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373Y1 -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373Y1
KR840001373Y1 KR2019840005392U KR840005392U KR840001373Y1 KR 840001373 Y1 KR840001373 Y1 KR 840001373Y1 KR 2019840005392 U KR2019840005392 U KR 2019840005392U KR 840005392 U KR840005392 U KR 840005392U KR 840001373 Y1 KR840001373 Y1 KR 840001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nail holes
concrete
yok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소오 나까무라
에이이찌 스도오
세이지 우라다
Original Assignee
마사소오 나까무라
에이이찌 스도오
세이지 우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0227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2125A/ko
Application filed by 마사소오 나까무라, 에이이찌 스도오, 세이지 우라다 filed Critical 마사소오 나까무라
Priority to KR2019840005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제1도는 사시도.
제2도는 일부생략 단면도.
제3도는 다른예의 사시도.
제4도는 그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제4도의 다른 실시예의 표시하는 도면.
본 고안은 콘크리트 형틀등을 누르기 위하여 사용하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형틀용받침대(이하 단순히 받침대라 칭한다)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같이 단면을 네모진 형상으로한 강철파이프로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같은 받침대는 다른 물체에 충돌하였을때, 혹은 쌓아올리거나 내릴때에 크게 시끄러운 소리를 발생한다.
그때문에 주택지에 인접한 공사현자등에 있어서는 야간에 있어서의 공사가 제한되는 일이 많이 있다. 또 종래의 강철파이프로 제작된 받침대는 양쪽끝이 개방되어있기 때문에 내부에 콘크리트의 적은 덩어리가 부착되기 쉬우며, 이것을 제거하는 일은 극히 곤란하다.
그때문에 사용되는 회수가 빈번하게 겹치면 점차로 받침대의 중량이 크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콘크리트 형틀등에 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형틀에 구멍을 설치하여 철사를 끼워서 그 철사의 양쪽끝을 바깥쪽으로 내보낸 다음 잡침대를 잡아매고 있었다. 그 때문에 받침대의 부착작업이 비능률적인 결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와같은 시끄러은 소리의 발생을 줄이고, 또한 콘크리트의 방울이 들어가지 않는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작업을 능률좋게 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 표시하는 받침대는 알루미늄제이며, 그 강도를 얻기 위하여 각 면(1)을 표면에 길이방향의 요홈(凹溝)(2)을 형성하고, 그 이면에 요홈(2)의 들어간 부분에 따라서 돌출하는 돌출부(3)를 형성하며, 또한 그 돌출부(3)에 내부로 향하여 돌출한 길이방향의 보강재(4)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각 면(1)의 폭은 동일하며, 전체에 그 단면(끝면)형상은 정방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받침대 내강부(內腔部)의 양쪽끝에는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발포플라스틱(5)을 충전하고, 이것을 받침대 내면에 고착하여서 일체화화고 있다. 발포플라스틱(5)은 사전에 내강부의 끝면 형상에 일치하도록 성형한 것을 삽지하여서 접착하여도 좋으나, 내장부에 발포성 플라스틱제를 삽입한 후에 가열하여서 발포시키는 것이 능률적이다.
또 상기한 발포플라스틱(5)은 양쪽끝부분을 포함하는 내장부의 대부분 또는 내강부 전체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3도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한 받침대에 고정용 못구멍(6)(6')을 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한 못구멍(6)(6')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모서리부(7)에 설치되며, 각 모서리부에 있어서 하나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2면(1)에 각각 설치되고, 각 못구멍 (6)(6')은 한쪽면에 형성한 요홈(2)의 한쪽모서리와 다른쪽면의 요홈(2)의 한쪽모서리에 치우쳐서 설치되며, 또한 각 못구멍(6)(6)의 중심선(8)은 동일한 직선위에 있으며, 면(1)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못구멍(6)(6')은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서 설치된다.
제4도는 상기한 받침대를 잠시 설치된 틀(A)에 못을 박아서 지착시킨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못(a)은 못구멍(6)(6')에 삽통하여서 때려박는다.
도면표시의 경우, 못구멍은 서로 대햐하는 2개소의 모서리부(1)에 설치한 것을 표시하고 있으나, 4개소의 모서리부(7)의 전부에 동일한 못구멍을 설치하여도 좋으며, 또 최저 1개소의 모서리부(7)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또 못구멍(6 )(6')의 중심선(8)을 45。로 설치하면 구멍(6)쪽 또는 (6')쪽의 어느쪽에서 못(a)을 때려박아도 동일한 각도로서 때려박을 수 있다.
또한 못구멍(6)(6')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철사등으로서 잡아매어진다. 또 도면표시의 경우, 받침대 표면에 요홈(2)및 이면에 돌출부(3) 및 보강재(4)를 설치하고 , 못구멍(6)(6')을 요홈(2)의 한쪽모서리에 치우쳐서 설치한 것을 표시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요홈(2)이나 돌출부(3) 및 보강재(4)는 없어도 좋다. 즉, 표면 이면 모두 평탄한 면이어도 좋다. 다만 못구멍(6)(6')을 뚫을 때에 요홈(2) 한쪽모서리의 단부(段部)에 드릴등의 천공구의 한쪽끝을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되며, 또하나의 구멍(6)을 관통한 공구로서 다른쪽면의 이면에서 다른 구멍(6')을 뚫을 경우에 돌출부(3)의 단부에 공구의 앞쪽끝을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안정도가 좋게 구멍(6)(6')을 뚫을 수가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받침대의 재질은 알루미늄 이외에 종래와 동일한 강철이어도 좋다. 또한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의 내부 양쪽끝부분에 발포플라스틱(5)을 충전하여도 좋다.
이 발포플라스틱(5)은 미발포의 재료를 삽입한 후 가열하여 발포시키면 받침대 내면에 강고하게 부착되어서 일체화 된다. 또 이 발포재(5)는 양쪽끝부분에 한정하지 않고, 양쪽끝부분을 포함하는 받침대 내부의 대부분 또는 전부에 충전하여도 좋다.
상기한 발포재(5)는 폐쇄용 덮개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받침대의 내부에 콘크리트의 적은 덩어리가 부착하여서 받침대를 무겁게 된다고 하는 불편이 없으며, 발포재 (5) 그 자체는 중량이 가벼우므로, 특히 받침대를 가벼운 중량으로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제로 하는 경우에 적합한 것이다. 또 발포재(5)는 소리를 흡수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받침대가 다른 물체에 충돌하거나, 이것을 쌓아올리거나 혹은 내릴때등에 발생하는 시끄러운 소리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5도, 제6도, 제7도는 제4도에 표시된 본 고안의 받침대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표시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받침대는, 4개소의 모서리부 중에서 최소한 1개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그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2면에 각각 못구멍을 설치하고, 그 못구멍의 중심선을 일직선상에 배열한 것에 의하여 못으로서 이것을 고정할 수 있어 받침대의 부착작업이 능률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면이 대략 정방형으로서 또한 각 면(1)의 길이 방향표면에 요홈(2)을 설치한 콘크리트형틀용 받침대의 공동부(空洞部)의 양쪽끝부분에 발포플라스틱재(5)를 충전하고, 상기한 콘크리트형틀용 받침대의 4개소의 모서리부(7)중에서 최소한 1개소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그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2면에 각각 못구멍(6)(6')을 설치하며 , 상기한 못구멍의 중심선(8)은 콘크리트형틀용 받침대면에 대하여 약 45。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KR2019840005392U 1980-01-23 1984-06-08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KR840001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392U KR840001373Y1 (ko) 1980-01-23 1984-06-08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227A KR830002125A (ko) 1980-01-23 1980-01-23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KR2019840005392U KR840001373Y1 (ko) 1980-01-23 1984-06-08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227A Division KR830002125A (ko) 1980-01-23 1980-01-23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373Y1 true KR840001373Y1 (ko) 1984-08-04

Family

ID=2662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392U KR840001373Y1 (ko) 1980-01-23 1984-06-08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3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222A (en) Corner post support member
KR840001373Y1 (ko) 콘크리트 형틀용 받침대
JPH0636110Y2 (ja) 開口部用壁パネルの取付構造
US4819397A (en) Wall panel
JPS6340598Y2 (ko)
JPS6224705Y2 (ko)
JP4097855B2 (ja) 襖の構造
KR0129028Y1 (ko) 발포성 합성수지 문틀구조
JPS636353Y2 (ko)
JPH0427830Y2 (ko)
JP3065290U (ja) 建物用戸枠及び窓枠材
JP2002250012A (ja) 防音パネル及びその接合方法
JPH0730593B2 (ja) 遮音ボードグリップ
JPH0214587Y2 (ko)
JPH0218179Y2 (ko)
JPS6013957Y2 (ja) 端太材
JPS6113610Y2 (ko)
JPH0650013B2 (ja) 軒天井の構造
JPS6349446Y2 (ko)
JP3728372B2 (ja) ドア枠ジョイント材
JPH0122040Y2 (ko)
JPH0542186Y2 (ko)
JPH082308Y2 (ja) 合成樹脂製室内用隅部材
JP2565167Y2 (ja) 二重床の端部仕舞構造
JPS61171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6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