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523Y1 - 스위치 작동기구 - Google Patents
스위치 작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40002523Y1 KR840002523Y1 KR2019840010780U KR840010780U KR840002523Y1 KR 840002523 Y1 KR840002523 Y1 KR 840002523Y1 KR 2019840010780 U KR2019840010780 U KR 2019840010780U KR 840010780 U KR840010780 U KR 840010780U KR 840002523 Y1 KR840002523 Y1 KR 8400025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opening
- switch
- operating
- pan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통상적인 스위치 작동기구의 일예를 표시한 일부 단면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작동기구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단면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2도에 표시된 스위치 작동기구의 일부개방 저부의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을 구체화하는 작동기구의 변형을 표시한 저부사시도.
제 5 도는 변형된 샤프트 지지체를 표시한 일부 단면의 측면도.
제 6a 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단면의 측면도.
제 6b 도는 판넬에 작동부재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표시한 저부의 사시도.
제 7 도는 다수의 작동부재가 샤프트에 고정된 또다른 변형을 표시한 평면도.
제 8 도는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시소형 스위치를 표시한 사시도.
제 9a, 9b, 10a, 10b 도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단면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스위치 작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넬또는 기저판에 직접 결합된 형태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올겐과 같은 전자악기에 있어서 동력스위 치, 음색설정스위치, 자동리듬스위치, 지속스위치등과 같은 각종의 제어스위치는 제어 판넬과 하부에 위치하여 판넬위에 설치된 작동부재의 작동조절에 의해 ON-OFF된다.
제1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 작동기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작동부재(3)는 각각의 개구(2)에 삽입수용된 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부재(3)를 눌렀을때 작동판넬(1) 아래에 위치한 접촉스위치가 작동기(5)를 통하여 작동된다. 축(4)의 양쪽 선단은 고정구(7)를 통하여 작동판넬(1)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 작동기구에 있어서는, 작동부재(3)의 축설치용구멍(8)을 통하여 축(4)을 삽입 설치하고 나사(9)로서 고정구(7)를 작동판넬(1)의 배면에 고정시켜야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부품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소수의 조립부품을 필요로하는 개량된 스위치 작동기구를 제공하며, 기저판에 다수의 스위치를 차례로 고정하기에 특히 적합한 스위치 작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저판에 조립부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개량된 스위치 작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최소한 하나의 스위치가 기저판상에 설치되고, 기저판에는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일치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부재의 한쪽 선단이 축선회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스위치 작동기구에 있어서, 개구부 가까이 있는 기저판의 후면부로부터 돌출된 베어링부재와 작동부재로부터 반대편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부재, 개구부의 폭보다 더 큰 지지부재의외 측사이의거리 양측에 U자형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작동부재가 설치될때 베어링부재를 축회전가능하도록 결속하도록 하는 개구부 가까이에 위치한 결속부재 및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기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 다수의 작동부재(13)(도면에는 한개만이 표시되어 있음)는 상부가 상향으로 돌출된 스위치구조(10)의 작동판넬 또는 기저판(1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정방형 개구부(12)에 헐거운 맞춤으로 삽입된다. 각 작동부재(13)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그 후단부(13a)는 축(14)에 의해 축선회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한편, 스톱부재(20)는 작동부재(13)가 개구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부(13b)의 저면에 설치된다. 각 작동부재(13)는 정방형 횡단면을 가진 홈통(13c)과 그 종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한쌍의 작동기(15)는 버튼스위치(21)를 작동시키도록 종측 중심부에 대해 홈통(13)의 양측벽에 형성된다. 홈통형 작동부재(13)의 후단부(13a)에는 한쌍의 역 U자형 또는 반구형 돌출부(24a) 및 (24b)로 구성되고 양쪽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로타리 또는 피보트 지지체(23)가 통합체로 형성된다. 로타리지지체(23)에는 축(14)을 수용하기 위한 요홈(25)이 제공된다.
작동판넬(11)의 후면(11a)과 작동부재(13)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2)의 중심선상에는 개구부(12)의 후단부 근처에 있는 판넬(26)과 통합된 베아링수단 또는 축지지체(26a)가 헝성된다.
축지지체(11)의 전단부(11a)는 판넬(G)의 후면(26a)으로부터 적당한 간격(14)으로 격리되어 전단부(12)의 상면에 있는 샤프트(23)의 중간부분을 지지하도록 개구부(12)의 후부위에 놓인다. 로타리 지지체(23)로 구성된 한쌍의 돌출부(24a, 24b)의 상면 곡부(b)를 로타리식으로 수용하는 각 개구부(12)의 후단부의 양측에 있는 판넬(11)의 후면(11a)을 위해서는 반구형노치(28a, 23b)가 형성된다.
작동부재(13)는 작동판넬(11)의 후면(11a)의 측부로부터 축(14)에 고정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판넬(11)의 후면(11a)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4)은 좌측으로부터 샤프트지지체(26)의 전단부(26a) 사이의 간격(G)에 삽입되며 작동부재(13)의 한쌍의 돌출부(24a,24b)의 요홈(25)은 작동판넬(11)의 후면(11a)으로부터 축(14)에 고정된다.
또다른 방법에 따라 축(14)은 작동부재(13)의 요홈(25)에 미리 고정된 후 간격(G)에 삽입된다.
그 다음에 작동부재(13)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반대측으로 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전단부(13b)를 개구부(12) 위에 돌출되것 한다. 이때 돌출부(24a,24b)의 상부곡부(b)는 한쌍의 요홈(25)과 축지지체(26)의 전단부(26a)에 의해 세지점에서 축(14)을 지지하도록 각 개구부(12)의 후단부 양측에 있는 노치(28a, 28b)에 수용된다. 그 다음에 각 작동부재(13)의 후단부(13a)는 돌출부(24a, 24b)의 노치(28a, 28b)와의 교합에 의해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제3도에 도시된 A 및 B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축(1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각 작동부재(13)의 후단부(13a)가 개구부(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
각 작동부재(13)의 전단부(13b)의 이탈은 스톱부재(20)에 의해 방지된다.
스위치고정부재(30)는 작동판넬(11)의 저면(11a)으로부터 적당한 거리에 적당한 지지부재(30a)가 달린 지지판(11)에 고정되며, 버튼 스위치(21)는 통상의 것으로서 작동부재(13)의 각 가동기(15)에 대면한 스위치 고정부재(30)의 상면에 고정된다. 각 버튼 스위치(21)는 스위치(21A), 수직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작동로드(21B) 및 정상상태에서 작동로드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리턴스프링(21C)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부재(13)가 작동자에 의해 눌려질때는 작동기(15)가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므로작동로드(21B)가 스위치(21A)를 닫는 눌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그 다음에 작동부재(13)가 다시 눌려질때는 작동부재(21B)가 풀려지고 리턴스프링(21C)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스위치(21A)를 개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방으로 열린 요홈(25)을 가진 한쌍의 U자형 돌출부로 구성된 로타리헝 지지체(23)는 작동부재(13)의 저면의 양측에 대해 통합적으로 제공되며 작동판넬(11)의 후면(11a)에 고정된 축(14)은 1회 조작으로 작동부재(13)의 고정이 가능토록 하므로써 조립조작이 간편하도록 요홈(25) 내에 내삽된다.
그리고, 로타리 지지체(23) 부분이 작동부재(13)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23)가 작동부재(11)를 위해 제공된 노치 또는 와부(28a, 28b)에 내삽되므로 작동부재(13)의 이탈 및 측방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스위치(21)의 완전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샤프트지지체(26)는 작동판넬(11)에 축(14)의 고정이용 이하도록 판넬(11)의 전단부(26a)와 후면(11a) 사이에 축(14)을 지지하기 위한 작동부재(13)를 수용하는 개구부(12)와 중첩된 전단부(26a)가 달린 작동부재판넬(11)의 후면(11a)을 위해 통합적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축(14)은 작동판넬(11)의 후면(11a)에 대하여 적당한 거리(H)(제2도 참조)를 유지하도록 한쌍의 요홈(25)과 축지지체(26)의 전단부(26a)에 의해 세지점에서 지지되지만 축(14)은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샤프트지지체(26)의 전단부(26a) 및 작동판넬(11)의 후면(11a)에 통합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돌출부(29a,29b)에 의해 세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축(14)은 전단부(26a)에 의해 지지된 축(14)의 중심부와 샤프트 지지돌출부(29a,29b)의 저면에 인접된 양단부에 의해 작동판넬(11)에 축(14)을 고정시키는 요소를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시켜서 작동판넬(11)의 후면(11a)과 축지지체(26)의 전단부(26a) 사이에 형성된 간격(G)내에 눌려진다.
이 실시예에서, 각 작동부재(13)의 한쌍의 돌출부(24a, 24b)의 상부 에서의 상부에 있는 상부곡부(b)는 상술한 구현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노치(28a, 28b)에 수용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G)의 폭이 전단부(26a)를 들어 올리도록 돌출부(29a, 29b)의 높이에 의해 감소된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부(29a, 29b)의 사용없이 작동판넬(11)의 후면(11a)에 의해 축(14)의 양단부를 직접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을 구체화하는 스위치 작동기구에 의하면 축을 개구부에 통과되게 하는 작동부재의 개구부를 두거나 축고정대를 제거하는 대신에 작동부재(13)의 독립된 판넬(11)에 축(14)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것은 조립단계와 주요부품의 수를 감소할 뿐만 아니라 검사 및 수선시에 분해를 용이하도록 재다. 더우기, 작동부재(13)가 이탈 및 측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동부재를 안정하게 눌려지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스위치가 원할하게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작동 부재(13)와 이것을 수용하는 개구부(12)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축(14)이 로타리 지지체(23)의 한쌍의 요홈(25)과 축지지체(26)의 전단부(26a)에 의해 세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축(14)이 이탈될 우려가 없다.
제(6a) 및 (6b)도는 상술한 실시예와 또 다른 변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축지지체(26)의 전단부(26a)에는 둥근아치형 또는 U형 요홈의 형태인 베어링(27)이 제공된다. 기타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고 동일부호는 동일부품을 나타낸다. 이 변형된 실시예일 경우 샤프트(14)는 베어링(27)내에 내삽되며, 전후방 이동(제 6a도에 도시된 화살표 C의 방향으로)이 방지되며, 샤프트(14)는 소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 구조는 작동판넬(11)의 후면(11a)의 노치(28a,28b)를 제거할 수 있어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방향(즉, 6a도에서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으로 작동분재(13)의 후단부(13a)의 이동이 한쌍의 돌출부(24) 및 (24b)의 상부곡부(b)에 의해 제한되는 한편 좌우방향(제6b도에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으로 작동부재(13)의의 이동이 개구부(12)의 측벽에 대향된 작동부재(13)의 측벽(13d) 및 (13e)의 고압에 의해 방지되므로 작동부재(13)의 후단부(13a)가 개구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단.
상술한 실시예는 단일 작동부재에 대하여 주로 기술했지만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작동부재(13A), (14B)등이 단일축(13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지지체(26)가 작동부재(13)을 수용하는 개구부(12a), (12b) 및 (12c)에 각각 해당하는 작동판넬(11)을 위해 제공된다. 기타 부품요소와 축(14)의 고정방법 및 작동부재(13A), (13B), (13C)등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개폐조절 버튼 스위치용 작동부재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특수구조에 국한되지 않음은 주지할 바이다.
예컨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요소는 2단접촉 드라이빙형 시소스위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경우 로타리 지지체(23)는 작동부재(40)의 저면 양측 중심부에 형성되며, 한쌍의 작동기(15)는 작동부재(40)의 저면 양단부 근처에 제공된다. 실질적으로 T형 축지지체(41)에는 각 개구부(12)의 중심부를 횡단하는 작동판넬(11)의 후면(11a)이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개구부(12)의 종축방향으로 연장된 한개의 각부(41a)의 상면에는 축(14)을 수납하기에 적합한 요홈형 베어링(27)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작동부재(40)가 단일 샤프트(14)에 고정되는 경우 축지지체(41)는 축(14)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양단부의 개구부를 위해서만 제공되는 한편, 축(14)의 중심부는 작동판넬(11)의 후면(1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각종의 실시예는 적당하게 병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 작동부재는 축(14)에 의해 지지되지만 이러한 축은 고정구조가 제9a도 및 제9b도,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을 경우 생락될 수 있다. 예컨대, 제9a도 및 제9b도에 도시된 구조에서 한쌍의 대향돌출부(24a, 24b)(24a만 도시되어 있음)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처럼 작동요소(13)의 양측면을 위해 제공된다. 이 돌출부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수납용 요홈이 제공되지 않지만 그 상면에 곡부가 제공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 곡부(b)는 개구부(12)의 외측선단부를 위해 제공된 와부(28a, 28b)에 수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50)는 후단부(13b)에 인접한 작동부재(13)의 홈통13c)내에 제공된다. 돌출부(50)의 외측단부는 작동부재(13)의 측벽이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개구부(12)위로 들어올리는 판넬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한 지지부재(11)의 전단부(26)의 내측벽을 피보트식으로 교합한다. 기저판(26a)의 와부(11) 및 (18a) (18b)는 작동부재(13)의 후단부(13b)가 지지체(26)의 전단부(26a)와 기저판(11)의 후면사이에 내삽되어 활동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 구조는 축(14)을 제거할 수 있어서 조립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돌출부(50) 위에는 작동부재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단계의 수가 감축될 수 있다.
제10a도(및 제10b도는 제9도의 간소화된 구조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제9도에 도시된 돌출부의 기능은 작동부재(13)의 후단부(13b) 후측벽에 의해 제공되고 한쌍의 돌출부(24a,24b)는 그 사인된 내재한 후측벽과 서로 대향되게 제공된다. 이 돌출부(24a,24b)는 기저판(11)을 위해 제공된 와부(28a, 28b)를 조합하기에 적합하다.
제10도에 도시된 변형된 작동부재는 보다 간단한 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9도 및 제10도에 표시된 구현예에서 와부(28a, 28b)는 생락되거나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축(26)의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
- 개구부(12)가 형성된 기저판(11), 상기 개구부에 축선회 가능하도록 수용된 작동부재(13), 개구부 근처의 기저판 후면 일부로부터 돌출하여 개구부위의 일부에 위치하는 베어링부재)26), 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13)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의 외측표면간의 사잇거리가 개구부(12)의 폭보다 크게한 한쌍의 지지부재(23), 상기 작동부재를 설치할때 베어링부재와 기저판하면 사이에서 개구부를 가로질러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23)의 홈(25)을 결속하는 축부재(14) 및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어 기저판에 설치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15)기로 이루어진 스위치 동작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40010780U KR840002523Y1 (ko) | 1981-07-24 | 1984-10-29 | 스위치 작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10002679 | 1981-07-24 | ||
KR2019840010780U KR840002523Y1 (ko) | 1981-07-24 | 1984-10-29 | 스위치 작동기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2679 Division | 1981-07-24 | 1981-07-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2523Y1 true KR840002523Y1 (ko) | 1984-11-29 |
Family
ID=2662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40010780U KR840002523Y1 (ko) | 1981-07-24 | 1984-10-29 | 스위치 작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40002523Y1 (ko) |
-
1984
- 1984-10-29 KR KR2019840010780U patent/KR8400025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34340A (en) | Switch operating mechanism | |
US4767895A (en) | Removable key off-lock switch having improved locking actuator | |
US5920042A (en) | Seesaw sliding composite motion switch | |
US4689455A (en) | Snap fitted push-button switch actuator assembly | |
US20050082155A1 (en) | Switch device having good sense of operational touch even when sliding operating knob or rocking operating knob is attached thereto | |
US4354078A (en) | Illuminating type push button switch | |
US5824977A (en) | Slide switch | |
US4431879A (en) | Illumination-type pushbutton switch construction | |
US6884954B2 (en) | Switch apparatus with slide switch engaging bifurcation in a knob-leg of an operating knob | |
JPH10106403A (ja) | スイッチ装置 | |
KR840002523Y1 (ko) | 스위치 작동기구 | |
JPH0743901Y2 (ja) | スイッチ | |
JPH0680233U (ja) | スイッチ装置 | |
JP3372788B2 (ja) | シーソー・スライド複合動作スイッチ | |
JPH0323642Y2 (ko) | ||
JP3767996B2 (ja) |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 |
JP3200990B2 (ja) | キースイッチ装置 | |
KR0115341Y1 (ko) | 차량 히터조절장치의 레버고정구조 | |
JPS5930989Y2 (ja) | デジタルスイツチ | |
JPS6336902Y2 (ko) | ||
JPH0447867Y2 (ko) | ||
JP2967921B2 (ja) |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 |
JPH0752613B2 (ja) | 表示機能を有する小型制御機器 | |
JPH0216496Y2 (ko) | ||
JPH0629856Y2 (ja) | 照光表示形の押しボタンスイツ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1110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