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781Y1 -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81Y1
KR850000781Y1 KR2019840003075U KR840003075U KR850000781Y1 KR 850000781 Y1 KR850000781 Y1 KR 850000781Y1 KR 2019840003075 U KR2019840003075 U KR 2019840003075U KR 840003075 U KR840003075 U KR 840003075U KR 850000781 Y1 KR850000781 Y1 KR 850000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motor
brus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3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성
Original Assignee
김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성 filed Critical 김인성
Priority to KR2019840003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절개한 전체 사시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작동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7' : 접촉단자 9 : 안내레일
10 : 기대 11 : 왕복구
12 : 접동돌조 12' : 접촉단자
12" : 돌봉 14, 14' : 축봉
15, 15' : 대기어 16, 16' : 소기어
16" : 연동기어 17, 17' : 압봉
20 : 기어 21 : 연동축
22 : 대기어 23 : 소기어
본 고안은 통상의 회전식 치솔에 있어서, 모우터와 치솔의 회전축 사이에 좌우회전을 가능케한 회전 전달장치를 착설하여 상하의 치아를 닦을 적에 브러쉬의 회전방향을 임의로 전환할 수 있게 한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종류의 회전식 치솔이 개발된 바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모우터와 간단한 클러치로 연결되거나, 또는 모우터와 직결시킨 회전축의 단부에 브러쉬를 삽착되게한 구조로서,회전이 너무 빨라 브러쉬와의 심한 회전마찰로 잇몸을 상하게 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회전이 일방향으로 고정된 것이여서, 상하의 치아를 반대로 닦기 위하여는 부득히 양손으로 교대로 쥐고 닦아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있고 특히,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더욱 불편 하였으므로 대중화가 될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회전식 치솔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모우터의 회전력을 회전축상에 전달할때, 기어의 직경비를 달리함으로써 감속이 되고, 좌우의 압봉을 눌리면 회전 방향을 전환 시킬수 있게한 것으로서, 고안의 요지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내부에 모우터(M)를 장설하여 모우터축과 커어버(2)내의 브러쉬(3)의 축(4)을 연결되게한 공지의 치솔(5)에 있어서,모우터(M)전방의 작동실(6)에 접촉단자(7)(7')를 부착한 장공(8)과형의 안내레일(9)을 요설한 기대(10)를 착성하여 안내레일(9)에 왕복구(11)하부의형의 접동돌조(12)를 삽설하되, 중앙에 원형의접촉단자 (12')를 삽착한 돌봉(12")을 장공(8)에 삽입되게 하며, 왕복구(11)양쪽의 만곡 팽출구(13)(13')에 축봉(14)(14')을 축삽하여 양단에 각각 대기어(15)(15') 및 소기어(16)(16')를 축착하고, 소기어(16')에는 축봉(14")에 축착된 연동기어(16")를 치합한후 만곡팽출부(13)(13')의 양쪽에 외측에서 압봉(17)(17')을 원공(18)(18')을 통하여 나착하여 놓고, 모우터(M)의 축(19)에는 기어(20)를 축착하며, 연동축(21)의 후단에는 대, 소의 연동기어(22)(23)를 축착하여 전단은 브러쉬(3)의 축(4)과 연결되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SW는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손잡이(1)내부의 작동실(6)하부내저면에 착설된 기대(10)의 장공(8)중간부위에 왕복구(11)의 접동 돌조(12)에 하향 돌설된 돌봉(12")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브러쉬(3)에 치약을 짜붙이고, 스위치(SW)를 먼저 "ON"시키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앞쪽의 압봉(17')을 눌리면 제2(a)도의 도시와 같이 왕복구(11)는 기대(10)의 안내레일(9)상에서 접동돌조(12)가 반대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돌봉(12")의 접촉단자(12')가 장공(8) 일측의 접촉 단자(7')에 접속되어 모우터(M)가 구동되며, 따라서 축(19)의 회전으로 기어(20)가 회전되므로 기어(20)와 치합된 대기어(15')와 같이 소기어(16')가 회전되고 소기어(16')와 치합된 연동기어(16")의 회전으로 연동기어(23)가 회전되므로 연동축(21)과 연결된 축(4)이 회전과 동시에 브러쉬(3)가 대, 소기어에 의한 감속으로 적절한 회전 속도로 회전되어 아래쪽의 치아를 닦고, 위쪽의 치아를 닦을 때는 압봉(17)을 반대쪽으로 눌리면 제2(b)도의 도시와 같이 왕복구(11)가 기대(10)의 안내레일(9)에서 반대쪽으로 이동하고, 돌봉(12")의 접촉단자(12')가 장공(8)일측의 접촉단자(7)에 접속되어 역시 모우터(M)가 구동되며, 역시 상기와 같이 기어(20)와 치합된 대기어(15)의 회전으로 축봉(14)반대쪽의 소기어(16)가 회전되므로, 소기어(16)와 치합된 연동기어(22)가 동시 회전되어 연동축(21)과 연결된 브러쉬(3)가 반대로 회전되어 아래쪽 치아와는 반대로 회전되는 브러쉬(3)로 위쪽의 치아를 닦는 것이다.
그리고 치솔질을 다하고 나면 스위치(SW)를 "OFF"시켜 전원을 단절되게 한 것으로서, 치솔(5)의 손잡이(1)를 한손에 쥐고서 손가락으로 간단히 양쪽의 압봉(17)(17')을 눌러 브러쉬(3)의 회전 방향을 임의로 좌우로 전환될 수 있게한 것이므로, 상하의 치아가 잇몸에서 각각 내측으로 맞보게 되어 있는 치형에 맞추어 보다 적합하게 안출된 것으로서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여 널리 실용화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공지의 치솔(5)에 있어서, 모우터(M)의 작동실(6)에 접촉단자(7)(7')를 부착한 장공(8)과형의 안내레일(9)을 요설한 기대(10)를 착설하여 안내레일(9)에 왕복구(10)하부의형의 접동돌조(12)를 삽설하되, 접촉단자(12')를 삽착한 돌봉(12")을 장공(8)에 삽입되게 하며, 왕복구(11)양쪽의 만곡팽 출부(13)(13')에 축삽한 축봉(14)(14') 양단에 대기어(15)(15') 및 소기어(16)(16')를 축착하고, 소기어(16')에 연동기어(16")를 치합한 후 만곡팽창부(13)(13') 양쪽에 압봉(17)(17')을 원공(18)(18')을 통하여 나착하여 놓고 모우터(M)의 축(19)에 기어(20)을 축착하며, 연동축(21)의 후단에 대, 소의 연동기어(22)(23)를 축착하여 전단은 브러쉬(3)의 축(4)과 연결되게한 회전식 치솔의 좌우회전 장치.
KR2019840003075U 1984-04-06 1984-04-06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 KR850000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075U KR850000781Y1 (ko) 1984-04-06 1984-04-06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075U KR850000781Y1 (ko) 1984-04-06 1984-04-06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781Y1 true KR850000781Y1 (ko) 1985-05-04

Family

ID=1923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3075U KR850000781Y1 (ko) 1984-04-06 1984-04-06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7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4864A1 (en) * 2001-10-24 2003-05-01 Choong-Hyun Jung Electromotion toothbrush rotatable in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4864A1 (en) * 2001-10-24 2003-05-01 Choong-Hyun Jung Electromotion toothbrush rotatable in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0306B2 (ja) 電動デンタルフロス
CA1115467A (en) Electrically driven tooth brush
ITTO980947A1 (it) Spazzolino dentario con setole per grattare il solco intergengivale.
AU3383595A (en) Brush component for an electric toothbrush
RU1783976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далени волос
KR850000781Y1 (ko) 회전식 치솔의 좌우 회전 장치
US3512201A (en) Power toothbrush
EP0208401B1 (en) Power-driven cleaning brush
GB2089201A (en) Electrically driven toothbrush
KR200401783Y1 (ko) 전동 칫솔
JP3574874B2 (ja) 電動歯ブラシ
KR200271102Y1 (ko)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KR19990008343U (ko) 칫솔 브러쉬 회전장치
RU2234287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CN212592535U (zh) 多向综合驱动式电动牙刷
CN213851198U (zh) 一种电动牙刷
CN214761571U (zh) 一种电动牙刷
KR19980014477U (ko) 전동치솔
KR870001900Y1 (ko) 멜로듸가 부착된 치약자동 착출기
KR100467004B1 (ko) 전동칫솔
US5339476A (en) Powered toothbrush
KR850001909Y1 (ko) 전동 치솔
KR900010636Y1 (ko) 전동치솔의 구동장치
FR2670553B1 (fr) Mecanism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entre un arbre moteur et deux ensembles a entrainer, utilisable notamment sur les giravions.
KR200288987Y1 (ko) 이빨 사이를 닦아주는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