 적용될 공중합체의 양은 목적에 따라 다르나 소수성사의 약 1-20wt%에 해당한다. 라텍스는 분무(spray), 침지(dipping), 패딩(padding), 사이징로울(sizing rolls), 이송로울(transfer rolls)등에 의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전체가 통상의 슬래셔(slasher)를 통하여 통과될 수도 있고 또는 소수성 사가 단일면 사이저(single end sizer)내에서 개별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라텍스는 수성 시스템으로서 약1-25wt%의 고체농도를 갖는다. 소수성사는 스퀴즈 로울(squeeze rolls) 또는 와이퍼(wiper)에 의하여 처리된후 건조된다. 건조는 약 70-120℃에서 행하여진다. 수성라텍스는 상온에서 적용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80℃까지에 걸쳐 적용될 수도 있다.
방적사의 비꼬임 풀먹임(warp sizing)에 있어서는 사의 약 5-15wt%정도의 비율로 중합체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사 직기용풀먹임을 포함한 연속필라멘트사의 풀먹임의 경우에는 약 1-10wt%의 중합체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 낮은 데니어의 저가연사(low twist yarn)에 대해서는 더 많은 양의 사이즈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사의 성질을 조절하거나 또는 그들이 직조공정에 순응하도록 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계면활성제, 술폰화된 오일이나 분산성 왁스와 같은 수분산성윤활제, 팽창제 또는 가소제등과 같은 보조제들이 본 라텍스에 연합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이즈물질을 적용하고 건조시킨 다음 얻어지는 물품은 근본적으로 정전기 발생의 결점이 없으며 또한 가이드로의 이송이나 쉐딩(shedding)등으로 인하여 사이즈물질이 손질되는 일이없다. 게다가 본 사이즈 물질들은 그들의 뛰어난 소수성, 소수성섬유들에 대한 높은 친화성 및 산매개체에 대한 불용성에도 불구하고 수성 알카리매개체 세척에 의하여 쉽게 제거된다. 심지어는 0.15%소다수와 같은 약알카리성 세척액에 의해서도 완전한 제거가 이루어진다. 그러한 약 알카리성 용액은 약 11 정도의 pH를 갖는다.
여러가지 테스트들이 폴리에스테르사를 풀먹임(sizing)하는데 사용되는 중합체 라텍스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샌드 텀블 테스트(Sand Tumble Test)
소수성사 뭉치가 직기와의 마찰에 대해 얼마나 잘 저항하는 가를 기준삼아 소수성사에 대한 중합체의 접착성을 측정평가하는 테스트이다. 건조한 조건하에서의 테스트는 표준직기(standard looms)에서의 수행에 관한 것이고, 습한 조건하에서의 테스트는 수분사직기에서의 수행에 관한 것이다. 50이면 받아들여질 만한 값이고, 바람직한 값은 75이상, 가장 바람직한 값은 100이다.
밀라(Mylar
Figure kpo00006
)에 대한 접착성테스트
밀라(Mylar)가 폴리에스테르 물질이기 때문에 특히 폴리에스테르 기질에 대한 접착성의 평가에 유용하다.
다음 두가지 테스트가 사용된다.
(1) 크린클 테스트(Crinkle Test)
로울러나 또는 가이드로 넘어가는 사
Figure kpo00007
를 가정한, 즉 구부림 조건하에서 기질로부터 중합체가 벗겨져 나가는 정도를 측정하는 테스트이다. 그러한 조건하에서의 벗겨짐은 사에 약한 부분을 초래하여 결과 직기에 적용하였을때 사가 파괴되는 것을 유발한다.
(2) 스크레이프테스트(Scrape Test)
직기의 드롭와이어 또는 리드에서의 작용을 가정하여 필름의 질김정도를 평가하는 테스트이다.
내수성 테스트(Water Resistance Test)
수분사직기에서의 우수한 수행에 필요한 성질의 하나인 내수성을 측정하는 테스트이다. 낮은 내수성은 약한 필름을 유도하는 높은 팽창을 나타낸다. 이경우 약하게 풀먹임처리될 사가 산출된다.
흡습도 테스트(Moisture Regain Measure)
95%의 상대습도에서 행하여진다. 이것은 맑고 건조한 날에서 습한날로 변화하는 것과 같은 환경의 변화에 대한 풀먹임 처리사의 안정성에 관한 테스트이다.
점성 테스트(Tack Test)
풀먹임되어 건조된 방사가 따뜻한 동안에는 비임(beam)에서 권취되고 그후에는 고착됨이 없이 비임으로부터 풀리워지는 정도를 평가하는 테스트이다.
사이즈 제거성
풀먹임처리된 사로부터 사이즈가 제거되는 성질에 대한 평가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직경이 약 0.07-0.25미크론, 바람직하게는 0.10-0.18미크론, 가장바람직하게는 0.02-0.14미크론인 입자들이 분산된 라텍스 형태로서 소수성사에 적용된다. 이들 고소수성 라텍스 중합체는 산성 pH에서 적용되고 알카리성 pH에서 세척되므로 용액성 중합체보다 사이즈물질로서 더욱 강력한 것이다.
용액성 중합체는 수용액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중성화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매우 흡습성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고 소수성 라텍스 중합체보다 산성 pH에서 매우 약한 것이다. 만약 용액성 중합체를 더욱 소수성으로 하려고 한다면 세척에 매우 곤란함이 뒤따르게 된다. 본 라텍스 중합체의 또 다른 장점은 건조조건이 그다지 어려운 것이 아니므로 에너지 절감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으로서,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경우 앞서의 구현에서와 동일한 산함량 및 동일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타콘산과 같은 다른 α-, β-에틸렌계 불포화산이 사용될 수 있다. 산 함량은 8-14%, 바람직하게는 10-13%정도이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한 유리전이온도(Tg), 산정된 중합체의 평균분자량 및 s. p. 가 앞서의 구현에서 표시한 조성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다른것들로 대체될 수 있다.
Polymer Handbook (2판, John Wiley & Sons, New York, 1975)의 4절 15부페이지 Ⅳ 337-339의 에이취, 버렐저 “용해도 파라미터수치(Solubility Parameter Values)”에 s. p. 에 대한 정의와 그것을 산정하는 방법은 물론 여러 s. p. 에 대한 도표 및 참고문헌들이 나와있다.
그곳에서보면 s. p. (수치는(cal./cc.)1/2의 단위를 갖는다. 즉, s. p. 는 응집에너지밀도의 제곱근이다. 버렐(Burrell)은 실험적으로 결정된 물리적상수들로부터 s. p. 를 계산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기술하였다.
그중 두 가지 방법은 분자의 구조식으로부터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구조식 방법은 실험적인 물리상수들이 소용없거나 또는 신빙성이 없는 경우에 통상 사용된다. 구조식으로 부터의 계산에는 통상 페이지 Ⅳ339에 주어진 것과 같은 그룹몰러어트랙션 상수들의 도표를 이용한다. 스멀(Small)의 도표가 바람직하다.
단량체의 용해도 파라미터도표들이 유용한데, 중합체 s. p. 를 그의 중합체 사용된 단량체들의 s. p. 의 합으로서 표현하는 것은 편리한 것이다. 혼합물의 s. p.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 p. (혼합물)=Vi(s. p. )i
여기서 i는 혼합물의 각성분이고, Vi는 각성분들의 부피비(volume fraction)를 가리킨다.
(참고문헌 :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3, John Miley, 1965, page 856 by Scott and Magatt) 각 성분의 부피비는 단량체 혼합물의 각성분의 중량비 및 밀도로부터 산출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에 사용되는 단량체들의 s.p. 범위는 약 9.0-9.5, 바람직하게는 약 9.1-9.4이다.
중합체의 계산된 Tg값은 공중합체내의 각각의 단량체의 단중합체들의 Tg에 기초를 둔 티. 지. 헉스의 식(Bull. Am. Phyics Soc. 1, 3, 123 p.p., 1956)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중합체들의 Tg에 대한 도표들은 “Polymer Handbook”(sec. Ⅲ, part Ⅱ, W.A. Lee & R.A. Rutherford)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들은 약 -20℃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0내지 10℃의 Tg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에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들은 비닐톨루엔이나 α-메틸스티렌과같은 비닐방향족탄화수소;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C1-C8)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나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C2-C4)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등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닐 중합체는 약 40-60wt%의 고체함량을 갖는 에멀젼 중합체의 수성분산액으로서 제조된다. 단량체들은 알킬(C2-C18)아크릴레이트, 알킬(C2-C18)메타크릴레이트, 비닐방향족화합물, 비닐할라이드, 비닐리덴할라이드, 포화카르복시산의 비닐에스테르, 중합가능한 다른 에틸렌계 모노-및-디카르복시산과 그들의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 크릴로니트릴 및 α-올레핀등이다. 상기 알킬기(C2-C18)로서 유용한 것들은 메틸, 에틸, n-부틸, i-부틸, sec-부틸, t-부틸, 여러가지 펜틸이성체, 헥실, 헵틸, 옥틸(특히 2-에틸헥실), 이소보닐, 데실,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등과 같은 것이다. 유용한 비닐 방향족화합물은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등과 같은 스티렌유도체들이다.
유용한 포화카르복시산의 비닐에스테르는 비닐아세테이트나 비닐프로피오네이트등이며, 중합가능한 에틸렌계 모노-및 디카르복시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및 크로톤산등이고, α-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등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라 풀먹임처리된 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들에 대한 여러가지 테스트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특별히 지시되지 않는한 온도는 섭씨이고 부(part)나 퍼센트는 모두 중량비(wt%)이다.
풀먹임처리된 사(sized yarn)의 제조
pH2.0-2.5 또는 약 4-5에서, 8%의 수지고체함량을 갖도록 라텍스를 물로 희석시킨다.
이 라텍스를 실온에서 실험실용 사이즈 단면 슬래셔(Size single end slasher)로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필라멘트사에 적용시킨다. 슬래셔는 두개의 압착기를 갖고 있으며, 금속드럼 및 두개의 테프론 피복처리된 드럼들을 갖춘 침지욕조(immersion bath)로 구성된다. 첫번째 압착기(squeez)는 금속드럼과 첫번째의 테프론 피복처리된 드럼사이에 위치하고, 두번째 압착기는 두개의 테프론 피복처리된 드럼들사이에 위치한다.
슬래셔는 4M/min의 속도로 가동되며 풀먹임 처리된 사는 115℃에서 15초간 건조된다. 풀먹임처리 된 사는 테스트하기전에 21℃, 60% R. H. 에서 1일간 방치한다.
필름제조(Film preparation)
라텍스를 필요한 고체함량을 갖게끔 물로 희석시켜서 20mil필름을 제조한다. 희석된 라텍스를 먼지가 없는 수평면에 놓여진 폴리프로필렌 배양접시(culture dish)에 붓고 4일간 공기건조시켜서 깨끗한 필름을 제조한다. 물(54℃)로 희석하여 얻은 15%고체함량 라텍스를 2mil밀라종이(Mylar sheet)에 적용시켜 더 얇은 필름(약 (0.2mil)을 얻는다. 필름들은 밤새 실온에서 건조시킨후 110℃오븐에서 1분간 더 건조시킨다.
(테스트 방법들)
샌드 텀블 접착성 테스트
풀먹임 처리된 사를 실험실용 샌드 텀블 테스트를 사용하여 습성 및 건성접착성에 대하여 평가한다.
건성테스트-2중의 3yd. skeins의 풀먹임 처리된 사를 150g의 거친 모래를 포함하고 있는 8온스용기에 넣고 Atlas Launder ometer
Figure kpo00008
로 30분간 회전시킨다. 꺼내어 손상되지 않고 남아있는 사의 %를 측정한다.
습성테스트-용기에 150g의 물과 50g의 모래를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의 건성테스트와 동일하게 행한다.
밀라(Mylar
Figure kpo00009
)에의 접착성테스트
얇은 필름의 접착성은 다음 두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다.
스크레이프 테스트-필름을 면도날로 긁어서 폴리에스테르시이트로부터 중합체필름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긁음 횟수를 측정하여 평가.
평가분류 : 1-2는 나뿜, 3-4는 보통, 5는 좋음, 6이상은 매우좋음.
크린클 테스트-폴리에스테르시이트(Mylar)에의 필름의 접착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이트를 손으로 우그러트리고 다시 평평하게 한 후 시이트로부터 필름이 떨어져나간 정도를 측정.
평가 : 변화없음-매우좋음, 약간의 필름이 균열되고 떨어짐-좋음.
내수성테스트
1평방 인치의 중합체필름 및 밀라필름을 물(30℃)속에 30분간 넣어 둔후 투명도, 질김, 점착성및 사이즈에 대한 변화를 측정평가한다.
평가분류 : 부풀어오르고 질김성이 떨어짐-보통, 부풀어오름-좋음, 변화없음-매우좋음.
흡습성테스트
전술한 바와같이 일정한 습도의 실내에서에서 95%RH에서 행하여 측정함.
점성(Tack)테스트
중합체의 점성은 밀라(Mylar)에 필름을 형성시킨직후 110℃에서 1분간 건조시키고 평가한다. 여기서는 두개의 필름을 중첩 압축시킨 후 분리함에 의하여 점성을 측정평가한다.
사이즈의 제거성 테스트
이 성질은 필름의 알카리용해도와 풀먹임처리된 사의 실질세척의 두가지 방법에 의하여 평가된다.
필름의 알카리 용해도-20mil필름 3/4평방인치를 70℃의 1% Na2CO3용액에 넣고서 20분을 한도로하여 완전 용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사로부터의 제거성-풀먹임처리된 사를 1%Na2CO3및 0.1%계면 활성제(Triton-X-100)용액속에서 약간 교반하면서 30분간 70-74℃로 세척한다. 사를 5분간 따뜻한 물(54℃)로 씻어내고 이어 찬물로 헹구어낸다.
제거성의 정도는 세척되어 조절된 사를 Basic Red #14로 염색하여 염색되는 정도에 의하여 결정한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약호의 설명이다.
Figure kpo00010
[실시예 1]
아크릴산 12% 함유공중합체
다음 도표 Ⅰ에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샘플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들 및 처리된 사들의 테스트 결과가 있다.
사이즈로 처리된 사들은 밀리켄(Milliken)직조 폴리에스테르사(Saluda 373, 70 denier, 33 filament, 1twist)이다. 테스트결과에서 보듯이 약 45-50.50%의 부틸아크릴레이트함량을 갖는 샘플들은 통상의 물질들(1D, 1E)과 비교시 더욱 적당한 사이즈 공중합체임이 밝혀졌다. 모든 샘플들은 점성(tack)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다만 1D만이 고온에서 약간의 점성을 나타낼 뿐이다. 실시예 1A의 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약 1,200,000-1,300,000이었다.
[도표 Ⅰ]
Figure kpo00011
(비고)
1-20분후에도 약간의 필름이 남아있음.
2-라텍스입자직경 : 실시예 1A는 0.10μ이고 1B는 0.21μ임.
3-pH 6에서 8%고용체로서 적용
4-pH 8에서 8%고용체로서 적용
5-단위는(칼로리/㎤)
Figure kpo00012
임.
[실시예 2]
메타크릴산 12%함유 공중합체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사를 사용하였다. 55-60%의 부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크릴산 함유중합체가 시험평가되어 다음 도표에 결과가 나와있다. 한가지 부가적인 관찰점은 메타크릴산 샘플들이 아크릴산 샘플들보다 덜 거품을 생산한다는 것이다. 모든 샘플들은 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2C의 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약 600,000-700,000이었다.
[도표 Ⅱ]
Figure kpo00013
(비고)
1-실시예 2A에서의 라텍스 입자직경은 0.08미크론이고 실시예 2C에서는 0.13미크론임.
[실시예 3-여러가지 조성물]
도표 Ⅲ에 나와있는 여러가지 조성물들이 필름과 사이즈로 처리된 사를 마련하는데 사용되었다.
도표 Ⅲ에 있는 결과는 다음 사실들을 말해준다.
에틸 아크릴레이트에 기초를둔 중합체(3C)는 낮은 접착력(샌드 텀블 및 밀라에 대한 테스트양자모두)과 높은 흡습도를 가져서 밀라위의 박판 필름의 내수성에 대한 시험을 했을때 눅눅한 필름을 형성한다.
공중합체중에 4%의 산을 함유하는 3D는 불용성필름 및 불완전한 필름제거성을 보여주며 내수성테스트에서도 약간 눅눅한 필름을 보여준다. 공중합체중에 16%의 산을 함유하는 3D는 세척에 의한 불완전한 필름 제거성을 나타내며, 내수성 역시 20mil필름이나 박판필름양자에 있어서 모두 한계를 드러낸다.
한편 점성 테스트에서는, 3C는 더운 경우에만 약간의 점성을 나타냈고 3D는 상온에서도 약간의 점성을 보여주었다.
[도표 Ⅲ]
Figure kpo00014
(비고) 실시예 3C에서의 라텍스는 pH7.5의 암모니아로 중화된 용액으로서 사용되었다.
[실시예 4]
다른 단량체의 사용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사에 대하여 여러가지 다른 단량체로 제조된 중합체들을 사용한 결과가 도표 Ⅳ에 나와있다. 비록 조성물 4A가 약간 덜하기는 하나 모든 실시예의 조성물들이 수분사직기에 사용하기에 적당함을 알 수 있다.
[도표 Ⅳ]
Figure kpo00015
(비고)
1-실시예 4D는 앞서 실시예 2C의 라텍스와 동일한 것임.
2-본테스트중의 습도는 100%였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95% R. H. 테스트보다 결과가 좀 높게 나왔다.
[실시예 5]
나일론사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사 대신에 나일론사(Dupont 70 denier, 34 filament, 0 twist)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과정등을 실시하였다. 하기도표 Ⅴ에 있는 결과들은 4D의 중합체가 통상의 물질들보다 훨씬 유용한 것임을 보여준다.
사용된 나일론은 70-34-R25 295 M. D. pirn 13073이다.
[도표 Ⅴ]
Figure kpo00016
1-실온에서 건조에 의하여 필름을 형성하지 아니함.
2-산함량이 XD-8959.00은 12%, BY-4는 23%임.
약간의 불명한 물질이 포함되어있음.
3-폴리에스테르사와 동일조건하에서 사이즈처리된 나일론사-8%용액.
[실시예 6]
다른 조성물들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다른 조성물의 중합체 라텍스들로부터 필름을 형성하고,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사에 적용하였을때 받아들여질만한 건성및 습성접착성, 필름의 내수성, 흡습도, 점성, 용해도및 사로부터의 제거성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이들 중합체 조성물, 그들의 Tg계산치 및 용해도 파라미터수치가 도표 Ⅵ에 기술되어 있다.
[도표 Ⅵ]
Figure kpo00017

Claims (13)

  1. (정정) 건조된 필름상태에서 소수성이고, 낮은 pH의 수용액에서는 재분산되지 않으나 알카리 수성매체에서는 재분산 가능하며, 평균분자량이 300,000내지 2,500,000인 자유라디칼 비닐 공중합체의 산성 pH라텍스로 소수성사를 처리하고 이어 사를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사의 풀먹임(sizing)방법. 여기서, 상기 중합체는 약 9.0-9.5의 용해도 파라미터 및 약-20내지 20℃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단량체들의 중합체로서 8-14wt%의 α, β-에틸렌계불포화산을 포함하는 것임.
  2. (정정)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이고, 중합체는 부틸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단량체들의 중합체임을 특징으로하는, 소수성사의 풀먹임방법.
  3. (정정)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단량체들이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소수성 사의 풀먹임방법.
  4. (정정)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소수성 사가 폴리에스테르인, 소수성사의 풀먹임방법.
  5. (정정)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소수성 사가 나일론인, 소수성사의 풀먹임방법.
  6. (정정)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단량체들이 근본적으로 50-60%의 부틸아크릴레이트, 28-40%의 스티렌 및 10-13%의 아크릴산으로 구성되는 것인 소수성 사의 풀먹임방법.
  7. (정정)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단량체들이 근본적으로 50-60%의 부틸아크릴레이트, 28-40%의 스티렌 및 10-13%의 아크릴산으로 구성되는 것인, 소수성 사의 풀먹임방법.
  8. (정정) 청구범위 제4 또는 6항의 방법에 의하여 산출되는, 풀먹임 처리된 폴리에스테르사.
  9. (정정) 청구범위 제5 또는 7항의 방법에 의하여 산출되는, 풀먹임 처리된 나일론사.
  10. (정정) 청구범위 제4, 5, 6 또는 7항의 방법에 의해 처리된 소수성 사를 직물로서 직조하고 그로부터 비닐 중합체를 알카리 수용액으로 세척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수성사의 직조(weaving)방법.
  11. (정정) 청구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직조(weaving)가 수분사직기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직조방법.
  12. (정정) 청구범위 제10항의 방법에 의해 직조된 직물.
  13. (정정) 청구범위 제11항의 방법에 의해 직조된 직물.
KR1019810004643A 1981-11-30 1981-11-30 소수성 사의 풀먹임 방법 KR85000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643A KR850001407B1 (ko) 1981-11-30 1981-11-30 소수성 사의 풀먹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643A KR850001407B1 (ko) 1981-11-30 1981-11-30 소수성 사의 풀먹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32A KR830007932A (ko) 1983-11-09
KR850001407B1 true KR850001407B1 (ko) 1985-09-30

Family

ID=1922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643A KR850001407B1 (ko) 1981-11-30 1981-11-30 소수성 사의 풀먹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4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32A (ko) 198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2825A (en) Alkali metal salts of ethylene-acrylic acid interpolymers
US5234720A (en) Process of preparing lubricant-impregnated fibers
US4448839A (en) Method of sizing hydrophobic yarn
US2838455A (en) Textiles and conditioning compositions therefor
US4222922A (en) Warp size for filament yarn consisting essentially of polyvinyl alcohol having a degree of hydrolysis of 88-100%, quaternary ammonium surfactant and plasticizer
DE2707150C2 (de) Verfahren zum Schlichten von Textilfasern
US4640946A (en) Polyvinyl alcohol based wax-free size composition
US3885911A (en) Textile material with soil release
KR850001407B1 (ko) 소수성 사의 풀먹임 방법
EP0060819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having soil-release properties, particularly forming fabrics used in papermaking machines and cellulose machines, and filter cloths used in the papermaking and cellulose industries and related industries
US4394128A (en) Method of sizing polyester yarn
US4248755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sizing textiles
US4329389A (en) Polyester textile materials having improved durable soil release characteristic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0173528B1 (en) Polyvinyl alcohol based wax-free size composition
EP0052949A2 (en) A method of sizing hydrophobic yarns, and sizing compositions for use in water jet looms
DE2441277C3 (de) Verfahren zum Schlichten von Cellulosefasern enthaltenden Garnen
US2909447A (en) Process of treating textile yarns
US2845689A (en) Warp size containing dicyandiamide and a polyacrylate salt
US2697672A (en) Casein-copolymeric styrene-maleic anhydride type compositions for and method of sizing textile warp yarns
US4033922A (en) Synthetic sizes
US3728299A (en) Textile sizing solution comprising an interpolymer of a hydrophobic monomer and an unsaturated organic carboxylic monomer and a halogenated hydrocarbon solvent
US4189416A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of a mixed salt of an interpolymer of styrene/maleic anhydride/vinyl acetate
US3974321A (en) Yarn sizing process and product
JPS61201079A (ja) 経糸糊剤
US3585070A (en) Method for sizing text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