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8664A - 에틸렌 수지의 발포입자 및 발포성형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틸렌 수지의 발포입자 및 발포성형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8664A
KR840008664A KR1019840001849A KR840001849A KR840008664A KR 840008664 A KR840008664 A KR 840008664A KR 1019840001849 A KR1019840001849 A KR 1019840001849A KR 840001849 A KR840001849 A KR 840001849A KR 840008664 A KR840008664 A KR 840008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articles
molecular weight
blowing agent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742B1 (ko
Inventor
아끼라(외1) 후지에
Original Assignee
세고 마오미
아사히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582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870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2694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0943A/ja
Application filed by 세고 마오미, 아사히 가세이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세고 마오미
Publication of KR840008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61Making or treating expandabl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25Applying surface layers, e.g. coatings, decorative layers, printed layers, to articles during shaping, e.g. in-mould printing
    • B29C37/0028In-mould coating, e.g. by introducing the coating material into the mould after form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08J2203/142Halogenated saturated hydrocarbons, e.g. H3C-CF3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틸렌 수지의 발포입자 및 발포성형체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발포입자의 가열온도와 2차 발포입자의 밀도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이고,
제9도는 흡습시간과 단열성능의 경시 지속성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이고,
제10도는 밀도와 압축 강도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Claims (23)

  1.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과의 비이 15이상의 분자량 분포를 갖고, 분자량 분포곡선에서 이점 곡선파형을 갖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2×105이상이고, 밀도가 0.920g/㎤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교 상태에서 가열하여 성형된 팽창 가능한 신상 무가교 에틸렌 수지의 발포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선상 에필렌 수지를 50몰%이상의 에틸렌 단위가 함유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상 결정형 공중합체로 구성된 기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입자.
  3. 제2항에 있어서, 선상 에틸렌 수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입자.
  4. 제1항에 있어서, 입자중에 셀의 60%이상이 폐쇄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입자.
  5. 제1항에 있어서, 입자중에 셀의 평균 크기가 0.05내지 1.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입자.
  6. 제1항에 있어서, 발포입자의 밀도가 15내지 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입자.
  7.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과의 비이 15이상의 분자량 분포를 갖고, 분자량 분포 곡선에서 이저 곡선 파형을 갖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2×105이상이고, 밀도가 0.920g/㎤이상인 수지와 이 수지의 융점 내지 융점보다 20℃높은 온도에서 휘발성 발포제와 접촉시켜 위의 휘발성 발포제를 수지중에 함침시키고 함침된 수지를 팽창시켜 위 수지의 무가교 발포입자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무가교 에틸렌 수지의 발포입자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함침된 수지가 15내지 100kg/㎥의 평균밀도를 갖는 발포 입자를 생산하는 정도로 팽창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발포제를 융용상태의 기본수지에 압력 주입에 의해 혼합하고, 계속해서 압출기로 공급하고 발포제를 함유하는 용융수지집단을 압력을 가하면서 냉각한후 압출물을 압출기 끝의 노즐을 통해 팽창된 가지로 팽창시키고, 여기서 발포입자로 분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발포제를 용융상태의 기본수지에 압력주입에 의해 혼합하고, 발포제를 함유하는 용융수지 집단을 위 수지의 융점보다 20℃높은 온도에서 위의 발포제에 압력을 가하면서 냉각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발포제를 용융상태의 기본수지에 압력 주입에 의해 혼합하고, 발포제를 함유하는 용융수지 집단을 위 수지의 융점 내지 융점보다 20℃높은 온도에서 위의 발포제에 압력을 가하면서 냉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발포제를 용융상태의 기본수지에 압력 주입에 의해 혼합하고, 발포제를 함유하는 용융수지 집단을 위 수지의 융점 내지 융점보다 20℃높은 온도에서 위의 발포제에 압력을 가하면서 냉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선상 에틸렌 수지입자를 본 수지에 난용인 용매로된 액체상태중의 압력하에 넣고, 발포제를 본 수지의 융점내지 융점보다 20℃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본 수지에 발포제를 함침시킨후, 수지-액체혼합물을 낮은 온도의 대기 및 낮은 압력에서도 입하여 즉시 팽창시켜 효과적으로 발포입자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선상 에틸렌 수입자를 본 수지에 난용인 용매로된 액체상태중의 압력하에 넣고, 발포제를 본 수지의 융점내지 융점보, 20℃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본 수지에 발포제를 함침시킨후, 수지-액체 혼합물을 낮은 온도의 대기 및 낮은 압력에서 도입하여 즉시 팽창시켜 효과적으로 발포입자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기본수지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중량 평균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과의 비이 15이상의 분자량 분포를 갖고, 분자량 분포곡선에서 이정 곡선파형을 갖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10이상이고, 밀도가 0.920g/㎤이상인 선상폴리에틸렌으로서, 성형후의 발포성형체 밀도 (D)[kg/㎥]와 그 성형체를 25%압축하는데 필요한 응력(F)[kg/㎝²]이 하기식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 수지의 성형내 발포 성형체.
    1.3log(D)-1,87≤log(F)≤1.3log(D)-1.61
    (식중에서, D는 15내지 100kg/㎥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발포 입자의 직경이 2내지 10mm의 입자 크기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교 에틸렌 수지의 성형내 발포 성형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산성 에틸렌 수지를 50몰%이상의 에틸렌 단위가 함유도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결정형 공중합체로 구성된 기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교 에틸렌 수지의 성형내 발포 성형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선상 에틸렌수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고 에틸렌 수지의 성형내 발포성형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입자중의 셀의 60%이상이 폐쇄셀이고, 입자중의 셀이 0.05내지 1.0㎜의 평균 크기를 갖고, 발포입자의 직경이 2내지 10㎜의 입자크기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내 발포 형성체.
  20.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과의 비이 15이상인 분자량 분표를 갖고, 분자량 분포곡선에서 이정곡선파형을 갖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105이상이고, 밀도가 0.920g/㎤이상인 선상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고, 이 수지와 휘발성 발포제를 본수지의 융점내지 융점보다 20℃ 높은 온도에서 접촉시켜 휘발성 발포제를 수지중에 함친 후 팽창시켜 무가교의 발포입자를 생산하고, 계속해서 발포입자에 성형내 팽창력을, 여하여 형내에 충진한 후, 팽창된 입자를 가열하여 발포 성형체를 형성시키고 표면이 완전히 고화되는 온도에서 충분히 냉각시킨후 70℃이상의 온도에서 숙성시키고 이 발포성 형체의 밀도(D) [㎏/㎥]와 성형체를 25% 압축하는데 필요로 하는 응력(F) [㎏/㎠]이 하기식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교 선상 에틸렌 수지의 성형내 발포성 형체의 제조방법.
    1.3log(D)-1.87≤log(F)≤1.3log(F)≤1.3log(D)-1.61
    (식중에서, D는 15내지 100㎏/㎥이다)
  21. 제20항에 있어서, 발포입자를 무기 기체압력하에 놓고 발포입자에 성형내 팽창력을 부여하고 위의 기체를 원래 부피의 약 60내지 95% 압축하에서 위의 입자를 형내에 주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형내에 입자를 주입하기 전에 입자중의 기체압력을 0.5내지 3㎏/㎠·G범위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무기기체 또는 무기기체와 유기기체의 혼합물로 발포 입자를 함침시켜 성형내 팽창력을 발포입자에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형내에 입자를 주입하기 전에 입자중의 기체압력을 0.5내지 3㎏/㎤·G범위로 생산하기 위하여 무기기체 또는 무기기체와 유기기체의 혼합물로 발포입자를 함침시켜 성형내 팽창력을 발포입자에 부여한 후, 무기기체 또는 무기기체와 유기기체의 혼합물의 공기압하에서 위의 입자를 압출하여 원래 부피의 80내지 95%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40001849A 1983-04-08 1984-04-07 에틸렌 수지의 발포입자 및 발포 성형체의 제조방법 KR860001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58283A JPS59187035A (ja) 1983-04-08 1983-04-08 線状ポリエチレン樹脂発泡用粒子
JP61582 1983-04-08
JP58-63299 1983-04-11
JP63299 1983-04-11
JP58063299A JPS59188413A (ja) 1983-04-11 1983-04-11 無架橋線状ポリエチレン樹脂型内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8126940A JPS6020943A (ja) 1983-07-14 1983-07-14 無架橋のポリエチレン樹脂発泡粒子
JP126940 1983-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664A true KR840008664A (ko) 1984-12-17
KR860001742B1 KR860001742B1 (ko) 1986-10-20

Family

ID=1322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849A KR860001742B1 (ko) 1983-04-08 1984-04-07 에틸렌 수지의 발포입자 및 발포 성형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88413A (ko)
KR (1) KR860001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544B2 (ja) * 1985-07-12 1994-11-02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の成形法
JPH078929B2 (ja) * 1986-11-05 1995-02-01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無架橋エチ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用基材樹脂の選択方法
KR102180976B1 (ko) 2018-09-14 2020-11-19 이진균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겸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188413A (ja) 1984-10-25
JPH0416332B2 (ko) 1992-03-23
KR860001742B1 (ko) 198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0792A (en) Plastic foam
US4399087A (en) Process for producing foamed polyolefin articles from aged pre-foamed particles of polyolefin resins
US4504534A (en) Core material for automobile bumpers
US4436840A (en) Process for producing pre-foamed particles of polyolefin resin
KR850007406A (ko) 발포성 합성 수지상 열가소성 입자의 제조방법
JPS5943492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成型体の製造方法
JP2004263184A (ja) 高融点プラスチックからなる連続気泡発泡体
JPH0313057B2 (ko)
KR100284215B1 (ko) 알케닐 방향족 발포체의 제조방법
EP0166252B2 (en) Production process of pre-foamed particles
KR840008664A (ko) 에틸렌 수지의 발포입자 및 발포성형체의 제조방법
US4360484A (en) Pressurization and storage of thermoplastic resin foams prior to secondary expansion
JPH0711041A (ja) 熱可塑性樹脂の予備発泡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ATE42962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netzten geschlossenzelligen polyolefinschaumstoffk¯rpern.
PL249997A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rticles made of foamed cross-linked ethylene polymers
US4923654A (en) Blowing agent for expandable polymeric foams
WO1991009901A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heat insulating foamed plastic material and blowing agent to be used by the method
US3335101A (en) Chlorinated polyethylene foam
JPS6244778B2 (ko)
KR850001545B1 (ko)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의 제2차 팽창전 가압 및 저장하는 방법
US3742103A (en) Method for preparing and molding expandable, non-equimolar styrene-maleic acid half ester copolymer particles
JPS62179925A (ja) 中空建材の製造方法
JPS61113627A (ja) 高密度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Narkis et al. Properties of rotational-molded crosslinked polyethylene foams
JPS63450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