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772Y1 - 수직편향회로 - Google Patents

수직편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72Y1
KR850000772Y1 KR2019830004194U KR830004194U KR850000772Y1 KR 850000772 Y1 KR850000772 Y1 KR 850000772Y1 KR 2019830004194 U KR2019830004194 U KR 2019830004194U KR 830004194 U KR830004194 U KR 830004194U KR 850000772 Y1 KR850000772 Y1 KR 850000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ircuit
voltage
resis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921U (ko
Inventor
최학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4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772Y1/ko
Publication of KR840007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편향회로
제1도는 종래의 토템플(totempole)형 수직편향출력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편향출력회로 2 : 귀선펄스조정부
3 : 수직발진회로 L : 수직편향코일
tr : 귀선기간 Vr : 귀선펄스의 진폭
Vr' : 수직편향코일(L)의 귀선펄스전압 Lv : 수직편향코일(L)의 인덕턴스
Rv : 수직편향코일(L)의 직류저항
Rd :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TR11)의 내부저항
C1, C11: 결합콘덴서 C1, C12: 부트스트랩콘덴서
Vcc : 구동전원전압
본 고안은 전자(電磁) 편향방식의 브라운관을 이용한 화상재현장치 또는 텔레비젼 등에 있어서 전자빔을 전자(電磁)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편향(垂直偏向)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목적으로 널리 사용된 회로로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템플(totempole) 출력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수직편향회로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입력전력 대 출력전력의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출력트랜지스터에서의 손실이 비교적 큰 값이 되므로 대면적의 방열판을 설치해야 하는 설계상의 난점과 제조비용이 비교적 높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수직편향회로방식의 제결점을 개선시킨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에 이거하여 종래회로와 비교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존의 토템플 수직편향출력회로(1)에 저항(R17)(R18)과 다이오드(D13) 및 콘덴서(C13)로 구성되는 귀선펄스조성부(2)를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은 수직발진회로, L은 편향코일, Lv는 수직편향코일(L)의 인덕턴스, Rv는 수직편향코일(L)의 직류저항, tr은 귀선기간, Vr은 귀선기간(tr)의 직폭, Vr'는 수직편향코일(L)의 귀선펄스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수직편향회로의 귀선기간(tr)은
로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에서 Lv는 수직편향코일(L)의 인덕턴스(Inductance) 이고 Rd는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의 내부저항이며, Rv는 수직편향코일(L)의 직류저항이다. 그런데 제1도와 같은 종래의 토템플 출력회로방식에 있어서 수직편향코일(L)에서 발생되는 귀선펄스(歸線) 펄스, Fly Back Pulse)는 구동전원전압(Vcc)으로써 클램프(Clamp) 되기 때문에 1)식에서 내부저항(Rd)을 0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상기 1)식은
로 나타낼 수가 있다.
실제로 주사기간의 약 6% 정도의 귀선기간(tr)을 갖는 수직편향회로의 동작에 있어서 귀선기간(tr), 편향코일의 인덕턴스의(Lv), 편향전류에 첨두치(Ipp), 귀선펄스의 진폭(Vr) 간에는 회로가 선형(線形 : Linearity)으로 조정된 경우에
의 식과 같은 관계가 성립된다.
상기 2)와 3)식으로 부터 귀선기간(tr)의 진폭(Vr)은
으로 되는데, 제3도(2)의 파형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향전류의 첨두지(Ipp)는
의 관계가 있으므로, 상기 4)식과 5)식으로 부터 귀선펄스의 진폭(Vr)은
의 관계가 성립됩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6)식이 의미하는 것은, 수직편향회로에서r필요한 만큼의 귀선기간(tr)을 갖는 편향전류를 얻기위해서는 제3도(2)의 파형도에서 사선부분(Z)에 해당하는(Vr×편향정류평균치) 만큼의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발생하고, 이 손실전력은 수직출력트랜지스터 내에서 열을 발생시키므로 효율이 나빠지게 되는데 이러한 점들이 회로전체의 방열설계등 어려운 문제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종래의 토템플 수직편향회로의 동작을 제1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전원전압(Vcc)이 회로내에 투입되면 감결합저랑(R4) 및 바이어스저항(R3)을 통하여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3도의 기간(t2~t3) 동안에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의 에밋터에는 HFE 배만큼의 전류가 흘러서 결합콘덴서(C1)를 충전하면서 편향코일(L)에 전류를 흘리게 된다.
t3의 시간이 되었을 때에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전류가 저항(R1)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HFE 배만큼 증폭된 전류가 결합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에 의하여 저항(R2)과 직렬저항(R6) 및 편향코일(L)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는제 도3의(1)의 파형에서 기간(t3~t4)에 해당하는 톱니파전류와 같은 출력전류가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전류가 흐르고 있는 기간(t3~t4) 동안에는 저항(R2)에서 강하되는 전압이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와 에밋터에 역전압으로 걸리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컷 오프(cut off)된다. 시간 t4가 되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전압이 급격히 부(負)로 되고 트랜지스터(TR2)는 컷 오프(cut off)되어 이후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제1도의 회로중 다이오드(D2)는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의 보호용이고, 저항(R5)은 출력톱니파 전류의 직선성을 좋게 하기위한 부궤환저항이며, 콘덴서(C2)는 부트스트랩(Bootstrap) 콘덴서로서 기간(t2~t3) 동안에 저항(R3) 양단에 발생하는 톱니파전압을 효과적으로 출력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와 에밋터간에 공급해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한 종래의 수직편향회로를 개선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수직발진회로(3) 및 수직편향코일(L)은 제1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것이며, 수직편향출력회로(1)의 회로소자들도 제1도에 나타낸 소자와 목적 및 동작상태가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수직편향출력회로(1)의 상단에 설치된 귀선펄스조성부(2)는 주(主) 구동전압(Vcc)의 약 2배 또는 그 이상이 되는 정(正)의 직류전압(VB)을 이용하여 편향코일(L)의 귀선펄스를 조성하여 주는데,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C'점)에는 다이오드(D13)를 통하여 공급된 구동전압(Vcc)이 가해지게 되며,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1)의 동작기간(t2~t3) 동안 Vcc 만큼의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1)가 컷 오프(cut off) 되고 트랜지스터(TR12)가 동작하는 기간(t3~t4)에 C'점의 전위는 구동전원전압(Vcc)의전위로 부터 전압(VB)을 향하여 상승하게 된다. 즉, 구동전원전압(Vcc)의 2배이상인 전압(VE)에 의해서 콘덴서(C13)가 저항(R18)을 통해 충전되므로 C'점의 전위는 제3도의(4)의 곡선부와 같이 상승하게 되고, 기간(t3~t5) 동안에 상승전압치는 Vr' 만큼이 된다.
t4의 시간에서는 트랜지스터(TR12)가 컷 오프(cut off)되며, t5의 시간에서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1)가 반복동작을 개시하게 되어 순간적으로 콘덴서(C13)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트랜지스터(TR12)를 통하여 방전하게 되므로 C'점은 본래의 전압인 구동전원전압(Vcc)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다시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1)가 컷 오프(cut off)되고 트래지스터(TR12)가 동작을 개시하는시간(t6)에 도달하면 콘덴서(C13)는 저항(R18)을 통하여 전압(VE)의 충전을 시작하여 귀선펄스 전압(Vr')까지 상승을 계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B'점에는 제3도의 (3)과 같은 편향출력파형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본 고안에서 저항(R17)은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1)의 바이스저항으로서 전압(VB)으로 부터 베이스전류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저항(R18)은 편향코일(L)의 임피던스(Impedance)에 비하여 대단히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출력트랜지스터(TR11)의 동작기간 동안에 C'점의 전위를 구동전원전압(Vcc)치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며 이 동안에만큼의 전력손실이 저항(R18)에서 발생한다. 또한 기간(t3~t5)의 충전기간 동안에 약정도의 전력손실이 저항(R18)에서 발생하므로 전체적으로는정도의 전력손실이 저항(R18) 내에서 발생하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저항(R18)의 값을 편향코일(L)의 임피던스에 비하여 대단히 큰 값으로 설정함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전력손실은 전술한 종래토템플 편향출력회로에서의 사선부분(Z)에 해당하는 기간동안에 발생하는 출력트랜지스터(TR1)에서의 손실전력치에 비하여 매우 적은 값이 된다. 더우기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회로는 동일한 구동전원전압(Vcc)을 사용하므로 출력트랜지스터(TR1)에서 사선부분(Z)에 해당하는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발생하고, 식 6)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구동전원전압(Vcc)의 약 1/2에 불과한 편향출력전압(첨두치) 밖에는 얻을 수가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동일한 구동전원전압(Vcc)을 사용하면서도 사선부분(Z)과 같은 전력낭비발생이 없으므로 출력트랜지스터(TR11)의 방열설계의 필요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구동전원전압(Vcc)의 값과거의 동일한 편향출력전압(첨두치)을 얻을 수 있으므로 편향회로의 효율을 월등히 개선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기존의 트템플 수직편향출력회로(1)에 저항(R17)(R18)과 다이오드(D13) 및 콘덴서(C13)로 구성되는 귀선펄스 조성부(2)를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는 수직편향회로.
KR2019830004194U 1983-05-12 1983-05-12 수직편향회로 KR850000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4194U KR850000772Y1 (ko) 1983-05-12 1983-05-12 수직편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4194U KR850000772Y1 (ko) 1983-05-12 1983-05-12 수직편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921U KR840007921U (ko) 1984-12-26
KR850000772Y1 true KR850000772Y1 (ko) 1985-04-29

Family

ID=1922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194U KR850000772Y1 (ko) 1983-05-12 1983-05-12 수직편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7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921U (ko) 198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70727A (en) Transistor circuit for applying sawtooth currents to an inductance
KR850000772Y1 (ko) 수직편향회로
US3917977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s for electron beam scanning
KR850001658B1 (ko)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US4031430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3801857A (en) Television deflector circuit with transformerless coupling between the driver and output stage
US4492881A (en) Stored charge inverter circuit
US4238713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3890542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s
JPS5846112B2 (ja) 偏向出力回路
CA1088666A (en) Vertical deflection output circuit
CA1141024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including protection for output transistor
JPS6324698Y2 (ko)
JP3456586B2 (ja) 偏向装置
KR800000997Y1 (ko) 수직 편향회로
SU705655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тока
JP2617483B2 (ja) ポンプアップ回路
JPS584351Y2 (ja) スイヘイヘンコウシユツリヨクトランジスタノレイシンカイロ
JPS6121894Y2 (ko)
JP2773323B2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電圧発生回路
KR820000683B1 (ko) 수직 편향회로
KR910003642Y1 (ko) 비교 톱니파 발생회로
JPS6025174Y2 (ja) 水平出力回路
EP0249055A2 (en) Power amplifiers for driving inductive loads
KR900004805Y1 (ko) 과열방지 고압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