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102Y1 -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 Google Patents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02Y1
KR200271102Y1 KR2020010041037U KR20010041037U KR200271102Y1 KR 200271102 Y1 KR200271102 Y1 KR 200271102Y1 KR 2020010041037 U KR2020010041037 U KR 2020010041037U KR 20010041037 U KR20010041037 U KR 20010041037U KR 200271102 Y1 KR200271102 Y1 KR 200271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in body
toothbrush
drive shaf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1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열
Original Assignee
노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열 filed Critical 노성열
Priority to KR2020010041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02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20)의 구동축(25)을 통하여 칫솔대(10)를 회전시키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반경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탄지되고, 일면에 치형(21a)을 구비하는 푸시버튼(21); 상기 구동축(25)과 푸시버튼(21)의 치형(21a) 사이에 맞물려 장착되고, 적어도 입력기어(22), 중간기어(23), 출력기어(24)를 구비하는 증속기어열; 상기 출력기어(24)의 일측에 보조기어(26)(28)(29)를 개재하여 맞물려 회전하며 관성력을 작용하는 플라이휠(27); 및 상기 증속기어열(22)(23)(24)의 회전 상태를 전환하도록 본체(20)의 일면에 내외부를 연통하여 장착되는 정역변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원의 유무와 관계없이 손힘만을 이용하여 작동함에 따라 휴대의 간편성과 함께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A tooth-brush operated by hand}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의 유무와 관계없이 휴대와 사용이 편리한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전동 칫솔은 소형의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칫솔모의 회전 또는 진동을 유발하는 것으로서 사용 방식이 일반 칫솔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치아관리의 동기를 유발하는 좋은 기구로 인식되는 한편 성인에서는 특별한 훈련이 없어도 치아를 닦기 편리하고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부각되어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전동 칫솔을 이용하면 치아를 상하로 닦아주는 올바른 양치법을 실현하기 용이한 바, 일반 칫솔로는 상하 동작이 곤란한 구강의 가장 내측까지 도달할 수도 있다. 세균막인 프라그가 치아에 지속적으로 쌓이면 충치, 치석, 잇몸 질환, 잇몸 출혈, 치은염의 원인이 되는데, 전동 칫솔은 프라그 생성을 지연하면서 마사지 효과로 잇몸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전동 칫솔은 항상 전원을 필요로 하므로 사용 장소 또는 사용 기간에 제약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산간벽지를 방문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어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배터리를 사용한다고 해도 그 사용 시간이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의 유무와 관계없이 손힘만을 이용하여 작동함에 따라 휴대의 간편성과 함께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식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전동기구의 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역변환수단의 정방향 회전을 나타내는 도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역변환수단의 역방향 회전을 나타내는 도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칫솔대 20: 본체
21: 푸시버튼 22, 23, 24: 기어
25: 구동축 26, 28, 29: 보조기어
27: 플라이휠 31, 34: 스프링
32: 가이드 33: 후크
35: 아이들기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20)의 구동축(25)을 통하여 칫솔대(10)를 회전시키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반경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탄지되고, 일면에 치형(21a)을 구비하는 푸시버튼(21); 상기 구동축(25)과 푸시버튼(21)의 치형(21a) 사이에 맞물려 장착되고, 적어도 입력기어(22), 중간기어(23), 출력기어(24)를 구비하는 증속기어열; 상기 출력기어(24)의 일측에 보조기어(26)(28)(29)를 개재하여 맞물려 회전하며 관성력을 작용하는 플라이휠(27); 및 상기 증속기어열(22)(23)(24)의 회전 상태를 전환하도록 본체(20)의 일면에 내외부를 연통하여 장착되는 정역변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증속기어열 중 입력기어(22)는 본체(20)의 장홈(20b)을 이용하여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푸시버튼(21)과 연동된다.
또한, 상기 정역변환수단으로서 가이드(32)를 이용하여 본체(20) 상에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탄지되고, 입력기어(22)와 중간기어(23) 사이에 개재되는 아이들기어(35)를 내측단에 구비하는 후크(33)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전동기구의 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 1에서, 본 고안은 본체(20)의 구동축(25)을 통하여 칫솔대(10)를 회전시키는 칫솔에 관련된다. 본체(20)의 전방으로는 캡(14)이 장착되고, 캡(14)의 전방으로는 커버(12)가 장착된다. 칫솔대(10)는 커버(12)에 의해 보호되는 상태로캡(14)을 통하여 구동축(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축(25)의 회전으로 칫솔대(10)가 회전하면 칫솔모를 치아에 대고 양치질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일면에 치형(21a)을 구비하는 푸시버튼(21)이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반경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탄지된다. 푸시버튼(21)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사용자가 적어도 3개의 손가락으로 누르기 편하도록 넓게 형성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사각봉 형태로서 일면에 치형(21a)을 구비한다. 본체(20)의 가이드부(20a)(도 2)는 푸시버튼(21)의 사각봉 부분을 직선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푸시버튼(21)의 사각봉 부분에는 깊은 홈을 형성하고 스프링(31)을 삽입하여 그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푸시버튼(21)을 누른 후 놓으면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푸시버튼(21)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입력기어(22), 중간기어(23), 출력기어(24)를 구비하는 증속기어열이 상기 구동축(25)과 푸시버튼(21)의 치형(21a) 사이에 맞물려 장착된다. 입력기어(22), 중간기어(23), 출력기어(24)는 모두 상하의 피치원 직경이 다른 이단의 기어이며 증속 기능을 수행하도록 연결된다. 도시에서 각각의 증속기어열을 지지하도록 본체(20) 상에 형성되는 지지판의 구성은 생략한다. 푸시버튼(21)의 치형(21a)과 입력기어(22) 사이의 운동은 래크-피니언 기구의 운동과 동일하다. 중간기어(23)는 원하는 증속비에 따라 그 설치 수량을 가변하며, 출력기어(24)의 회전중심에는 구동축(25)을 위치시킨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플라이휠(27)이 상기 출력기어(24)의 일측에 보조기어(26)(28)(29)를 개재하여 맞물려 회전하며 관성력을 작용한다.플라이휠(27)은 관성력 증대를 위해 밀도가 큰 금속제를 사용하며, 본체(20)의 저면 공간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보조기어(26)(28)(29)는 전술한 증속기어열처럼 증속되는 구조로 연결하며, 부호 26과 28의 기어는 동일축 상에 고정된다.
도 2에서, 본체(20)의 가이드부(20a)로부터 푸시버튼(21)을 이탈시킨 상태이지만 푸시버튼(21)을 밀어 넣으면 치형(21a)이 입력기어(22)의 소치차(22a)에 맞물린다. 이어서 입력기어(22)의 대치차(22b)는 중간기어(23)의 소치차(23a)에 맞물리고, 중간기어(23)의 대치차(23b)는 출력기어(24)의 소치차(24a)에 맞물려 증속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기어(24)의 대치차(24b)에는 부호 26의 기어가 맞물려 플라이휠(27)과 상시 연결된 상태이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증속기어열(22)(23)(24)의 회전 상태를 전환하도록 본체(20)의 일면에 내외부를 연통하여 장착되는 정역변환수단을 사용한다. 이는 도 1 및 도 2에서 생략되며 후술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정역변환수단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칫솔대(10)를 정 또는 역회전시켜 양치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역변환수단의 정방향 회전을 나타내는 도식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역변환수단의 역방향 회전을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우선, 상기 증속기어열 중 입력기어(22)는 본체(20)의 장홈(20b)을 이용하여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푸시버튼(21)과 연동된다. 부호 22c는 입력기어(22)를 장착하는 회전축으로서 장홈(20b)에 삽입된다. 푸시버튼(21)을 밀면 입력기어(22)도 장홈(20b)의 전단으로 밀리면서 중간기어(23)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 구동축(25)과 칫솔대(10)가 회전하는 것은 물론 플라이휠(27)도 회전한다. 반면 푸시버튼(21)이 후진하면 입력기어(22)도 장홈(20b) 상에서 후퇴하여 중간기어(2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회전력 전달이 차단되지만 플라이휠(27)의 관성력에 의하여 구동축(25)의 회전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체(20)의 장홈(20b)은 입력기어(22)의 전후진 연동을 허용하여 푸시버튼(21)의 일방향 운동력만 구동축(25)의 회전력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정역변환수단으로서 가이드(32)를 이용하여 본체(20) 상에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탄지되고, 입력기어(22)와 중간기어(23) 사이에 개재되는 아이들기어(35)를 내측단에 구비하는 후크(33)를 사용한다. 후크(33)는 가이드(32)와 본체(20)를 이용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후크(33)의 외측단은 손으로 눌러 작동하기 편리한 크기로 하고, 내측단에는 아이들기어(35)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아이들기어(35)는 중간기어(23)의 소치차(23a)와 크기를 동일하게 하고, 입력기어(22)의 대치차(22b) 및 중간기어(23)의 소치차(23a)와 동시에 맞물릴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후크(33)는 아이들기어(35)의 전진 또는 후퇴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하도록 본체(20)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1돌기(33a)와 제2돌기(33b)를 구비한다. 제1돌기(33a)는 도 4처럼 후크(33)를 밀어 입력기어(22)와 중간기어(23) 사이에 아이들기어(35)를 개재시킬 때 뒤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제2돌기(33b)는 후크(33)의 복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34)을 안착하면서 도 3의 상태로후크(33)가 후퇴할 때 본체(20)를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역변환수단의 조립을 위해, 가이드(32)는 본체(20) 상에 착탈 가능해야 하고, 아이들기어(35)는 후크(33)에 착탈 가능해야 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34)과 후크(33)를 가이드(32)에 삽입하고 아이들기어(35)를 장착한 다음 가이드(32)를 본체(20)에 볼트로 결합한다.
작동에 있어서, 도 3의 상태로 후크(33)를 후퇴시켜 제1돌기(33a)가 본체(20)를 이탈하고 제2돌기(33b)가 본체(20)의 내면에 밀착되면 아이들기어(35)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푸시버튼(21)을 통한 직선운동이 구동축(25)의 정방향 회전으로 변환된다. 그러나 도 4의 상태로 후크(33)를 밀어 제1돌기(33a)가 본체(20)의 내면에 걸리도록 하고 푸시버튼(21)을 밀면 아이들기어(35)가 개재되어 중간기어(23)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고 따라서 구동축(25)은 역방향 회전으로 변환된다. 도 3 및 도 4의 어느 상태가 되더라도 플라이휠(27)을 통한 관성력은 변함없이 전달받게 되어 푸시버튼(21)이 스프링(31)에 의해 복귀된 후 다음 전진시까지 구동축(25)의 회전속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후크(33)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칫솔대(10)의 정역회전을 이용함에 있어 정역으로 급속 전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아이들기어(35) 등의 전동부에 충격을 작용하여 내구성 저하를 초래한다. 스프링(34)은 도 3처럼 아이들기어(35)의 후퇴시 입력기어(22)나 중간기어(23) 측으로 임의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급작스런 작동정지 및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푸시버튼(21)의 일방향 운동을 구동축(25)의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장홈(20b) 대신 클러치 베어링(도시 생략)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외형이 약간 커지고 제조원가가 증가되므로 고급화 제품에 적합하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원의 유무와 관계없이 손힘만을 이용하여 작동함에 따라 휴대의 간편성과 함께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상 습도가 높은 세면장 등에서 전원을 사용하여 양치질할 때 우려되는 누전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4)

  1. 본체(20)의 구동축(25)을 통하여 칫솔대(10)를 회전시키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반경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탄지되고, 일면에 치형(21a)을 구비하는 푸시버튼(21);
    상기 구동축(25)과 푸시버튼(21)의 치형(21a) 사이에 맞물려 장착되고, 적어도 입력기어(22), 중간기어(23), 출력기어(24)를 구비하는 증속기어열;
    상기 출력기어(24)의 일측에 보조기어(26)(28)(29)를 개재하여 맞물려 회전하며 관성력을 작용하는 플라이휠(27); 및
    상기 증속기어열(22)(23)(24)의 회전 상태를 전환하도록 본체(20)의 일면에 내외부를 연통하여 장착되는 정역변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기어열 중 입력기어(22)는 본체(20)의 장홈(20b)을 이용하여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푸시버튼(21)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변환수단으로서 가이드(32)를 이용하여 본체(20) 상에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탄지되고, 입력기어(22)와 중간기어(23) 사이에 개재되는 아이들기어(35)를 내측단에 구비하는 후크(33)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33)는 아이들기어(35)의 전진 또는 후퇴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하도록 본체(20)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1돌기(33a)와 제2돌기(3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KR2020010041037U 2001-12-31 2001-12-31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KR200271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37U KR200271102Y1 (ko) 2001-12-31 2001-12-31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37U KR200271102Y1 (ko) 2001-12-31 2001-12-31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02Y1 true KR200271102Y1 (ko) 2002-04-09

Family

ID=7311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1037U KR200271102Y1 (ko) 2001-12-31 2001-12-31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1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27B1 (ko) * 2014-07-11 2015-01-14 전흥도 수동형 핸드 세척기
KR20190001249A (ko) * 2017-06-27 2019-01-04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간치솔
KR20190004578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태엽진동기기 및 이를 구비한 클렌징 도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27B1 (ko) * 2014-07-11 2015-01-14 전흥도 수동형 핸드 세척기
WO2016006833A1 (ko) * 2014-07-11 2016-01-14 전흥도 수동형 핸드 세척기
KR20190001249A (ko) * 2017-06-27 2019-01-04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간치솔
KR101940404B1 (ko) * 2017-06-27 2019-01-18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간치솔
KR20190004578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태엽진동기기 및 이를 구비한 클렌징 도구
KR102496577B1 (ko) * 2017-07-04 2023-0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태엽진동기기 및 이를 구비한 클렌징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392C (zh) 电动牙刷
WO2004084674A1 (ja) 電動歯ブラシ
WO2007077512A2 (en) Electric toothbrush
CN206654378U (zh) 一种电动牙膏管
KR20150061559A (ko) 기계칫솔
KR200271102Y1 (ko)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JP3133817B2 (ja) 電動歯ブラシ
KR200388948Y1 (ko) 전동칫솔의 구동장치
JPH0838256A (ja) 自動歯磨き装置
KR101351695B1 (ko) 전동칫솔
CN210019755U (zh) 一种高效清洁的磁性电动牙刷
KR200470176Y1 (ko) 칫솔
KR200401783Y1 (ko) 전동 칫솔
CN209790065U (zh) 一种刷毛可以沿牙长轴方向往复运动的牙刷
KR200308098Y1 (ko) 자동 칫솔
KR20120073061A (ko) 치아의 정, 후면을 동시에 세정하는 전동 칫솔
CN211610161U (zh) 一种电动三面刷牙器
JPH0237370Y2 (ko)
JP3111903U (ja) 手動及び電動両用の歯ブラシ
CN214549697U (zh) 一种电动牙刷
CN219021656U (zh) 一种摆动式电动牙刷
KR101323700B1 (ko) 전동 칫솔
JPH0211853Y2 (ko)
CN2147842Y (zh) 保健电动牙刷
CN211325794U (zh) 一种实现毛刷移动的电动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