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457B1 - 포대제조용 복합지(複合紙)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대제조용 복합지(複合紙)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457B1
KR850000457B1 KR1019810001927A KR810001927A KR850000457B1 KR 850000457 B1 KR850000457 B1 KR 850000457B1 KR 1019810001927 A KR1019810001927 A KR 1019810001927A KR 810001927 A KR810001927 A KR 810001927A KR 850000457 B1 KR850000457 B1 KR 850000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mposite
bag
sheet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013A (ko
Inventor
아끼오 사이또오
Original Assignee
쇼오와 세이따이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오까모또 고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와 세이따이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오까모또 고오이찌 filed Critical 쇼오와 세이따이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00Paper; Cardboard
    • D21H1/02Multi-ply material finished plies
    • D21H1/04Multi-ply material finished plies by using an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대제조용 복합지(複合紙)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보이는 복합지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
제2도는 복합지에 종방향(縱方向)에 대해 비스듬히 평행하게 인쇄도포된 복합지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도시한 복합지로 만든 포대의 접힌 부분을 보이는 투시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2도에서 도시한 복합지로 취입구 발브(blow valve)를 가진 포대를 만드는 경우의 제조단계를 도시한 그림.
제5도는 제2도에 도시한 인쇄된 복합지로 만들어지고 상부 플랩(upper flaf) 부
분으로 이루어진 포대에 대한 투시도.
제6도는 제2도에서 도시한 것과 다른 패턴의 인쇄잉크 결합계로 인쇄된 복합지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7a도 및 제7b도는 제2도에서 도시한 인쇄된 복합지로 만든 포대의 개구부(開口部) 및 저부(底部)를 보여주는 그림.
제8도는 제2도에서 도시한 인쇄된 복합지로 만든 포대의 육각저부에 대한 평면도.
이 발명은 크라프트지, 엑스텐시블지(Extensible paper) 등의 지류를 첨합
Figure kpo00001
시켜 만드는 포대제조용 복합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시멘트, 사료 또는 밀가루용 포대와 같은 중량물을 담는 중포장대(重包裝袋)는 크라프트지와 같은 강도가 큰 종이를 여러겹 겹치게 하여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근년에 와서 크라프트지를 만들기 위한 원료칩(chip)의 값이 상승하여 가급적 이 여러겹을 줄여서 예를 들면, 2-3겹으로 된 지류로 겹수를 줄이기 위한 연구노력이 포대 제조업자들간에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톱 오픈(Top open) 형식의 포대가 충전효율이 높으모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내용물의 충전시 포대를 똑바로 세워 공급하기 위해서는 충격강도에 강하고 어느 정도 강성(rigidity)도 갖고 있어야 한다.
클루패크지(미국 클루패크회사 제조) 등과 같은 엑스텐시블지로 만든 저강성의 포대는 전술한 각종 다층포대에 대한 층수삭감요구에는 어느 정도 사용가능하나 취급상으로 어려운 문제를 매포하고 있어 이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일례로서 본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예의 하나를 들면 83g/㎡의 클루패드지 2겹으로 된 포대는 크라프트지 3겹으로 된 포대와 비교할만한 정도와 낙하강도를 가짐이 판명되었다.
이것을 통상의 적층지(積層紙)인 폴리에틸렌 샌드위치 페이퍼(크라프트/폴리에틸렌/크라프트 적층)로 하면 포대를 똑바로 세울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은 있으나 제작가격이 높아지고 경량회의 이점이 없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제적으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설사 이렇게하여 만든 포대가 전표면에 걸쳐 결합으로 함께 접착을 시켜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된다 하더라도 유연성이 줄어들어 낙하충격저항이 저하되므로 이러한 포대는 실제적으로 사용되지 못한다.
더우기 수지상(樹脂狀) 결합제를 사용할 경우 지류성분의 회수율이 적어지고 사용된 포대를 폐기연소할 때에는 사당한 량의 해로운 성분을 함유한 매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유연한 종이로 된 복합지를 제공하되, 포대에 물질을 부어넣을때 복합지로 된 포대를 똑바른 위치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복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윤전기로 저가로 제조될 수 있고 비교적 무거운 물질을 충전하는 포대를 제조하기에 알맞는 복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위에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구부와 저부가 보강된 포대를 제조하기에 특히 적합한 신규한 복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장의 겹쳐지고 접착된 종이로 이루어지되, 접착된 종이장의 적어도 한면에 인쇄잉크계 결합제로 인쇄되는 포대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복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합제가 한 종이장의 전표면에 적용될지라도 복합지의 종방향에 평행하거나 또는 이정한 경사각으로 평행하게 간격을 둔 대상(帶狀)으로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합제의 전술한 패턴은 포대의 개구부와 저부를 보강해 준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가지로 조사한 결과 전술한 2겹으로 된 포대의 종(縱)방향에 평행하거나 비스듬히 대상으로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을때 만족할만한 강성과 낙하강도를 갖는 포대를 제조하기에 특히 접합한 복합지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복합지 또는 적층지는 일반적으로 지층(紙層) 사이에 용융접착제(溶融接着劑)를 삽입하고 권취함으로써 종이장들을 함께 접착시켜 제조한다. 이 방법으로 2겹이 한장 또는 층으로 통합되므로 충격을 받을때 2겹이 동시에 절단되는 일이 있는데 기계적 강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특히 다층포대의 경우 그 낙하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한 특수한 엑스턴시블루지류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전면적인 첨함에 의해 유연함이 없어져 이 종이와 유연특성(extensive characteristic)이 상실되므로써 충격을 완화시키지 못하고 포대의 파열을 초래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이성분의 회수백분율은 낮으며 사용된 포대를 소각할때 다량의 해로운 매연을 발생시킨다. 결합제는 복합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데 그것은 권취로울의 직경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용성 결합제를 사용코저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적층한 복합지를 권취하기 이전에 접착제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설비를 필요로 하며, 또한 그 때문에 열에너지 소비가 심할뿐 아니라 가격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문제는 용융결합제를 사용할 경우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포대는 통상 복합지의 긴 웨브(web)를 권취기로부터 풀어내어 평평해진 복합지를 실린더안에 넣어 변형시킨후 포대길이별로 절단한다. 이 경우 결합제는 복합지의 저부 및 개구부가 나중에 형성될 부분에만 바른다. 원료를 포대로 포장하는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복합지의 모든 층(겹)을 개구부의 전부위를 따라 겹쳐서 발라야 하나 이러한 작업은 실제적으로 어렵다.
이 발명의 복합지는 마주하는 종이장들의 적어도 한 포면에 인쇄잉크계 결합제를 인쇄하고 그들을 함께 가압하에 접착하기 위하여 겹으로 적층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복합지는 그것을 연속 포대 제조기계에 사용하기 위하여 권취한다.
인쇄잉크계 결합제가 종이장의 전표면에 적용될지라도 종이의 종방향에 평행하거나 또는 비스듬히 대상으로 바르는 것이 유리하다.
인쇄된 복합지의 두께는 실제적으로 균일하고 인쇄잉크계 결합제의 두께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지고 권취기로울의 직경은 종래의 결합제를 사용하는 권취기로울의 직경보다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더우기 인쇄잉크계 결합제의 양이 작으므로 사용된 포대에 포함된 성분의 회수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폐기연소시에도 해로운 매연이나 가스발생이 적다.
본원 발명에 있어 복합지의 원지(原紙)로서는 통상 크라프트지, 클루패크지와 같은 엑스텐시블지 및 합성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인쇄잉크 결합제로서는 통상의 인쇄잉크가 모두 사용대상이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인쇄잉크는 안료 또는 염료등과 같은 색재(色材)와 인공수지. 천연수지 및 셀룰로우스로 구성되는 비히클(vehicle) 그리고 와니스, 건조제, 토너(Toner) 및 빅토리아(Victoria)로 구성되는 첨가제로 구성되는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이 목적이 아니므로 안료 또는 염료는 뺄 수도 있다. 이 색제는 인쇄잉크의 제조가 격의 약 절반에 달하므로, 색제의 제거는 인쇄잉크의 제조가격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소량의 안료 또는 염료의 사용은 착색인쇄잉크가 불균일하거나 또는 불연속적인 인쇄를 나타내는 경우에 유리하다. 발명자가 실험한 바로는 특히 유성(油性)의 인쇄잉크로부터 염료나 안료양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영(零)으로 하므로써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통상의 인쇄잉크는 다른 인쇄면에 부착되지 않아야 할지라도 본 발명의 인쇄잉크는 높은 점착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은 잉쇄잉크계 결합제의 특성을 다음에 예시한다.
잉코메타의 값(inkometer value) (250℃, 400rpm) 8.0-11.0
평행판 점도계수(25℃, 1훌로우(flow)의 값) 36.0-40.0
슬로웁의 값(slope value) 5.0-8.0
라레이형(Raleigh type) 점도계에 의한 점도(25℃, 포이즈) 100-200
표면 건조시간 2시간이상
피막 건조시간 3시간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종이장을 다른 종이장의 인쇄된 표면을 향하여 압착하고 그 적층지를 압착된 상태에서 알맞는 시간동안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적층후, 복합지를 코일상으로 감아둔다. 더 좋은 접착을 위하여 적절한 압력을 권취로울에 가해주어야 한다.
많은 실험의 결과 다음의 방법은 복합지가 회전굴대에 감기는 권취형성의 종래의 방법보다 더 좋은 결과를 줌을 나타낸다. 따라서, 권취로울러는 두개의 회전하는 로울러상에 놓이는데, 예를 들면, 복합지는 일정압력과 일정한 긴장하에 권취로울러에 복합지를 감기 위하여 한 회전하는 로울러 둘레의 권취로울러에 인도된다. 두 적층지의 접착은 왼쇄된 잉크표면의 산화중합에 의하여 진행된다. 인접하는 종이장의 반대표면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종이포대 제조공장은 일반적으로 몇개의 윤전기가 갗추어져 있기 때문에 이 발명의 복합지는 인쇄된 종이장에 접착된 복합지의 로울을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단순히 첨가함으로써 현존하는 기계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절단선은 일정한 패턴을 인쇄함과 동시에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로부터 좀더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1010mm 폭을 갖는 종이장(1)과 (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한 대(帶)(2)와 각 대는 15mm의 폭과 옆간격 30mm를 가지며 포대의 길이로 종으로 간격을 둔 가로대(3)는 윤전기와 상기한 형태의 인쇄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종이(1)의 한 표면에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다음에 인쇄된 종이장을 회전굴대에 감아 권취하였다. 로울의 직경이 1000mm일 때도 로울사이의 직경차는 극히 작아서 권취시 말썽이 없다. 로울을 정지상태로 24시간동안 둔 후에, 감긴 종이의 인정층들은 포대제조단계로 이어지는 동안에 거기에 가해진 힘에 견디어내도록 적용된 인쇄잉크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착되었다.
이 복합지로 제조된 포대는 종래의 결합제를 사용하는 복합지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것보다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기계적 강도를 가짐을 발견하였다. 더우기 본 발명의 복합지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포대는 그 개구부를 충분히 연채로 똑바로 세울 수가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에서는 평행하게 간격을 둔 대를 종이장의 중방향으로 비스듬히 인쇄한다.
[실시예 2]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 15mm이고 서로 30mm의 간격을 둔 평행한 대(2)를 종방향으로 30°의 각도로 비스듬히 인쇄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종이장(1)과 (1')의 양옆 가장자리가 겹쳐있고 다음에 원통형 멤버를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대(2)는 이들 옆 가장자리에는 인쇄되지 않는다.
인쇄된 복합지를 로울에 감는 단계와 복합지를 로울로부터 플어내는 단계, 그리고 풀어낸 종이를 부분으로 절단하는 이들 단계들은 실시예 1에서와 같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균일하게 인쇄된 대(2)가 주름 3,4 및 5를 가로지르도록 제2도에 나타낸 점선과 파선을 따라 인쇄된 복합지를 접음으로써 포대를 형성할때 복합지를 정확한 위치로 접기가 쉽다. 인쇄된 대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주름은 강성이 큰대와 종종 일치할 수 있다.
제4a도 및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취입구 밸브(7)를 갖는 포대를 인쇄된 대(2)가 균일하게 주름을 가로지르도록 하여 이 실시예의 인쇄된 복합지로 형성할때 포대로 접혀들어간 부분들은 바깥으로 삐져 나오기가 어렵다.
제2도에 나타낸 인쇄된 복합지를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되고 접착된 상부 또는 저부플랩으로 포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할때 플랩의 양옆이 인쇄된 대에 의하여 접착되므로 종이장(1)과 (1')의 양옆 가장자리는 풀어지지 않는다.
인쇄된 복합지를 로울로 감을때 인쇄된 줄무늬는 인접한 회전 사이에 조금씩 연속적으로 위치조정함에 따라 로울의 직경은 평행한 종방향 줄무늬로 인쇄된 복합지의 로울보다 로울의 길이를 통하여 더욱 균일해진다.
[실시예 3]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 3에서는 줄무늬 21, 22및 23는 나중에 형성된 포대의 앞과 뒷면이 되는 종이장(1)과 (1')의 표면에 인쇄된다. 줄무늬 22, 23및 21은 복합지의 종방향에 관하여 45°의 각으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제6도에 나타낸 복합지로 포대를 형성하고 플랩(6)을 제7a도 및 제7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포대의 상부개구부 또는 저부에서 굽히고 접착시킬때, 플랩(6)에 인쇄된 비스듬한 줄무늬와 플랩이 접착된 포대의 주몸체상에 인쇄된 무늬들은 서로 교차하게 되고 따라서 포대의 개구부와 저부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각형의 저부를 갖는 포대는 제6도에 나타낸 복합지를 사용하여서 형성되고 저부의 인쇄된 줄무늬는 서로 교차하고 그리하여 바닥의 기계적 강도는 향상될 수 있다.
각 실시예에서, 복합지를 형성한 종이층들을 접착한지 24시간후 충분한 접착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지는 단일종이장과 똑같은 방법으로 포대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

  1. 제1종이장의 거의 전표면에 산화중합가능한 유성인쇄잉크를 종이장의 종방향에 평행하거나 또는 일정한 경사각으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대상(帶狀)으로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제1종이장의 인쇄된 표면에 제2종이장을 포개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종이장을 귄취(卷取)함으로써, 권취된 종이장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로울을 상기 인쇄잉크의 산화중합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적어도 24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810001927A 1980-06-06 1981-05-30 포대제조용 복합지(複合紙)의 제조방법 KR850000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5422 1980-06-06
JP7542280A JPS575995A (en) 1980-06-06 1980-06-06 Wound laminated p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013A KR830006013A (ko) 1983-09-17
KR850000457B1 true KR850000457B1 (ko) 1985-04-05

Family

ID=1357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927A KR850000457B1 (ko) 1980-06-06 1981-05-30 포대제조용 복합지(複合紙)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5995A (ko)
KR (1) KR8500004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5995A (en) 1982-01-12
KR830006013A (ko) 198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6272A (en) Stuffed sealed envelope assembly
FI78864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blad eller ark med avskiljbara sjaelvhaeftande etiketter och blad eller ark framstaellda enligt detta foerfarande.
US20040001930A1 (en) Foldform label laminate
JPH0811583B2 (ja) 開放容易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L201093B1 (pl) Torba z tworzywa sztucznego w kształcie koszulki typu T-shrit
DE3835721C2 (ko)
DE102019106620A1 (de) Packung für Produkte der Zigarettenindust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4460426A (en) Composite paper sheets adapted to manufacture bags and process
EP0328811B1 (en) Improved return mailer assembly and related process
KR850000457B1 (ko) 포대제조용 복합지(複合紙)의 제조방법
EP1010638A1 (de) Wiederverschliessbare, feuchtigkeitsdichte Schlauchbeutelpackung
FI58297B (fi) Fukttaet foerpackning
JP4422377B2 (ja) (シガレット)パックの製造方法
US1687905A (en) Method of making continuous manifold forms
TW577840B (en) Container for liquid contents,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ntainers, web-shaped container material, and device for producing a web-shaped container material
CA1267386A (en) Sealed letter
FI79486B (fi) Affaersblankettenhet.
WO1980002827A1 (en) Pack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S5934582B2 (ja) 製袋用複合紙
EP0072785B1 (de) Packung für festes Verpackungsgu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1668044A (en) Method of making bags
US4728027A (en) Short length maile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FI98292C (fi) Pohjasäkki
JP2001072122A (ja) 紙バンド
JP6979581B2 (ja) 往復葉書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