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80B1 -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80B1
KR850000680B1 KR1019810000658A KR810000658A KR850000680B1 KR 850000680 B1 KR850000680 B1 KR 850000680B1 KR 1019810000658 A KR1019810000658 A KR 1019810000658A KR 810000658 A KR810000658 A KR 810000658A KR 850000680 B1 KR850000680 B1 KR 85000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rton pack
ejection
plu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027A (ko
Inventor
유끼오 고나까
Original Assignee
시부야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부야 료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부야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부야 료오지 filed Critical 시부야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680B1/ko
Publication of KR83000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027A/ko
Priority to KR1019840008522A priority patent/KR85000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4Forming or attaching means for filling or dispensing contents, e.g. valv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제1도는 서로 접착되는 카톤팩과 주출마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중 주출마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확대 종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각각 제4도도의 (Ⅴ)-(Ⅴ)선, (Ⅵ)-(Ⅵ)선 및 (Ⅶ)-(Ⅶ)선의 횡단면도.
제8도는 제4도의 (VIII)-(VIII)선 종단면도.
제9(a)도, 제9(b)도, 제9(c)도 제4도 내지 제8도에 표시한 위치결정기구의 주요 부분의 각각 다른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개략평면도.
제10도는 제3도에 표시한 중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 종단면도.
제12도는 제3도의 (XII)-(XII)선 확대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중요부분 확대도.
제14도는 제13도의 정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평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각각 제13도의 (XVI)-(XVI)선 및 (XVII)-(XVII)선 횡단면도.
제18도는 제12의 (XVIII)-(XVIII)선 횡단면도.
제19도는 히이터에 의한 카톤팩과 주출마개의 가열상태를 표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XX)-(XX)선 횡단면도.
제21도는 히이터의 평면도.
본 발명의 우유, 쥬우스, 청주 등의 용기로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카톤팩에, 그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마개를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톤팩은 우유, 쥬우스류를 비롯하여 최근에는 청주류에도 사용하는 등, 그 용도를 확대하고 있으나, 종래의 카톤팩은 그 내부의 내용물을 주출할 경우에는 종이용기의 접착부분 위치를 찢거나, 절단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개봉작업이 매우 곤란하고 번잡해서 주출하기 위한 절차가 용이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또한 개봉 후에 밀봉선을 유지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생보존성을 필요상으로도 개량의 여지가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카톤팩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톤팩에 주출마개를 부착하는 것에 착안하고 또한 카톤팩의 표면에는 보통 방수 등을 목적으로 하여서 열가소성 수지피막을 행하는 점에 착안하여, 합성수지제의 주출마개를 이 열가소성수지 피막에 대하여 부착되도록 하여서 카톤팩의 개봉성의 향상과 개봉후의 밀봉성 유지를 도모하도록 한 카톤팩에 주출마개를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카톤팩의 주출마개 접착 예정위치와, 합성수지제의 주출마개의 접착 끝면과의 양자를 가열하고, 가열된 상태의 양자를 눌러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가열에 의하여 연화용융되는 카톤팩의 열가소성수지피막의 성질을 이용하여 합성수지제의 주출마개를 접착한다.
카톤팩에 실시하는 열가소성수지피막은 그 종류가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일반적으로는 폴리에틸렌계의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외에도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에스테르,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주출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수지는 카톤팩의 열가소성수지피막에 대하여 접착성이 양호한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계, 기타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양자간에 접착제를 개재시켜도 좋다.
한편, 카톤팩은 세로 길이의 직방체형상으로서 그 상부 양쪽에 경사면을 보유한 것이 널리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마개를 상기한 경사면에 부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되어지나, 상기한 일반적인 형상의 카톤팩을 정립한채로 주출마개의 접착예정 위치, 즉 상기한 경사면을 가열할 때에는 특히 경사면의 하부면이 내용물인 액체에 접촉되어 있거나, 혹은 그 액면에 매우 접근된 상태로 있으므로, 그 경사면의 하부와 상부에서 가열에 의한 얼룩이 발생하여 완전한 주출마개의 접착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에 경사면을 보유하고 이 경사면을 주출마개의 접착예정 위치로 하는 카톤팩을 상기한 경사면이 거의 수평상태로 되도록 경사시켜서 경사면과 내용물의 액면과의 간격을 거의 균일되게 하며,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한 경사면의 주출마개 접착 예정위치를 히이터로 가열하는 것으로서 균일한 가열을 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는 카톤팩(A)과 주출마개(B)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로서, 상기한 카톤팩(A)은 전체로서 직방체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그 정상부에는 경사면(1)을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이 경사면(1)에는 개구(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카톤팩(A)은 그 개구(2)를 생략하면 종래 주지되어 있는 카톤팩과 다른 점이 없다.
한편, 주출마개(B)는 주출구부재(3)와 마개(4)로 구성되며, 주출구부재(3)는 한쪽에 절결(6)를 형성한 통상부(6)와 이 통상부(6)의 말단에 형성된 플랜지형상의 카톤팩(A)에의 접착부(7)를 보유한다.
상기한 마개(4)는 밑바닥을 보유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출구부재(3)의 통상부(6)에 끼워져서 이 통상부(6) 및 절결(5)의 개구부분을 폐쇠하여 카톤팩(A)을 밀봉한다.
상기한 카톤팩(A)과 주출마개(B)는 주출구부재(3)에 마개(4)가 끼워진 상태로서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에 의해서 카톤팩(A)의 개구(2)주위와 주출마개(B)의 접착부(7) 끝면이 각각 가열된 후에 서로 눌러서 맞닿게하여 접착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 절결(5)를 윗쪽으로 하여서 주출마개(B)를 카톤팩(A)에 접착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주출마개(B)의 방향을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본적으로 원형상인 접착부(7)의 주변에 절결(5)을 중심으로 한 양쪽 위치에 돌출부(7a)(7a')를 형성하여서 그 접착부(7)의 외주형상을 대략 D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접착부(7)의 방향에서 상기한 절결(5)의 방향을 결정한다.
다음에 제3도 이후의 도면에 따라서, 상기한 카톤팩(A)과 주출마개(B)를 접착시키기에 바람직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1실시예를 표시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평면도를 표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카톤팩(A)은 공급콘베이어(11)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공급콘베이어(11)의 선단부의 설치된 고정스톱퍼(12)에 맞닿게 하여서 정지된다.
이 고정스톱퍼(12)의 바로 앞에서 L자형의 압축부재(13)가 배설되어 실린더장치(14)에 의해서 공급콘베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동작하고 있다.
상기한 압출부재(13)는 고정스톱퍼(12)에 맞닿게 하여서 정지되는 카톤팩(A)을 횡방향으로 밀어보내는 압출부분과, 이 카톤팩(A)에 계속하는 다음의 카톤팩(A)을 정지시키는 스톱퍼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실린더장치(14)로서 작동되어 카톤팩(A)을 하나씩 횡방향으로 밀어보낸다.
카톤팩(A)을 밀어보내는 쪽에는 한쌍의 스프로켓(15)(16)에 건너 질러놓은 체인(17)이 상기한 공급콘베이어(11)와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으며, 이 체인(17)에는 소정 간격마다 계합편(18)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실린더장치(14)는, 체인(17)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진행방향 전후의 계합편(18)사이에 카톤팩(A)을 차례로 밀어 보내며, 이것에 의하여 공급되는 카톤팩(A)은 계합편(18)의 간격에 일치하는 간격을 전후에 두게 된다.
체인(17)에 의한 카톤팩(A)의 반송방향 앞쪽에는 스타휠(19)이 설치되고, 체인(17)과 동기하여서 회전되는 이 스타휠(19)은 그 외주의 등간격 위치에 형성한 포켓ㅌ부(20)와 각포켓부(20)에 설치되어서 카톤팩(A)을 흡착하는 바큠컵(도면표시 생략) 및 스타휠(19)의 외주에 따르는 고정가이드(21)로서 상기한 체인(17)의 계합편(18)에 의하여 이송되는 카톤팩(A)을 수취하고, 후술하는 회전체(22)내로 그 카톤팩(A)을 공급한다.
한편, 카톤팩(A)에 부착되는 주출마개(B)는 슈우트(23)에서 그 주출마개(B)의 방향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위치결정기구(24)로 공급되고, 이 위치결정기구(24)에 의해서 방향이 결정된 주출마개(B)는 주출마개 반송원판(25)(26)을 개재하여 상기한 회전체(22)내로 공급된다(제10도 참조).
제4도 내지 제8도는 상기한 위치결정기구(24)를 표시하고, 이 위치결정기구(24)는 기틀(27)에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축지지된 수직방향의 구동축(28) 및 이 구동축에 고정된 회전테이블(29)을 구비하고, 이 회전테이블(29)에는 동일 원주상에서 90도의 등간격 위치에 각각 주출마개(B)를 재치시키기 위한 회전대(30)가 설치되어 있다.
각 회전대(30)는 각각 미끄럼베어링(31) 및 로울러베어링(32)에 의해서 자신의 수직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이 자유 자재롭게 축지지되며, 미끄럼베어링(31)은 이것을 둘러싼 통형상의 브라켓(33) 및 브라켓(33)을 회전테이블(29)에 고정하는 나사 (34)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로울러베어링(32)은 구동축(28)을 중심으로 하는 링형상의 지지판(35) 및 지지판(35)을 각 회전대(30)의 중간위치에 있어서 회전테이블(29)에 고정하는 연결부재(도면표시 생략)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한 회전대(30)의 축부에는 승강로드(36)가 승강이 자유자재롭게 설치되고, 이 승강로드의 상단에는 주출마개(B)의 통상부(6)내경에 대략 일치하여 주출마개(B)의 센터링을 행하는 원추형상의 센터링부재(37)가 설치된다
승강로드(36)의 하단은 회전대(30)의 축부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단에 고정된 수평방향의 브라켓(38)에는 켐플로어(39)를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한 링형상의 지지판(35)의 하면에는 브라켓(38)을 그 양쪽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여 승강로드(36)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4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승강로드(36) 및 센터링부재(37)는, 보통은 자체중량에 의해서 하강단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때 센터링부재(37)의 상면 및 회전대(30)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회전테이블(29)의 상면에 일치하고 있다.
그래서 캠플로어(39)의 이동궤적 도중, 즉 상기한 슈우트(23)의 선단부 근처에 있어서 그 캠플로어(39)를 따라서 브라켓(38) 및 승강로드(36)를 개재하여 상기한 센터링부재(37)를 상승시키는 캠판(41)을 기틀(27)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슈우트(23)는 센터링부재(37)의 회전궤적 위의 1점을 선단부로 하고, 여기에서 접선방향 윗쪽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제8도 참조), 주출마개(B)의 접착부(7) 양쪽을 지지한 상태에서, 주출마개(B)의 자체중량에 의해 연속적으로 주출마개(B)를 슈우트(23)의 선단부로 공급한다.
이 선단부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계합조(도면표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출마개(B)는 슈우트(23)의 선단위치에서 그 계합조에 끼워 맞추어서 정지하므로, 슈우트(23)에서 자체중량에 의해 탈락되는 일은 없다.
센터링부재(37)는 회전테이블(29)의 회전에 따라서 슈우트(23)의 선단부로 접근하면 상기한 캠판(41)의 캠에 의해서 상승하여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슈우트(23)의 선단부에서 정지하고 있는 주출마개(B)에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센터링부재(37)가 주출마개(B)에 끼워맞추어지면, 상기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계합조에 대항하여 주출마개(B)를 슈우트(23)로부터 인출하여 주출마개(B)를 회전대(30)위로 재치함과 동시에, 그 원추형상에 의하여 주출마개(B)의 센터링을 행한다. 센터링부재(37)가 주출마개(B)를 인출하면 이것에 후속되는 주출마개(B)는 자체중량에 의해서 전진하고, 상기한 계합조에 의하여 정지되어서 다음의 센터링부재(37)에 의한 인출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진다.
센터링부재(37)에 의하여 슈우트(23)에서 인출되어 회전대(30) 위에 재치된 주출마개(B)는 다음에 압압부재(42)에 의하여 회전대(30) 위로 눌리게 된다.
이 압압부재(42)는 4개의 회전대(30) 바로 상부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승강틀체(43)에 대해서 승강이 자유자재롭게 설치된다.
압압부재(42)의 하단면에는 원추형상의 가이드구멍(44)이 형성되어 이 압압부재(42)에 의한 주출마개(B)를 누를 때에 상기한 센터링부재(37)와 협동하여서 주출마개(B)의 센터링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되어있다.
각 압압부재(42)의 상단에는 이탈방지용 부재(45)가 부착되어 있으며, 또 압압부재(42)와 승강틀체(43)와의 사이에는 스프링(46)을 삽입하여 압압부재(42)를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상기한 승강틀체(43)는 각각 2개의 평행한 가이드로드(47)(48)에 따라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으며(제6도 참조), 또 이들 승강틀체(43)와 가이드로드(47)(48)을 지지하는 원판(49)과의 사이에 각각 스프링(50)을 개재하여 승강틀체(43)를 윗쪽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각 승강틀체(43)는 캠 플로어(51)를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축지지하고, 상기한 스프링(50)에 따라 캠 플로어(51)의 이동궤적 윗쪽에 있어서 기틀(27)에 고정된 캠 부재(52)에 그 캠 플로어(51)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승강틀체(43)는 슈우트(23)의 선단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이것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캠부재(52)의 캠곡선에 따라 상승위치에 위치한다.
그래서 슈우트(23)의 선단부분을 통과하여 이것과의 간섭의 우려가 없어지면, 캠부재(52)에 의하여 스프링(50)에 대항하여서 하강된다. 이로인하여 상승틀체(43)의 하강에 따라서 압압부재(42)도 일체적으로 하강되어 상기한 슈우트(23)에서 회전대(30) 위로 인출되어 있는 주출마개(B)의 상단에 맞닿게 된다.
승강틀체(43)는 압압부재(42)가 주출마개(B)에 맞닿게 되어도 다시 조정량만큼 상기한 캠부제(52)에 의해서 하강한다. 따라서, 주출마개(B)는 회전대(30)와 압압부재(42)와의 사이에서 스프링(46)의 탄발력으로서 사이에 끼이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때 상술한 바와같이 압압부재(42)의 가이드구멍(44)과 센터링부재(37)에 의하여 주출마개(B)의 센터링이 행해진다. 이와같이 하여서 센터링이 행해지면, 센터링부재(37)는 캠판(41) 및 자체중량에 의하여 회전대(30) 및 회전테이블(29)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위까지 하강한다.
다음에, 상기한 주출마개(B)는 회전대(30)와 압압부재(42)에 끼워진 상태로서 회전대(30)의 회전에 따라 회동된다.
회전대(3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 회전대(30)에는 마찰디스크(53)를 일체로 부착하고, 한편 기틀(27)에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28)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회전각도에 걸쳐서 상기한 마찰디스크(53)의 외주에 접촉되는 마찰캠판(54)을 부착하고 있다.
도면표시한 실시예에서 이 캠판(54)은 180도 이상의 회전범위로 설치되어, 마찰디스크(53)의 직경과의 관계에서 이 마찰디스크(53) 및 회전대(30)를 거의 2회전 시킬 수 있게되어 있다.
한편, 주출마개(B)가 자전됨과 동시에 주출마개(B)의 접착부(7)외주에 계합편(55)이 탄성적으로 접촉하여서 끼워 맞추어지며, 이 계합편(55)은 주출마개(A)가 소정방향으로 향할 때에 상기한 접착부(7)의 돌출부(7a)에 끼워맞추어서 그 이상의 주출마개(B)의 자전을 저지하므로서 주출마개(B)회전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합계 4개의 계합편(55)은 각각의 회전대(30)에서 내측 위치에 있어 축(56)에 의하여 회전테이플(29)에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축(56)의 하단에는 피니온(57)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피니온(57)에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섹터(sector) 기어(58)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전술한 2개의 평행한 가이드로드(47)(48)중, 한쪽의 가이드로드(48)의 일단은 회전테이블(29)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단에 상기한 섹터기어(58)를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축지지하고 있다.
각 섹터기어(58)의 하단면에는 각각 캠 플로어(59)를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캠 플로어(59)는 전기한 마찰캠판(54)의 상면에 중복되어 기틀(27)에 대해서 고정된 캠판(60)의 캠면에 스프링(61)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제5도에서는, 이 스프링(61)은 하나만 표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섹터기어(58)와 회전테이플(29)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인장력으로서 상기한 캠 플로어(59)를 캠판(60)의 캠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고 있다.
캠 플로어(59)를 축지지하는 섹터기어(58)는 캠판(60)의 형상에 따라서 가이드로드(48)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되고, 섹터기어(58)가 요동되면 이것에 맞물리고 있는 피니온(57) 및 축(56)을 개재하여 계합편(55)이 요동된다.
이 계합편(55)은 슈우트(23)의 선단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이것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회전대(30)에서 떨어진 위치로 위치된다. 그래서 슈우트(23)의 선단부분을 통과하여 주출마개(B)가 회전대(30)와 압압부재(42)의 사이에 스프링(46)의 힘에 의하여 끼워지게 되면, 상기한 계합편(55)은 캠판(60) 및 스프링(61)의하여 주출마개(B)의 접착부(7)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대(30)와 일체의 마찰디스크(53)외주가 마찰캠판(54)에 접촉하여 양자의 마찰력에 의해서 마찰디스크(53)가, 따라서 이것과 일체로 되어있는 회전대(30), 주출마개(B) 및 압압부재(42)가 같이 회전된다.
상기한 계합편(55)의 주출마개(B)와의 접촉부분은 특히 제9(c)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장방형의 판형상부분에 접착부(7)의 한쪽 돌출부(7a)와 이것에 연속하는 원호부를 포함한 외주형상에 일치하는 계합요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계합요부(62)의 선단부쪽은 상기한 한쪽 돌출부(7a)에 맞닿게 하여 주출마개(B)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퍼부분(62a)을 형성하고, 또 말단부분은 다른쪽 돌출부(72a')가 그 스톱퍼부분(62a)에 끼워 맞추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피부분(6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9(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출마개(B)가 회전되어 다른쪽의 돌출부(7a')가 스톱퍼부분(62a)에 접근해 올때는 전기한 한쪽의 돌출부(7a)를 도피부분(62b)에 맞닿게 하여서, 계합편(55)을 제9(a)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다른쪽의 돌출부(7a')와 스톱퍼부분(62a)이 끼워 맞추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각 돌출부(7a')(7a)가 스톱퍼부분(62a)과 도피부분(62b)을 각각 초과하여(제9(b)도 참조), 또한 주출마개(B)가 회전되면 상기한 한쪽의 돌출부(7a)가 스톱퍼부분(62a)에 맞닿게 하여서, 그 이상의 주출마개(B)의 회전은 저지된다.
이와같은 돌출부(7a)와 스톱퍼부분(62a)과의 끼워맞추는것, 즉 주출마개(B) 방향의 위치결정은 적어도 주출마개(B)가 1회전하는 사이에 행해진다.
도면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주출마개(B)의 양쪽 돌출부(7a)(7a')가 회전테이플(29)의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한 상태로 정렬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회전대(30)와 주출마개(B)와의 일체적인 회전중에 주출마개(B)는 계합편(55)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것으로 되나, 이 주출마개(B)는 상기한 스프링(46)에 의해서 회전대(30)에 눌러져 있을 뿐이므로, 그 다음에는 주출마개(B)와 회전대(30)와의 사이에 용이하게 슬립이 발생하여 회전대(30)쪽만이 회전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개구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하여진 주출마개(B),는 슈우트(23)의 선단부에서 약 3/4회전 이송된 체로 전술한 다음의 주출마개 반송원판(25)으로 인도된다.
제3도, 제5도,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원판(2)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나누어진 5부분에는, 위치 결정되어서 상기한 회전테이블(29)의 바깥쪽으로 향한 한쌍의 돌출부(7a)(7a')를 받아들이는 절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회전테이플(29)에서 원판(25)으로의 주출마개 인도위치와 이 원판(25)에서 다음의 원판(26)으로의 주출마개 인도위치와의 사이에는 주출마개(B)의 마개(4) 양쪽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64)(65)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양쪽 원판(25)(26)의 사이에는 그 가이드(94)(65)의 하부에 주출마개(B)의 밑바닥면을 지지하는 인도판(66)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회전대(30) 위에서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 주출마개(B)가 원판(25)에의 주출마개 인도위치로 접근하면, 그 이전에 이미 마찰디스크(53)와 마찰캠판(54)의 접촉은 해제되어 회전대(30)는 그 자전이 정지된 상태이고, 계합편(55)는 상기한 캠판(60)에 의해서 주출마개(B)의 접착부(7)외주로부터 격리되다.
또한, 이 계합편(55)은 상기한 마개(4)의 양쪽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64)(65)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가이드(64)(65)에 간섭되는 일이 없이 전술한 슈우트(23)선단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까지 원활하게 후퇴된다.
계합편(55)과의 끼워맞추는 것이 해제된 주출마개(B)는 그 직후에 상기한 원판(25)의 절결부에 끼워맞추어서 자유로운 회전이 제지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한 승강틀체(43)는 캠부재(52) 및 스프링(50)에 의하여 상승되어서 압압부재(42)에 의한 주출마개(B)의 누르는 것을 해방시킨다.
이후에, 압압부재(42)는 슈우트(23)의 선단부와 간섭되지 않는 상승 위치까지 상승된다.
한편 원판(25)의 절결부(63)에 끼워맞추어진 주출마개(B)는 한쌍의 가이드(64)(65)사이에서 안내되고, 상기한 회전대(30)위에서 회전테이플(29) 및 인도판(66)을 개재하여 다음의 주출마개 반송원판(26)으로 인도된다.
이 원판(26)은 그 외주부 상면의 등간격위치에 다수의 주출마개 받이부재(67)를 구비하고 있다.
각 주출마개받이부재(67)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한쌍의 핀(68)에 의하여 원판(26)의 상면에 승강이 자유자재롭게 부착되고, 또한 스프링(69)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상승위치로 보전되어 있다. 주출마개받이부재(67)에는 각각 주출마개(B)의 접착부(7)와 동일형상의 계합구멍(70)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계합구멍(70)은 접착부(7)의 양쪽 돌출부(7a)(7a')가 같이 원판(26)의 바깥쪽으로 향한 상태일때, 그 접착부(7)를 받아 들일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원판(26)에는 주출마개받이부재(67)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한 계합구멍(70)내를 상대적으로 미끄럼운동하는 지지대(71)를 부착하며, 이 지지대(71)의 높이는 주출마개받이부재(67)가 하강위치로 되었을 때에 실질적으로 그 표면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주출마개받이부재(67)의 표면쪽에는 캠 플로어(72)를 부착함과 아울러, 고정된 고정틀(73)에는 상기한 캠 플로어(72)에 끼워 맞추어서 주출마개 받이부재(67)를 스프링(69)에 대항하여 하강시키는 캠부재(7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캠부재(74)는 다음에 후술하는 바와같이 전기한 회전체(22)에 설치된 주출마개 지지구로의 주출마개 인도위치(P)(제10도 참조)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주출마개받이부재(67)는, 그 상승단 위치에 있을 때에 상면이 전기한 인도판(66)의 상면과 같게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기한 절결부(63) 및 한쌍의 가이드(64)(65)에 의하여 인도판(66) 위를 미끄러지게한 주출마개(B)는 주출마개받이부재(67)의 상면의 미끄러져서 계합구멍(70)내로 낙하하여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주출마개(B)의 자전은 제지되고, 한쌍의 돌출부(7a)(7a')를 바깥쪽으로 향한 채, 원판(26)에 의해서 이송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주출마개(B)가 다음의 회전체(22)에의 인도위치(P)로 접근하면, 캠부재(74)에 의하여 주출마개받이부재(67)가 하강하여 주출마개(B)를 지지하는 지지대(71)의 상면과 그 주출마개받이부재(67)의 상면이 같게 된다.
이에따라 후술하는 회전체(22)의 주출마개 지지구는 상기한 지지대(71) 위의 주출마개(B)를 잡아서 원활하게 반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주출마개(B)를 회전체(22)내로 공급하는 원판(26)은 전술한 카톤팩(A)을 회전체(22)내로 공급하는 스타휠(19)의 상부에 이것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원판(26)의 주출마개받이부재(67)와 스타휠(19)의 포켓부(20)와의 수 및 상하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카론팩(A)과 그 윗쪽의 주출마개(B)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회전체(22)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12도는 제3도의(VII)-(VII)선에 따라서 절단한 회전체(22)의 단면도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 회전체(22)는 수직의 고정축(80)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설치된 3장의 회전원판(81)(82)(83)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회전원판(81)(82)(83)은 서로 연결하여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 제12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아래쪽의 회전원판(81)의 외주부에는 등간격 위치로 합계 9개의 카론팩 지지구(8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윗쪽 2장의 원판(82)(83)에는 각 카톤팩 지지구(84)의 바로 윗쪽위치에 각각 전술한 주출마개 지지구(85)를 승강이 자유자재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인접하는 원주방향의 주출마개 지지구(85)의 중간위치에 있어서, 하단에 히이터(86)를 부착한 조작로드(87)가 승강ㆍ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카톤팩 지지구(84)는 수직상태에 있어서 전기한 스타휠(19)로부터의 카톤팩(A)을 수취한후, 이것을 지지편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그런 뒤에 카톤팩(A)를 경사시켜서 개구(2)가 형성된 경사면(1)을 수평상태로 한다.
주출마개 지지구(85)는 스타휠(19)의 상부에 설치된 전기한 원판(26)으로부터 주출마개 인도위치(P)에 있어서 주출마개(B)를 수취한다.
이 주출마개(B)는 수평상태로 되어서 경사면(1)의 개구(2)에 대하여 바로 위에 위치한다.
히이터(86)는 아암(88)에 의하여 조작로드(87)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히이터(86)는 주출마개(B)와 카톤팩(A)의 개구(2)가 상하위치에서 대향하면, 상기한 조작로드(87)의 회전에 의하여 주출마개(B)와 카톤팩(A)과의 사이에 삽입하여서 위치되고, 다음에 카톤팩(A)의 경사면(1)과 히이터(86) 하면과의 간격 및 히이터(86)의 상면과 주출마개의 접착부(7)와의 간격이 각각 좁혀져서 히이터(86)에 의하여 그 경사면(1)과 접착부(7)가 각각 가열된다.
히이터(86)에 의한 가열이 끝나면, 상기한 간격이 각각 넓어진 후에 히이터(86)는 주출마개(B)와 카톤팩(A)과의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빠지며, 다음에 주출마개 지지구(85)가 하강되어서 주출마개(B)의 접착부(7)는 카톤팩(A)의 경사면에 눌러서 맞닿게 된다.
그 후에 주출마개(B)가 카톤팩(A)에 접착되면, 주출마개 지지구(85)는 주출마개(B)를 해방하여서 상승되며, 한편 카톤팩 지지구(84)는 수직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지지편에 의한 카톤팩(A)의 잡는 것을 해방한다.
그리고, 이 카톤팩(A)은 상기한 공급측의 스타휠(19)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배출측의 스타휠(89)에 의하여 회전체(22)내에서 외부로 배출되고, 콘베이어(90)에 의해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제13도 내지 제17도는 상기한 카톤팩 지지구(84)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제15도의 평면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상기한 회전원판(81)의 외주에는 대략 대(臺)형상의 절결(91)이 형성되고, 이 절결(91)의 원주방향 양쪽 위치에 한쌍의 브라켓(92)을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한쌍의 브라켓(92)사이에 ㄷ자형 단면의 메인 본체(93)가 핀(94)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이 메인본체(39)의 양 모서리부에는 졸결(95)이 형성되어서 상기한 대 형상의 절결(91)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메인본체(93)의 하단면에는 플레이트(96)를 고정하고, 이 플레이트(96)의 하부에는 스페이서(97)에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어서 플레이트(98)와 카톤팩(A)의 지지판(99)을 고정하고 있다. 카톤팩(A)의 지지판(99)은 ㄷ자형 단면의 메인본체(93) 하단면을 폐쇄한 것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메인휠(99)내에 삽입된 카톤팩(A)의 밑바닥을 지지한다.
한편, 이 지지판(99)에서 윗쪽의 2장의 플레이트(96)(98)은 메인본체(93)내에 삽임되는 카톤팩(A)과 간섭되지 않도록 거의 메인본체(93)의 내면 형상에 일치하는 절결 (100)(101)을 보유한다.
메인본체(93)의 배면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설된 통상축(102)이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축지지하고, 이 통상축(102)내에는 재차 축(103)이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끼워져 있다.
통상축(102)의 상단은 메인본체(93)의 상면에서, 하단은 플레이트(96)의 하면에서 각각 돌출되고, 각 돌출단에 L자형의 아암(104)(105)가 같은 위상으로서 부착되어 있다.
또, 축(103)의 상하단은 각각 통상축(102)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각 돌출단에 상기한 L자형의 아암(104)(105)와는 대칭형으로 형성된 L자형의 아암(106)(107)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104)(105)는 통상축(102)을 개재하여서, 아암(106)(107)은 축(103)을 개재하여 각각 일체로 회전작동하며, 또한 윗쪽의 아암(104)(106) 및 아래쪽의 아암(105)(07)과는 각각 1조를 이루어서 카톤팩(A)의 3개의 외주면을 상부와 하부에 있어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각 아암(104)-(107)의 선단에는 카톤팩(A)의 다른 하나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편(104a)(105a)(206a)(107a)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제14도, 제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아래쪽의 한쌍의 아암(105)(107)의 각 모서리부에는 각각 핀(108)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각 핀의 상단과 플레이트(96)의 양쪽 선단부분의 하면에 부착한 각 핀(109)과의 사이에는 각각 인장용 스프링(110)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아암(105) 및 통상축(102)을 개재하여 일체의 아암(104)은 제16도에 있어서 통상축(102)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되고, 아암(107) 및 이것과 축(105)을 개재하여 일체의 아암(106)은 제16도에 있어서 축(103)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며, 따라서 아암(104)-(107) 및 지지편(104a)(107a)은 보통의 상태에서는 그안에 카톤팩(A)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한쌍의 아래쪽의 아암(105)(107)에 설치된 핀(108)의 하단은 이것과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플레이트(98) 및 지지판(99)에 형성된 구멍(111)내를 자유롭게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또한 이 아래쪽으로의 돌출부에는 로울러(112)가 각각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각 로울러(112)는 특히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한장의 가동 플레이트(113)의 양쪽에 형성된 긴 구멍(114)내에 끼워맞추고 있으며, 이 가동플레이트(113) 및 이것과 일체의 정 4각형의 슬라이더(115)는 양쪽로울러(112)를 연결하는 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 작동하여 상기한 아암(104)-(107) 및 지지편(104a)-(107a)를 스프링(110)과는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이들에 의한 카톤팩(A)의 지지를 해방한다.
상기한 슬라이더(115)의 양쪽을 안내하는 가이드(116)는 지지판(99)의 밑바닥면에 고정되고, 각 가이드(116)에는 가동 플레이트(113)와의 간섭을 피하는 홈(117)을 형성하고 있다.
또, 슬라이더(115)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118)는 한쌍의 가이드(116)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플레이트(118)의 소요 위치에는 슬라이더(115)의 작동방향에 따라서 긴구멍(119)을 형성하고, 슬라이더(115)에 부착된 핀(120)을 이 긴구멍(119)을 개재하여 아래쪽으로 돌출시키며, 또한 그 돌출단에 캠플로어(12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116) 및 플레이트(118)의 선단에 설치된 플레이트(122)에는 스톱퍼볼트(123)가 설치되고, 이 스톱퍼볼트(123)의 슬라이더(115)쪽으로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115)가 스톱퍼볼트(123)에 맞닿게 하여서 정지하는 위치, 즉 상기한 아담(104)-(107)에 의한 카톤팩(A)의 잡는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메인본체(93)의 배면에는 한쌍의 브라켓(12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브라켓(124)사이에 메인본체(93)를 전기한 핀(94)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시키기 위한 핀(125)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회전원판(81) 및 이 원판의 아래쪽에 이것과 일체로 설치한 링형상의 회전판(126)에는 메인본체(93)의 배면에 있어서 한쌍의 로드(127)(제6도 참조)를 승강이 자유자재롭게 설치하고, 양 로드(127)의 상단에는 연결부재(12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128)는 메인본체(93)의 단면부에 수평방향의 가로홈(129)을 보유하며, 이 가로홈(129)내에 상기한 메인본체(93)의 핀(125)이 끼워맞추어져 있다.
상기한 연결부재(128)와 회전판(126)과의 사이에는 회전원판(81)에 돌출하여 설치된 구멍(130)을 통하여 인장용 스프링(1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3도의 상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보통은 연결부재(128)를 회전원판(81) 위에 접촉시키고 있다.
이상태에서는 연결부재(128)에 끼워맞추고 있는 핀(125)이 하강되므로, 메인본체(93)는 이것을 회전원판(81)에 축지지된 핀(9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어서 지지하고 있는 카톤팩(A)의 개구(2)를 보유하는 쪽의 경사면(1)을 수평상태로 한다.
이때, 설계상으로는 카톤팩(A)의 양쪽 경사면(1)(1) 사이의 수직평면(V)과, 경사면(1)에 수직이고 또한 개구(2)의 중앙을 통하는 축(X)과의 교차점을 (Y)으로 하였을 때, 메인본체(93)의 회전중심으로 되는 핀(94)을 그 교차점(Y) 및 수직평면(V)내를 통하는 수평선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로드(127)의 하단 사이에는 지지판(132)을 부착하고, 이 지지판(132)의 중앙부에 캠플로어(153)를 설치하고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카톤팩지지구(84)의 메인본체(93)가수 직상태로 되는 것은 카톤팩(A)에의 주출마개(B)부착 작업이 종료하여 카톤팩(A)이 배출측의 스타휠(89)에 근접한 위치에서, 공급측의 스타휠(19)보다 새로운 카톤팩(A)을 완전히 수취할 때까지의 회전범위이며, 또 아암(104)-(107) 및 지지편(104a)-(107a)이 해방상태로 있는 것도 같은 범위이다.
이 때문에 제12도 표시한 캠플로어(133)에 끼워맞추어서 메인본체(93)를 직립시키는 캠부재(154) 및 캠플로어(121)에 끼워맞추어 상기한 아암(104)-(107)을 개방시키는 캠부재(135)는 다같이 그와 같은 범위에만 설치되어 있다.
이것을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양쪽 캠 플로어(133)(121)이 캠부재(134)(135)에 각각 끼워맞추어져 있지 않은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메인본체(93)는 스프링(131)의 인장력에 의하여 경사져 있으며, 또 아암(104)-(107) 및 지지편(104a)-(107a)은 스프링(110)의 인장력에 의하여 카톤팩(A)을 잡고 있다.
이 상태에서 카톤팩 지지구(84)가 배출측 스타휠(89)에 근접하여 오면, 우선 캠 플로어(133)가 캠부재(134)에 끼워맞추어져서 스프링(131)에 대항하여 로드(127) 및 연결부재(128)를 미리 정한 소정량만큼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연결부재(128)에 끼워맞추고 있는 핀(125)이 상승되어서 메인본체(93)를 수직상태로 회동시킨다.
이때, 회전판(126)에 설치된 조절볼트(136)는 정확하게 메인본체(93)가 수직상태로 되었을 때, 이것과 일체의 플레이트(98) 배면에 맞닿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메인본체(93)가 수직상태로 되면, 다음에 캠플로어(121)가 이 상태에 있어서의 이동궤적위에 설치한 상기한 캠부재(135)에 끼워맞추어서 슬라이더(115) 및 가동플레이트(113)를 회전원판(81)의 반지름방향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아암(104)-(107) 및 지지편(104a)-(107a)에 잡힌 카톤팩(A)은 해방되고, 주출마개(B)가 부착된 카톤팩(A)은 배출측의 스타휠(99)에 의하여 콘베이어(91) 위로 배출시킨다.
카톤팩(A)이 배출되어서 비어진 카톤팩 지지구(84)는 이상태인 채로 공급측의 스타휠(19)에 접근하며, 이 스타휠(19)로부터 새로운 카톤팩(A)을 수취한다.
카톤팩 지지구(84)내로 카톤팩(A)이 반입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한 캠부재(135)의 캠형상 및 인장용 스프링(110)에 의하여 캠플로어(121)는 회전원판(81)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되고, 아암(104)-(107) 및 지지편(104a)-(107a)은 상기한 스프링(110)의 인장력에 의하여 카톤팩(A)를 잡는다.
아암(104)-(107)은 새로운 카톤팩(A)을 잡으면, 캠플로어(121)는 캠부재(135)와의 끼워맞추는 것이 해제된다.
그리고, 다시 회전이 진행되면, 캠부재(134)는 캠플로어(133), 로드(127) 및 연결부재(128)를 하강시켜서 메인본체(93)를 경사시켜서 카톤팩(A)의 개구(2)를 형성한 경사면(1)을 수평면에 일치시킨다.
이후 카톤팩 지지구(84) 및 카톤팩(A)은 상기한 배출측의 스타휠(89)에 근접하여 수직상태로 기립되어질 때까지는 그 상태인 채로 회전이송된다.
그리고, 주출마개 지지구(85)에는 수직방향에 배설한 중공(中空)의 승강로드(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승강로드(140)는 윗쪽의 2장의 회전원판(82)(83)에 승강이 자유자재롭게 설치하고 있다.
승강로드(140)에는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브라켓(142)을 고정하고, 이 브라켓(141)에 캠플로어(142)를 부착하고 있다.
제18도에 표시한 가이드로드(143)는 상기한 승강로드(130)와 평행하게 배설하여서2장의 회전원판(82)(83)사이에 고정한 것이므로, 브라켓(141)에 돌출하여 설치된 한쌍의 평행한 돌기(144)를 그 가이드로드(143)의 양쪽에 미끄러지게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브라켓(141)이 승강로드(14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캠플로어(142)는 2장의 회전원판(82)(83) 사이에 배설하여서 전기한 고정축(80)에 연결고정한 통형상의 캠부재(145)의 캠홈(146)과 끼워맞추어져 있다.
승강로드(140) 하단의 주출마개 지지부분은 제1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부를 승강로드(140)의 축구멍내로 미끄럼운동이 자유자재롭게 끼워맞춘 지지부재(147)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지지부재(147)와 승강로드(140)와의 사이에 압축용 스프링(14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148)의 주위를 감싸는 통형상의 커버부재(149)는 하단이 지지부재(147)에 나사식으로 부착되고, 또 상단이 승강로드(140)의 외주에 승강이 자유 자재롭게 끼워져 있으며, 또한 승강로드(140)에 설치한 스톱퍼링(150)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부재(147)의 하단면에는 주출마개(B)의 마개(4)가 끼워지는 구멍(151)을 형성하고, 이 구멍(151)의 주위에는 제2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3부분의 연결부(147a)를 제외하고 구멍(151)에 연통하는 환상홈(15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환상홈(152)내에 양단을 연결하여 무단상으로 한 코일스프링(153)이 걸어서 맞추고 있다.
이 코일스프링(153)은, 보통은 상기한 연결부(147a) 사이에 직선으로 펼쳐져서 그 일부가 구멍(151) 내로 돌출하고 있으며(제20도의 점선), 주출마개(B)의 마개(4)가 구멍(151)내로 삽입되면 이 구멍(151)내로 돌출하고 있던 코일스프링(153)의 일부가 마개(4)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서 마개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지지부재(147)의 축부에는 로드구멍(154)이 형성되고, 이 로드구멍(154)내에 고정로드(155)가 상대적으로 상하작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이 고정로드(155)의 상단은 승강로드(140)내를 관통하여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회전원판(83)과 일체의 회전판(156)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로드(155)의 하단면의 높이는, 주출마개 지지구(85)가 양쪽 스타휠(19)(89) 사이에서 최대 높이 위치로 되었을 때에 구멍(151)내로 상대적으로 돌출하고, 만일 주출마개(B)가 남아 있을 때에는 이것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주출마개 지지구(85)의 승강로드(140)가 승강만을 행하는 것에 대하여, 히이터(86)를 지지하는 조작로드(87)에는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이 부여된다.
제12도에 있어서, 승강운동을 부여하기 위하여 조작로드(87)에는 브라켓(160)이 설치되고, 이 브라켓(161)에 캠플로어(162)가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161) 주위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승강로드(140)의 브라켓(141) 주위의 구성과 일치하고 있으며, 브라켓(161)도 가이드로드에 의하여 자유로운 회동을 제지하고, 또 캠 플로어(162)는 캠부재(163)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단, 상술한 바와같이 조작로드(87)는 회전되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작로드(87)는 브라켓(16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려면 예컨데, 조작로드(87)의 외주에 환상홈을 형성하고, 브라켓(161)에 설치된 핀 또는 캠 플로어를 그 환상홈 내로 끼워맞추는 등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조작로드(87)의 상단에는 대략 L자형상의 레버(164)의 중앙부가 부착되고, 이 레버(164)의 일단 상면에는 캠 플로어(165)가, 타단하면에는 핀(16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166)과 회전원판(83)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핀(167)과의 사이에는 인장용 스프링(168)이 설치되고, 이스프링에 의하여 상기한 캠 플로어(165)를 통형상의 캠부재(169)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고 있다.
이 캠부재 (169)는 회전체(22)의 외부에 설치된 고정틀(170)에 의하여 지지되며, 또한 그 캠면은 조작로드(87)의 상승을 고려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조작로드(87)의 하단에 아암(88)을 개재하여 부착된 히이터(86)는 제19도, 제21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정사각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본체(17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아암(88)의 선단은 이 본체(171)의 상면 한쪽에 겹쳐져서 볼트(도면표시 생략)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171)의 상면 다른 쪽에는 주출마개(B)의 접착부(7)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요소(172)를 절연체(173)를 끼워서 부착하고 있다.
이 가열요소(172)는 평판형상의 전기 저항체를 소정형상으로 발타하여 형성한 것이므로, 제2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중앙부에 주출마개(B)의 접착부(7)의 형상에 맞추어서 링형상부분(174)를 형성하고, 이 양쪽을 접속부분(175)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링형상부분(174)의 중앙에는 주출마개(B)에 맞닿게 하여서 그 접착부(7)와가 열요소와(17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층이 설치된 원주형상의 간격 지지부재(176)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본체(171)의 하면에는 카톤팩(A)의 경사면(1)에 형성된 개구(2)의 주위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요소(177) 를 절연체(178)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있다.
이 가열요소(177)는 그 중앙부에 상기한 링형상부분(174)과 거의 같은 크기의 링형상부분 또는 원판형상부분(175)을 또는 원판형상부분(179)을, 또 이 원판형상부분(179)의 양쪽에 접속부분(180)을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그 원판형상부분(179)은 접속부분(180)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체(171)의 상하면에 배설된 한쌍의 가열요소(172)(177)은 그들의 링형상부분(174)과 원판형상부분(179)과의 축심을 일치시킨 상태로 양쪽의 2개의 볼트(181) 및 이것이 나사맞춤되는 너트부분(182)에 의하여 같이 조여서 본체(17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의 가열요소(177)의 원판형상부분(179)과 본체(171)와의 사이에는 대략 그 원판형상부분의 외주형상에 일치시킨 원추형상의 지지부재(183)을 개재시키고 있으며, 이 지지부재(183)의 축부에 상기한 간격지지부재(176)와 일체의 나사부(184)를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지지부재(183)와 간격지지부재(176)를 동시에 본체(171)에 고정하고 있다.
또, 상기한 너트부재(182)는 각각 직방체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하면을 카톤팩(A)의 경사면(1)과의 접속면(185)으로 하고, 또한 이 접속면(185)과 가열요소(177)의 원판 형상부분(179)의 하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2개의 볼트(181)는 아래쪽의 가열요소(177)에의 도전로로서 이용되고, 이 가열요소(177)는 양쪽볼트(181) 및 각 볼트의 상부에 접속된 도전선(186)을 개재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윗쪽의 가열요소(172)는 볼트(181)의 외주면에 끼워진 절연통체(187)에 의하여 그 볼트(181)로부터 절연되어 있으며, 또한 도체(188) 및 도전선(189)을 개재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 도전선(189)은 상기한 절연통체(187)의 외주에 끼워진 복수개의 절연체(190)의 중간부분 위치에 배설 되어서 상기한 도전선(186)과는 절연되어 있으며, 또 도체(188)는 그 도전선(189)과 가열요소(17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각 한쌍의 도전선(186)(189)는 회전체(22)의 회전에 의하여 비틀어지는 이이 없도록 종래 공지의 로오타리식의 접속기구를 개재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171) 혹은 너트부재(182) 등에 냉각수 통로를 설치하여 그들의 냉각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같이, 카톤팩 지지구(84)는 공급측의 스타휠(19)에서 카톤팩(A)를 수취하면 이것을 잡아서 카톤팩(A)를 경사시키고 경사면(1)을 수평으로 한다.
이 경사면(1)에 형성된 개구(2)의 바로 윗쪽에 위치하고 있는 주출마개 지지구(85)는 이때까지 줄곧 주출마개(B)를 지지하고 있다.
즉, 주출마개 지지구(85)는 전술한 주출마개 인도위치(P)에 근접하면 중부재(145)의 캠홈(146)의 궤적에 따라서 하강되고, 그 위치(P)에 있어서 주출마개 반송원판(26)의 지지대(71) 위에 재치되어 있는 주출마개 (B)의 마개(4)를 상대적으로 지지부재(147)의 구멍(151)내로 끼워 맞추어서 지지부재(147)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53)으로서 주출마개(B)를 보전한다.
주출마개 지지구(85)가 주출마개(B)를 지지하기 직전에, 상기한 지지대(71) 위의 주출마개(B)의 접촉부(7) 외주를 지지하는 주출마개받이부재(67)는 캠부재(74)에 의하여 눌러서 하강되어 그 접촉부(7)외주의 지지를 해방하고 있으므로, 주출마개 지지(85)는 지지대(71) 위의 주출마개(B)를 원활하게 받을 수 있다.
그 사이에 히이터(86)는 주출마개 지지구(85)의 축선에서 회전체(22)의 반지름방향 안쪽으로 이동한 후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제3도 참조).
그리고, 카턴펙(A)이 경사되어서 개구(2)와 주출마개(B)가 소정의 간격을 두어서 대향하게 되면, 히이터(86)는 캠부재(169)에 의한 조작로드(87) 및 아암(88)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한 후퇴 위치에서 회동하여 그 개구(2)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다음에, 캠부재(163)에 의한 조작로드(87) 및 아암(88)의 하강에 따라서 히이터(86)가 강하되어, 제1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너트부재(182)의 접촉면(185)이 카톤팩(A)의 경사면(1)에 가볍게 접속되어서 아래쪽의 가열요소(177)의 원판형상부분(179)과 카톤팩(A)의 피가열부분이 적당한 간격으로서 대향된다.
상기한 히이터(86)의 하강과 동시에 주출마개 지지구(85)도 하강되어서 하강이 정지된 히이터(86)의 간격 지지부재(176)에 주출마개(B)와 접속된 상태로서 하강은 정지된다.
이에 따라 주출마개(B)의 접착부(7)도 윗쪽의 가열요소(172)의 링형상부분(174)에 소정의 간격으로서 대향된다.
상하의 가열요소(172)(177)은 회전체(22)의 작동중에 항상 전원에 접속되거나, 혹은 검출스위치(도면표시 생략)에 의하여 상기한 후퇴 위치에서 작동될 때에 전원과 접속되어서 적열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한 카톤팩(A) 및 주출마개(B)는 각각 보통은 다른 최적한 온도로서 가열된다.
다음에 주출마개 지지구(85) 및 히이터(88)가 같이 상승되어서 카톤팩(A)과 히이터(86) 및 히이터(88)와 주출마개(B)가 각각 격리되면 히이터(86)는 상승하면서 카톤팩(A)과 주출마개(B)와의 사이에서 후퇴되고, 결국에는 전술한 후퇴 위치로 복귀되어서 다음의 새로운 카톤팩이 공급될 때까지 그 위치에서 대기한다.
한편, 주출마개 지지구(85)는 히이터(86)가 후퇴하면 즉시 다시 하강하여 주출마개(B)의 접촉부(7)를 카톤팩(A)의 경사면(1)의 소정 위치에 눌러서 맞닿게 하여 양자를 접착한다.
그 후에 주출마개 지지구(85)는 다시 상승되고, 주출마개(B)는 카톤팩(A)과의 접착력에 의하여 코일스프링(15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지지부재(147)의 구멍(151)내에서 상대적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비어진 주출마개 지지구(85)는 양쪽 스타휠(19)(80) 사이에서 최고 위치로 된 후에 새로운 주출마개(B)를 지지하기 위하여 하강된다.
그 최대높이 위치에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고정로드(155)가 상기한 구멍(151)내로 돌출하고, 만일 카톤팩(A)이 존재하지 않는 가열요소(172)(177)에 통전되지 않은 등의 이유에 의하여 주출마개(B)가 남아 있을 때에는 이것을 강제적으로 상기한 구멍(151)내에서 낙하 회수시켜 다음의 새로운 주출마개(B)의 잡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주출마개(B)의 부착이 종료한 카톤팩은, 전술한 바와같이 직립되어서 잡는것이 해방된 후, 배출측의 스타휠(89)에 의하여 콘베이어(90) 위로 배출된다.
도면 표시한 실시예의 주출마개 부착장치는 제1도에 표시한 카톤팩(A)과 주출마개(B)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사용할 카톤팩이나 주출마개에 따라서 적당한 설계변경을 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주출마개(B)의 절결(5)이 생략된 경우에는 당연히 주출마개(B)의 회전방향의 위치 결정은 필요하지 않게되며, 따라서 위치 결정기구(24)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카톤팩이 경사면을 보유하지 않고 그 상면이 평면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에서는 카톤팩 지지구(84)의 구성부분중, 적어도 경사시키기 위한 기구는 필요없게 되며, 또 이와같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아암(104)-(107) 등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한편, 카톤팩(A)이 경사면(1)을 가지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술한 경사시키기 위한 기구를 생략하고, 그 대신에 주출마개 지지구(84)를 경사면에 대하여 수직이고, 더우기 개구(2)의 축심을 통하는 선위에서 진퇴작동 할 수 있도록 상기한 회전체(22)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열장치는 어느 것이나 가열체에 의한 것이지만, 카톤팩에 실시하는 수지 피막 및 마개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의 성질에 따라서는 고주파 가열이나 초음파 가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방법에 의하면, 개봉성 및 그 후의 밀봉성이 뛰어난 카톤팩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피막을 부착시킨 카톤팩(A)과 합성수지제의 주출마개(B)를 사용하여 상기한 카톤팩의 주출마개 접착예정 위치와 주출마개의 접착끝면의 양자를 가열한 상태에서 주출마개를 카톤팩에 눌러서 양자를 서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팩에 주출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KR1019810000658A 1981-02-28 1981-02-28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KR85000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658A KR850000680B1 (ko) 1981-02-28 1981-02-28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KR1019840008522A KR850000681B1 (ko) 1981-02-28 1984-12-29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658A KR850000680B1 (ko) 1981-02-28 1981-02-28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522A Division KR850000681B1 (ko) 1981-02-28 1984-12-29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27A KR830005027A (ko) 1983-07-23
KR850000680B1 true KR850000680B1 (ko) 1985-05-14

Family

ID=192203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658A KR850000680B1 (ko) 1981-02-28 1981-02-28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KR1019840008522A KR850000681B1 (ko) 1981-02-28 1984-12-29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522A KR850000681B1 (ko) 1981-02-28 1984-12-29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50000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353A (ko) * 2000-09-20 2002-03-27 문진홍 액체용기의 액체토출용 펌핑캡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27A (ko) 1983-07-23
KR850004699A (ko) 1985-07-25
KR850000681B1 (ko) 198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7168A (en) Method for mounting a faucet on a paper container and apparatus therefor
US4095390A (en) Machine and process for capping and sealing containers
EP2462219B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distribution d'un produit dans une boîte de petri
EP2356208B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dans une boîte de petri
US3018594A (en) Container filling and sealing machines
KR101759315B1 (ko) 연속 로터리식 충전 포장 기계
SE442004B (sv) Anordning for induktionsvermeforsegling av behallare
GB2194940A (en) Lid sealing machine and method
US2495174A (en) Labeling machine
JPH0678085B2 (ja) 接着される折り畳みタブを備えたパックの包装装置
KR850000680B1 (ko) 카톤팩에 주출(注出)마개를 부착하는 방법
US3338027A (en) Container sealing apparatus
US3332210A (en) Closure dispenser
US5095681A (en) Fluid container capper apparatus
JPS5828192B2 (ja) 容器−ベ−ス組立機械
US2645399A (en) Machine for applying and sealing closures to bottles
JPWO2011102097A1 (ja) 蓋整形装置
US2542282A (en) P lissimore
US2873019A (en) Devices for receiving, storing and discharging workpieces or machine parts
JPS641299B2 (ko)
US7168223B2 (en) Capsule-sealing machine for food or drink containers
US3336723A (en) Machine for assembling containers with clips
JPS594303B2 (ja) 口栓位置決め装置
JPS594301B2 (ja) 紙容器への口栓取付装置
JPS6132981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