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120B1 - 초광택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초광택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20B1
KR840002120B1 KR1019800001045A KR800001045A KR840002120B1 KR 840002120 B1 KR840002120 B1 KR 840002120B1 KR 1019800001045 A KR1019800001045 A KR 1019800001045A KR 800001045 A KR800001045 A KR 800001045A KR 840002120 B1 KR840002120 B1 KR 84000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air
particulate
cooling
g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677A (ko
Inventor
도시히꼬 사다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사다께 세이사꾸쇼
도시히꼬 사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사다께 세이사꾸쇼, 도시히꼬 사다께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사다께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120B1/ko
Publication of KR83000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8Conditioning grain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광택미 제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부파단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요부의 측단면도,
제 3 도는 미립평형 수분 함량과 이들의 상대습도간의 관계를 나타낸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은 초광택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립에 활석이나 기타 광택제를 첨가 도포하지 않고 초광택미를 생산하는 공지방법에서는, 수분을 미립표면에 흡착 및 흡수시켜 미립의 얇은 표면층을 부드럽게 한후, 부드러워진 표면층을 마찰에 의해 벗긴 다음 수분 함유 쌀겨를 기류에 의해 미립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초광택미를 생산한다.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소망하는 수준의 초광택미를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다. 특히 온도가 상승할 경우에는 원하는 수준이 초광택미의 생산이 곤란하다는 것을 경험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광택미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미립내에 균열을 형성하지 않고 미립과 물의 친화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미립의 표면경도를 증가시킴에 의해 소망하는 수분과 고품질의 초광택미를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립공급구와 미립배출구로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는 미립냉각가습기와, 공기냉각기, 공기가습기 및 용기내에 미립통로의 개구등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장치와, 미립냉각가습기의 미립배출구에 접속된 미립공급부를 포함하는 정백기와, 미립공급부에 연통하는 다공벽 실린더와, 다공벽 실린더에 회전할수 있게 지지된 통풍정백로울러와, 다공벽 실린더와 통풍정백로울러 사이로 형성된 정백실에 접속한 배기장치 및 수분첨가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초광택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는 현미에 대해 96% 이하의 수율로 미리 광택한 미립에 냉각기류를 공급시켜 정미립의 온도를 52℃ 이하로 감소시킨후 미립의 평형수분 함량을 25℃이하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습도를 가진 냉각 기류로 가습하는 한편, 같은 방법으로 미립에 가습하는 동시에 기류로 작용시키면서, 미립 표면을 마찰시킴으로써 초광택미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특별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서 1은 정백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에 미립공급부(2)를 가지고 있다. 다공벽 실린더(3)에는, 그 내부에 통풍 정백로울러(5)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정백로울러는 회전을 위해 중공회전축(4)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다공벽 실린더(3)와 통풍정백로울러(5) 사이에는 정백실(6)이 형성된다.
통풍정백로울러(5)가 설치된 구간의 중공회전축(4)에는 중공으로부터 복수개의 통풍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통풍정백로울러(5)에는 미립을 마찰시키기 위해 인접한 돌출부(8)들과 축 슬릿트(9)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풍정백로울러(5)의 내부를 정백실(6)과 연통시킨다.
중공회전축(4)은 또한 통풍정백로울러(5)에 인접설치된 미립이송로울(10)을 지지하고 있다. 공기공급관(13)은 공기압축기(11)의 공기탱크(12)를 회전축(4)의 일단에 대향하여 병설된 노즐(14)에 접속시키고, 노즐(14)은 급수관(16)을 거쳐 물탱크(15)에 접속되는 한편 중공회전축(4)을 거쳐 통풍구멍(7)과 연통하게 된다. 필터(17)와 전자기 제어밸브(18)는 급수관(16)에 장착되어 수분첨가장치를 구성한다.
다공벽 실린더(3)의 외부 주변은 송풍기(19)의 공기흡출로(20)와 연통되어 공기를 정백실(6)로부터 흡인한다. 상기 부품들은 중공회전축(4)의 통풍구멍(7)을 거쳐 통풍정백로울러(5)의 축슬릿트(9)를 통해 분출된 기류에 의해 쌀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미립의 습기를 전조시키기 위한 배기장치를 구성한다.
21은 미립냉각가습기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미립냉각가습기(21)의 상부에는 미립공급구(25)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미립배출구(26)가 형성된 용기(27)를 포함한다. 용기(27)내에는 그 하부에 개방단(22), 그 상부에 밀폐단(23)을 각각 가진 플로우베드(24)가 복수열로 배열 위치해 있다. 복수열의 플로우베드(24)는 그 인접층의 플로우베드(24)와 서로 편의되는 관계로 겹쳐진 복수개층으로 배열되어 있고, 플로우베드(24) 층중의 하나는 그 일단에서 공기공급실(30)을 거쳐, 공기송풍기(29)를 설치한 공기공급장치(28)와 연통되는 한편(제 2 도 참조) 플로우베드(24)의 나머지 층들은 그 타단에서 공기배출실(32)을 거쳐 공기배출부(31)와 연통된다. 미립배출구(26)는 정백기(1)의 미립공급부(2)에 접속된다. 공기공급장치(28)는 그 내부에 취부된 공기냉각기(33)의 열교환기(34)를 가지는 동시에 필터(37) 및 밸브(38)를 장착한 급수관(39)과 물탱크(36)를 포함하는 공기가습기(35)에 접속되어 냉각 및 가습된 공기를 미립냉각가습기(21)내의 미립통로에 공급할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미립냉각가습기(2I)의 미립공급구(25)를 통해 용기(27)내로 공급된 미립은 흩어질 때 심하게 요동하였다가 용기(27)를 통해 아래로 내려갈 때는 갈짓자로 배열된 복수층의 플로우베드(24)에 의해 수집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미립은, 공기냉각기(33)에 의해 냉각되고 공기가습기(35)에 의해 가습된 냉각 가습된 공기를 승기 공급실(30)을 거쳐 플로우베드(24)에 공급시켜 하부 개구단(22)으로부터 흘려나오게 함으로써 냉각 가습된다. 용기(27)를 통해 아래로 흘러내린 후, 냉각 가습된 미립은 미립배출구(26)를 지나 용기(27)로부터 배출된다. 용기(27)에 공급된 냉각가습된 공기는 층(層)중의 하나를 이루고 있는 플로우베드(24)의 하부 개구단(22)을 지나 흐르게 하여 미립을 냉각가습시킨다.
미립을 냉각가습한 공기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나머지 층의 플로우베드(24)의 하부 개구단(22)으로 흘러들어가 공기 배출실(32)과 공기배출부(31)를 통하여 흘러 외부로 배출된다.
미립냉각가습기(21)에 의해 냉각가습된 후 미립배출구(26)를 지나 용기로부터 배출된 미립은 정백기(1)의 상부에 있는 미립공급부(2)에 공급되어 거기서부터는 미립 이송로울(10) 수단에 의해 정백실(6)에 이송된다. 정백실(6)내에서의 미립은 돌출부(8)를 가진 통풍정백로울러(5)가 회전할 때 강한 힘으로 휘저어저 그로인해 미립은 서로 비벼지고 마찰에 의해 광택이 나게 된다. 이때, 공기는 공기압축기(11)의 공기탱크(12)로부터 노즐(14)에 공급되어 노즐(14)을 통해 공기가 분사된다.
분사된 공기는 물탱크(15)에 접속된 급수관(16)을 통해 공급된 물과 노즐(14)에서 혼합될때 가습된다. 가습된 공기는 중공 회전축(4)을 통해 흘러 상술한 배기장치의 작용에 의해 중공회전축(4)에 형성된 통풍구멍(7)과 통풍 정백로울러(5)에 형성된 축슬릿트(9)을 통하여 정백실(6)에 분사된다.
이때 액체 상태의 수분이 미립의 표면에만 부착 및 흡수되어 미립의 박층표면을 부드럽게 하면 다음 정백실(6)내에서 마찰로 벗겨지고, 벗겨진 쌀겨는 송풍기(19)의 흡출작용에 의해 다공벽실린더(3)의 구멍을 거쳐 공기흡출로(2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수분과 쌀겨가 미립으로부터 제거된다. 미립공급구(25)를 통해 미립냉각가습기(21)에 공급되는 미립은 현미에 대해 96%이하의 수율로 광택을 낸 백미이다. 예컨데, 31℃에서 공급된 미립은 시간당 4톤의 유량으로 미립 냉각가습기(21)를 통과하고, 미립의 15%의 평형 수분함량에 해당하는 63%의 상대습도 이상인 90%의 습도와 12℃의 온도를 가진 분당 50m3의 냉각가습공기에 의해 냉각가습되게 하므로(제 3 도 참조) 미립을 23℃로 냉각가습시킨다.
정백기(1) 내에서 시간당 2∼50kg 범위의 물과 분당 0.2-15m3범위의 공기가 시간당 1톤의 유량으로 통과하는 미립에 공급되어 액체상태의 수분이 미립의 표면에 부착 및 흡수된다. 이로인해 연질화된 미립의 표면 박층은 통풍정백로울러(5)의 마찰작용과 미립 상호간의 마찰작용에 인해 미립으로부터 벗겨지고, 벗겨진 수분 함유 쌀겨는 정백기(1)로부터 다공벽 실린더(3)의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어 초광택미를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광택미 제조방법은 미립의 온도를 25℃ 이하로 저하시키도록 미립의 평형 수분함량을 유지시킬 수 있는 습도와 25℃ 이하의 온도를 가진 냉각가습기류를 현미에 대해 96% 이하의 수율로 광택된 미립에 공급하고, 미립을 좀더 가습시키면서 미립의 표면을 마찰하여 미립에 기류가 가해지는 동안 광택을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방법에 의해 생산된 광택미가 가지는 장점은 냉각시 건조됨으로씨 미립표면에 균열이 일어나지 않고, 고온에서 수분은 미립에 첨가되지 않으므로 표면에 우수한 수분부착성을 가지며, 냉각이 순조롭게 이루어져 표면 경도로 증가시키며, 미립 상호간의 마찰 작용에 의해 초광택표면이 얻어지고, 저온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미립의 질을 증가시키며, 쌀겨의 양이 적기 때문에 수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초광택미 제조장치는 공기냉각기와 공기가습기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장치가 미립냉각가습기의 미립통로에 연결되어 있고, 미립냉각가습기의 미립배출구는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통풍정백 로울러를 싸고 있는 다공벽 실린더를 포함하는 정백기의 미립공급부에 접속되며, 다공벽 실린더와 통풍정백로울러 사이에는 배기장치와 수분첨가장치에 연통하는 정백실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점에 부가하여 본 장치에 의한 장점은 미립에 동시적이면서 균일한 냉각 및 가습을 행하고, 연속적인 냉각 및 가습운전에 따라 가습마찰 광택이 이루어지며 콤펙트한 단일장치로서 초광택미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원한다면 미립의 광택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정백기로부터 배출된 미립을 다시 처리하기 위해 글레이징 드럼(glazing drum)을 설치할 수도 있다.

Claims (1)

  1. 미립공급부와, 다공벽을 가진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 실린더와 협동으로 상기 미립공급부에 연통하는 정백실을 그들 사이에 구획하고 있는 통풍정백로울러와, 미립에 수분을 첨가하여 각 미립의 표면층을 연화시키기 위해 정백실에 연통하는 장치와, 상기 연화한 표면층을 상기 및 제거된 표면층을 상기 실린더의 다공벽을 통하여 상기 정백실에서 흡출시키기 위한 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백장치를 포함하는 초광택미 제조장치에 있어서, 미립냉각가습기(21)에는 미립공급구(25) 및 정백기(1)의 미립공급부(2)에 접속된 미립출구(26)를 가지는 동시에 미립공급구(25)와 미립출구(26) 사이에 연장된 미립통로를 형성한 용기(27)와 공기공급을 위해 미립통로와 연통한 공기공급장치(28)와, 상기한 미립통로로 흐르는 미립을 냉각시키도록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33)와 냉각으로 인한 미립의 건조때문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립통로로 흐르는 미립을 가습하기 위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장치(35)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택미 제조장치.
KR1019800001045A 1980-03-13 1980-03-13 초광택미 제조장치 KR84000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045A KR840002120B1 (ko) 1980-03-13 1980-03-13 초광택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045A KR840002120B1 (ko) 1980-03-13 1980-03-13 초광택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677A KR830001677A (ko) 1983-05-18
KR840002120B1 true KR840002120B1 (ko) 1984-11-19

Family

ID=1921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045A KR840002120B1 (ko) 1980-03-13 1980-03-13 초광택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1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677A (ko) 198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5073B2 (en) System for flouring wheat
US448848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rice of superhigh gloss
KR840002120B1 (ko) 초광택미 제조장치
KR920007012B1 (ko) 정미의 가습장치와 정미시스템
US5145117A (en) Process of and system for flouring wheat
KR900004434Y1 (ko) 가습 세미기
JP2700805B2 (ja) 竪軸型加湿精穀機
JPH08187439A (ja) 精麦方法及びその装置
JPS6056532B2 (ja) 超光沢米の製造装置
JPS6139100B2 (ko)
JPS6123024B2 (ko)
JPH03249952A (ja) 麦粒の加水精麦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254544B2 (ko)
KR820000616B1 (ko) 가습 정미기
JPH0732881B2 (ja) 白米加湿装置
JPS6185182A (ja) たばこの悪癖成分を除去する原料調和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114971B2 (ja) 竪軸型精穀機における加湿装置
JPH02299559A (ja) 白米加工方法及び白米加工装置
US761009A (en) Malting-roller.
JPH0217950A (ja) 穀物加水装置
JPS63190655A (ja) 竪軸型加湿精米機
JPS58104640A (ja) 調質精穀装置
JPH0121945B2 (ko)
JPS60257841A (ja) 精米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H0335977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