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038Y1 -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038Y1
KR850001038Y1 KR2019830011273U KR830011273U KR850001038Y1 KR 850001038 Y1 KR850001038 Y1 KR 850001038Y1 KR 2019830011273 U KR2019830011273 U KR 2019830011273U KR 830011273 U KR830011273 U KR 830011273U KR 850001038 Y1 KR850001038 Y1 KR 850001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turned
power switch
capacito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11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0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는 본 고안의 각 부분의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Q3: 트랜지스터 D1, D2: 다이오드
C2, C3: 콘덴서 R1, R2, R4, R7: 저항
본 고안은 음향기기에서 전원스위치를 온(ON), 오프(OFF)할때 발생하는 충격음이 스피커로 나오지 않토록한 충격음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음향기기에서 전원스위치를 ON, OFF 할때에는 스피커로 충격음(POP-NOISE)이 나오는데, 이는 음향기기 회로의 과도응답 상태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음이 증폭되어 스피커로 나오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었을 뿐아니라 스피커도 전기적 충격음을 받아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향기기의 출력측에 릴레이를 부가하거나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것이 있으나, 릴레이를 부가한 것은 릴레이 접점이 쉽게 마모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또 고가이며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것은 전원스위치 OFF 시에 발생하는 충격음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여 스피커로 나오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전원부의 트랜스 2차측과 증폭기의 출력 사이에 잡음 제거회로를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서, 전원스위치 ON, OFF 하는 순간부터 일정한 시간동안은 증폭기의 출력을 접지시켜서 충격음을 제거하여 스피커로는 충격음이 전혀 나오지 못하게 한 다음 순수한 오디오 신호만 나오게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별첨 제1도와 같이, 트랜스(T1)의 2차측에서 다이오드(D1)와 저항(R1)을 통해 접지되고,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에서 다이오드(D2)와 병렬 접속된 저항(R2)을 통해 콘덴서(C2)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콘덴서(C3)에 연결된 동시에 저항(R4)을 지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저항(R7)을 통해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콜렉터는 증폭기(3)의 출력(OUT)에 연결하여서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ACV : 전원, SW1: 전원스위치, T1: 트랜스, IN : 증폭기 입력, D3~D6: 다이오드, C1: 콘덴서, 2 : 정전압회로, R3, R5, R6, R8: 저항, B+ :정전압회로(2)의 출력으로서 음향기기의 전원, 1 : 정류부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별첨 제1도와 같이, 전원스위치(SW1)를 ON 하면 트랜스(T1)의 2차측에 발생된 교류 전압이 정류부(1)에서 정류되어 콘덴서(C1)에 충전되기 시작하며, 또한 트랜스(T1)의 2차측에 발생된 교류 전압은 다이오드(D1)로 정류되어 저항(R2)을 통해 콘덴서(C2)에 충전도기 시작한다.
이때 콘덴서(C2)는 극히 적은 용량이며, 따라서 콘덴서(C2)×저항(R2)으로 되는 충전 시정수는 대단히 짧게 되므로 전원스위치(SW1)를 ON한 직후에 콘덴서(C2)는 급격히 충전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위는 하이(H)레벨이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1)는 OFF 되며, 콘덴서(C1)는 제2a도와 같이 전원스위치(SW1)를 ON한 시간(t0)부터 충전을 시작하여 시간(t1)이 되면 충전을 완료하게 되고, 이 충전 전압은 정전압회로(1)를 거쳐서 음향기기의 전원(B+)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저항(R3)을 통해콘덴서(C3)에 충전된다. 콘덴서(C3)에 충전되는 전압은 제2b도와 같이 점차 증가하게 되는데, 이 전압은 저항(R4, R5)으로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2)의 레이스에 가해지므로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2)를 ON 시킬수 있는 전압(VTH)에 도달하는 순간(t1) 트랜지스터(Q2)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위는 제2c도와 같이 전원스위치(SW1)를 ON한 순간(t0)부터 점차 증가했다가 시간(t1)에서 0 볼트로 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압은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Q3)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위가 하이(H) 레벨인 시간(t0-t1) 동안은 ON 되어 있게 되어 증폭기(3)의 출력(OUT)은 전원스위치(SW1)를 ON한 순간(t0)부터 트랜지스터(Q3)가 OFF되는 시간(t1)까지 접지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전원스위치(SW1)를 ON 했을 때 발생하는 충격음은 스피커로 나오지 못하게 되며 트랜지스터(Q3)가 OFF되는 시간(t1) 이후부터는 증폭기(3)의 입력(IN)에 들어오는 신호가 증폭되어 정상적으로 출력(OUT)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동작하다 가전원스위치(SW1)를 OFF하게 되면, 전원스위치(SW1)를 OFF하는 순간(t2) 다이오드(D1)로 흐르던 교류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므로 콘덴서(C2)에 충전되었던 전하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저항(R1)으로 급격히 방전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위는 로(L) 레벨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가 ON 되어 에미터는 접지되므로 콘덴서(C3)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제2b도와 같이 전원스위치(SW1)를 OFF 한 시간(t2) 직후인 시간(t3)에 트랜지스터(Q1)를 통해 급격히 방전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0 볼트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2)가 OFF 되어 쿨렉터 전위는 제2c도와 같이 시간(t3)에서 하이레벨이 되므로 트랜지스터(Q3)가 ON 되어 증폭기(3)의 출력(OUT)이 접지된다. 즉, 전원스위치(SW1)를 OFF 한 순간에 증폭기(3)의 출력(OUT)이 트랜지스터(Q3)로 접지되어 증폭기(3)의 출력(OUT)에서는 충격음이 출력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콘덴서(C1)에 충전되었던 전하가 완전히 방전하는 시간(t4)보다 약간 빠르게 트랜지스터(Q3)가 OFF 되지만, 이때는 이미 전원(B+)이 OFF된 상태이므로 충격음은 전혀 출력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전원스위치 ON, OFF시 발생하는 충격음이 스피커에 나오지 못하게 한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되는 일이 없을 뿐아니라 스피커의 손상도 방지하게 된 것이다.

Claims (1)

  1. 트랜스(T1)의 2차측에서 다이오드(D1)와 저항(R1)을 통해 접지되고,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에서 다이오드(D2)와 병렬 접속된 저항(R2)을 통해 콘덴서(C2)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콘덴서(C3)에 연결된 동시에 저항(R4)을 지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콜렉터는 증폭기(3)의 출력(OUT)에 연결하여서 된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KR2019830011273U 1983-10-28 1983-10-28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KR850001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273U KR850001038Y1 (ko) 1983-10-28 1983-10-28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273U KR850001038Y1 (ko) 1983-10-28 1983-10-28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038Y1 true KR850001038Y1 (ko) 1985-05-25

Family

ID=1923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1273U KR850001038Y1 (ko) 1983-10-28 1983-10-28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0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230B1 (en)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 battery device
US5712774A (en) Device for suppressing higher harmonic current of power source
KR920009063A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무팅 회로
US4281377A (en) Power supply circuits
KR850001038Y1 (ko)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KR850001037Y1 (ko) 음향기기의 전원스위치 온, 오프시의 충격음 제거회로
KR860000177Y1 (ko) 무신호시의 소비전원 절감회로
KR970077033A (ko) Crt 보호 장치
KR940006927Y1 (ko) 오디오에서의 뮤팅회로
KR860001059Y1 (ko) 음향기기의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거회로
GB2136233A (en) Circuit for sensing the status of a voltage input over a wide range of voltage levels and waveforms
JPH10327021A (ja) 増幅器用電圧供給回路
KR890006238Y1 (ko) 뮤팅 신호 발생 회로
SU167579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напр жени
KR920005100Y1 (ko)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KR920003806Y1 (ko) 음향기기에서의 뮤팅 및 볼륨 자동 조절회로
KR850001777Y1 (ko) 음행기기의 보호회로
JPH02219417A (ja) 過電圧保護回路
KR890001596B1 (ko) 진동감지용 전자 릴레이 회로
KR850002021Y1 (ko) 전원 투입시 또는 스피이커 단락시의 뮤우팅회로
KR940002970B1 (ko) 쇼크음 방지회로
KR820000206B1 (ko) 피펄스폭 변조신호 증폭장치의 보호장치
JPH01186164A (ja) 昇圧回路
JP2696847B2 (ja) 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S62163564A (ja) 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