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16B1 -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 - Google Patents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16B1
KR840002416B1 KR1019810001986A KR810001986A KR840002416B1 KR 840002416 B1 KR840002416 B1 KR 840002416B1 KR 1019810001986 A KR1019810001986 A KR 1019810001986A KR 810001986 A KR810001986 A KR 810001986A KR 840002416 B1 KR840002416 B1 KR 84000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protector
line
cont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018A (ko
Inventor
윌리엄 바움바크 버어트램
Original Assignee
릴라이어블 일렉트릭 캄파니
제이 프레위트 웰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릴라이어블 일렉트릭 캄파니, 제이 프레위트 웰레 filed Critical 릴라이어블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using spark-gap arr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6Mounting arrangements for a plurality of overvoltage arr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14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park gap for protecting it against overload or for disconnecting it in case of failure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선로 보호기의 사시도.
제2도는 덮개를 제거한 선로 보호기의 부분 측단면도.
제3도는 덮개가 적절하게 있는 제2도의 3-3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4도는 보호기의 확대 저단부도.
제5도는 제3도의 5-5선를 따라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6도는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하여 보호기의 구성 부품과 덮개를 제거한 하우징의 측면도.
제7도는 부분적으로 절취한 하우징 덮개의 측면도.
제8도는 두 개의 가스관 서지(surge) 전압제어기를 이용한 선로 보호기의 변형도.
제9도는 세 개의 가스관 서지 전압제어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다른 변형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10-10을 따라 절취한 부된 단면도.
본 발명은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 중앙 국선 보호기라고 불리우는 보호기에 관한 것이다. 이 형태의 보호기들은 내부 장비를 인입선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현재 대부분의 중앙 국선 보호기들은 회선내에 가열 코일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가열 코일들은 선상의 과전류상태에서 가열되고 코일에 의해 발생한 열은 선로가 접지되도록 수종의 기구들을 해체하는 땜납성분을 용해시키는 데 사용된다. 선로상의 과전류 누진은 종종 전화기 선로상에 과전압이 생기게하는 전력선에 의해 생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화기 설비들은 전력선들과 분리되어 있는 지하 케이블시스템형태로 있으므로 가열 코일의 형태로 과전류를 보호할 필요가 없다.
중앙 국선 설비들의 다른 문제점은 공간이다. 계속 증가하는 전화기 사용으로 최소 바닥면적을 이용하는 보호기 모듈단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용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보호기 모듈은 가능한한 소형으로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작은 단면으로 되어서 이중 단말 판넬상에 다수의 모듈을 장착하는대 필요한 바닥면적을 감소시키는 선로 보호기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판이나 판넬에 풀러그-인(plug-in) 접속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분기핀을 갖고 있는 상술한 형태의 선로 보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로 보호기는 통상적으로는 다수가 사용되었던 이러한 핀을 단지 세 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180° 위치로 판넬 속에 밀어넣을 수 있어서 어두운 장소에서 다소 간단하게 판넬속에 보호기를 삽입할 수 있는 상술한 형태의 선로 보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아본 서지 전압 제어기뿐만 아니라 두 개 또는 세 개 요소의 가스관 서지 전압제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임의대로 구성될 수 있는 상술한 형태의 선로 보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호기의 구성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한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의 세로측과 동축관계로 제1 및 제2서지 전압제어기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내부에 갖고 있는 유전성 연신 하우징, 한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하우징의 타단부까지 두 개의 제어기의 전장을 연장시키는 제1선 단자, 다른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하우징의 타단부에 위치한제2선단자, 하우징의 단부 중간에서 두 개의 제어기들에 접속되고 하우징의 타단부에 두 개의 제어기중의 하나만을 따라 연장된 접지단자, 상기 하우징 타단부로부터 슬로트를 통하여 돌출된 각각의 상기 단자들상의 핀 및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구성부품들을 수용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개구위에 있는 덮개를 포함하고 있는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술하겠다.
각 도면에서 (1)은 직선형태로 된 유전성 플라스틱 하우징(2)를 포함하고 있는 선로 보호기를 나타낸다.
하우징(2)는 측벽(4,6,8)과 대향 단부벽(10,12)를 갖고 있다. 상단부 벽(12r는 보호기(1)을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하는 손잡이(14)를 일체로 포함한다. 벽(6)에 대향한 하우징(2)의 측면에는 보호기(1)을 조립하는 동안 보호기(1)의 구성부품들이 하우징 (2) 속에 삽입되게 하는 개구(16)이 있다.
단부벽(12) 부근의 안쪽에서 하우징 (2)는 벽(6)에서 돌출하여 테이퍼 고착립(lip)(20)에서 끝나는 가로플랜지(18)을 갖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대향 단부변(10) 부근의 안쪽에 가로플랜지(22)가 있다. 이 플랜지(22)는 다른 테이퍼 고착립(24)내에서 끝난다. 일반적으로 장방향인 플라스틱덮개(26)은 개구(16)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덮개(26)은 테이퍼 고착립(32,34)를 포함하는 단부암(28,30)을 갖고 있고 이 고착립(32,34)는 하우징 위에 덮개를 함유하기 위해 각각 고착립(20,24)를상호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부암(28,30)은 단부벽(10,12)와 꼭 맞도록 되어 있다. 또 덮개(26)은 고착립(32,34)가 덮개(26)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고착립(20,24)로부터 떨어지도록 나사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넣기 위한 슬로트 (36,38)을 갖고 있다.
하우징(2)내에는 동일한 구조로 된 제1 및 제2동축 서지 전압제어기(40,40)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서지 전압제어기는 주위의 관형 절연체에 접착된 카아본 봉 전극(42)를 포함한다. 카아본판 잔극(46)은 절연체(44)의 단부를 향해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봉 전극(42)의 인접단부는 아이크 갭(48)을 제공하도록 절연체(44)내에 놓여져 있다. 각각의 제어기는 봉 전극(42)가 컵(50)의 개구 단부의 바깥쪽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원통형 컵(50)내에 들어가 있다. 항상 땜납 링(52)는 각각의 판(46)과 관련된 컵(50)의 단부벽(54) 사이에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6)을 종단시키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장벽(56,56)은 측벽(6)과 함쩨 주형되고 이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장벽(56,56)은 인접 측벽(8)과 평행하고 그 사이에는 좁은 채넉 또는 공간(58)이 있다. 측벽(4) 부근에는 장벽(56,56)보다 다소 얕은 장벽(60,60)이 간격을 두고 배열 되어 있다. 또한 장벽(60,60)은 하우징의 내부 또는 공동을 향해 있는 반경(62,62)를 각각 갖곤 있다.
다수의 장벽(56,60)은 하우징(4)내에 서지 전압제어기(40,40)을 동축으로 위치 설정하기 위한 배열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경우에 반경(62)는 컵(50,50)이 하우징내에 조립될 때 이 컵들이 반경(62,62) 위에 놓여져 장벽(56,56)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컵(50)의 외부 반경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장벽(56)의 경우에서와 같이 좁은 공간 또는 채널(64)는 장벽(60)과 측벽(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 내에는 제1및 제2금속선 단자(66,68)과 접지 단자(70)도 장착되어 있다. 제1 또는 단선 단자는 단부벽(12)의 외향으로 연장된 단자(66)의 인접 부분에 직각인 판 형태의 가로접촉부분(72)를 갖고 있다. 접촉부분(72)는 인접한 컵(50)의 단부벽(54)와 이 접촉부분(72)사이에 위치 설정된 금속볼루트(volute) 스프링(14)와 플랜지(22) 사이에 한정되어 있다. 플랜지(22)와 인접 장벽(56) 사이에는 단자(66)을 위한 간극을 제공하는 갭이 있다.
제2 또는 장선 단자(68)은 플랜지(18)에 인접해 있고 단자(68)의 인접부분에 직각으로 있는 부분(76)을 갖고 있다. 결국 두 개의 접촉부분(72,76)은 서로 평행하고 하우징 공동의 대향단부에 있다. 접촉부분(76)은 볼루트 스프링(74)와 비슷한 볼루트 스프링(74a)와 플랜지(18) 사이에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접지단자(70)은 접촉부분(72,76)의 중간에 있고 이 부분들에 평행한 가로로 연장한 접촉부분(78)을 갖고 있다. 더우기 접촉부분(78)은 각각의 봉 전극(42,42)의 단부에 의해 이 전극의 대향단부들에 계합되어 있다
장선 단자(68)은 채널(64)내에, 즉 장벽(60)과 측벽(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접지단자(70)은 채널(58) 중의 하나에 위치 설정되어 있고, 또한 플랜지(22)는 단선 단자(66)으로부터 접지단자 (70)을 분리시킨다. 그러므로 플랜지(22)를 포함하는 다수의 장벽들은 서지 전압제어기 유니트의 컵 (50)과 접촉한 단락회로나 볼루트 스프링(74,74a)로부터 단자들을 분리시키도록 작용한다.
플라스틱덮개(26)은 선 단자들과 접지단자뿐만 아니라 하우징내의 서지 전압제어기를보유하도록 하우징(4)와 협동한다. 따라서 이 덮개는 단자(68,70) 위의 채널(58,60)에 끼어 맞춰지는 돌출부(80)과 일체로 형성 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분(72,76,78)의 크기는 덮개(26)과 계합하거나 이 덮개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80)은 덮개(26)을 견고하게 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벽(10)은 접촉부분(66,68,70)을 돌출시키는 개구를 제공하도록 덮개(26)의 단부암(30)과 협동한다. 접촉부분들의 이 돌출된 부분들은 평평한 칼날 헝태의 단자들과 같은 적당한 형태로 된 단자 속에 밀어 넣기에 적합한 평평한 분기 부재인 피 형태로 되어 있다 . 선택적으로 이 분기 또는 "소리굽쇠" 접촉부분들은 원한다면 평평한 칼날 형태의 단자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어쨌든 단자(66,68,70)의 외향으로 돌출한 부분들은 모듈(1)이 두 개의 180° 위치내로 판넬 속에 밀어 넣어지도록 대칭으로 되어 있다. 단자(66,68)의 피 부분들은 평행하고 접지단자(70)의 핀 부분은 단자(66,68)의 핀 부분과 직각으로 되어 있다.
덮개(26)을 제거하면 측면개구(16)을 통해 보호기 모듈의 부품들을 조립하기가 간단하다. 조립된 보호기 내에서는 각각의 핀(66) 또는 (68)로부터 서지 전압제어기 중의 하나를 통해 접지단자(70)까지 과전압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제2도를 참조해 보면 선단자(66)과 접지단자(70) 사이에 컵(50), 땜납(52), 판전극(46) 공극(48) 및 봉 전극(42)을 통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결국 갭(48) 양단에 아아크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서지 전압은 단자(70)을 통해 접지된다. 유지된 아아킹은 땜납(52)을 녹이기에 충분한 열을 발생시키므로 볼루트 스프링(74)는 접지단자(70)의 부분(78)과 직접 접촉하도록 단부벽(40)과 대향해 있는 컵(50)의 연부를 누르게 된다. 단자(68)에 접속전 선상의 과전압 서지 보호는 제3도에 단면도로 도시된 다른 서지전 압제어기를 통해 행해진다.
제8도는 각각의 서지 전압제어기(40a,40a)가 가스관 형태로 서로 동축으로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형태와 동일한 본 발명의 수정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형적으로가스관은 갭(88)이 서지 전압상태하에서 항복(break down)되도록 절연관(86)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대향전극(82,8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기를 포함하는 컵 (50a)는 전극(84)의 인접 표면과 환상 스커트(90) 사이에 공극상태로 있는 제2아아크 갭(92)를 정하도록 이 컵의 한 단부에서 확대되거나 나팔 모양으로 된 스커트(9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갭(92)는 구부러짐으로 인해 가스관이 약해지는 경우에 제2서지전압을 보호하도록 약 1,000V의 항복 전압을 갖고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제1 및 제2서지 전압제어기(40b,40b)가 세 요소의 가스관 형태로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술한 형태와 비슷한 본 발명의 다른 수정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가스관은 중앙 동축 원통형 접지전극(98)로부터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동축선 전극(94,96)을 포함한다. 접지단자(70a)는 중앙 접지 전극(9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파지하는 다수의 스프링 휭거(finger)(102)를 갖고 있는 금속 중앙 고정부분(100)을 제공하도록 수정되어 있다. 그 결과 선단자(66)상의 서지 전압은 전극(94,98) 사이의 갭 양단에 아아크가 생기게 하는데 이 서지는 접지 전극(70a)를 통해 접지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선단자(68)상의 서지전압은 전극(96,98) 사이의 아아크 갭을 통해 접지된다. 제2공극의 형태로 다시 보호하는 것은 제8도와 배열에 도시한 방법으로 제9도의 장치에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

  1. 하우징의 세로측과 동축 관계로 제1 및 제2서지 전압제어기(40,40)을 지지하기 위한 유전성 연신 하유징(2), 한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선단자(68)및 다른 제어기에 전체적으로 접속될 제2선단자(66)을 포함하고 있는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에 있어서 특히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하우징의 타단부까지 두개의 제어기의 전장을 연장시키는 제1선단자(68),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에 위치하는 제2선단자(66), 하우징의 단부 중간에서 두 개의 제어기에 접속되고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에 두 개의 제어기 중의 하나만을 따라 연장된 접지단자(70),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로부터 슬로트를 통하여 돌출될 각각의 상기 단자들상의 핀, 보호기 구성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일측면에 개구(16)을 갖고 있는 상기 하우징(2) 및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구성부품들을 보유시키기 위해 상기 측면개구 위에 덮개(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
KR1019810001986A 1980-06-12 1981-06-03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 KR840002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913 1980-06-12
US06/158,913 US4325100A (en) 1980-06-12 1980-06-12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018A KR830007018A (ko) 1983-10-12
KR840002416B1 true KR840002416B1 (ko) 1984-12-27

Family

ID=2257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986A KR840002416B1 (ko) 1980-06-12 1981-06-03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325100A (ko)
EP (1) EP0042213A1 (ko)
JP (1) JPS5722322A (ko)
KR (1) KR840002416B1 (ko)
AR (1) AR223287A1 (ko)
CA (1) CA1142218A (ko)
MX (1) MX1508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921A (en) * 1981-10-13 1983-06-28 Reliance Electric Company Line protector and related termination arrangement
US4422121A (en) * 1982-05-28 1983-12-20 Reliance Electric Company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4641218A (en) * 1985-03-15 1987-02-03 At&T Bell Laboratories Protector with circuit disabler
DE3843524A1 (de) * 1988-04-23 1990-06-28 Dehn & Soehne Anordnung zum wahlweisen verbinden elektrischer leitungen
US4901188A (en) * 1988-12-30 1990-02-13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Line protector with spring
US5523916A (en) * 1994-06-03 1996-06-04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Surge arrester with thermal overload protection
US5751533A (en) * 1996-02-01 1998-05-12 Reltec Corporation Cup and diode assembly for overvoltage protectors and communications lines
US6142817A (en) * 1997-03-07 2000-11-07 Marconi Communications In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6385030B1 (en) 1999-09-02 2002-05-07 Marconi Communications, Inc. Reduced signal loss surge protection circuit
US6396673B1 (en) 1999-10-08 2002-05-28 Marconi Communications, Inc. Reduced-loss, high-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system utilizing an over-voltage and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US6671126B2 (en) * 2000-07-21 2003-12-30 Phoenix Contact Gmbh & Co.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US6687109B2 (en) * 2001-11-08 2004-02-03 Corning Cable Systems Llc Central office surge protector with interacting varistors
PL1750337T3 (pl) * 2005-08-05 2009-0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oduł zabezpieczenia przed przepięciem i zespół co najmniej jednego modułu telekomunikacyjnego i co najmniej jednego modułu zabezpieczenia przed przepięciem
US7466529B2 (en) * 2005-09-09 2008-12-16 Jae-Han Joung Communication-circuit line protector
CN101741081A (zh) * 2010-01-12 2010-06-16 佛山市浦斯电子有限公司 具有热保护功能的电涌抑制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6824A (en) * 1947-12-11 1951-03-27 Bell Telephone Labor Inc Electrical protective apparatus
US3255330A (en) * 1962-08-30 1966-06-07 Cook Electric Co Line protector
US3851220A (en) * 1972-09-15 1974-11-26 J Charles Modular fail-safe telephone station protector
US3852539A (en) * 1973-09-10 1974-12-03 Porta Systems Corp Line surge protection device for telephone lines
GB1468677A (en) * 1973-11-20 1977-03-30 Comtelco Ltd Duplex surge arrestors
US3849750A (en) * 1974-01-02 1974-11-19 Reliable Electric Co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 circuit
US3987343A (en) * 1974-05-22 1976-10-19 Joslyn Mfg. And Supply Co. Surge protector
US3947730A (en) * 1974-07-22 1976-03-30 Porta Systems Corporation Telephone line surge protecting device
US3947729A (en) * 1975-01-16 1976-03-30 Methode Electronics, Inc. Surge protector terminal assembly
US4051546A (en) * 1975-12-04 1977-09-27 Cook Electric Company Gas tube arrester protector
US4062054A (en) * 1976-08-31 1977-12-06 Tii Corporation Multi-function fail-safe arrangements for overvoltage gas tubes
US4074337A (en) * 1976-10-27 1978-02-14 Northern Telecom Limited Protector for telecommunication lines
DE7722929U1 (de) * 1977-07-22 1979-01-18 Krone Gmbh, 1000 Berlin Ueberspannungsableitervorrichtung fuer kabelabschlussgeraete der fernmeldelinientechnik
US4149211A (en) * 1977-10-17 1979-04-10 Monarch Molding Line surge protection device for telephone system
DE2750638A1 (de) * 1977-11-09 1979-05-10 Krone Gmbh Ueberspannungsableitervorrichtung fuer anschlussleisten der fernmeldetechnik
US4159500A (en) * 1977-11-17 1979-06-26 Reliable Electric Company Modular line protector
FR2440636A1 (fr) * 1978-10-31 1980-05-30 Nozick Jacques Tete de cable avec protection pour repartiteur de central telepho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142218A (en) 1983-03-01
EP0042213A1 (en) 1981-12-23
JPS5722322A (en) 1982-02-05
AR223287A1 (es) 1981-07-31
US4325100A (en) 1982-04-13
MX150803A (es) 1984-07-19
KR830007018A (ko) 198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416B1 (ko)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
US4159500A (en) Modular line protector
KR950014303B1 (ko) 모듈형 분배 프레임
US4086648A (en) Protector module
US3975664A (en) Line protector for communication circuit
KR860000639B1 (ko) 통신회로용 선로 보호기
AU599730B2 (en) Connector bank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US4613732A (en) Interface module with modular jack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s
RU95110763A (ru) Улучшен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пересечений системы дл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KR970008738A (ko) 모듈방식의 커넥터 블록용 보호 카트리지
IE55525B1 (en) A heat protection device for overvoltage arrester magazines
US4053719A (en) Connector blocks for telecommunications lines
US5410443A (en) Telephone line overvoltage protection
JPH01313863A (ja) 接続又は分離列用の保護プラグ
US4502088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5928008A (en) Earthing module
US4057692A (en) Protector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lines
US4307430A (en) Protector device for telecommunications circuits
US4594635A (en) Overload protector for communication systems
GB2193396A (en) Three element gas tube protector module
US5514005A (en) Quick connect/disconnect module
RU2231183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US4458288A (en) Electrical protective devices
US5914846A (en) Cable interconnection apparatus for network interface device
US3825867A (en) Electrical protector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