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205B1 - 수유기(受油器)조립체 - Google Patents

수유기(受油器)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205B1
KR850000205B1 KR1019800004035A KR800004035A KR850000205B1 KR 850000205 B1 KR850000205 B1 KR 850000205B1 KR 1019800004035 A KR1019800004035 A KR 1019800004035A KR 800004035 A KR800004035 A KR 800004035A KR 850000205 B1 KR850000205 B1 KR 85000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ssembly
engin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524A (ko
Inventor
디.바우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컴민스 엔진컴파니 인코오포레이티드
로버어트 이.호프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민스 엔진컴파니 인코오포레이티드, 로버어트 이.호프마이스터 filed Critical 컴민스 엔진컴파니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30004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유기(受油器)조립체
제1도는 엔진블록을 본 발명의 수유기조립체(oilpan assembly)와 같이 알맞게 나타낸 절단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하부엔진블록, 수유기조립체 및 오일공급라인을 나타낸 일부 절단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수유기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에 의한 수유기조립체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수유기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6-6선에 의한 수유기조립체의 단면도.
제7도는 부착클립(clip)의 한 형상의 측면도.
제8도는 부착클립의 다른 형상의 측면도.
제9도는 수유기의 부착용 플랜지를 나타낸 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에 나타낸 하부엔진블록의 일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나타낸 하부엔진블록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수유기(受油器)조립체 (oil pan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오일저장기 내부에 일체로 되게 부착시키고 내연기관에 수유기조립체를 동시에 부착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한 오일공급파이프를 포함하는 수유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구성부품을 제작하는 코스트가 중대되는 경향임으로 엔진제작자가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품, 즉 2종이상의엔진에 응용될 수 있는 부품설계에 대해서 노력을 경주하였다.
이와 같이 다목적 엔진부품을 구성함으로써 실제적으로 코스트의 저하를 가져왔다. 특히 엔진을 서로 다른 목적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엔진에 여러가지 종류의 배치를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한 기본구성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은 코스트의 저하를 가져온다. 이들 기본구성부품을 변형시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내연기관의 구성부품은 수유기조립체(oil pan assembly)이다. 엔진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예로서 엔진을 차량의 구동에 사용될때 엔진수용공동(carity)의 형상등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수유기조립체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엔진의 전면에 대한 차량축 위치는 통상적으로 그 수유기용기의 위치를 제한시키며, 이 용기는 수유기의 깊은부분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한편, 서로 다른 형상의 수유기를 제작하는 것은 그 용기에서 엔진윤활장치로 오일을 이송시키는 오일공급라인 또는 오일저장기파이프(sump pipe)의 구조상 볼때 복잡한 것으로 된다. 여러방향으로 배치하여 부착할 수 있는 수유기용기를 형성한 다음 그 용기를 윤활유체장치와 필요한 유체접속을 형성하는 것은 그 윤활장치가 엔진의 외부에 부착한 오일흐름라인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엔진블록과 수유기조립체내에 완전히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내장된 윤활시스템은 그 수유기(oil pan)가 엔진에 부착되어 있을 때 그 수유기의 주변내에서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하부엔진블록의 입구포오트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오일공급라인 또는 오일저장기 파이프가 설치됨으로써 수용기용기가 이 타입의 엔진의 서로 다른 모덴에 대하여 요구하는 배치를 부착되어 있을 때 그 오일공파이프가 입구포오트와 접속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 공지된 오일공급라인 또는 오일저장기 파이프의타입은 수유기조립체를 완전히 내장시킨 윤활장치를 가진 엔진에 부착시킬 때 입구포오트와 수유기 용기사이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은 수유기조립체에 외장한 오일공급라인을 사용함으로써 그 용기와 엔진윤활장치 사이의 접속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경우 그 윤활장치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모덴 855 C.I.D엔진에 현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몇가지 단점이 있다. 특히, 외장한 오일공급라인은 그 접속점에서 오일이 유출되기가 용이하므로 접속이 손상되지 않고 그대로 보장받을 수 있도록 주의하여 감시할 필요가 있다. 더우기 그 라인자체에 가하여진 손상에 의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외장된 흐름라인은 또 복잡한 외관을 나타내어 고객이 그 엔진의 구조에 대하여 마음속에 받는 인상에 악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수유나조립체의 내부에 오일공급라인을 내장하는 것은 외장한 공급라인에 부수되는 유출문제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공지된 예로서 미국특허 제3,653,464호에 기재되어 있는 내장된 공급라인은 최종 엔진 조립시에 그 공급라인과 수유기를 각각 분리하여 부착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므로 조립코스트가 높아진다. 미국특허 제3,653,464호에 기재된 내장오일 공급라인은 그 라인이 그 수유기용기내로 늘어지게 지지시켜야 한다. 또, 위특허 제3,653,464호에 기재된 조립체구조는 그 조립체구조를 나타낸 것과는 다른 엔진사용상태에 적합하도록 한 부착위치를 제안한바 없다.
종래에 있어서는 유체도관을 수용기용기내에 비치하여 이 도관을 미국특허 제2,437,01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사용목적에 따라 형성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수용기용기는 그 수유기를 역(逆)으로 배치하여 부착시킴으로써 다른 목적의 이용에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수유기조립체와 관련하여 수유기용기에서 오일펌프로 흐르는 오일을 여과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은 슬러지(sludge) 및 다른 오염물질을 순환시켜 엔진을 순환시킬 위험을 방지하는데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오일여과장치는 미국특허 제3,888,277호 및 제3,888,22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잡한 많은 부품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다부품형(多部品形)구조를 가진 필터는 수환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깨끗하게 할 수 있으나 그 제작, 조립 및 수리의 비용이 높다. 따라서, 제작코스트를 크게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수유기조립체에 위와 같은 다부품형 필터구조를 사용하는 것은 명백히 자기모순이다.
또, 미국특허 제3,653,464호에서와 같이 오일공급라인 또는 오일저장기 파이프에 통상적으로 부착한 오일채취장치(oil pick-up derices)를 사용하는 것은 역시 제작 및 조립의 코스트를 상승시키며 전체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에 부착할 때 자유롭게 방향을 바꿀 수 있고 제작 및 조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유기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경우 엔진에는 그 수유기조립체가 부착되어 그 수유기조립체의 주변내에서 비대층으로 위치시킨 엔진의 유입포오스를 통하여 그 수유기조립체에서 오일을 얻도록 구성된 윤활장치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비대칭으로 위치시킨 오일입구 포오트를 가진 엔진에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부착시키는 수유기(oil pan)와 그 수유기내에 일체로 되게 접속되고 그 수유기조립체가 엔진상에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부착될 때 입구포오트와 자동적으로 정열하며 또 이것과 연통하는 오일공급라인 또는 오일저장기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오일공급라인 또는 오일저장기 파이프와 용이하게 일체로 형성된 오일여과수단을 가진 비용이 저렴한 위치가변성 수유기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엔진의 소음을 감소하도록 한 비용이 저렴한 수유기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비대칭으로 위치하는 오일입구 포오트를 엔진의 수유기조립체로서 그 엔진상에서 전방향 또는 후방향의 어느상태에서도 배치되도록 비대칭으로 된 오일용기를 가진 수유기와, 그 수유기에 일체로 되게 내징되어, 그 수유기와 공급튜브가 엔진에서 하나의 유닛(unit)으로서 요구하는 배치로 부착될 때 그 입구포오트와 자동적으로 합치되도록 한 형상으로 선택된 오일공급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하나의 목적은 엔진을 서로 다른 목적에 적합하도록 엔진상에서 역전하여 설치할 수 있는 수유기를 형성하는 공정과, 그 수유기의 요구하는 배치에 따라 여기에 일체로 되게 부착시키는 오일공급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하여 그 수유기조립체가 엔진상에서 하나의(unit)으로 설치될 때 그 공급라인의 일단이 자동적으로 엔진의 윤활유포오트와 일치하도록 하는 수유기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래더프레임(ladder frame)의 내부에서 일체로 되게 형성된 오일펌프 하우징이 동일하게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수유기에 일체로 되게 형성된 공급라인을 통하여 오일펌프용기와 연통하도록 한 하부엔진블록 및 그 블록에 요구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수유기조립체를 제공하여 윤활장치전체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그 구체적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제1도는 엔질블록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낸 상부엔진블록의 주요한 특징은 윤활흐름회로(lubrication folw circuit)가 그 엔진블록내에서 완전히 일체로 되게 수용되어 있어, 오일의 회부흐름회로를 실제적으로 없게하여 시일링(sealing)의 파손으로 발생하는 오일의 유출, 그 회부흐름회로의 손상에서 오는 윤활시스템 파괴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윤활흐름회로를 하부블록부 또는 크랭크케이스부(crankcase section)(이하 래더프레임이라함)를 통하여 수유기조립체내로 내장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 래더프레임 및 수유기조립체를 일체로 되게 결합한 내장유로는 제작 및 조립의 코스트를 감소시키며, 엔진조립체 전체를 여러가지 사용목적에 따라 적응하도록 위치를 변화시킬수 있는 잇점이 있다.
제1도는 위에서 언급한 완전히 결합시킨 엔진블록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블록에는 주프레임(main frame), 즉 실린더블록 2를 포함하고 있어 그 블록 2는 그 양측면에서 헤드결합면 4와 프랭크샤프트 수용구(受容口) 6을 갖고 있다.
하부엔진블록 또는 크랭크샤프트부 8은 래더프레임 10을 포함하고 있다. 래더프레임 10은 하단면에 부착된 수유기조립체 14에서 오일을 끌어올림과 동시에(파선화살표 a1으로 표시) 그 래더프레임 10과 상부블록 2에서의 유로(화살표 a2로 표시) 를 통하여 상부로 올라가도록한 오일펌프(도시생략)를 수용하는 리세스(recess)(파선으로 표시 16을 갖고 있다. 그 윤활회로는 그 결합시킨 블록내에 개방한 미로(迷路,labyrinth)를 통하여 오일을 중력에 의해 화살표 a3와 같이 수유기로 반승함으로써 완성된다.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2도를 도시하는바, 제2도는 래더프레임 10과 수유기조립체의 일부 절단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오일펌프 수용리세스 16은 래더프레임 10의 단벽 17내에 개방되어 있고, 유로 20a(점선으로 표시)를 통하여 수유기조립체 14와 연통되어 있으며, 또한 래더프레임 10내에 완전히 포위되어 있다. 리세스 16은 단벽 17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그 리세스 16에 구성되는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오일펌프(도시생략)에서의 내부작동부분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오일은 공급라인으로서 오일저장기 파이프 18에 의해 리세스 16으로 공급된다.
그 파이프 18의 일단 19는 수유기조립체 14의 내실(imternal cavity)하단부와 연통되고 그 타단은 래더프레임 10의 후단면 12상에 형성된 입구포오트 22(파선으로 표시)에서 유로 20a와 유통되어 있다. 유로 20a의 타단은 출구포오트 22'를 통하여 리세스 16내로 개방되어 있다. 오일은 오일펌프에 의해 가압된 다음 래더프레임 10내에 형성되고 리세스 16의 일단에 연결된7유로 20b(파선으로 표시)에 의해 상부블록 2로 유입되고 유로 20b의 타단은 래더프레임 10의 상면 25에 형성된 포오트 23으로 되어 있다. 포오트 23은 상부블록 2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되는 포오트(23')(조1도)와 정열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래더프레임 10상에 부착되도록 한 수유기조립체 14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구성은 수유기조립체 14의 최하부가 래더프레임 10의 인접한 입구포오트 22의 반대측부분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제4도에서와 같이 수유기조립체 14는 엔진드레인(engine drains)에서 오일이 유입되는 깊이가 얕은 도입부(trough rartion) 26과, 오일을 순환시키도록 수유기조립체의 중앙에서 비대칭으로 된 깊이가 깊은 용기부 27 및 그 용기 23의 내측최하부오일을 엔진래더프레임 10의 입구포오트 22(파선으로 표시)로 유입유입시키는 오일공급라인 또는 오일저장기 파이프 28로 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수유기조립체에서 도입부 26이 엔진래더프레임 10의 입구포오트 22(파선으로 표시)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수유기조립체를 엔진에 부착할 때 입구포오트 22에서 어느거리만큼 그 용기 27이 떨어져있어, 오일저장기 파이프 28은 오일을 용기 27의 내측최하부에서 도입부 26을 통하여 입구포오트 22로 능률있게 흐르도록 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것은, 수유기조립체 14에 일체로 되게 부착될때 용기 27의 저벽과 평행하도록 위치시켜 형성한 제1레그(leg) 30과, 그 용기 27 상부(top)가까이 있는 위치에 수직으로 상하방으로 형성된 제2 레그 32 및 도입부 26를 통하여 수평으로 형성되고 입구포오트 22와 접속되는 제3 레그 34로 오일저장기 파이프 28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칼라(collar) 36은 제3 레그 34의 선단 35에 지지되고 있으며, 입구포오트 22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제1 레그 30과 제3레그 34는 각각 역 S형 클립(lirs) 38 및 40을 사용하여 용기 27의 저벽과 도입부 26에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클립 38,40은 오일저장기 파이프 28을 수유기조립체의 내부에서 일체가 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용기 27에는 슬러지 또는 오염오일(dirty oil)를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종류의 드레인(drain) 42를 가진다. 수유기조립체 14는 용기 27의 상부주변에 플랜지 44의 전장에 걸쳐 그 조립체 14를 래더프레임 저면 12(제1도 및 2도)에 지지하는 볼트수용구멍 46을 갖고 있다. 수유기조립체 14가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은 위치를 용기와 함께 차지할때 오일저장기파이프 28의 단부 36은 입구포오트 22와 자동적으로 연결되도륵 정확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도입부 26은 평행한 가는 수평단부 29를 가져 이것은 수유기조립체 14가 엔진에 부착될때 보강 및 소읍감소의 기능을 발휘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유기조립체 14'가 제3도 및 제4도의 수유기조립체와는 역방향으로 엔진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수유기조립체 14'의 용기 27이 입구포오트 22 바로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형상의 오일저장기파이프로서 용기 27과 입구포오트 22사이에서 완전히 연결을 하는것이 필요하다.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수유기 그 자체는 용기 27, 도입부 26 및 플랜지 44를 가져 따라서, 제3도 및 제4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동일형상이며 다른점은 용기 27이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도입부 26의 위치를 차지할 뿐이다. 용기 27이 입구포오트 22에 접근되어 있기 때문에 제5도 및 제6도의 구조에서는 더 간단한 오일저장기 파이프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저장기 파이프 48은 실제로 용기 27의 저벽과 평행한 제1 레그 50과, 용기 27의 상부까지 실제로 수직으로 구성하여 칼라 54와 결합하는 제2 레그 52로 형성되어 있다. 이 칼라 54는 그 파이프 48의 선단을 지지하여 입구포오트 22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클립 56 및 58은 오일저장기 파이프 48의 제1 레그 50을 용기 27의 저벽에 대해서 평행하게 유지시킨다. 오일저장기 파이프 28(제3도 및 제4도) 및 48(제5도 및 제6도)은 그 파이프의 입구단과 일체로 되게 형성된 필터수단을 가져 슬러지와 다른 오일중의 오염물질의 순환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을 제6도에 도시하였다. 오일저장기 파이프 48의 제1 레그 50은 캡(cap) 60을 가져 그 파이프의 개방단을 닫쳐지게 할 수 있다. 오일은 제1 레그 50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여 저부주변에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아아치형상의 슬롯 62에서 파이프로 들어간다.
이들 슬롯의 폭과수는 오일에서 여과시킨 고형입자의 크기와, 엔진의 적당한 윤활에 필요한 오일의 순환유량에 따라 선택한다. 제7도 및 제9도는 오일저장기 파이프를 수유기용기 저면도입부에 부착하여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역 S형 부착클립의 서로 다른 두 크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7도에 나타낸 더 작은클립 40은 제3도에 나타낸 도입부 26의 저벽에 제3 레그 34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클립 40은 제1 수평부 64, 제2 수직부 66 및 제3 곡면부 68로 구성되어 있다.
제8도에 나타낸 클립 38은 클립 40보다 크며, 오일저장기 파이프 28의 제1 레그 30 및 오일저장기 파이프 48의 제1 레그 50을 용기 27의 저벽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클립 38은 제1 수평부 70, 제2 수직부 72 및 제3 곡면부 74를 구성하고 있다. 부착클립이 적당한 위치에 있을 때 수평부 64와 70은 도입부와 용기의 저면상에 배치하여 용접, 땜납등에 의해 고정된다.
곡면부 68과 74는 오일저장기 파이프의 외경과 같은 곡을반경을 가져 이들의 곡면부는 그 파이프의 외주면부에 적합하여 용접, 땜납등에 의해 그 파이프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직부 66 및 72의 길이는 그 오일저장기 파이프가 도입부 및 용기의 저벽에서 떨어져있는 거리를 결정한다. 그 파이프가 그 용기의 플루어(flow)에서 떨어진 거리는 도입부의 플루어에서 떨어진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슬러지가 용기의 저면에 축적되어 파이프입구에 그 축적스러지가 몰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 파이프입구가 슬러지로 폐쇄되고 슬러지가 엔진내에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9도는 플랜지 44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그 하단면에 용접된 보강바(bar) 76이 수유기조립체 주면을 지지하여 래다프레임 10의 하단면과 기밀하게 유체시일링을 보조하는 실예를 나타낸 것이다.제10도는 본 발명의 수유기조립체를 부착한 저변 12를 가진 래더프레임 1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10도에서는 제2도의 둥일부호와 일치하는 구조를 사용하였다. 제10도에서와 같이, 리세스 16은 원통형이며, 그 리세스 16의 후벽(reas wall) 78은 유로 20a의 포오트 22'를 리세스 16의 하부에 접속하는 슬롯 80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오일저장기 파이프(도시생략)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일이 리세스 16의 하단가까이 위치하는 윤활펌프(도시생략)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오일은 리세스 16의 상단에 개방된 유로 20b를 통하여 윤활펌프에 의해 배출된다.
제11도는 리세스 16과 유로 20a의 축장을 나타낸 래더프레임 10의 절단측면도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수유기조립체와 래더프레임은 지금까지 분리된 부재로서 제작, 조립된 것을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특징을 가진 가장 간단한 내연기관을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조립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각 부재는 많은 기능상의 잇점을 가진다.
예로서, 래더프레임에 오일펌프 수용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오일펌프 하우징이 동시에 생략되어, 이것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부착지지체와, 통상의 오일펌프 하우징에 의해 필요로 하는 공급 및 배출라인의 시일링접속을 불필요하게 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래더프레임에 오일펌프 수용리세스 16을 위치시킴으로써 그 오일펌프는 크랭크샤프트와의 기어접속에 의해 구동할 수 있되록 극히 용이하게 조립 및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히 중요한 잇점은 시이트 금속에서 스탬핑(stamring)을 함으로써 그 스탬핑 형상이 엔진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 따라 엔진블록상에서 역전배치할 수 있도록 한 수유기를 포함하는 수유기주조립체를 구성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내장오일 순환회로를 가진 엔진에 수유기를 역전할 수 있게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그 방법은 알맞게 형성된 오일저장기 파이프를 수유기조립체에 일체로 되게 접속하여 동일한 엔진상의 서로 다른 사용에 대하여 두 이상이한 수유기를 형성함이 없이 간단히 조립이 되는 바람직한 특징이 있다. 강도-중량의 비가 극히 높은 것을 구성한 내연기관에 가장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압축점화형 엔진은 노상(路上)주행용차량, 휴대용 압축장치 및 선박용 추진장치와 기타 산업응용분야에 사용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Claims (1)

  1. 내연기관상에 수유기조립체(oil ram assembly)가 부착될 때 그 조립체의 주변내에서 비대칭으로 위치시킨 내연기관상의 입구포오트(inlet rort)를 통하여 그 조립체내의 오일을 끌어내도록 한 윤활시스템(lulrication system)으로 장치한 내연기관의 수유기조립체에 있어서, 비대칭으로 위치한 오일용기를 포함하는 수유기(oil ran)가 상기 내연기관상에서 어느 하나의 배치로 부착될 때 상기 오일용기를 상기 내연기관의 전방으로 지지하여 상기 수유기가 상기 내연기관에서 역배치로 부착될 때 상기 오일용기를 상기내연기관의 후방으로 지지하도록 지지수단을 구성시키고, 상기 오일용기의 내측저부에서 상기 입구포오트로 오일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이 상기 내연기관에 대하여 상기 수유기의 요구하는 배치에 따라 형성된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수유기에 일체로 되게 부착시켜 상기 수유기와 상기 파이프를 상기 내연기관에 동시에 지지시키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수유기가 상기 내연기관상에서 요구하는 배치로 지지될 때 상기 파이프의 일단을 상기 입구포오트로 자등적으로 정열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특징으로 한 수유기조립체.
KR1019800004035A 1979-11-01 1980-10-21 수유기(受油器)조립체 KR850000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47879A 1979-11-01 1979-11-01
US90478 1979-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524A KR830004524A (ko) 1983-07-13
KR850000205B1 true KR850000205B1 (ko) 1985-03-05

Family

ID=2222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035A KR850000205B1 (ko) 1979-11-01 1980-10-21 수유기(受油器)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S6052286B2 (ko)
KR (1) KR850000205B1 (ko)
BR (1) BR8007077A (ko)
DE (1) DE3039924A1 (ko)
GB (1) GB2062750B (ko)
IN (1) IN153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6205B (en) * 1993-03-18 1995-10-18 Rover Group Oil sumps
DE102005025726A1 (de) * 2005-06-04 2006-12-07 Ibs Filtran Kunststoff-/ Metallerzeugniss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Bauteils in einer Ölwan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62750A (en) 1981-05-28
KR830004524A (ko) 1983-07-13
BR8007077A (pt) 1981-05-05
DE3039924A1 (de) 1981-05-14
GB2062750B (en) 1983-08-10
JPS6052286B2 (ja) 1985-11-18
IN153274B (ko) 1984-06-23
JPS5681211A (en) 198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2539A (ko) 오일 섬프 조립체
JPH027206Y2 (ko)
US4615314A (en) Reversible oil pan assembly
US5032259A (en) Friction-reducing lubricating-oil fil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L205623B1 (pl) Podstawa dla wkładu filtrującego silnika spalinowego wewnętrznego spalania
JPS62291412A (ja) 自動車用内燃機関のドライサンプ式クランクケ−ス
US6835305B1 (en) Liquid filter, especially an oil filter
KR850000205B1 (ko) 수유기(受油器)조립체
JPH0823285B2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
US4915852A (en) Oil filter assembly for a Volkswagen flat four opposed cylinder air cooled engine
JPH0547340U (ja) オイルクーラとエンジンの冷却水配管構造
US6776262B2 (en) Oil feeding device for vehicles
EP0761974A1 (en) Screw-type compressor
JPH0622095Y2 (ja)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JP2005009346A (ja) エンジン
US6981574B1 (en) Dipstick oil change system
JP2543057Y2 (ja) 内燃機関の潤滑油通路構造
JPS587045Y2 (ja) エンジンノ ジユンカツユフイルタ−ノ トリツケコウゾウ
JPH0310331Y2 (ko)
JPH0547316U (ja) 内燃機関におけるオイルパンの構造
CN2270843Y (zh) 内环自供油的活动式密封油挡
JPS6321683Y2 (ko)
JP2537737Y2 (ja) 多気筒エンジン用潤滑装置
JPH0213719Y2 (ko)
JPS614528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