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55Y1 -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55Y1
KR850000855Y1 KR2019840011260U KR840011260U KR850000855Y1 KR 850000855 Y1 KR850000855 Y1 KR 850000855Y1 KR 2019840011260 U KR2019840011260 U KR 2019840011260U KR 840011260 U KR840011260 U KR 840011260U KR 850000855 Y1 KR850000855 Y1 KR 850000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case
recording medium
shaped recording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1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사이또
오사무 다지마
마사후미 모찌쯔끼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0066678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38133Y2/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11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28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the disc having to be extracted from the cartridge for recording reproducing, e.g. cooperating with an extractable t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9Insertion of discs having to be extracted from the cartridge prior to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의 제1실시예로서, 덮개가 케이스본체내에서 이탈된 상태에서의 일부절단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케이스와 협동하는 재생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중 덮개의 록크암 및 이것과 협동하는 록크해제부재를 대응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록크암이 록크해제부재에 계지 안내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중 V-V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의 제2실시예로서, 록크암이 록크해제부재에게 지안내된 상태를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중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본 고안은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판형 기록매체가 수납된 케이스 본체와 이 개구부를 폐쇄하여 이것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있어서, 덮개의 록크암과 록크해제 부재의 결합을 안정하게 유지하여 원판형 기록매체를 케이스 내에서 회수하는 조작을 지장없이 행하도록 구성한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인은 이미 원판형 기록매체가 수납된 케이스 본체와 이것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이 개구부를 폐쇄한 덮개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특허원 제55-11278호 원판형 정보기록매체용 카트릿지로 출원하였다.
상기 카트릿지에서는 케이스를 재생장치내에 삽입하고 그 후 인출조작에 의해 덮개를 재생장치내에 걸어 나머지 원판형 기록매체를 재생장치내에 장착하는 구성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덮개의 록크암과 장치측의 록크해제부재는 같은 평면에서 접촉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작용하면 록크암의 높이가 벗어나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록크암이 록크해제부 재로부터 벗어날 염려가 있다. 록크암의 록크해제부재에 대한 위치가 변하면 빈 케이스의 삽입이 록크암에 의해 도중에 제한되어 기록매체가 회수되지 않는등의 불편이 생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판형 기록매체수납케이스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와 협동하는 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원판형 기록매체(이하 디스크라고 함) 수납 케이스(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가이, 디스크(2)를 수납하는 평평한 케이스본체(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4)를 폐쇄한 덮개(5)로 이루어진다. 케케스 본체(3)는 한쌍의 케이스본체(6a,6a)를 조합시켜 구성한 것으로, 개구부(4)측의 좌·우 내측면에 凹부(7a, 7b)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5)는 본체부(8)의 좌·우측에 록크암(9a, 9b)을 형성하고 있다. 각 로크암(9a, 9b)은 화살표 X2방향측을 기부로 하여 화살표 X1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측은 화살표 Y1, Y2방향으로 탄성변우된다. 또 각 록크암(9a, 9b)의 외측 측면에는 凸부(9a-1, 9b-1) 및 본 고안의 요부인 홈(9a-2, 9b-2)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5)는 본체부(8)가 개구부(4) 내로 들어가고 , 凸부(9a-1, 9b-1)는 각각 凹부(7a, 7b)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케이스본체(3)에 결합된다. 디스크 재생장치(1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3)의 개구부(4)를 확대개방시키는 기구(11), 디스크(2)의 외주그룹 가이드(2a)를 그램프하는 기구(12)및 덮개(5)를 거는 기구(13)등을 갖는다.
디스크를 재생할 때, 디스크(2)는 재생장치(10) 내의 턴테이블(14) 위에 장착된다. 디스크장착은 조작자가 케이스(1)를 덮개축으로부터 개구(15)를 통하여 재생장치(10) 내에 심부까지 삽입한 후 이것을 인출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케이스(1)는 케이스본체(3)의 개구축을 기구(11)에 의해 확대개방시킨 상태에서, 케이스본체(3)의 좌·우단을 슬라이더(16a, 16b)에 지지하고 가이드레일(17a, 17b)을 따라 삽입한다. 케이스(1)를 재생장치(10)의 심부까지 삽입한 후, 덮개(5)를 케이스본체(3)에 대한 결합을 해제하고(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함) L자형 절결(8a, 8b)을 덮개걸이기구(13)에 걸면, 디스크(2)의 외주그룹가이드(2a)가 크램프기구(12)에 의해 크램프되고 케이스본체(3) 만이 화살표 X2방향으로 인출된다. 덮개(5)는 재생장치내에 남고, 디스크(2)는 케이스변체(3)로부터 상대적으로 빠져나온다. 케이스본체(3)가 장치외로 인출된 단계에서, 디스크(2)는 외부그룹가이드(2a)를 크램프기구(12)에 크램프하고, 또 중심구멍(2b)을 상승위치에 있는 지지링(18)으로 지지하여 턴테이블(14)의 상측위치에 지지한다. 이후, 플레이 조작에 의해 크램프기구(12)가 크램프를 해제하고 지지링(18)이 하강하여, 디스크(2)는 턴테이블(14) 위에 배치되고 또 중앙구멍부분을 크램프하여 장착된다. 디스크(2)는 모터(19)에 의해 턴테이블(14)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픽업기구(20)에 의해 재생된다.
그리고, 덮개(5)의 케이스본체(3)에 대한 결합을 해제하는 기구 및 해제상태에 대해서는 제3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21a, 21b는 록크해제부재로서 재생장치(10)의 심부의 좌·우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화살표 X2방향으로 돌출하는 완부(21a-1, 21b-1)는 케이스삽입로와 같은 높이이면서 케이스(1)의 좌우단에 대향하는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다. 각 완부(21a-1, 1b-1)의 내측 대향면에는 산 모양으로 된 돌출부(21a-2, 21b-2)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가 재생장치(10)의 심부까지 삽입하면, 록크암(9a, 9b)의 선단 경사부가 각각 완부(21a-1, 21b-1)의 선단에 안내되어 화살표 Y1, Y2방향으로 탄성변위하고, 凸부(9a-1)가 凹부(7a)로부터 빠져 나오며(제4도), 마찬가지로 凸부(9b-1)는 凹부(7b)로부터 빠져나온다. 이 상태에서 홈(9a-2, 9b-2)이 각각 산 모양의 돌출부(21a-2, 21b-2)에 凹凸결합하고, 록크암(9a, 9b)의 높이위치가 규제된다(제4도, 제5도).
따라서 덮개(5)가 걸이기구(13)에 의해 걸린상태에 있어서, 내측으로 구부러진 록크암(9a, 9b)은 홈(9a-2, 9b-2)과 산 모양의 돌출부(21a-2, 21b-2)에 의해 높이위치가 규제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벗어나지 않고 원위치에 안정하게 유지된다.
정지조작을 하면, 디스크(2)는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의 경우와는 반대로 지지링(18)이 상승하여 크램프기구(12)가 동작하며, 디스크(2)는 턴테이블(14)의 상측의 위치에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빈 케이스본체(3)를 장치내에 삽입하고 인출함으로써 디스크(2)는 케이스본체(3) 내에 수납되고, 덮개(5)가 케이스본체(3)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2)는 케이스내에서 회수되어재생장치(10)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덮개(5)의 록크암(9a, 9b)은 정확하게완부(21a-1, 21b-1)에 대향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빈 케이스본체(3)를 재생장치(10)의 심부까지 삽입했을 때 록크암(9a, 9b)이 케이스본체(6a, 6b)에 불필요하게 접촉되지 않고, 디스크회수 동작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원판형기록메체 수납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록크암에 돌출부, 록크해제부재에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덮개(5)가 걸려진 상태에서 록크암(9a)은 돌출부(9a-2')가 록크해제부재(21a)의 완부(21a-1)의 홈(21a-2')에 凹凸 결합한 상태로 상기 완부(21a-1)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똑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록크암과 록크해제부재의 완부중의 한쪽에 핀, 다른쪽에 구멍 또는 凹부를 설치하여 양자가 凹凸 결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는 원판형 기록매체가 수납된 케이스본체와 이것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한 덮개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있어서, 덮개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본체와 결합하는 록크암을 케이스가 재생장치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을 해제하지 않고 록크암을 지지안내하는 록크해제부재와 凹凸 결합하는 구성으로 있기 때문에, 덮개가 케이스본체로부터 이탈하여 이는 상태에 있어서 록크암을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록크암이 록크해제부재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상기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상태가 생기지 않으므로 빈 케이스 본체의 삽입조작을 지장없이 행할 수가 있으며 기록매체를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는등의 특징을 갖는다.

Claims (1)

  1. 원판형 기록매체가 수납된 케이스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록크암을 구비한 덮개로 이루어지고, 원판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삽입되어 역속 인출되는 조작에 의해 덮개가 케이스본체에 대한 결합을 해제시켜서 이탈하고, 이와 거의 동시에 원판형 기록매체도 케이스본체로 부터 상대적으로 인출되어 재생장치내에 장착되는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가 재생장치에 삽입되었을 때 케이스본체(3)에 대한 덮개(5)의 결합을 합제하기 위하여 재생장치 내의 적소에 부착된 록키해제부재(21a, 21b)의 완부(21a-1, 21b-1)와 凹凸결합되도록 록크암(9a, 9b)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KR2019840011260U 1980-05-15 1984-11-08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KR850000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260U KR850000855Y1 (ko) 1980-05-15 1984-11-08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0066678U JPS6138133Y2 (ko) 1980-05-15 1980-05-15
JP55-66678 1980-05-15
KR1019810001580 1981-05-07
KR2019840011260U KR850000855Y1 (ko) 1980-05-15 1984-11-08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580 Division 1980-05-15 1981-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855Y1 true KR850000855Y1 (ko) 1985-05-11

Family

ID=2729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1260U KR850000855Y1 (ko) 1980-05-15 1984-11-08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8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2693A (en) Disc cartridge having a shutter
EP0090573A1 (en) Tape cassette
EP0579148B1 (en) Disc cartridge
KR100196585B1 (ko) 테이프 카세트
KR850000855Y1 (ko)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JP390067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S6138133Y2 (ko)
JPS599427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再生装置
KR850001459B1 (ko) 비데오 디스크 재생기용 2중 삽입방지장치
JPS6226836Y2 (ko)
JPH0450609Y2 (ko)
EP0920012B1 (en) Magnetic disk cartridge
EP0580379B1 (en) Disc cartridge
JPH05225743A (ja) 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JP317804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S61983A (ja) ディスクカ−トリッジ
KR930008502Y1 (ko) 콤팩트 디스크용 카트리지
JP329891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433597Y2 (ko)
JPH0427018Y2 (ko)
JPS59152576A (ja) デイスク収納ケ−ス
KR850001801B1 (ko)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JP357371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光ディスク記録再生機構
KR850002766Y1 (ko) 원판형 정보기록매체 재생장치
KR20050006410A (ko) 디스크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