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027B1 - 수동형 핸드 세척기 - Google Patents

수동형 핸드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027B1
KR101481027B1 KR1020140087633A KR20140087633A KR101481027B1 KR 101481027 B1 KR101481027 B1 KR 101481027B1 KR 1020140087633 A KR1020140087633 A KR 1020140087633A KR 20140087633 A KR20140087633 A KR 20140087633A KR 101481027 B1 KR101481027 B1 KR 10148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eaning
coupled
driving shaf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흥도
Original Assignee
전흥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흥도 filed Critical 전흥도
Priority to KR102014008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027B1/ko
Priority to PCT/KR2015/005886 priority patent/WO20160068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 배수구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세척할 수 있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하수구, 배수구 등을 세척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서로 연동되는 제1 내지 제3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세척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수단에 구비되는 세척수단을 회전시켜 배수구 등을 세척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기어가 구비되는 공회전유도공을 통하여 제3 기어와 제2 기어를 이격시켜 제3 기어가 공회전함으로서 제3 기어와 결합되는 세척수단이 고속회전 가능하게 하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형 핸드 세척기{HAND-OPERATED CLEANER DEVICE}
본 발명은 하수구, 배수구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세척할 수 있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하수구, 배수구 등을 세척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서로 연동되는 제1 내지 제3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세척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수단에 구비되는 세척수단을 회전시켜 배수구 등을 세척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기어가 구비되는 공회전유도공을 통하여 제3 기어와 제2 기어를 이격시켜 제3 기어가 공회전함으로서 제3 기어와 결합되는 세척수단이 고속회전 가능하게 하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구, 하수구, 변기 등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솔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를 이용하여 세척솔을 회전시키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34757호 『세척솔과 겸용가능한 핸드믹서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중앙에 모터가 구비되고 내주면 일측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안전핀이 부착되며 상기 안전핀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로스위치B가 안전핀의 상부쪽으로 구비된 본체와, 제어부가 내장되고 일측으로 버튼이 돌출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스위치A가 버튼의 후면에 구비된 손잡이와, 연결구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의 돌출턱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핸드바와, 세척솔로 구성되어지고, 본체의 하단부에 핸드바가 완전히 결합하게 되면 상기 돌출턱이 안전핀에 접하게 되어 안전핀의 움직임을 신호로 받은 마이크로 스위치B가 작동하게 되고, 버튼을 눌러 핸드믹서기를 작동시키면 마이크로 스위치A와 마이크로 스위치B가 작동하게 되어 제어부 상에서 위상제어를 통해 속도를 감속시켜 세척솔의 저속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세척솔과 겸용가능한 핸드믹서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39615호 『다목적용 자동 세척솔』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솔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세제액과 향균제를 분사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여러 가지 세척 대상물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도록 손잡이부와, 넥부와, 솔이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되는데, 손잡이부의 내부공간에는 구동력을 솔로 전달하는 구동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세제액이 충진되어 이를 외부로 분사하는 세제통이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외측면에는 스위치를 형성하고 향균제액이 충진된 향균제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용 자동 세척솔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회전시키는 세척기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이렇나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4692호 『회전 손잡이형 청소기구의 세척솔 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중공형인 육면체형 손잡이부와, 세척솔 몸체와, 손잡이부와 세척솔 몸체를 연결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외측에 설치하되 손잡이부와 세척솔 몸체 사이를 보호하는 주름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솔 몸체의 일측 저면에 다수개의 세척솔을 삽입하고, 동시에 측면 끝단부를 라운드진 돌기형 몸체로 형성하며, 상기 돌기형 몸체의 외주연과 나머지 몸체의 외주연에 동일길이의 세척솔을 결합하여 구성하여 돌기형 몸체 부분의 세척솔이 계단식으로 튀어나오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며 세척솔의 몸체 일단을 돌기형 몸체로 형성하여 계단형으로 세척솔이 심어지기 때문에 유리병이나 우유병의 내측 모서리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세척솔 몸체의 일측에 회전형 손잡이를 설치하여 전후진 동작에 의해서 세척솔 몸체가 회전함으로서 우유병이나 유리병의 내측 청소를 간편하게 하고, 아울러 세척솔 몸체의 일단에 계단형으로 세척솔을 삽입하여 청소대상의 내측 모서리면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잡이형 청소기구의 세척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특2001-0096215호 『세척솔용 회전손잡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의 손잡이 동체와, 상기 손잡이 동체내에 삽입되며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관체와 상기 나사관체내에 내삽되며, 상기 나사홈에 계합되는 나사산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세척솔의 솔대가 연결되도록 한 팽창부재와, 상기 손잡이 동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나사관체에 삽설되어 상기 팽창부재를 탄력적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나사관체내에서 회전되면서 팽창 및 수축되어 상기 세척솔을 회전시키도록 한 세척솔용 회전손잡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세척솔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스위치의 이동에 다라 스위치와 나사산으로 연결된 세척솔이 회전하는 것으로서 스위치를 상하, 좌우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나사산의 나사 형상에 따라 회전함으로서 고속회전이 어려워 강한 회전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동형 핸드 세척기에 있어서,
하우징에 구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구동수단을 손잡이부재와, 제1 내지 제3 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세척수단을 결합함에 따라 손잡이부재를 통하여 제1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 기어 및 제3 기어가 회전하고, 이에 제3 기어에 구비되는 세척수단이 회전하여 제1 기어에 구비되는 손잡이의 회전운동을 통해 세척수단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는 장공 형상의 공회전유도공에 구비되어, 제3 기어가 제2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경우, 제2 기어가 제3 기어와 이격되어 제3 기어가 원심력에 의해 공회전 할 수 있어 고속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재와 분체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손잡이부재의 손잡이를 누르는 경우 탄성체에 의해 다시 손잡이가 원위치 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손잡이를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세척수단을 연속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3 기어를 서로 다른 기어비로 이루어진 톱니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회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분체와, 상기 분체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 , 상기 손잡이부재와 연동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연동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연동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3 기어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수단의 분체에는 상기 제2 기어가 결합되는 공회전유도공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기어가 상기 제3 기어와 이격되어 공회전 하고,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분체를 연결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분체 및 상기 분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연동되는 제2 기어 및 제3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제3 기어에 구비되는 세척수단을 회전시켜 선회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세척수단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는 장공 형상의 공회전유도공에 결합됨에 따라 제1 기어의 선회운동에 의해 제2 기어가 회전하고,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3 기어가 회전하는 경우, 제2 기어가 상기 제3 기어와 이격됨에 따라 제3 기어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수단이 공회전 할 수 있으며, 이를 반복함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분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와 분체를 연결하는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1 기어의 연속적인 선회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상기 제3 기어를 연속회전 가능하게 하고,
제1 내지 제3 기어를 각각 서로 기어비가 다른 톱니부로 형성함에 따라 제3 기어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세척수단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의 체결수단의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의 세척수단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핸드 세척기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구동수단(20) 및 상기 구동수단(20)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돌출되는 세척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은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수단(20)이 구비되는 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13)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구동수단(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수용지지부(131)와 제2 수용지지부(13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3)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재(23)의 핸들부(233)가 돌출될 수 있도록 손잡이공(135)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세척수단(30)과 연결되는 구동축(33)이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본체(11) 또는 제2 본체(12)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7)가 구비되어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를 결합시켜 하우징(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하우징(10)의 수용부(13)에는 구동수단(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수단(20)은 분체(21)와, 상기 분체(21)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23), 상기 손잡이부재(23)와 연동되는 제1 기어(25), 제1 기어(25)와 연동되는 제2 기어(26) 및 상기 제2 기어(26)와 연동되는 제3 기어(2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수단(20)의 분체(21)는 상부분체(211)와 하부분체(2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분체(211)와 하부분체(212)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재(23) 및 복수개의 기어가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고정공(214)이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체(21)에는 손잡이부재(2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부재(23)는 상기 분체(21)에 구비되는 고정공(214)에 결합되고, 일측에 제1 톱니부(231)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수용부(13)에 구비되는 손잡이공(135)을 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핸들부(23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233)를 가압함에 따라 손잡이부재(23)가 결합되는 고정공(214)을 힌지축으로 선회운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톱니부(231)는 제1 기어(25)의 제1 대응톱니부(251)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톱니부(231)의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제2 기어(26)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25)는 제1 톱니부(231)와 대응결합되는 제1 대응톱니부(25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대응톱니부(251)보다 기어비가 큰 제2 톱니부(25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기어(26)에는 상기 제2 톱니부(253)와 결합되는 제2 대응톱니부(261)와, 상기 제2 대응톱니부(261)보다 기어비가 큰 제3 톱니부(2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기어(27)에는 상기 제3 톱니부(263)에 결합되는 제3 대응톱니부(271)와, 상기 제3 대응톱니부(271)보다 크고, 후술하는 회전부재(31)의 제4 대응톱니부(311)와 결합하는 제4 톱니부(27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재(23)의 제1 톱니부(231)의 선회운동에 의해, 제1 대응톱니부(251) → 제2 톱니부(253) → 제2 대응톱니부(261) → 제3 톱니부(263) → 제3 대응톱니부(271) → 제4 톱니부(273) → 제4 대응톱니부(311) 서로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서 회전부재(31)를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부재(31)에 결합되는 세척수단(30)이 회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상기 제1 기어(25) 내지 제3 기어(27)의 톱니부 및 대응톱니부는 각각 서로 기어비가 다르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1 톱니부(231)의 선회운동의 선회 거리가 짧게 형성되어도, 기어비의 변화에 의해 마지막 제4 대응톱니부(311)의 회전량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재(23)와 상기 분체(21)를 연결하는 탄성체(235)를 더 구비함에 따라 손잡이부재(23)의 핸들부(233)를 가압하여 제1 톱니부(231)를 선회운동 시키는 경우, 탄성체(235)의 탄성력에 의하여 핸들부(233)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연속적으로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세척수단(30)의 회전을 유지할 수 잇도록 한다.
다시 상기 제1 톱니부(231)가 선회운동을 하되 탄성체(235)에 의해 복원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어(25) 내지 제3 기어(27)가 역회전을 하여 상기 세척수단(30)이 역회전 하여 회전 방향이 바뀌어 일방향으로 고속회전이 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분체(21)에는 상기 제2 기어(26)가 결합되는 고정공(214)을 장공형상의 공회전유도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기어(26)가 결합되는 고정공(214)이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 기어(26)는 장공을 따라 분체(21)에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1 톱니부(231)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25)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어(25)와 연동되는 제2 기어(26)가 회전하고, 제2 기어(26)의 회전에 따라 제3 기어(27)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 기어(26)가 회전하여 제3 기어(27)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기어(26)는 상기 공회전유도공(215)을 따라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제2 기어(26)가 이동하면서 제3 기어(27)와 이격되어, 제2 기어(26)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3 기어(27)는 제2 기어(26)와 이격됨에 따라 전달받은 회전력을 통하여 공회전을 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제3 기어(27)와 연결되는 세척수단(30)이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233)가 원위치 됨에 따라 제1 톱니부(231)가 역회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어(25)가 역회전을 하게 되고, 역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다시 상기 제2 기어(26)가 공회전유도공(215)을 따라 재위치되어 제3 기어(27)와 연결되게 되며, 핸들부(233)의 작동을 반복함에 따라 제3 기어(27)가 일방향 공회전을 유지할 수 있어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구동수단(20)에는 세척수단(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세척수단(30)은 상기 제3 기어(27)에 결합되는 회전부재(31)와, 상기 회전부재(31)에 결합되는 구동축(33) 및 상기 구동축(33)에 결합되는 세척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 기어(27)에는 회전부재(31)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부재(31)에는 상기 제3 기어(27)의 제4 톱니부(273)에 대응결합되는 제4 대응톱니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분체(212)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 기어(27)와 연동되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제4 톱니부(273)와 제4 대응톱니부(311)의 결합에 의해 회전부재(31)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상기 회전부재(31)의 하부에는 구동축(33)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축(33)은 상기 회전부재(31)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관통공(15)을 통해 돌출되는 구동축(33)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33)에 내삽되며, 세척날개(357)를 구비한 몸체부재(351)가 결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구동축(33)이 상기 하우징(10)내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15)을 통하여 구동축(3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축(33)에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15) 내측에 밀착되는 지지돌기(3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돌기(331)의 하면이 상기 관통공(15) 내측 주변을 지지하여 상기 구동축(33)이 구비되는 회전부재(31)가 상기 분체(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33)에 상기 몸체부재(351)가 내삽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축(33)에는 내삽홈(333)이 구비되고, 상기 내삽홈(333)에 상기 몸체부재(351)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3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재(351)가 구동축(33)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재(351)의 단부는 비대칭형성부(351C)가 형성되고, 상기 내삽홈(333)에는 상기 비대칭형성부(351C)에 대응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비대칭형성부(351C)는 반원, 타원,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세척수단(3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단(30)은 상기 회전부재(31)에 구비되는 세척부재(3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세척부재(35)는 몸체부재(351)와, 상기 몸체부재(35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세척날개(3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세척날개(357)의 유지보수, 배수구에 따른 다양한 세척날개(357)의 활용 등을 위하여 상기 몸체부재(351)를 상기 구동축(33)으로부터 교체가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33)에 몸체부재(351)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견고하게 고정되되, 쉽게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수단(30)에는 체결수단(37)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수단(37)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축(33)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인출홀(371)과, 상기 인출홀(371)에서 상기 내삽홈(333) 내부를 향하여 출몰되는 고정부재(373), 상기 구동축(33)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373)를 고정하는 가압부재(37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73)는 상기 인출홀(371)에 후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375)는 상기 구동축(33)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구동축(3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373)가 삽입되는 슬릿홈(375A)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인출홀(371)은 장홀 형태로 내삽홈(333)의 내, 외부가 연통되도록 구동축(33)에 천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73)는 상기 인출홀(371)의 길이에 상응하는 부재로써, 전, 후단부의 상하 폭이 서로 상이한 쐐기 형상이며, 상하 폭이 좁은 후단부에 구비된 회동축(373A)이 상기 인출홀(371)의 후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전단부가 인출홀(371)에서 회동되면서 내삽홈(333) 내부로 출볼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이 때 상기 전, 후 방향은 상기 몸체부재(351)가 투입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이에 후퇴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또 상기 가압부재(375)는 링 형상의 부재로써, 전단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일부가 절개된 슬릿홈(375A)을 갖고, 상기 슬릿홈(375A)은 전, 후단의 폭이 서로 상이한 전방 광폭부(375Aa)와, 후방 협폭부(375Ab)로 구성되며, 구동축(33) 외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동축(33) 외주면 상에서 상기 인출홀(371)을 덮으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방 광폭부(375Aa)는 상기 고정부재(373)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고, 후방 협폭부(375Ab)는 상기 고정부재(373)의 두께와 동일 또는 상응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재(351)가 구동축(33)으로 내삽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373)의 전단부가 몸체부재(351)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구동축(33) 외측으로 회동되고,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375)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구동축(33)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재(373)가 가압부재(375)의 슬릿홈(375A)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373)가 전방 광폭부(375Aa)를 지나 후방 협폭부(375Ab)에 진입하게 되면, 고정부재(373)가 가압부재(375)에 억지 끼움되면서 회동된 상태가 고정되며, 이 때 후방 협폭부(375Ab)의 끝단부를 상기 고정부재(373)에 접촉되도록 가압하여 고정시키면 가압부재(375)가 고정부재(373)를 구동축(33) 내측으로 밀리도록 가압하게 되어 고정부재(373)의 전단부가 내삽된 고정축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체결상태가 유지되며,
따라서 구동축(33)에 구비된 고정부재(373)는 내삽된 몸체부재(351)를 사방에서 가압하게 되므로 몸체부재(351)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373)는 회동축(373A)이 인출홀(371)의 후단부에 힌지 결합되므로, 몸체부재(351)가 구동축(33)에 내삽될 때 몸체부재(351)의 크기(단면)에 상관없이 몸체부재(351)의 외측면이 고정부재(373)의 전단부에 접촉되면서 고정부재(373)를 외측으로 밀게 되어 고정부재(373)가 구동축(3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되고, 체결이 완료된 후 구동축(33)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재(373)의 외측면에 가압부재(375)가 억지 끼움되면서 고정부재(373)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밖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압부재(375)가 상기 구동축(33) 외주면에서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 시 전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가압부재(375)를 후방으로 밀은 상태에서 몸체부재(351)를 구동축(33)에 삽입한 후 가압부재(375)를 놓게 되면 상기한 고정부재(373)와 슬릿홈(375A)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 때 가압부재(375)를 전방으로 밀어서 억지 끼움을 통한 가압 고정이 완료되며, 이러한 구동축(33)과 가압부재(375) 상이의 슬라이드 결합구조는 당업자라면 스토퍼 및 가이드 구조 등을 통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적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상기 세척수단(30)을 구성하는 몸체부재(351)와 세척날개(357)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세척날개(357)가 천, 타월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원심력에 의하여 펼쳐져 세척할 수 있도록 하거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 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도 6은 상기 몸체부재(351)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세척부재(35)는 상기 구동축(33)에 결합되는 몸체부재(351)와, 상기 몸체부재(351)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53) 및 상기 연결부재(353)의 외면에 구비되는 세척날개(357)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353)에는 복수개의 인장공(353A)과, 상기 인장공(353A) 사이에 구비되어 세척날개(357)가 구비되는 팽창부(353B)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353)의 상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팽창부(353B)가 상기 몸체부재(351)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재(351)에는 세척날개(357)가 구비된 연결부재(353)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353)는 몸체부재(351)의 외면에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몸체부재(351)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재(353)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탱부(351A)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353)의 하부에는 상기 지탱부(351A)의 상면에 밀착 구비되는 밀착부(353C)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351)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51B)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돌기(351B)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선부(351Ba)와, 상기 사선부(351Ba)와 연결되는 직선부(351Bb)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353)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351B)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5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53)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돌기(351B) 또한 변형이 쉬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53)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353D)가 상기 고정돌기(351B)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며, 가압된 고정돌기(351B)의 바로 위 고정돌기(351B) 직선부(351Bb) 하부에 상기 결합부(353D)가 위치함으로서 연결부재(353)의 상부를 하강하였을 경우, 다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승 시키는 경우에는 일정한 힘을 가하여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돌기(351B)를 강제적으로 변형시켜 연결부재(353)가 상승 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353)의 임의적인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353D)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351)의 외면을 감싸는 고정클립(355)을 구비하여 회전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연결부재(353)의 상부가 다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53)에는 복수개의 인장공(353A)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인장공(353A)들 사이에 각각 세척날개(357)가 구비되는 팽창부(353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53)의 상부를 하강하는 경우, 상기 팽창부(353B)가 몸체부재(351)로부터 멀어지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팽창부(353B)에 구비되는 세척날개(357)의 끝단부의 회전 반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세척을 하고자 하는 배수관의 직경에 따라 세척날개(357)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상기 연결부재(353)의 상부를 승하강 조절함으로서 세척날개(357)의 회전반경을 변화시켜 세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상기 연결부재(353)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몸체부재(351)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볼트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재(351)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부재(353)가 회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핸드 세척기 10 : 하우징
11 : 제1 본체 12 : 제2 본체
13 : 수용부 131 : 제1 수용지지부
133 : 제2 수용지지부 135 : 손잡이공
15 : 관통공 17 : 결합돌기
20 : 구동수단 21 : 분체
211 : 상부분체 212 : 하부분체
214 : 고정공 215 : 공회전유도공
23 : 손잡이부재 231 : 제1 톱니부
233 : 핸들부 235 : 탄성체
25 : 제1 기어 251 : 제1 대응톱니부
253 : 제2 톱니부 26 : 제2 기어
261 : 제2 대응톱니부 263 : 제3 톱니부
27 : 제3 기어 271 : 제3 대응톱니부
273 : 제4 톱니부 30 : 세척수단
31 : 회전부재 311 : 제4 대응톱니부
33 : 구동축 331 : 지지돌기
333 : 내삽홈 35 : 세척부재
351 : 몸체부재 351A : 지탱부
351B : 고정돌기 351Ba : 사선부
351Bb : 직선부 351C : 비대칭형성부
353 : 연결부재 353A : 인장공
353B : 팽창부 353C : 밀착부
353D : 결합부 355 : 고정클립
357 : 세척날개 37 : 체결수단
371 : 인출홀 373 : 고정부재
373A : 회동축 375 : 가압부재
375A : 슬릿홈 375Aa : 광폭부
375Ab : 협폭부

Claims (4)

  1.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분체(21)와, 상기 분체(21)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23), 상기 손잡이부재(23)와 연동되는 제1 기어(25), 상기 제1 기어(25)와 연동되는 제2 기어(26) 및 상기 제2 기어(26)와 연동되는 제3 기어(27)를 포함하는 구동수단(20);
    상기 구동수단(20)에 연결되어, 상기 제3 기어(27)에 결합되는 회전부재(31)와, 상기 회전부재(31)에 결합되는 구동축(33) 및 상기 구동축(33)에 결합되는 세척부재(35)를 포함하는 세척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수단(20)의 분체(21)에는 상기 제2 기어(26)가 결합되는 공회전유도공(215)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기어(26)가 상기 제3 기어(27)와 이격되어 공회전 하고,

    상기 세척수단(30)의 세척부재(35)는
    상기 구동축(33)에 결합되는 몸체부재(351)와, 상기 몸체부재(351)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53) 및 상기 연결부재(353)의 외면에 구비되는 세척날개(357)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353)에는 복수개의 인장공(353A)과, 상기 인장공(353A) 사이에 구비되어 세척날개(357)가 구비되는 팽창부(353B)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353)의 상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팽창부(353B)가 상기 몸체부재(351)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23)와 상기 분체(21)를 연결하는 탄성체(23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기어(25)(26)(27)는 각각 서로 다른 기어비로 이루어진 톱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30)에는 체결수단(37)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체결수단(37)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축(33)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인출홀(371)과, 구동축(33)에 구비되는 내삽홈(333) 내부를 향하여 출몰되는 고정부재(373) 및 상기 구동축(33)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373)를 고정하는 가압부재(3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핸드 세척기.
KR1020140087633A 2014-07-11 2014-07-11 수동형 핸드 세척기 KR101481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33A KR101481027B1 (ko) 2014-07-11 2014-07-11 수동형 핸드 세척기
PCT/KR2015/005886 WO2016006833A1 (ko) 2014-07-11 2015-06-11 수동형 핸드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33A KR101481027B1 (ko) 2014-07-11 2014-07-11 수동형 핸드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027B1 true KR101481027B1 (ko) 2015-01-14

Family

ID=5258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633A KR101481027B1 (ko) 2014-07-11 2014-07-11 수동형 핸드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1027B1 (ko)
WO (1) WO20160068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151B1 (ko) * 2015-04-16 2016-05-27 (주)아폴로세이코코리아 셀렉티브 솔더링머신 노즐용 회전클리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043Y1 (ko) * 1999-06-24 2000-02-15 김유성 수동회전병세척기
KR200271102Y1 (ko) * 2001-12-31 2002-04-09 노성열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KR20020037314A (ko) * 2002-04-17 2002-05-18 윤문식 병 소제용 전동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20889Y (zh) * 2004-08-25 2005-08-31 王世杰 手动牙刷
US7310844B1 (en) * 2005-07-13 2007-12-25 Rehco Llc Toothbrush with manual powered movable brush hea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043Y1 (ko) * 1999-06-24 2000-02-15 김유성 수동회전병세척기
KR200271102Y1 (ko) * 2001-12-31 2002-04-09 노성열 수동력으로 작동되는 칫솔
KR20020037314A (ko) * 2002-04-17 2002-05-18 윤문식 병 소제용 전동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151B1 (ko) * 2015-04-16 2016-05-27 (주)아폴로세이코코리아 셀렉티브 솔더링머신 노즐용 회전클리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833A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0676U (ja) ウォーターガンのシャワーモード変換の伝動機構
US6318596B1 (en) Product dispenser
CN112871481B (zh) 一种往复驱动的花洒出水切换结构
CN112221742A (zh) 一种伸缩花洒
KR20080006393U (ko) 세척용 브러시
EP3434836A1 (en) Sterilized water spray device and bidet seat having same
KR101481027B1 (ko) 수동형 핸드 세척기
CN108144933B (zh) 一种瓶体清洗装置
US20050050666A1 (en) Hand roller device for removing or receiving or applying liquids from or to bases or for cleaning bases
CN113385507B (zh) 一种医用管具清洗设备
KR20100004548A (ko) 브러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세척기구
CN107716135B (zh) 一种拨动切换出水装置
CN108784566B (zh) 一种地面清洁用具
GB2576065A (en) Push-button switching shower head structure
CN111457128A (zh) 一种切换机构及其龙头
JP6501244B2 (ja) 伸縮式クリーナ
CN214052128U (zh) 一种伸缩花洒
CN205128222U (zh) 一种按压切换花洒
CN215831206U (zh) 一种出水切换装置
CN210784209U (zh) 一种可自动清洗的拖把
CN214052125U (zh) 一种伸缩花洒
CN215313274U (zh) 一种花洒的出水切换结构
KR200274243Y1 (ko) 젖병솔
CN216797551U (zh) 一种滚刷可拆的清洁头
KR200429736Y1 (ko) 용기세척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