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349B1 -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349B1
KR840001349B1 KR1019800004922A KR800004922A KR840001349B1 KR 840001349 B1 KR840001349 B1 KR 840001349B1 KR 1019800004922 A KR1019800004922 A KR 1019800004922A KR 800004922 A KR800004922 A KR 800004922A KR 840001349 B1 KR840001349 B1 KR 84000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auxiliary
solenoid valv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527A (ko
Inventor
도꾸오 고스게
다께시 아다꼬
기미지 카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349B1/ko
Publication of KR83000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8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e Air-Fuel Ratio Of Carburetor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기화기용 공업비 제어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제3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효과를 나타낸 특성도,
제2도는 냉각수온에 대한 듀티 및 공연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차속도에 대한 듀티 및 공연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흡기부압에 대한 듀티 및 공연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시동에서 난기 종료시까지 요구되는 공연비 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편1도의 보조연료장치에 설치한 전자 밸브의 듀티와 연료량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자적 제어장치에 의하여 내연기관의 시동난기 운전시와 감속운전시 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로 보다 적정화하는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화기에 있어서, 시동난기 운전시에 내연기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 제어는 기화기에 설치한 쵸크밸브의 개방도를 바이메탈등의 감열부재로서 공연비를 제어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한 방법은 기계적인 방법으로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공연비를 충분하리만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었고, 기화기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율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화기에 있어서, 감속운전시에 내연기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 제어는 코우스팅리쳐(coasting richer)라고 불리우는 부압 검출 밸브에 의하여 기화기의 드로틀 밸브하부에서 개방되게한 연료통로를 개폐하여 공연비를 제어했다.
그러나, 이 방법도 순전히 기계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공연비를 충분히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동난기운전 및 감속운전중 어느쪽의 운전을 할지라도 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를 최적하게 제어하는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기화기의 주연료 장치와 저속연료장치와는 별도로 기화기의 드로틀밸브 하부에서 개방시키게한 보조 연료장치를 기화기에 설치하여 내연기관의 시동난기 운전상태를 나타낸는 파라미터와 감속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중 어느한쪽의 파라미터에 따라서도 작동하는 제어밸브에 의하여 보조연료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를 각 운전상태의 진행에 따라 점차적으로 농도에 낮아지게 제어하도록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참조번호(10)는 본 발명의 기화기를 나타내며, 이 기화기(10)는 1차측 흡기통로(12), 2차측 흡기통로(14)로써 이루어져 있으며, 특이한 점은 이 기화기는 쵸크 밸브를 전혀 구비하지 않은 형식의 것이다. 그리고 1차 흡기통로(12)에는 1차 드로틀밸브(16)가 배치되고, 2차측 흡기통로(14)에는 2차 드로틀밸브(18)가 배치되며, 각각의 드로틀 밸브(14),(16) 상부에는 1차측 벤츄리(20)가 2차측 벤츄리(22)가 형성되어 있다.
1차측 벤츄리(20)에는 1차 노즐(20)이 개구되어 있고, 이 노즐(24)은 1차 주연료통로(26)를 거쳐 플로우트실(28)과 연통되어 있다. 1차 주연료통로(26)에는 잘알려진 1차에서 블리이드(30), 에멀젼 튜브(32)와 1차 메인 연료 제트(main fuel jet)(34)가 배치되어 있다.
1차 메인 연료 제트(34)와 병렬로 보조의 메인 연료 제트(36)가 플로우트실(28)과 1차 주연료 통로(26)를 연통하고 있으며, 이 보조 메인 연료 제트(36)는 ON, Off 전자밸브(38)에 의해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1차 주연료통로(26)의 중간에서 분기된 1차 저속연료통로(40)는 1차드로틀 밸브(16)부근에 개구시킨 바이패스 호울(42), 아이들호울(44)로 연통하고 있으며, 이 1차 저속연료통로(40)에도 이미 잘알려진 1차 저속제트(46)와 1차 저속 에어블리이드(4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1차 저속에어블리이드(48)와 병렬로 설치한 보조 저속에어 블리이드(50)가 대기와 연통되면서 1차 저속연료통로(40)와 연통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조 저속 에어블리이드(50)는 ON, Off 전자밸브(52)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1차측 흡기통로(12)에 인접된 2차측 흡기통로(14)에 형성한 2차 벤츄리(22)에는 2차 노즐(54)이 개구되어 있고, 이 노즐(54)은 도시하지 않은 2차 주연료통로를 거쳐 플로우트실(28)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2차 흡기통로(14)에도 잘 알려진 2차 저속연료 통로가 설치되어있다. 여기서 2차 흡기통로(14)에 설치된 2차 주연료통로와 2차 저속 연료통로에는 1차 흡기통로(12)의 1차 주연료 통로(26)와 1차 저속연료통로(40)에 배치한 ON, Off 전자밸브(38),(52)를 설치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첫째는 2차흡기통로(14)로부터 혼합공기를 공급하는 영역은 출력이 요구되는 영역이며, 이 영역에서 혼합공기 제어를 하므로 출력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로 2차 흡기통로(14)에는 1차 흡기통로(12)와 ON, Off 전자밸브(38) 및 (52)를 설치하면 후술하는 보조연료장치 제어용의 전자밸브를 배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보조연료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2차 흡기통로(14)를 형성하는 기화기의 벽부(56)에는 원통상의 ON, Off 전자밸브(5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자밸브(58)는 원통상의 하우징(60)내에 배치된 코어(62)와 가동플런져(66)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동 플런져(66)의 양단에는 공기제어밸브(68)에 대향하는 공기밸브 시이트(72)와 연료제어밸브(70)에 선향하는 연료밸브 시이트(74)가 원통상의 하우징(60)내에서 거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의 하우징(60) 양쪽단부는 밀봉부재(76) 및 (78)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통상의 하우징(60)내에 보조 연료장치를 구성하는 계량부가 전부 내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조립체를 기화기(10)와는 별도로 제작한 후 기화기(10)에 조립하는 것이다. 다음에 공기밸브 시이트(72)의 공기제어밸브(68)측에는 2차측벤츄리(22) 상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데 이 공기는 공기제어밸브(68)와 공기밸브 시이트(72)에 의하여 계량된 후, 보조 공기통로(80)를 거쳐 연료밸브 시이트(74)의 위에있는 연료제어밸브(70)에 보내진다. 한편 연료 밸브 시이트(74)의 연료제어 밸브(70)에는 플로우트실(28)로부터 보조 혼합공기 통로(82)를 거쳐 연료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이들공기와 연료는 연료밸브 시이트(74)를 거쳐 보조 혼합공기통로(84)로 보내져 최종적으로 2차측흡기통로(14)의 드로틀 밸브(14)하부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보조연료 통로(82)에는 보조 연료 제트(88)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 연료통로(82)를 흐르는 연료의 최대량을 규제하고 있다.
다음에 각 전자밸브(38),(52),(58)로 보내지는 신호에 관하여 설명한다. 각 전자밸브(38),(52),(58)에는 컴퓨터 유니트(90)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는 디지틀 형식의 것이며, 그 출력은 듀티제어방식이다.
그리고 이 컴퓨터 유니트 출력은 내연기관의 시동난기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예를들면 냉각수온신호(Tw), 기관회전신호(rpm)나, 내연기관의 감속운전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예컨대 흡기관부압신호(Br), 기관회전수신호(rpm), 드로틀밸브 개방도신호(Thθ)나, 내연기관의 정상주행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예컨대 기관에 공급되는 혼합공기 농도를 나타내는 공연비신호(O2)이며, 이들 입력은 다음에 나타내는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검출되고 있다.
[표 1]
Figure kpo00001
그리고 이들 입력에 대하여 컴퓨터 유니트(30)는 개략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표 2]
Figure kpo00002
다음에 각종운전 상태에 대응한 각 전자밸브(38),(52),(58)의 작동을 설명한다.
[시동난기운전]
시동난기운전에 있어서, 시동시에는 대단히 농도가 짙은 혼합공기를 공급하여 기관이 시동한 후 난기운전을 종료할 때까지 서서히 혼합공기의 농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냉각수온 센서에 의하여 냉각수온 신호(Tw)를 크랭크각 센서에 의하여 기관회전수 신호를 검출하여 이들의 신호를 컴퓨터 유니트(90)에 입력시키며 이들 신호가 기관의 시동을 나타내는 경우, 컴퓨터 유니트(90)는 전자밸브(38),(52)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정지하고, 전자밸브(58)에만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 전자밸브(58)로 공급되는 제어신호는 컴퓨터 유니트(90)에 내장된 기억장치, 예컨대 ROM으로부터 독출된다. 이 기억 장치에는 냉각수온 신호(Tw)와 기관회전수 신호의 값에 의해 결정하는 공연비가 기억되어 있으며, 냉각수온이 낮고, 회전수가 낮을 때 농도가 짙은 일정량의 혼합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값을 기억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관의 시동시에는 전자밸브(58)의 가동플런져(66)는 제1도의 상부로 변위하여 있는 비율이 많아지며, 이로써 전자밸브(58)에 보내지는 신호는 듀티제어된 구형펄스로써 기관시동시에 1사이클당의 통전 시간이 길게 전자밸브(58)를 제어하여 공기밸브 시이트(72)를 공기제어 밸브(68)에 의해 닫고, 반대로 연료밸브 시이트(74)를 연료제어밸브(70)에 의하여 열어 보조 연료통로(88)로부터 연료를 보조혼합공기통로(84)로 보낸다.
그리고 기관이 닫히어 기관의 회전수가 높아지면 컴퓨터유니트(90)는 기억장치 내에서 이러한 상태에 대응한 값을 독출하여 전자밸브(58)에 공급한다. 이 신호는 시동시와 비교하여 1사이클당의 통전시간이 짧으므로서 그만큼 공기밸브시트(72)를 지나는 공기량을 많게하여 보조 혼합 공기통로(84)를 흐르는 혼합공기 농도를 엷게한다. 이와같은 작동에 의하여 보조 혼합공기통로(84)를 흐르는 혼합공기를 난기의 시간적 진행에따라 점차적으로 농도를 엷게하여 난기운전을 종료시킨다. 여기서 난기종료시에는 전자밸브(58)는 차단되거나 0%듀티로제어 되므로 연료밸브 시이트(74)는 연료제어밸브(70)에 의해 닫혀져 보조혼합기 통로(84)에서 혼합공기는 전혀 공급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점을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실선A는 전자밸브(58)에 보내지는 제어신호의 듀티를 나타내며, 파선 B는 기화기(1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 냉각수온이 25℃이하에서는 혼합공기의 농도를 짙게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전자밸브(58)로 보내지는 신호는 듀티 100%이며 전자밸브(58)의 플런져(66)는 상방으로 위치하여 보조연료통로(82)로부터 연료만을 공급하게 한다. 다음에 냉각수온이 25℃를 초과하면 전자밸브(58)로 보내지는 신호의 듀티는 서서히 작어져 60℃에 달하면 듀티는 0%로 된다. 결국 25℃에 60℃의 사이의 듀티가 비례적으로 작아져 60℃에서 전자밸브(58)는 연료밸브 시이트(74)를 닫히게 하여 보조혼합공기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기화기(1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기의 공연비도 이러한 듀티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정상주행운전]
정상 주행운전에 있어서 기화기(1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는 이론공연비에 가깝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산소농도가 센서에 의해 배기 장치의 산소 농도를 검출하여 이 신호의 O2를 컴퓨터 유니트(90)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컴퓨터 유니트(90)는 전자밸브(58)로 제어신호를 공급하지않는 대신 전자밸브(38),(52)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 전자밸브(38),(52)로 공급되는 제어신호는 산소 농도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O2)와, 이론 공연비를 나타내는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그 편차에 따른 방향 펄쓰로써 듀티제어된다. 따라서 기화기(10)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혼합공기가 이론공연비보다 농도가 짙은 경우, 전자밸브(38)로의 통전시간을 짧게하여 전자밸브(38)가 보조 메인 연료 제트(36)를 닫고 있는 간을 길게한다. 한편 전자밸브(38)로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인버어터에서 반전시킨 제어신호를 전자밸브(52)에 공급하여 전자밸브 보조 저속에러 블리이드(50)의 열려져 있는 신간을 길게 함으로써 1차 저속연료 통로(26),(4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줄여 공연비를 이론 공연비에 가깝게 한다. 이 반대로 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가 이론 공연비보다 낮은 경우는 상기한 동작과는 전혀 반대의 동작을 행하여 공연비를 이론 공연비에 가깝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것을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실선의범위 C는 전자밸브(38)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의 듀티를 나타내며, 파선의 범위 D는 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전자밸브(52)에 공급되는 제어신호는, 전자밸브(38)로 공급한 신호를 반전(反轉)시킨점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산소농도 센서로부터의 신호와 기준 신호와의 편차에 의거하여 전자밸브(38)는 범위 D의 30∼70% 사이에서 듀티제어됨으로써 공연비는 범위 D에 나타낸 것과 같은, 예를들면 14∼16사이의 소정의공연비에 따라 제어된다.
[감속운전]
감속운전에 있어서, 기화기(10)의 드로틀밸브(16) 및 (18) 하부는 급격히 부압상승됨으로 기관연소 실내에서의 연소가 안정되지 않으므로 미연소가연부(未然燒可燃分)이 증가하는 문제가있다. 이 때문에 감속초기에는 농도가 짙은 혼합공기를 공급하여 연소실내에서의 혼합기의 연소를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에수반하여 감속진행에 따라 혼합공기의 농도를 점차적으로 엷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회전수 센서로부터의 회전수 신호(rpm),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의 드로틀밸브 개방 신호(Thθ), 부압센서로부터의 흡기부압신호(Bv)를 검출하여, 이들의 신호를 컴퓨터유니트(90)에 입력시킨다.
흡기부압 신호(Bv), 회전수신호(rpm), 드리틀 밸브개방 신호(Thθ)가 기관의 감속 운전을 나타내는 경우 컴퓨터유니트(90)는 전자밸브(38),(52)로 제어신호를 공급하지 않고, 전자밸브(58)에만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 전자밸브(58)에 대한 제어신호는 컴퓨터 유니트(90)에 내장된 기억장치, 예를들면 ROM(REAC ONLY MEMORY)으로부터 독출된다. 이 기억장치는 회전수 신호(rpm)와 흡기부압신호(Bv)에 의하여 결정되는 공연비가 기억되어 있으며, 회전수가 높고, 흡기 부압이 큰(진공에 가까움) 경우에 필요한 만큼의 농도가 짙은 혼합공기량을 기억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관의 감속초기에 전자밸브(58)의 가동 플런져(66)는 제1도의 상측으로 변위하여 있는 비율이 많아진다. 즉 감속초기에 전자밸브(58)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의 1사이클당 통전시간이 길어, 전자밸브(58)는 공기밸브 시이트(72)를 공기제어 밸브(69)에 의하여 닫고, 반대로 연료제어밸브시이트(74)를 연료제어밸브(70)에 의해 열어 보조연료 통로(88)에서 연료를 보조 혼합공기 통로(84)로 공급한다.
그리고 감속이 진행됨에 따라 기관의 회전수가 떨어지면서 흡기 부압이 작아)대기압에 가까움)지면, 컴퓨터 유니트(90)는 기억장치내에서 이 상태에 대응한 값을 독출하여 전자밸브(58)에 제어신호로 공급한다.
이 신호는 감속초기에 비교하여 1사이클당의 통전시간이 짧아 그만큼 공기밸브 시이트(72)를 지나는 공기량을 많게하므로 보조 혼합공기통로(84)를 흐르는 혼합공기의 농도를 엷게한다.
이와같은 작동에 따라 감속운전시 보조혼합공기통로(84)를 흐르는 혼합공기의 농도를 점차적으로 엷게하여 감속운전을 종료한다. 감속이 종료하면 전자밸브(58)는 차단되거나 듀티 0%로 제어되게 하여 연료밸브 시이트(74)가 연료제어 밸브(70)에 의하여 닫히게 하고 보조 혼합공기 통로(84)로는 혼합 공기가 전혀 공급되지 않게 한다.
이상의 것을 제4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실선 E는 전자밸브(58)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의 듀티를 나타내며, 파선 F는 기화기(1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감속운전시 그 흡기부압이 -600mmHg인때, 전자밸브(58)로 공급되는 신호는 듀티 100%이며, 전자밸브(58)의 플런져(66)는 상부로 위치되면서 보조 연료 통로(82)로부터 연료만을 공급한다.
다음에 흡기부압이 감속하면 듀티는 서서히 작아져 -350mmHg에 달하면 듀티는 0%가 된다. 요컨대 -600mmHg에서 -250mmHg의 사이에 듀티가 비례적으로 작아져 -250mmHg의 사이에 듀티가 비례적으로 작아져 -250에서 전자밸브(58)는 연료밸브 시이트(74)를 닫아 보조 혼합 공기의공급을 정지한다.
따라서 기화기(1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도 듀티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시동난기운전과 감속운전중 어떠한 운전을 할 때라도 보조 혼합통로(84)를 거쳐 흐르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를 각각의 운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어 혼합공기를 보다 적절히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공기통로(80) 및 보조연료 통로(82)를 연료밸브 시이트(74) 상부에 형성하므로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관시동에서 난기종료까지의 공연비는 제5도의 실선 G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성이 요구된다. 즉, 기동에서 완폭(完爆)까지의 기간(S)은 연료량을 많게하고 완폭과동시에 연료량을 시동시의 약 1/2 이하로 줄이고, 난기종료까지의 기간(W)은 연료를 서서히 줄이는 것이다. 여기서 연료량(I)은 아이들 포트(44)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이다.
그리고 제5도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완폭에서 난기 종료까지는 기간(W)의 연료를 아주섬세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완폭에서 난기종료까지 기간(W)의 연료를 아주섬세하게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조공기통로(80) 및 보조연료통로(82)를 연료밸브시이트(74) 상부에 형성시킨 것이다.
즉 보조공기통로(80)은 연료밸브 시이트(74)의 상부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연료통로(82)에 걸리는 드로틀밸브(18)하부의 부압에 대한 제어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듀티가 100%인때 전자밸브(58)의 플런져(65)에 설치한 공기제어밸브(68)는 공기 밸브 시이트(72)를 닫아, 연료밸브 시이트(74)에서 직접 드로틀 밸브(18) 하부의 부압이 보조연료통로(82)에 걸려, Qf라고 하는 연료가 공급된다. 다음에 듀티가 작아짐에 따라 전자밸브(58)의 플런져(66)는 이 듀티의 값에 따라 상하로 진동하므로 공기밸브(72)를 지니는 공기량을 증가시키면서 보조 연료통로(82)에 걸리는 부압을 제어한다. 따라서 듀티에 대한 보조 연료통로(82)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는 실선(H)과 같이 된다. 그리고 기동시는 듀티 100%이기 때문에 의연료가 공급된다. 다음에 완폭을 행하면 연료의 량을로 감소시키지만, 이때의 듀티는 약 78%이다.
완폭에서 난기종료까지는 듀티 78% 0%의 사이에서 연료가 제어가 가능하며, 이러한 넓은 듀티범위에서 연료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섬세한 연료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효과는 감속운전의 경우도 적합함에는 말할 것도 없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화기의 주연료 장치와 저속연료 장치와는 별도로 기화기의 드로틀 밸브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연료 장치를 기화기에 설치하여, 이 보조 연료장치를 흐르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를 내연기관의 시동난기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내연기관의 감속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어느 한가지 파라미터에 따라 작동하는 전자밸브에 의해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시동난기 운전시와 감속 운전시의 어떠한 운전을 할지라도 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공연비를 보다 최적화 할 수 있다.

Claims (1)

  1. 주연료장치를 흡기통로에 회전 자재롭게 배치한 드로틀 밸브의 상부에 형성시켜 플로우트 실로부터 벤츄리까지 연료를 공급하고, 저속연료 장치가 드로틀 밸브 근처의 흡기통로까지 플로우트실로부터의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치하므로, 상기의 연료 장치로부터의 연료와 흡기통로 내로 흐르는 공기에 의하여, 소정공연비의 혼합공기를 형성시키는 기화기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정상적인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운전 파라메터에 의하여 주연료장치를 흐르는 연료량을 소정 공연비에 따라 제어하도록 주연료장치에 설치한 연료제어 전자밸브와, 정상 운전 파라메타에 의거하여 저속연료장치를 흐르는 연료량을 소정의 공연비에 따라 제어하는 저속연료 장치에 설치한 저속연료 제어전자 밸브와, 주연료장치와 저속연료장치와는 별도로 플로우트실로부터 드로틀 하부의 흡기통로로 연료를 공급하는 보조연료장치와, 내연기관의 시동난기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난기 파라미터와, 감속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감속 파라미터 중 어느 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보조 연료 장치를 흐르는 연료량을 각각의 운전상태에 따라 점차적으로 제어하는 보조 연료장치에 설치한 보조 연료 제어전자 밸브들로 구성시킨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KR1019800004922A 1980-12-24 1980-12-24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KR84000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922A KR840001349B1 (ko) 1980-12-24 1980-12-24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922A KR840001349B1 (ko) 1980-12-24 1980-12-24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527A KR830004527A (ko) 1983-07-13
KR840001349B1 true KR840001349B1 (ko) 1984-09-19

Family

ID=1921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922A KR840001349B1 (ko) 1980-12-24 1980-12-24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3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527A (ko) 198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2493A (en) Fuel metering system
US4364354A (en) Air-fuel ratio controller for carburetor
US5575268A (en) Air-fuel ratio controll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218419B2 (ko)
US4292946A (e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CA1124144A (e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90001730B1 (ko) 차량용 엔진의 난기 시스템
KR840001349B1 (ko) 기화기용 공연비 제어장치
US3943899A (en) Atmospheric pressure compensating means for an engine intake system
JPH0232853Y2 (ko)
JPS5941014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5830458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S63620B2 (ko)
JPH027249Y2 (ko)
JPS631457B2 (ko)
JPH0437245Y2 (ko)
JPS6343401Y2 (ko)
JPS58117341A (ja) 燃料先行電子制卸気化器
GB2169111A (en) Air-fuel ratio control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144776Y2 (ko)
JPS59113250A (ja) エンジンの2次空気制御装置
JPS5965554A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制御装置
EP0232464B1 (en) Carbure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6120284Y2 (ko)
JPS58222957A (ja) 電子制御式可変ベンチユリ型気化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