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348Y1 - 가정용 마쇄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마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348Y1
KR840001348Y1 KR2019810008551U KR810008551U KR840001348Y1 KR 840001348 Y1 KR840001348 Y1 KR 840001348Y1 KR 2019810008551 U KR2019810008551 U KR 2019810008551U KR 810008551 U KR810008551 U KR 810008551U KR 840001348 Y1 KR840001348 Y1 KR 840001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grooves
point
groove
grin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326U (ko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조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2019810008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348Y1/ko
Publication of KR830001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정용 마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중 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외측마쇄통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
제5도는 내측 마쇄로울러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
제6도는 마쇄통 및 마쇄로울러에 요설된 날의 평면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료투입구 2 : 회동손잡이
3 : 회전축 4 : 진압스크류
5 : 실린더 6 : 동체
7 : 실린더의 선단 9 : 마쇄통
10 : 마쇄로울러 11 : 삽지공
17 : 삼각홈 18,20 : 주홈
19 : 반원형홈 18',18",20',20" : 지홈
본 고안은 마쇄장치인 나팔형의 마쇄통과 마쇄로울러의 날을 개량하여 재료의 마쇄를 용이하게 한 가정용 마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쇄기는 단순히 한줄의 테이퍼형 날이 형성된 마쇄로울러 및 마쇄통으로 되어 있어 진압스크류에 의해서 마쇄로울러에 이르는 재료를 충분히 마쇄시키지 못하였고, 재료가 클 경우는 마쇄로울러와 마쇄통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마쇄통 선단에 요설된 수개의 삼각홈과 마쇄로울러 선단에 요설된 수개의 반원형 홈으로 일차 절단날을 형성하여 진압스크류에서 진압되는 큰 재료를 일차로 작게 절단하여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고 마쇄로울러와 마쇄통의 주홈에 보조날겸 배출통로인 지홈을 형성하여 보조날에서 충분히 마쇄시키고 배출도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료투입구(1)는 상단에 설치되고 그 밑에 회동손잡이(2)에 연결된 회전축(3)에 일체로 형성된 진압스크류(4)가 실린더(5)에 내설된 동체(6)에 마쇄기 실린더(5)의 선단(7)과 나사부(8)로 고정되는 나팔형의 마쇄통(9)과 회전축(3)의 끝단에 삽지공(11)으로 삽착되어 마쇄통(9)의 내주벽과 내접하며 회전하는 마쇄로울러(10)로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마쇄통(9)의 내주벽 선단에는 동 간격으로 배열되어 절단날이 형성된 수개의 삼각홈(17)을 나팔형의 작은 원호(r)쪽에서 큰 원호(R)쪽으로 약 1/4정도의 길이로 요설하며 또 작은원호(r)의 내주벽을 40등분하여 큰원호(R)에 이르는 주홈 (18)을 요설하되 그 깊이를 작은원호(r)쪽에서는 깊고 큰 원호(R) 쪽에서는 얕은 테이퍼 홈으로 하고 그 형상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점(0)에서 40등분된 각각의 선이 작은원호(r) 교차되는 점을 a,b,c,………g로 하고, 큰 원호(R)와 교차되는 점을 A,B,………G로하여 주홈(18)을 우측단은 점(a)에서 점(B)를 잇는 선분(a-B)의 경사선으로 하고 좌측단은 점(a)와 점(b) 사이를 2등분한 중심점(X1)과 큰원호(R)의 점(B)과 점(C)를 6등분한 첫 번째 점(Y1)을 잇는 선분(X1-Y1)으로하여 요설한 후 지홈(18')을 좌측단은 점(a)과 점(Y4)을 잇는 선분(a-Y4)으로, 우측단은 점(X1)과 점(Y5)을 잇는 선분(X1-Y1)으로하여 요설하며 작은원호(r)와 큰원호(R)의 중간원호 (R')에 교차되는 주홈(18)의 2개의 교차점을 점(T), 점(t)로하여 또하나의 지홈(18')을 좌측단은 점(T)과 점(Y2)을 잇는 선분(T-Y2)으로 하고 우측단은 점(t)과 점(Y3)을 잇는 선분(t-Y3)으로 요설시켜서 3갈래로 형성된 주홈(18) 및 지홈(18'), 지홈(18")이 전 내주벽에 40등분된 간격에 각각 40개씩 요설되어 작은원호(r)에는 주홈(18) 및 지홈(18'), 지홈(18")에 의해 120기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되며, 마쇄로울러 (10)의 작은원호(r)쪽의 좌측단에는 6등분하여 반원형홈(19)을 외주벽측으려 끝은 칼날형으로 되게 요설하되 마쇄통(9)의 주홈(18)과 지홈(18') 및 지홈(18")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주홈(20)과 지홈(20') 및 지홈(20")의 길이에 약 1/4 정도까지 요설하며, 마쇄통(9)의 외주연부(9')에 형성된 세 개의 삽입공(21)(21')(21")에 세 개의 삽지간 (22)(22')(22")이 중심봉(23)에 삼방으로 설치된 고정간(16)을 요합 고정시키되 고정간(16)의 중심봉(32)에 나사공(24)을 천공하여 내, 외측에 각각 나사선이 형성된 조절나사(14)를 나합시키고 조절나사(14)의 중심에는 고정보울트(25)로 표시대(26)가 일체로 형성된 조정봉(27)을 고정시키며 마쇄로울러(10)의 삽지공(11)을 통하여 회전축(3)의 끝단원 원추형 와셔(12)의 중심공(28)에 끼워 회동봉(13)으로 조절나사 (14)의 나합공(2'4)에 공회전되게 축합시켜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5,15',15"는 지지부, 29는 나비너트, 30은 표시대(26)의 회동홈, 31은 표시대(26)의 눈금, 32는 고정간(16)에 천공된 나비너트(29)의 고정홈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재료투입구(1)에 재료를 넣고 회동손잡이(2)를 돌리면 회전축(3)에 일체로 형성된 진압스크류(4)가 재료를 실린더(5) 선단으로 압축하여 마쇄통(9)과 마쇄로울러(10)의 선단에 오게되는바, 재료는 마쇄통(9)의 삼각홈 (17)과 마쇄로울러(10)의 반원형홈(19)내로 진입되면서 삼각홈(17)과 반원형홈 (19)에 형성된 날이 서로 교차 회전하여 큰 재료를 일차적으로 작게 절단하므로 마쇄통 (9)과 마쇄로울러(10) 사이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마쇄로울러(10)와 마쇄통(9) 사이 주홈(18)(20)에 유입된 재료는 마쇄통(9)의 주홈(18)과 마쇄로울러(10)의 주홈(20)이 서로 교차회전하면서 마쇄시키고 보조날겸 배출통로인 지홈(18')(18")(20')(20")쪽으로 나아가면서 점차로 세분 마쇄하여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재료의 투입과 진압스크류(4)의 회동에 의한 재료의 진압과정은 종래의 것과 대동소이 하나 일단 진압스크류(4)의 끝단에 이른 재료는 마쇄통(9)과 마쇄로울러(10)의 삼각홈(17) 및 반원형홈(19)내로 받아들여 서로 교차 회전하는 날에 의해 일차 절단하므로 큰 재료도 마쇄통(9)과 마쇄로울러(10) 사이로 일차 절단되어 용이하게 유입되는 것이며 주홈(18)(20)으로 유입된 재료는 주홈(18)(20)으로만 마쇄하여 배출하면 종래의 마쇄기에서 보조날겸 배출 통로인 지홈(18')(18")(20') (20")을 더 형성하여 주홈(18)(20)으로 받아들여진 재료가 주홈(18)(20)으로 일단 마쇄시키고 지홈(18')(18")(20')(20")으로 분산하여 나가면서 마쇄되므로 종래의 주홈(18)(20)으로만 마쇄되는 것에 비해 마쇄점이 두배가 증가된 상태이고 배출통로도 두배가 증가되어 용이하게 마쇄되어 배출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마쇄통(9)의 외주연부(9')에 고정된 고정간(16)의 중심봉(23)에서 조절나사(14)와 회동봉(13) 및 원추형 와셔(12)로 마쇄로울러(10)를 지지축설시켜 주므로써 조절나사(14)와 고정보울트(25)가 일체로 조여진 조정봉(27)을 회동시키면 지지점이 전후로 유동되어 작동시에 마쇄로울러(10)의 외주벽과 마쇄통(9)의 내주면의 교합간격이 변환되어 각각의 주홈(18)(20)이 교차되는 간격이 또한 변환되므로 마쇄되는 재료의 입자크기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반 작용효과가 있는 본 고안은 마쇄기의 구성에 있어서는 동체(16)의 선단(7)에서 용이하게 조립 분해될 수 있어서 보수관리가 편리할 뿐 아니라 투입되는 재료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마쇄할 수 있으며, 입자를 미세하게 마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쇄시키는 입자의 크기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가정용 소형마쇄기로써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나팔형의 마쇄통(9)과 선단에 수개의 반원형홈(19)이 요설된 마쇄로울러(19)로 된 마쇄기에 있어서 마쇄통(9) 선단에 등 간격으로 수개의 삼각홈(17)을 요설하여 공지의 반원형홈(19)과 서로 교차 회전하여 일차 절단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 가정용 마쇄기
KR2019810008551U 1981-12-16 1981-12-16 가정용 마쇄기 KR840001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551U KR840001348Y1 (ko) 1981-12-16 1981-12-16 가정용 마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551U KR840001348Y1 (ko) 1981-12-16 1981-12-16 가정용 마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326U KR830001326U (ko) 1983-10-17
KR840001348Y1 true KR840001348Y1 (ko) 1984-08-04

Family

ID=7247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551U KR840001348Y1 (ko) 1981-12-16 1981-12-16 가정용 마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3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344B1 (ko) * 2012-06-18 2014-05-20 박성훈 반자동 채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344B1 (ko) * 2012-06-18 2014-05-20 박성훈 반자동 채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326U (ko) 198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4555A (en) Waste disposer
CA1086599A (en) Impact decorticator
KR960007110Y1 (ko) 고추분쇄기
DE2453541A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abfall
KR840001348Y1 (ko) 가정용 마쇄기
JPS55136597A (en) Waste material treating device
GB892506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working treatment on particulate or suspended material
US2204057A (en) Pulverizing mill
US2808866A (en) Meat chopper having rotary and stationary blades
JPH058084Y2 (ko)
KR200242099Y1 (ko) 고추 분쇄기
DE2814778C3 (de) Zerkleinerungsmaschine für Schüttgüter
JP6828144B2 (ja) 微粉砕機
CA2010044A1 (en) Crusher
DE1031483B (de) Kuechengeraet mit einem tragbaren, als Handgriff ausgebildeten Motorgehaeuse
KR820000064Y1 (ko) 향신료 파쇄기
KR860002254Y1 (ko) 분쇄기용 고정캡의 연결장치
US2020380A (en) Thrashing machine
CA1136968A (en) Plate and stud combination for a rotary meat grinder
JPS6010686Y2 (ja) 農作物・穀物殻粉砕装置
JPS5855959Y2 (ja) 発泡スチロ−ルの粉砕装置
US5054698A (en) Cutting unit for a comminuting machine
KR970000309Y1 (ko) 맷돌식 믹서
JP2002301395A (ja) 被処理物の圧縮混練粉砕装置
AT207518B (de) Saftzentrifu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