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01B1 -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01B1
KR850001801B1 KR1019810003732A KR810003732A KR850001801B1 KR 850001801 B1 KR850001801 B1 KR 850001801B1 KR 1019810003732 A KR1019810003732 A KR 1019810003732A KR 810003732 A KR810003732 A KR 810003732A KR 850001801 B1 KR850001801 B1 KR 850001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lid
turntable
playe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279A (ko
Inventor
유우조오 쯔찌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를 구비한 플레이어와 재킷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제 2 도는 동 재킷과 디스크의 계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동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와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제 7 도는 동 플레이어와 턴 테이블 승강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접동부재의 사시도.
제 8 도는 동 재킷 삽입구 덮개 장치를 구성하는 제지장치의 사시도.
제 9 도 및 제10도는 상기 제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동 제지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제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5도 및 제16도는 동 제지장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뚜껑체 12 : 플레이어
15 : 디스크 16 : 재킷
38 : 제지장치 39 : 구동체
40 : 요동간 44 : 접동부재
59 : 계지체 61 : 탄성체
본 발명은 재생시에는 재킷의 삽입이 불가능하고, 재생을 하지 않을 때에는 재킷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 기록원반 재생장치의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원반 재생장치는 턴 테이블상에 재치한 원반에 재생침을 당접하거나 또는 레이저광등의 광학비임을 투자하여, 그 원반에 기록된 신호를 픽업 재생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한 원반(이하 비디오 디스크 또는 단순히 디스크라 칭함)은 상당히 높은 밀도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그 비디오 디스크에 먼지나 손때 등의 이물이 부착되면 재생되는 화상에 잡음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그런고로 디스크에 직접 손을 대지않고 턴 데이블상에 재치하거나 들어내게 하는 장치가 여러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에서는 비디오 디스크의 외주를 유지채로 둘러싼 상대로 유지시켜 재킷속에 수납하고 재킷에 수납한 상태로 재생장치(이하 플레이어라 칭함)에 삽입한 다음에 재킷을 잡아빼면 디스크 및 유지채만 프레이어내에 남게 되어 연주가 끝난후, 속이 빈 재킷을 다시 플레이어에 삽입하여서 디스크 및 유지체가 다시 재킷내에 수납된 상태로 빠져 나오게 되어 있다.
상기한 디스크 및 유지체가 수납된 재킷을 플레이어내에 삽입하였을때 플레이어내에서 유지체를 괘지하고 또 연주가 끝난 후에 속이 빈 재킷을 삽입하였들때 상기한 유지체의 괘지상태를 해제하는 수단(이하 잭킹장치라 칭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플레이어와 재킷의 관계에 있서서는 플에이어내의 턴 테이블에 디스크가 재치되어 회전재생 상테에 있을때에, 속이 빈 재킷 또는 다른 재킷을 플레이어의 재킷 삽입구에 삽입하면 내부의 디스크에 흠이 생기거나 파손되기 쉬운 염려가 있다. 그리고 약간의 티나 먼지도 절대로 디스크면상에 부착되지 않도록 재킷으로 보호하는데도 불구하고 재킷을 잘못 삽입하여 디스케에 흠을 내면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
그런고로 재생중에 재킷이 계속하여 삽입되지 않도록 재킷에 정지기구를 부설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재킷정지기구는 플레이어의 재킷 삽입용 안내부재 도중에 정지부를 형성하고, 재생중에는 그 정지 부가 동작하여 재킷이 삽입되지 않게 하면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정지기구로 재킷의 삽입방지를 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재킷이외의 물체 , 예를 들어 어린이가 장난으로 연필이나 자막대 등을 재킷 구멍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재생 작동중의 디스크면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게 되는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재생 작동중에는 재킷 뿐 아니라 다른 물체의 삽입도 금지할 수 있도록 고려한 재킷 삽입구 덮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재킷 삽입구 덮게장치를 적용한 기록원반 재생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플레이어(12)에 여러가지 조작용 버튼(13)과 아울러 재킷 삽입구(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삽입구(14)는 뚜껑체(11)에 의하여 닫혀 있다. 한편, 비디오 디스크(15)는 재킷(16)속에 수납되어 있고, 디스크(15)면에는 직접손이 닿지 않게 되어 있으며 디스크(15)는 제 2 도와 같이 유지체(17)의 구멍(18)속에 감입되어 있어서 디스크(15)와 유지체(17)가 재킷(16)의 개구부(19)를 통하여 수납된다.
상기한 유지체(17)에는 재킷 가구부(19)를 막는 턱변(20)이 있고 그 턱변(20)은 두께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중 턱변(20)의 좌우 양측부에는 요입부(21),(2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입부(21)들은 제 3도와 같이 턱변(21)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 유지체(17)의 턱변(20) 양측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결구(22), (22)를 대설하고 양 절결구(22)이 외측에는 탄감부(23),(23)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 탄감부(23)의 선단을 경사면(24),(24)으로 형성하고 또 탄감부(23)의 외측면에는 괘지돌기(25),(25)를 돌설한다.
또 재킷(16)의 내측면에는 상기 괘지돌기(25),(25)와 대응하는 위치에 괘지돌기(25),(25)가 감합되는 괘지흠(26),(26)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15)를 유지체(17)에 감입한 상태에서 재킷(16)내에 수납하면 괘지돌기(25)가 상기한 괘지흠(26)에 감합되는 동시에 턱변(20)이 재킷 개구부(19)를 막게 된다.
다음에 제 4도를 참조하여 플레이어 내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 4도를 참조하여 플레이어 내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 4도에 있어서 대판(27)상에는 턴 테이블(28)이 있고 턴 테이블(28)의 양측에는 평행으로 요입흠(29)을 가진 레일 형상의 안내부재(30),(30)를 형성하며 그 안내부재(30)는 재킷 삽입구(14)(제1도)를 통하여 재킷(16)이 플레이어(12)내에 삽입되었들때, 재킷(16)을 요입흠(29)을 통하여 플레이어(12)속 깊이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 4도의 상태는 플레이어(12)의 재킷 삽입구(14)가 도면에서 경사상방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또 턴테이블(28)의 주변에는 4개의 지지체(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체(31)는 상기한 유지체(17) 및 디스크(15)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안내부(30),(30)는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대판(27)에 고정된 샤시(321),(321)에 대향 고정되고 한쪽 샤시(321)에는 픽업아암(33)을 구동하는 수단(34)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픽업아암(33)은 턴 데이블 (28)의 직경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동되고, 턴 테이블(28)상에 디스크(15)가 놓여져서 회전하게 되면 픽업아암(33)내에 부착된 재생침 또는 레이져 광원이나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등의 신호 픽업 수단에 위하여 디스크(15)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픽업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대판(27)상에는 잭킹자치(350가 설립되어 있으며 또 각 안내부재(30)의 재킷삽입구(14)근방의 양측선단에 축(36)을 가진 지지채(37)가 부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36)에는 뚜껑체 (11)가 축(36)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쳐진 상태로 요동자재하게 축지되고 있다. 뚜껑체(11)는 1장으로 하여 삽입구(14) 전체를 닫을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상하로 분할된 상태로 대설하여 이것으로 재킷삽입구(14)를 닫을 수 있게 해도 되는바, 그 경우에는 뚜껑체(11)가 항상 재킷 삽입구(14)에 닫혀질수 있도록 스프링등으로 탄성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뚜껑체(11)가 1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뚜껑체(11)에 대향하여 대판(27)상에는 제지장치(38)가 설치되고 그 제지장치(38)는 와어어, 판금, 끈등의 구동체(39)로 연결되고 있으며 그 구동체(39)는 대판(27)에서 중간부를 회전자재하게 축지한 요동간(4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요동간(40)의 타단은 대판(27)에 뚫은 구멍(41)으로 관통되독록 하방으로 절곡하여 턴 테이블(28)이 설치된 대판(27)의 면의 저부로 돌출되고, 턴 테이블(28)의 회전 동작과연동하여 그 절곡부분을 외측으로 밀거나 분리되면서 이를 구동케 하고 그 구동력을 요동간(40)에 의하여 구동체(39)에 전달하게 하였다. 이상의 구성으로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재킷(16)내에 유지체(17)및 디스크(15)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재킷(16)을 플레이어(12)의 삽입구(14)에서 뚜껑체(11)를 밀면서 삽입하면, 재킷(16
)이 안내부재(30)의 요입흠(29)을 따라 속깊이 밀려들어 간다. 이때는 아직 재생되는 상태가 아니므로 재제장치(38)는 동작하지 않고 있다. 이때 재킷(16)은 지지체(31)상을 통과한다. 그리고 턴 테이블 (28)의 상면, 즉 디스크(15)의 재치면은 지지체(31)보다 하위에 위치 되고 있다. 재킷(16)을 더욱 삽입하면 잭킹 장치(35)에 닿아서 잭킹장치(35)에 의하여 유지체(17)가 몰리게 된다. 그리고 재킷(16)을 플레이어(12)에서 잡아 빼면 유지체(17) 및 디스크(15)만 지지체(31)상에 남는다.
그리고 재킷 삽입구(14)는 다시 뚜껑체(11)에 의하여 닫혀진다.
이와같이 재킷(16)을 잡아뺀 후, 플레이어(12)의 조작버튼(13)(제1도)을 누르면 턴 테이블(2)은 후술는 바와같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재지장치(38)가 작동하여 뚜껑체(11)가 닫혀진 상태에서 재측으로 열리지 않도록 괘지된다. 그리고 턴 테이블(28)이 지지체(31)보다 높게 상승되면, 턴 테이블(28)에는 디스크(15)만 재치된다. 다음에 턴 테이블(28)이 회전하고, 픽업아암(33)이 작동하는 동시에 재생침 또는 레저광선의 반사나 투과에 의하여 신호를 픽업하여 재생한다.
그리고 디스크(15)의 재생이 끝나면 픽업 아암(33)은 최초위치로 복귀되고 턴 테이블(28)도도 회전이 정지되는 동시에 하강한다. 하강에 따라 제지장치(38)의 재지 상타개 해제되어 뚜껑체(11)는 요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후 속이 빈 재킷(16)을 삽입하면 뚜껑체911)가 내측으로 열리는 동시에 잭킹자치(35)가 물고 있는 유지체(17)를 풀어 주게 된다. 그리고 다시 재킷(16)에는 유지체(17)와 디스크 (15)가 수납되므로 이때 플레이어(12)에서 빼낼 수있게 된다.
다음에 턴 테이블(28)의 상승, 하가 작용을 위한 수단의 일예를 제 5도-제 7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도-제 4 도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삽입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플레이어(12)로 재생하고저 할 때, 플레이어(12)의 삽입구(14)에 재킷(16)을 잡아 빼면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15)가 재킷(16)에서 빠져나와서 지지체(31)상에 위치조정되고 또 유지된다.
이때 턴 테이블(28)은 재킷(16)을 삽입하고 빼낼 때에 부딪치지 않도록 재킷(16)이 통과하는 궤적보다 하방으로 쳐진 위치에 있다.
턴 테이블(28)은 회전측(41)을 가지고 있으며 또 회전측(41)의 회전을 받는 축수(42)가 있다. 축수(42)는 하우징(43)에 의하여 지지되는 바, 그 하우징(43)은 대판(27)에 고정되어 있다. 또 턴 테이블(28)의 회전측(41)과 축수(42)의 관계는 회전축의 상하 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고, 턴 테이블(28)은 축수(42)를 따라 상하로 동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28)의 상하 운동 방향의 받침작용은 접동부재(44)로 행하고 턴 테이블(28)이 회전할 때에는 접동부재(44)에 형성한 설편(45)으로 회전측(41)을 받치게 되어 있다.
접등부재(44)는 대판(27)에 부착된 접동부제 받침구(46)에 접동자재하게 유지되고 있다.
접동부재 받침구(46)는 상기한 안내부재(30)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요입흠에 접동부재(44)의 양측을 삽입하여 접동 자재하게 유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지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동부재(44)에 안내돌기를 형성하여 그 돌기를 대판(27)의 절결구 또는 장방형 구멍을 통하여 대판(27)의 타면으로 돌출시켜서 접동자재하게 하는 방식을 취해도 된다.
이와같이 접동부재(44)가 대판(27)에 유지되게 하여서 제 5도중 좌, 우살표 방향으로 접동이 가능하게 된다. 접동부재(44)는 턴 테이블(28)의 회전측(41)의 하단부에 주설한 요입부(47)와 감합되어 있고, 접동부재(44)를 제 5도중 화살표(A)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접동부재(44)의 경사면(48)을 따라 회전축(41)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는 동시에 회전측(41)이 설편(45)으로 받쳐지게 되는 바, 그 상태를 나타낸 것이 제 6도이다.
접동부재(44)의 구성은 제 7도에 그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28)의 회전측(41)의 요입부(47)에 감합되는 안내장공(49)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내장공(49)이 양측 경사면(48)은 턴 테이블(28)의 회전측(41)의 요입부(47)의 상턱에 닿게 되어 있다.
또, 턴 테이블(28)을 밀어 올렸을 때, 턴 테이블(28)의 회전측(41)이 설편(45)으로 받쳐지도록 경사면(48)끝에 구멍(50)(제7도)이 뚫어져 있다. 그리고 접동부재(44)를 접동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접동부재(44)에 연결된 구동레버(51)를 작동시켜서 향하면 되고, 그 동구레버(51)를 수동으로 작동하거나 전기 모우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립기구등으로 그 상태를 유지하게 하거나 또는 클러치기구 등에 의하여 필요한 조작시간동안 그 직선운동을 구동레버(51)에 전달하는 방법등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접동부재(44)는 전체적으로
Figure kpo00001
형상이고 기판(52)에서 안내장공(49)을 뚫은 안내체 부분(53)이 돌출되게 한 구성이며 안내체 부분(53)은 그 내측을 파내어서 회전측(41)등이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안내장공(49)의 주연을 회전축(41)의 요입부(47)에 감합시켜서 회전축(41)이 경사면(48)을 이용하여 상하 작동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턴 테이블 승강장치에 의하여, 접동부재(44)를 접동함에 따라 턴테이블(28)이 상승 또는 하강되어 제 5 도와 같이 플레이어(12)내에 디스크(15)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 6도와 같이 디스크(15)만을 지지체(31)에서 부상시켜 턴 테이블(28)상에 재착할 수 있게 되고, 또, 동작전에는 턴테이블(28)의 회전축(41)의 요입부(47)와 접동부재(44)의 안내장공(49)에 의하여 턴테이블(28) 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턴테이블(28)이 회전할 때는 회전축(41)의 선단(54)이 설편(45)상에서 활동하게 된다.
재생이 끝난 후에 다시 접동부재(44)를 역방향(제 6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접동시키면 턴테이블(28)이 제 5도와 같이 하강되고 디스크(15)는 지지체(31)에 지지되어 최초의 디스크(15)삽착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턴 테이블(28)의 회전측(41)의 선단(54)은 금속제, 예를들면 철강 구체를 요입부(47)와 일체가 되게 만들어서, 회전측(41)에 나착해도 되고 혹은 그 선단(54)을 구체 형상으로 만들 것에 요입부(47)부분을 나착해도 된다. 접동부재(44)는 1장의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경사면(48), 안내장공(49), 구멍(50) 및 설편(45)을 동시에 얻을 수 있고 혹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금형으로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턴 테이블(28)의 상승, 하강위치와 턴테이블 위치의 정밀도는 비교적 엄격해야 하지만, 접동부재(44)의 접동 거리에는 다소 오차가 있더라도 턴테이블(28)의 위치는 정확해야 한다. 또 턴테이블(28)의 회전축(41)의 선단(54)과 접동부재(44)의 설편(45)과는 거의 점접촉 상태이므로 턴테이블(28) 회전을 원할하게 할 수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턴테이블(28)이 상하 작동하는데, 그 동작은 턴테이블이 상승되어 있을 때는 디스크(15)를 턴테이블(28)상면에 유지시켜서 재새할 때이고, 또 하강되어 있을 때는 턴테이블(28)상면에 이스크(15)가 유지되지 않아서 재생되지 않고 있을 때이다.
환언하면 턴테이블(28)의 위치, 즉 접동부재(44)의 위치에 응하여 재생할 때인지, 재생하지 않을 때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요동간(40)이 대판(27)에 뚫은 관통공(41)을 통하여 하바으로 절곡 돌출된 일단부 즉, 당접부(55)를 설정하는 위치는 접동부재(44)의 이동에 의하여 턴테이블(28)의 상승, 하강상태를 검출할 수 잇는 위치이면 되나 접동부재(44)의 정지위치에서 약간 이동범위 내에 있고 정지위치에 왔을때에는 요동간(40)이 최대로 작동되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요동간(40)은 접동부재(44)의 설편(45)측 또는 그 반대측에 어떠한 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이와같이 하여 요동간(40)의 당접부(55)와 접동부재(44)가 그 작동에 응하여 선택적으로 당접하게 된다.
제 5 도에 도시한 경우는 당접부(55)와 접동부재(44)가 서로 당접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 6 도에 도시한 경우에는 서로 당접된 상태에 있는 것인바, 제 5 도와 같이 당접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에는 요동간(40)이 접동부재(44)에 의하여 아무언 부담을 받지 않게 되므로 요동간(40)은 제5도의 경우, 도면증 좌측방향으로 그 당접부(55)가 위치되고 있다. 그러므로 요동간(40)에 구동체(39) 통하여 연결되고 있는 제지장치(38)도 제지기증이 해제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지장치(38)는 제 8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되고 평판상의 기판(56)의 일면에 서로 대향되게 입설한 받침부(57)를 형성하고 그 받침부(57)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8)로 단면이 ㄷ자형으로 되어 있다. 물론 기판(56)과 받침부(57) 및 연결부(58)는 합성수지로 일체화 되게 만들어도 된다. 그 대향된 받침부(57)사이에는 계지체(59)가 배치되는 바, 계지체(59)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에 의하여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뚜껑체(11)와 당접되는 일단은 만곡면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한 받침부(57)에 축(60)으로 축지되어 있다.
상기 축(60)은 양 받침부(57)및 계지체(59)를 관통시켜도 되고, 혹은 축(60)을 계지체(59)에 형성하여 축(60)을 받침부(57)에 형성한 축공에 삽입하여 축지해도 된다. 또는 그 축공은 관통된 것으로 하지 않고 받침부(57)의 일측에 연통하는 절결부를 가진 축공으로 형성하고 계지체(59)를 그 절결부를 통하여 축지되게 함으로써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계지체(59)에는 항상 일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해 두는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등의 탄성체(61)로 탄설한다.
제 8 도에 도시한 경우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코일스프링은 예를 들면 축(60) 코일스프링을 삽입하고 그 일단을 계지체(59)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타단을 받침부(57)에 고정해 두면 항상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게된다. 그 탄성력을 가하는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계지체(59)와 연결부(58)사이에 V자형 또는 U자형 판 스프링 혹은 코일스프링을 배치해도 되고 받침부(58)와 그 반대측에 스프링 지지부를 신설하여 그 스프링 지지부와 계지체(59)사이에 그와 같은 탄성체(61)를 개재시킬 수 있으며 기타 여러가지 방법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계지체(59)에는 또 상기한 구동체(39)가 연결되어 있고 구동체(39)는 상기한 탄성체(61)의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계지체(59)를 구동할 수 있게 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제지장치(38)를 제 9 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턴테이블(28)이 하강위치에 있고 턴테이블(28) 상면에 디스크(15)가 재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요동간(40)이 접동부재(44)에 의하여 아무런 구동력이 부여되지 않고 있으므로 요동간(40)은 탄성체(61)에 의하여 부여되고 있는 탄성력에 응하여 회전 변위되고 있다. 이때 구동체(39)를 강철재로 사용하면 탄성체(61)의 탄성력이 계지체(59)및 구동체(39)를 통하여 요동간(40)에 전달되고, 요동간(40)을 일정방향으로 밀어서 소정의 대기 위치에 설정 할 수 있게 된다. 요동간(40)이 접동부재(44)에 의하여 구동변위되지 않을 때는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체(11)의 일단과 계지체(59)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뚜껑체(11)는 자유롭게 개폐 작동하게 된다. 뚜껑체(11)는 안내부재(30)에 형성한 절결부(10)등에 의하여 플레이어(12)의 내측으로 개폐작동이 가능하나 플레이어(12)의 외측으로는 열리지 않게 되어 있고, 만약 필요하면 뚜껑체(11)와 스프링을 조합하여 항상 탄성적으로 폐쇄되게 해도 좋다. 따라서 재킷(16)을 삽탈할때 그 뚜껑체(11)는 아무런 지장이 되지 않는다. 즉, 계지체(59)를 뚜껑체(11)의 회전범위의로 피할수 있게 하여서 뚜껑체(11)와 계지체(59)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것이다.
다음에 재생시에 턴 테이블(28)이 접동부재(44)의 이동에 따라 상승하고 턴테이블(28)상에 디스크(15)가 재치되면 접동부재(44)와 요동간(40)이 당접되어 구동변위된다. 그 요동간(40)의 변위는 제10도와 같이 구동체(39)를 통하여 계지체(59)에 전달되고 탄성체(61)의 탄성력에 항거하여 계지체(56)를 회전변위시킨다.
그 결과 계지체(59)는 뚜껑체(11)의 회전범위내에 위치하여 뚜껑체(11)를 외부에서 개방되도록 밀더라도 뚜껑체(11)가 계지체(59)에 당접되어, 당접위치 이상으로는 뚜껑체(11)를 열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 뚜껑체(11)와 계지체(59)가 당접되고 있는 위치에 있도록 요동간(40)등의 변위량을 조정해 두면 뚜껑체(11)는 재생시에 개방되지 않고 재킷이나 기타 물체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계지체(59)의 만곡면과 뚜껑체(11)를 당접되게 하였으므로 뚜껑체(11)에 가해지는 압압력이 계지체(59)의 축지방향(하부방향)으로 힘이 분산되므로 계지체(59)가 재생시에는 뚜껑체(11)의 압압력을 받아 계합력이 빗나가는 일이 없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뚜껑체(11)는 제지장치(38)의 동작에 의하여 개방되는 것이 규제되고 재생시가 아닐때는 뚜껑체(11)가 자유롭게 개폐 동작을 하나 재생시에는 뚜껑체(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지장치(38)에 의하여 유지되므로 재킷이나 연필등의 물체가 플레이어(12)내에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지장치(38)는 도시한 구성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종류의 구성방식을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8 도에 도시한 것은 계지체(59)의 축지점에서 상위 부분에 구동체(39)를 연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축지점에서 하위 부분에 구동체(39)를 연결하는 방법도 있다. 요컨대 계지체(59)에는 재생하지 않을 때에 뚜껑체(11)의 회전범위내에 위치하지 않게 하는 탄성력이 부여되고 재생시에는 계지체(59)를 뚜껑체(11)의 회전범위내에 위치되게 하는 것으로서, 계지체(59)를 그와같이 동작시키는데 있어서, 계지체(59)를 구동체(59)로 압압하여 변위되게 하거나 앞으로 당겨서 변위되게 하는 차이가 생기는데 둘중 어느방법을 채용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것은 제지장치(3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데 계지체(59)로서 L자형의 것을 채용한 경우이다. 받침부(57) 및 연결부(58)는 제 8 도에 도시한 구성과 거의 같으나 각 받침부(57) 및 연결부(58)에 각각 플랜지(62)를 외측방향으로 형성하여 기판(56)을 생략하고 있는 점과, 받침부(57)와 연결부(58)와의 사이에단차를 두어 계지체(59)가 회동할 때 방해되지 않도록 절결부(63)를 형성한 점등이 서로 다르다. 그 계지체(59)는 L자형으로 구성되어 그 일편은 뚜껑체(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편에 뚫은 구멍(70)에 구동체(39)의 선단에 형성한 갈고리부(71)를 감입하여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계지체(59)는 L자형의 양편의 연결부분을 축(60) 및 C자형 고정구(72)등에 의하여 받침부(57)에축지되고 있으므로 그 축지점을 중심으로 요동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먼저 재생하지 않을 때에는 제13도에 도시한 구동체(39)가 계지체(59)를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체(61)에 의하여 탄성력이 부여되고 있다. 따라서 계지체(59)가 뚜껑체(11)와 당접되는 편의 단부(64)는 뚜껑체(11)보다 하방에 위치되고 뚜껑체(11)의 회전범위 밖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뚜껑체(11)는 계지체(59)와 당접되지 않고 자유로이 개폐동작할 수 있게 된다.
재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재생하는 상태로 절환하면 제14도와 같이 구동체(39)의 구동력에 의하여 계지체(59)가 축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뚜껑체(11)와 계지체(59)의 단부(64)가 대향하고 뚜껑체(11)의 회전운동범위내의 위치까지 구동된다. 따라서 뚜껑체(11)를 내측으로 밀더라도 그 뚜껑체(11)와 계지체(59)가 닿게되어 그 당접위치 이상으로 뚜껑체(11)가 열릴 수 없기 때문에 그 뚜껑체(11)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이때 계지체(59)의 타측편의 근방에는 뚜껑체(11)가 단부(64)를 밀었을때 계지체(59)의 타측편이 당접되는 위치에 고정편(65)을 대판(27)이나 받침부(57) 또는 연결부(58) 등에 형성하면 강한 압압력이 작용하더라도 계지편(59)이 그 이상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여 보다 확실하게 계지편(59)의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뚜껑체(11)의 압압력에 대항하는 힘을 상기한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나 뚜껑체(11)와 계지체(59)와의 사이에 다소의 간극이 생길 염려도 있으나 뚜껑체(11)가 다소 변위되더라도 재킷이나 다른 물체의 진입을 방지하는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또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것은 또다른 실시예로서 받침부(57)를 4각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받침부(57)내에 계지체(59)가 유지되게 하는바, 받침부(57)에 형성한 축 지지홈(66)내에 축(50)을 단순히 삽입하여 지지시키는 것으로서 이의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탄성체(61)의 탄성력을 항상 계지체(59)가 뚜껑체(11)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탄성력을 가해 두는 것인데 구동체(39)를 그 탄성력에 대향하여 인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지장치(38)의 동작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설명에서는 계지체(59)에 직접 탄성체(61)에 의하여 탄성력을 가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대신하여 요동간(40)에 탄성체(61)를 장착하여 요동간(40) 자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구동체(39)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지장치(38), 즉 계지체(59)에 탄성력을 가하게 해도 된다. 또는 구동체(39) 자체에 탄성체(61)를 결합하여 그 구동체(39)로 요동간(40) 및 계지체(59)의 양자에 탄성력을 부여해도 지장이 없다. 기타 제지장치(38)를 구동하는데는 요동간(40)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구동체(39)를 접동부재(44)와 관련시켜서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와 같이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며 이와같은 변경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어의 재킷 삽입구를 뚜껑체로 닫게하고, 재생시에는 그 뚜껑체를 제지장치에 의하여 뚜껑체의 개방동작으로 금지케하과 재생하지 않을 때에는 뚜껑체가 자유롭게 개폐작동 될 수 있는 것이므로 재생시에 모르고 재킷을 삽입하거나 어린이의 장난등으로 다른 물체를 삽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를 손상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작동을 할 수 있게 되는 등 실제의 사용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정정) 플레이어에 형성된 재킷 삽입구와 그 삽입구를 닫도록 요동 자재하게 부착된 뚜껑체를 구비한 재킷삽입구 덮개장치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재생상태를 검출하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뚜껑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계지체를 구비하고, 플레이어의 구동상태에서는 상기 계지체에 의하여 상기 뚜껑체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이 계지체에 항상 일정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그 탄성력에 대향하여 계지체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된 상기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이 턴 테이블의 승강운동에 연동하여 계지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4. (정정) 제2항에 있어서, 탄성체는 항상 계지체와 뚜껑체의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고 구동수단에 의하여 계지체와 뚜껑체와를 선택적으로 당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KR1019810003732A 1980-10-03 1981-10-02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KR850001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37573 1980-10-03
JP137573 1980-10-03
JP55137573A JPS5764368A (en) 1980-10-03 1980-10-03 Cover operating device for jacket inserting 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279A KR830008279A (ko) 1983-11-16
KR850001801B1 true KR850001801B1 (ko) 1985-12-21

Family

ID=1520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732A KR850001801B1 (ko) 1980-10-03 1981-10-02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64368A (ko)
KR (1) KR8500018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64368A (en) 1982-04-19
KR830008279A (ko) 198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2516A (en) Drive mechanism for disc player with bearing supported slider
US4063286A (en) Video disc player
JPS60217576A (ja) デイスクケ−ス
KR860000656B1 (ko) 기록원반 재생장치
JPH0510280Y2 (ko)
KR850001801B1 (ko)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JP3012832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850001457B1 (ko) 기록 원반 재생장치
JPS583160A (ja) 小型テ−プカセツト用アダプタ
JPS6226836Y2 (ko)
US4538258A (en) Record
KR850001459B1 (ko) 비데오 디스크 재생기용 2중 삽입방지장치
JPS58188365A (ja) 記録円盤再生装置に於けるシヤツタ−装置
JPS59188870A (ja) レコ−ドプレ−ヤ
JPS6310500B2 (ko)
KR850001006B1 (ko) 디스코 레코드 플레이어 장치
US4468764A (en) Disc reproducing apparatus
KR880000864B1 (ko) 디스크 플레이어
US6301214B1 (en) Disk device
JPS59113540A (ja) ピツクアツプ素子のクリ−ニング装置
JPS6316039Y2 (ko)
JPS633018Y2 (ko)
KR850000855Y1 (ko) 원판형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JP2604266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S6245322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