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57Y1 - 한, 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한, 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57Y1
KR850000657Y1 KR2019840002526U KR840002526U KR850000657Y1 KR 850000657 Y1 KR850000657 Y1 KR 850000657Y1 KR 2019840002526 U KR2019840002526 U KR 2019840002526U KR 840002526 U KR840002526 U KR 840002526U KR 850000657 Y1 KR850000657 Y1 KR 850000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haft
adhered
carri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34U (ko
Inventor
장명환
Original Assignee
장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환 filed Critical 장명환
Priority to KR2019840002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657Y1/ko
Publication of KR840006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7/00Apparatus or local circuit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odes wherein each character is represented by the same number of equal-length code elements, e.g. Baudot code
    • H04L17/16Apparatus or circuits at the receiving end
    • H04L17/24Apparatus or circuits at the receiving end using mechanical translation and type-head printing, e.g. type-wheel, type-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 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캐리지 이동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캐리지 이동장치의 작동상태도.
제3도 및 제4도는 캐리지의 부동장치의 작동상태도.
제5도는 부동장치의 사시도.
제6도는 부동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일 1' : 롤러
2 : 축 3 : 토클링크
3' : 패드폴 4 : 축
5 : 라체트기어 6 : 이동레버
7 : 스페이싱드럼 8 : 스페이싱벨트
9 : 체크폴 10 : 돌편
11 : 걸림턱 12 : 축
13 : 스프링 14 : 작동간
15 : 당김간 16 : 마그네트
17 : 아마추어 18 : 버티컬드라이브
19 : 작동구 20 : 걸림턱
21 : 스페이스폴링크 22 : 장홈
23 : 마그네트 24 : 아마추어
본 고안은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77-237)호를 계량 고안하여 전타 후진방식을 채용한 캐리지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공보(공번 제77-237호)의 캐리지 전진 및 부동장치에 있어서 코드바의 일측에 스페이스코드바를 병설하여 후단의 돌출편에는 코일 스프링을 탄착하며, 앞단부에는 마그네트의 아마추어가 걸기게 하되 스페이스코드바의 걸림턱에는 축을 기점으로 절곡하는 S자형 제지간의 일단을 걸리게 하며, 타단의 걸림홈에는 피드폴의 돌편이 걸리게 하여 사용하였으나, 제지간의 작동이 원활치 못함으로써 코드바와 피드폴 및 토글링크간의 작동이 정확치 못하여 오타가 생기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캐리지의 이동이나 후진 또는 부동의 상태를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각부를 구성하여 주기 때문에 한글 모아쓰기가 전타후진 방식에 의하여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일(1)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축(2)으로 유착된 토클링크(3)와 피드폴(3')이 축(4)을 기점으로 이동레버(6)에 의하여 굽혔다 펴지면서 피드폴(3')이 라체트기어(5)를 회동시켜 이에 축설된 스페이싱드럼(7)을 회동시켜주므로 스페이싱벨트(8)를 이동시켜 캐리지가 이동되도록 하고 축(4)에 유착된 체크폴(9)의 선단의 돌편(10)이 타체트기어(5)가 역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토클링크(3)에 걸림턱(11)을 형성하고 축(12)에 유착되고 스프링(13)으로 탄설된 작동간(14)의 하단을 당김간(15)의 선단에 걸리도록 하며 당김간의 후단은 작동구(19)의 일단에 유착하고 마그네트(16)의 아마추어(17)의 선단을 작동구(19)의 타단에 재치토록 한 것이고, 선단에 걸림턱(20)이 형성된 스페이스폴링크(21)의 후단에는 한스 페이스 간격만큼 천공된 장홈(22)에 축(4)을 유착하여 좌, 우로 한스 페이스 간격의 운동을 할수 있게 하며 체크폴(9)의 선단에는 마그네트(23)에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있는 아마추어(24)의 선단이 근접되게 설치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리지의 이동장치에서는 베일(1)이 전, 후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베일(1)이 전진을 하게 되면 베일(1)에 체착되어 있는 롤러(1')가 축(4)을 기점으로 하여 축(2)에 유착되어 있는 피드폴(3')을 밀어주게 되면 피드폴(3')의 선단이 라채트기어(5)를 밀어주어 스페이싱드럼(7)이 회동하면서 스페이싱벨트(8)를 회동시키므로 캐리지가 이동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타후진 방식이기 때문에 부동키를 타자하게 되는 경우에 타자가 된 후 캐리지가 이동될려는 상태에서 전자회로에 의하여 마그네트(16)에 전원이 공급되어 아마추어(17)가 하강하면서 아마추어(17)의 선단이 작동구(19)의 일측을 눌러 줌으로써 작동구(19)의 타단에 유착된 당김간(15)이 당겨지면서 작동간(14)의 하단을 당겨 토글링크(3)의 걸림턱(11)에 걸리도록 하여 주게 됨으로써 베일(1)이 전, 후 운동을 한다 하더라도 토클링크(3)가 후진을 활 수가 없기 때문에 피드폴(3')도 따라서 작동이 되지 않으므로 라체트기어(5)가 회동되지 아니하여 캐리지가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한글 모아쓰기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을 타자한 후 받침을 타자하기 위하여서는 한스 페리스를 후진토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의 작동은 받침키를 눌러주게 되면 마그네트(23)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아마추어(24)가 작동하여 체크폴(9)를 밀어주어 체크폴(9)의 돌편(10)이 라체트기어(5)에 이탈되므로 라체트(5)가 역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스페이스폴링크(21)의 걸림턱(20)이 라체트기어(5)에 물려있기 때문에 라체트기어(5)가 역회전함에 따라 뒤로 물러나게 되는데 스페이스폴링크(21)의 후단에 한스페이스간격의 장홈(22)이 천공되어 있어 라체트기어(5)가 한스 페이스간격만큼 역회전을했을 경우 작홈(22)이 축(4)에 걸리기 때문에더이상 후진이 되지 않음으로써 캐리지가 한스 페이스 후진한 상태에서 받침을 타자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원은 캐리지를 이동 및 후진하는 장치가 종래것에 비하여 간단하여 작동이 원활하기 때문에 오작동이나 오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축(2)에 토클링크(3)와 피드폴(3') 및 이동레버(6)가 유착되고 이동레버(6)의 타단은 스페이스폴링크(21)가 유착된 축(4)에 유착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축(12)에 유착되고 스프링(13)으로 탄설된 작동간(14)의 하단을 당김간(15)의 선단에 걸리도록 하며, 당김간(15)의 후단은 작동구(19)의 일단에 유착하고 통상의 마그네트(16)에 의하여 작동되는 아마추어(17)의 선단을 작동구(19)의 타단에 재치하는 한편 작동간(14)의 하단을 걸림턱(11)에 착탈자재하여서된 한영테레타이프에 있어서의 캐리지 이동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선단에 걸림턱(20)이 형성된 스페이스폴링크(21)의 후단에 한스페이스 간격의 장홈(22)을 천공하여 축(4)에 유착하고 체크폴(9)의 선단은 통상의 마그네트(23)에 유착된 아마추어(24)의 선단에 근접되게 형성된 한, 영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KR2019840002526U 1982-08-12 1984-03-22 한, 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KR850000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526U KR850000657Y1 (ko) 1982-08-12 1984-03-22 한, 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391U KR840001052Y1 (ko) 1982-08-12 1982-08-12 한·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문자선택장치
KR2019840002526U KR850000657Y1 (ko) 1982-08-12 1984-03-22 한, 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391U Division KR840001052Y1 (ko) 1982-08-12 1982-08-12 한·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문자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34U KR840006034U (ko) 1984-11-10
KR850000657Y1 true KR850000657Y1 (ko) 1985-04-18

Family

ID=701693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391U KR840001052Y1 (ko) 1982-08-12 1982-08-12 한·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문자선택장치
KR2019840002526U KR850000657Y1 (ko) 1982-08-12 1984-03-22 한, 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391U KR840001052Y1 (ko) 1982-08-12 1982-08-12 한·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문자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400010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34U (ko) 1984-11-10
KR840001499U (ko) 1984-04-30
KR840001052Y1 (ko) 198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4460Y2 (ko)
US7514644B2 (en) Safety switch control mechanism of exerciser
JPS6232855Y2 (ko)
US2917933A (en) Control device
KR850000657Y1 (ko) 한, 영 테레타이프에 있어서 캐리지 이동장치
GB1289394A (ko)
JPS58124682A (ja) インパクトプリンタ
CN109941010A (zh) 一种可更换印章的自动盖章装置
US3640216A (en) Parallel printing apparatus for recorded data
US4519269A (en) Transmission system in a cam mechanism
US3028942A (en) Escapement mechanism
JPH025586B2 (ko)
KR810000177Y1 (ko) 한글 전신 타지기의 캐리지 후진장치
EP0449468A2 (en)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US4484201A (en) Pen type recording apparatus
US3991672A (en) Line printer for printing information on tickets
CN206551713U (zh) 打码机的离合机构
US3165312A (en) Sheet feeding mechanism
US2875882A (en) Carriage feed mechanism for combined typewriting and computing machines
US3621969A (en) Ink ribbon feeding and reversing assembly
CN211918926U (zh) 一种带有开关式棘爪的直线踩踏机构
KR910002330Y1 (ko) 카세트 데크
JPS59198311A (ja) ペン式記録装置
US2842246A (en) Record feeding devices
GB2236006A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