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418Y1 -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418Y1
KR850000418Y1 KR2019840005999U KR840005999U KR850000418Y1 KR 850000418 Y1 KR850000418 Y1 KR 850000418Y1 KR 2019840005999 U KR2019840005999 U KR 2019840005999U KR 840005999 U KR840005999 U KR 840005999U KR 850000418 Y1 KR850000418 Y1 KR 850000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cylindrical
circular opening
binding portion
refl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오 가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즈야마 긴조구 세이사구쇼
쯔야마 사다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10002725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6055A/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즈야마 긴조구 세이사구쇼, 쯔야마 사다하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즈야마 긴조구 세이사구쇼
Priority to KR2019840005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4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418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배면도.
제4도는 바퀴스포크상에 설치된 반사체 부착장치의 분해도.
제5도는 첫번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린더 결속부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저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우측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배면도.
제9도는 제5도의 B―B'선을 따라 이은 단면도.
제10도는 제5도의 C―C'선을 따라 이은 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에서 두번째 실시예의 분해도.
제12도는 반사체 부착장치를 바퀴스포크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
제13도는 제11도에서 설명된 실린더형 결속장치의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저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우측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배면도.
제17도는 제13도의 B―B'선을 따라 잇는 단면도.
제18도는 제13도의 C―C'선을 따라 잇는 단면도.
제19도는 바퀴스포크상에 설치된 제11도의 측면반사체 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스포크를 포함한 부분의 수직단면도.
본 고안은 안전한 승차를 위하여 자전거나 모터싸이클과 같은 바퀴의 스포크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일반적인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퀴스포크에 설치될 수 있는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측면반사체 부착장치를 위하여 나사로써, 스포크 양끝부분이 서로 겹쳐져서 견고하게 된 스포크부분위에 U형태로 된 설치판의 만곡부에 의한 스포크 조임쇠로써 바퀴스포크에 측면반사체를 설치하는 것이 이미 알려졌었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에서는 측면반사체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워셔와 같은 것을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작업하기에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두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사이에 바퀴 스포크가 나사에 의하여 조여지는 것이 좁더 진보한 발명으로 제안되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No 23597/1975). 그러나 이러한 설치에 서도 유사한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또한 측면반사체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연결되는 후크(hook)부재도 제안되었는데, 이 후크부재는 바퀴스포크에 걸려지는 것이다(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No 41980/1976).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작업자가 바라볼때 측면반사체의 후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능률적인 작업효과를 얻기가 힘들다. 뿐만아니라, 날카로운 형태로 돌출된 후크부재의 말단부에 의해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퀴스포크에 대하여 단순한 구성요소로써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실린더형 결속부의 양지지부내로 바퀴스포크를 삽입하기 위한 실린더형 결속부를 포함하고, 또한 실린더형 결속부가 끼워져 고정되어지는 바닥이 형성된 원형개구부가 실직적으로 중앙부위에 구성되어 있는 반사체판을 주된 측징으로 하는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형 결속부의 양지지부내호 바퀴스포크를 삽입하기 위한 실린더형 결속부를 포함하고,실린더형 결속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바닥이 형성된 원형개구부가 반사체판 양측부위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에서 제10도까지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이러한 측면반사체 부착장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을 댄 원형개구부가 실질적인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체를 포함하며, 원형개구부내에서 동일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는 실린더형 결속부를 포함하는데, 이들을 간단히 요약하면,
원형개구부는 바퀴스포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개구부 둘레의 리딩테두리부 범위내에 한쌍의 고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개구부의 내부직경을 균일하게 줄이기 위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한쌍의 고착홈 부근인 개구부의 내부벽에 속하는 보다 두꺼운 벽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의 실린더형 결속부는 바퀴스포크를 고착시키기 위하여 후위부로 뻗은 양지지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양지지부의 한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측면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실린더형 결속부는 고착홈을 통과하여 지나는 바퀴스포크를 가로질러 바닥을 댄 원형개구부내로 양지지부가 삽입되므로써 반사체부재와 스포크가 사용하여 동일축으로 회전된다. 그로인하여, 실린더형 결속부의 양축면 돌출부의 윗면은 보다 두꺼운 벽부분의 이면에 대하여 역회전 할수 없도록 활주시킨다.
제1도에서 제3도까지를 참조하면, 바퀴스포크에 부착되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측면반사체 부착장치(1)를 도시한 것으로, 반사체판내의 중앙부위에 전방부가 개방되어 바닥을 댄 원형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를 원료로 한 수지류인 반사체판(3)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폴리아세탈(polyacetal)을 원료로 한 수지류인 실린더형 연결기 또는 접속기(4)는 원형개구부내에 동축으로 꼭 맞도록 적용되어 있다.
원형개구부(2)는 바닥면의 중앙에 바닥돌기부(5)가 형성되어 있고, 바퀴스포크(S)를 고착시키기 위하여 원형둘레의 리딩테두리부(6)범위내에 한쌍의 고착홈(7,8)이 형형되어 있다. 고착홈 부근의 원형개구부 내부벽에 속하는 부분(9,10)은 원형개구부의 내부직경을 균일하게 줄이기 위하여 보다 두꺼운 두께를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두꺼운 부분의 배후면은 단면이 이가 톱니형으로 되어 있는 원형개구부톱니홈(11,12)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형 결속부(4)는 스포크(S)를 고착시키기 위하여 두갈래로 뻗어진 양지지부(13)를 하단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 측면돌부(14,15)를 포함하고 있다. 양지지부(13)의 헤드는 스크루이드라이버로 사용하기 위하여 헤드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면돌출부(14,15)는 단면이 톱니형태를 이루고 있는 실린더형 결속부빈니홈(17,18)을 윗면에 형성하고 있다.
제4도에서 명확히 알수있는 바와같이, 실린더형 결속부(4)는 고착홈(7,8)에 의하여 스포크(S)가 끼워져 가로지르는 반사체판(3)에서 바닥을 댄 원형개구부(2)내로 양지지부(13)로써 끼워지도록 되어있다. 실린더형 결속부(4)의 양지지부 하단에 형성된 측면돌출부(14,15)가 원형개구부(2)의 두꺼운 벽부분(9,10)에 의해 돌원부(突援附)로써 맞물려지는 것이 아니고, 원형개구부(2)내로 끼워진 후 실린더형 결속부(4)의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헤드홈(16)에 꼭맞는 스크루우드라이버나 이와같은 기구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양지지부의 측면돌출부(14,15)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형 결속부톱니홈(17,18)이 두꺼운 벽부분(9,10)에 배면에 형성된 원형 개구부톱니홈(11,12)에 대하여 역회전할 수 없도록 환주시켜 맞물려지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사체판(3)과 실린더형 결속부(4)는 스포크(S)에 대해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실린더형 결속부(4)는 제5도에서 제10도까지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데, 슬릿(19,20)은 두갈래로 갈라진 양지지부(13)에 의하여 한정된 간격내로 소통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은 반사체판(3)내에 스포크(S)가 가로질러진 원형개구부(2)내로 실린더형 결속부(4)를 끼워넣은 후, 반사체판(3)과 스포크(S)에 대하여 실린더형 결속부(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닥돌기부 삽입홈(21,22)은 반사체판(3)내에 형성된 원형개구부(2)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바닥돌기부(5)를 여유있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지지부(13)의 내부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에서 제20도까지는 본 고안에 의한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의 두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두개의 스포크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는 어떠한 바퀴에도 설치하기에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비록 동일한 기본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자전거나 모터싸이클의 바퀴일지라도, 스포크 배열은 각 바퀴마다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징은 중요한 것이다.
두번째 실시예를 참조하여, 측면반사체 부착장치는 반사체판내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을 형성하고 전방면이 개구부를 형성한 원형개구부가 반사체판의 오른쪽과 왼쪽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반사체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각각의 원형개구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실린더형 결속부를 포함하는 측면반사체 부착장치를 형성하는 것인데, 이를 각단히 요약하면,
각각의 원형개구부는 안쪽방면에서 방사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바와같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보다 두께에서 더 두껍게 되어있는 적어도 두개의 벽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형 결속부는 헤드를 포함하고, 헤드로부터 후위로 뻗은 한쌍의 양지지부를 포함하며, 한쌍의 양지지부 하단으로부터 측면 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측면돌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반사체판내에 형성되어 있는 바닥면을 댄 원형개구부에 정해진 스포크를 적절하게 가로질러 설치한 후 실린더형 결속부의 양지지부에 의하여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원형개구부의 보다 두꺼운 벽부분에서 견고하게 접합될때까지 측면돌출부를 비틀어 회전시키므로써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는 스포크에 대하여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11도에서 제20도까지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101)로 도시된 측면반사체 부착장치는 반사체판(103)내의 오른쪽과 왼쪽양편에 전면이 개방되고 바닥이 형성된 세개의 원형개구부(102)세트를 각각 구성하고 있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를 원료로한 수지류인 반사체판(103)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폴리아세탈을 원료로한 수지류인 실린더형 연결기 또는 접속기(104)는 각각 개구부내에 꼭 맞도록 되어있다.
반사체판(103)내에 바닥이 형성된 원형개구부(102)는 바닥면의 중앙부위에 마련된 바닥돌기부(105)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방면에서 방사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바와같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보다 두께에서 더 두꺼운 벽부분(106)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두꺼운 벽부분(106)은 배면에서 이가 톱니형태(107)로 된 단층을 이루고 있다.
바닥이 형성된 원형개구부(102)는 반사체판(103)의 각에 대하여 경사진 중앙축선(m)으로 유지되어 있다. 세개의 원형개구부(102)가 형성된 하나의 셋트는 서로 다른 피치 p,q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형개구부셋트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형 결속부(104)를 헤드(108)와 헤드로부터 뻗은 양지지부(109) 및 양지지부(109)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측면돌출부(1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측면돌출부(110)는 톱니형태로 된 실린더형 결속부톱니홈(111)이 단층현상으로 되어있다. 단층형상의 실린더형 결속부톱니홈(111)면은 앞에서 언급한 단층형상의 원형개구부톱니홈(107)부와 맞물려지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맞물림은 화살표(B)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형 결속부(104)를 고정시킬 수 있다. 헤드(108)는 실린더형 결속부(10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드라이버를 끼울수 있는 헤드홈(112)를 헤드부에 형성하고 있다. 헤드홈(112)의 양벽면중 헤드홈 절반부(113)는 실린더형 결속부(104)가 화살표(B)방향의 역방향에 대하여 우연한 회전을 피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잘라내었다.
제13도에서 제18도까지는 실린더형 결속부(104)의 형태도로써, 슬릿(114)은 양지지부(109)사이의 공간으로 끼워지도록 되어있다. 이 슬릿(114)은 스포크(S)를 원형 개구부(102)에 가로질러 고정되도록 끼운 후 연합된 스포크(S)와 반사체(103)에 대하여 실린더형 결속부(104)가 비틀어지는 회전효과를 얻기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닥돌기부 삽입홈(115)은 원형개구부(102)에 형성된 바닥돌기부(105)를 여유있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지지부(109)의 내부벽면에 마련되어 있다.
측면반사체(101)의 부착은 반사체판(103)내에 연합된 원형개구부(102)내로 양지지부(109)를 끼우는데, 실린더형 결속부(104)의 양지지부(109)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스프코(S)를 끼운후(B)방향으로 실린더형 결속부를 비틀어 회전시키므로써 압착에 의해 부착시킬 수 있다. 제19도와 제20도는 부착된 측면반사체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부착된 측면반사체 부착장치(101)에 있어서, 실린더형 결속부(104)는 측면돌출부(110)의 단층을 이룬 실린더형 결속부톱니홈(111)면이 원형개구부의 보다 두꺼운 벽부분(106)의 배면에 단층을 이룬 원형개구부톱니홈(107)과 함께 역회전할 수 없게 맞물려지는 원인으로 인하여 반사체판(103)에 고정되어지므로써, 실질적으로 완전한 실비세트를 이룰수 있는 것이다. 이는 스포크(S)에 대하여 측면반사체 부착장치를 매우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나사형태로 된 부착장치와 비교하면, 본 고안에 의한 반사체 부착장치는원호범위내에서 실린더형 결속부를 회전시키므로써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작업이 간결하게 쉽게 적소에 과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반사체부착장치는 단일스포크에 부착되도록 설계된 부착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데, 예를들면 스포크 길이를 따라서 또는 스포크 둘레를 따라 미끄러지거나 회전현상과 이탈할 수 있는 불합리함을 제거할 수 있다.
반사체판(103)의 양편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세트내에 배열되어 서로 다른 피치(p,q)로 도시된 각 세개의 원형개구부에 있서서, 6가지 형태의 바퀴에 설치되어 있는 스포크에 대하여 적절한 원형개구부의 선택으로 반사체부착장치를 정확히 적용할 수 있다. 이와관련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퀴는 20",22",24",26",27",28"의 6종류 크기이고, 이러한 6종류의 스포크배치는 상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투사된 빛은 반사체판(103)의 양측면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끊임없이 반사되도록 할수 있는데, 원형개구부(102)의 중앙축선(m)은 반사체판(103)과 함께 각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스포크에 설치되어지는 이반사체판은 적절하게 수진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반사체판(3,103)은 모서리가 각이진 형태이고, 두 개의 판과같은 반사체판부재(23,24)는 역반사되는 피라미달(pyramidal)단면, 즉 투사된 빛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즉시 반사할 수 있는 두 개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체판(3)은 두 개의 판과같은 반사체 테두리부(25,26)모형에 있어서, 접되제로써 완전한 하나의 판으로 만들 수 있다. 첫번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바닥원형부(27)는 원형개구부(2)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반사체판(3,103)이나 원통형연결기(4,104)를 만드는 재질은 중요한 것이 아닌데, 예로써 실린더형 결속부(4,104)는 나일론을 원료로한 합성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원료로 한 합성수지 뿐만 아니라, 알미늄, 아연, 다이케스트(diecast)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바퀴 스포크(S)에 설치하기 위한 측면반사체 부착장치에는 반사체판을 부착시킬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형 결속부와 반사체판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측면반사체판(3)내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개구부(2)는 한면에 바닥을 대고, 그 전면은 개구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원형개구부(2)는 가장자리에 스포크(S)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개의 고착홈(7,8)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착홈(7,8)의 인접한 부분에 두꺼운 벽부분(9,10)이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형 결속부(4)내에 슬릿(19,20,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포크(S)면과 반사체판(3)의 면이 평행하도록 되어있고, 두꺼운 벽부분(9,10)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개구부톱니홈(11,12)과 실린더형 결속부(4)의 측면돌출부(14,15)윗면에 톱니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반사체 부착장치.
KR2019840005999U 1981-07-27 1984-06-25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 KR850000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999U KR850000418Y1 (ko) 1981-07-27 1984-06-25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725A KR830006055A (ko) 1980-08-30 1981-07-27 측면 반사경 부속품
KR2019840005999U KR850000418Y1 (ko) 1981-07-27 1984-06-25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725A Division KR830006055A (ko) 1980-08-30 1981-07-27 측면 반사경 부속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418Y1 true KR850000418Y1 (ko) 1985-03-18

Family

ID=2662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999U KR850000418Y1 (ko) 1981-07-27 1984-06-25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4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924A (en) Retroreflective marker devices for attachment to spokes of bicycle wheels or the like
US5464276A (en) Accessory assembly for a vehicle wheel
KR850000418Y1 (ko) 측면 반사체 부착장치
US4488774A (en) Side reflector assembly
US4422615A (en) Flexible reflector assembly for bicycles and the like
US5652677A (en) Light reflecting bicycle safety apparatus
JPS6321049Y2 (ko)
JP2001130466A (ja) 自転車用点滅スポークリフレクターの取付け装置
JPS5921068Y2 (ja) ランプベゼルの取付構造
JPS6348882Y2 (ko)
JPS6240482Y2 (ko)
JP3400709B2 (ja) 自転車の後輪泥よけ取り付け方法および装置
GB2183887A (en) Mounting bracket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5851103Y2 (ja) センタ−プル式キヤリパ−ブレ−キ
JPS6261850A (ja) サイドコンビネ−シヨンランプ回りの組付構造
EP0253736B1 (fr) Agrafe de bandeau
JPS5848733Y2 (ja) 車輛用灯具のバツクカバ−取付構造
JPS5926964Y2 (ja) 多灯用照明器具
US1522399A (en) Shade and reflector for motor vehicle headlights
JPH0217361Y2 (ko)
JPS5818163Y2 (ja) 車輌用灯具
JP2571984B2 (ja) デスクスタンド
JPH0539872U (ja) 回転防止型ターンバツクル
JPS582668Y2 (ja) 自動車用灯具取付構造
KR200152749Y1 (ko) 자동차용 램프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