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192Y1 - 분무기용 안전 봉합체 - Google Patents

분무기용 안전 봉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192Y1
KR840001192Y1 KR2019820007563U KR820007563U KR840001192Y1 KR 840001192 Y1 KR840001192 Y1 KR 840001192Y1 KR 2019820007563 U KR2019820007563 U KR 2019820007563U KR 820007563 U KR820007563 U KR 820007563U KR 840001192 Y1 KR840001192 Y1 KR 840001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ap
outlet
nose portion
nebulizer
spr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248U (ko
Inventor
에이취 웨스너 월터
이·월레이스 프레드
Original Assignee
더 아파 코오포레이숀
찰스 케이 리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아파 코오포레이숀, 찰스 케이 리바드 filed Critical 더 아파 코오포레이숀
Priority to KR2019820007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192Y1/ko
Publication of KR830000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5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6Actuation means comprising rotatable or articulated levers
    • B05B11/1057Triggers, i.e. actuation means consisting of a single lever having one end rotating or pivoting around an axis or a hinge fixedly attached to the container, and another end directly actuat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무기용 안전 봉합체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오버캡(overcap)이 배출구 폐쇄 위치에 배치되어 도시된 대표적인 분무기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오버캡이 폐쇄 위치에 있는 분무기 노우즈부분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3도는 제1도 오버캡이 배출구 개방위치에 있는 분무기 노오즈부분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에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오버캡을 도시한 확대 정면도.
제6도는 제1도 오버캡의 후면을 도시한 확대 정면도.
제7도는 제1,3,4,5 및 6도에 도시된 오버캡과 함께 사용되는 분무기 노우즈의 확대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이 배출구 폐쇄 위치에 있는 분무기의 노우즈 부분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9도는 배출구 폐쇄상태의 제2실시예의 오버캡을 보여주는 분무기 노우즈분부의 정면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오버캡이 개방상태에 있는 분무기의 노우즈부분을 나타내는 수직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개방 상태의 제2실시예의 오버캡을 나타내는 분무기의 노오즈 부분의정면도.
제12도는 제8-11도에 도시된 오버캡의 배면도.
제13도는 제8-12도에 도시된 오버캡이 사용되는 분무기 노오즈의 정면도.
제14도는 분무기의 배출구를 폐쇄하는 종래의 스냅 온-오프형 오버냅이 설치된 전형적인 분무기의 노오즈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본 고안은 유체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상의 이유로 어린이나 조심성이 없는 사람에게는 조작이 어렵도록 만들어진 유체출구의 봉합체에 관한 것이다.
분무기는 잘못 사용되었을때 어린이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양잿물, 암모니아 또는 어떤 용제를 함유하는 각종 가정용 세척제품에 사용된다.
종래의 분무기는 운반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분무기구의 우연한 작동을 방지하여야 하는 공통문제점을 갖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가 미합중국 특허 제3,650,473호에 기술되어 있었는데, 그 특허에서, 두 형태(그중 하나는 나사캡에 의해 적소에 보유되고 분무액 출구를 폐쇄하는 반구형 커버를 포함함)의 분무액 출구를 위한 캡이 제공된다. 출구 주위의 시일(seal)은, 캡과 분무기 노우즈(nose) 사이에서 커버를 고정시키도록 커버의 환상플랜지에의 나사캡 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그 분무기는 커버의 반구형부를 칼로절제하여 작동되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특허에 기술된 다른 형태에서는, 영구적인 캡이 분무기 노우즈 부분주위에 설치되어 있고, 제거 가능한 커버캡 또는 봉합체가 상기 영구 캡위에 견고히 압압 부착되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분무기 배출구를 봉쇄하는 봉합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이 커버캡은 일체로 성형된 경첩에 의해 영구캡에 부착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973,700호는 분무액출구 커버와 작동방아쇠가 결합된 분무기를 기술하고 있다. 그 커버-방아쇠장치는 배출구 폐쇄 위치로부터 방아쇠 작동위치로 선회할 수 있도록 축지되어 있고, 분무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배출구 폐쇄위치에 있게되어 있다. 방아쇠의 외측 단부상의 돌출부는 방아쇠가 상승위치에 있을 때 분무액 배출구를 덮는다. 또한, 노즐을 조정하는 탭(tab)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파열가능한 디스크가 설치있으나 방아쇠가 그 디스크를 파열함이 없이 분무액 배출구를 개방하는데 충분히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음, 손가락으로 펑핑통을 압압함에 의해 분무가 행해질 수 있어 어린이와 성인 모두가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957,181호는 비분무 배출기 출구용 봉합체를 제공하고, 그 특허에서, 통로를 가진 배출구가 분무기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통로가 횡으로 배치되어 배출구와 정렬하지 않는 배출구에 대한 횡방향 폐쇄위치로부터 통로가 배출구와 정렬되어 배출구를 개방하는 수직위치로 90°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배출구는 원통형 표면이 배출구의 표면에서 미끄럼 운동함에 이해 상기 양 위치로 회전한다. 그 배출구의 외측단부에 고정 탭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배출구는 손가락에 의해 수직의 개방위치로 상승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비분무 분배기 봉합캡이 미합중국 특허 제4,022,352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그 특허에서는 경첩에 일체로 형성된 캡이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분배기의 상부 배출구 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첩으로부터 캡의 반대측부에 랫치(latch)가 설치되어 있고 그 랫치는 손가락으로 외측으로 이동되어 캡이 상승되고 배출구가 다시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비분무 배출기 봉합캡이 미합중국 특허 제4,020,981호에 기술되어 있고, 그 특허에서 유동성물질을 위한 간단한 배출기의 상부에 나사캡이 설치되어 있고, 그 캡은 캡이 1/4회전된 다음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계속 1/4회전되지 않는 한 제거가 어렵게 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927,834호는, 우연히 작동될 수 있도록 펌프형 분무기의 방아쇠를 고정하는 부재가 사용되며, 그 부재의 일부는 비사용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체용기의 공기 구멍을 막는다.
상기 특허들에 기술된 것들 외에도, 분무기의 분무액 배출구 노우즈를 간단한 압압식 환상캡 또는 커버한 형태의 캡은 분무기의 배출구를 봉쇄하는 역할만하며 분사전에 노우즈부품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노우즈상에서의 캡의 회전은 배출구 폐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이는 이 형태의 운동에도 불구하고 배출구가 봉쇄되기 때문이다.
첨부된 도면 및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어린이나 조심성 없는 사람에 의하여는 거의 사용될 수 없는 2가지의 다른 운동이 분무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행해져야 한다는 사실을 기본원리로 하며, 다수의 관점에서 상기 종래 장치들과 상당히 다르다.
일단부에 노우즈 부분(12)(제2,3,4 및 7도) 또는 (32)(제8,10 및 13)도를 가진 방아쇠식 분무기(10)이 도면에 도시되었고, 그 노우즈 부분은 일단부에서 폐쇄된 중공의 원통체로 되어있으며, 조립시 분무기(10)의 보어(10a)내에 유체 밀폐식으로 압입 설치된다. 폐쇄단부에는 분무기내로부터 노우즈 부분(12) 또는 (32)를 통하여 대기로 통하여 있는 분무액 배출구(11) 또는 (35)가 형성되어 있다. 분무기는 제1,2,3,8 및 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추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 된 방아쇠(13) 또는 (13a)의 작용에 의하여 작동하는 펌프에 의해 병과 같은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사시킨다. 전술한 바와같이, 비사용시 유체가 배출구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버캡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알지 못하고는 어린이나 조심성 없는 사람이 사용할 수 없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각종 부품의 구조는, 탄력성이 낮으며 칫수안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분무될 특정 유체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 충격저항 및 안정성과 같은 피요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플라스틱물질로 성형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제1-7도)에서, 분무기(10)에는 노우즈부분(1 2)의 안내레일(15),(15')에 의하여 노우즈부분(12)에 대해 미끄럼 운동하도록 부착된 평판형안전봉함 커버 또는 오버캡(Overcap)(14)가 장치되어 있다.
그 안내레일(15),(15')는 오버캡(14)상의 긴 돌기 또는 레일(16,16')와 협동하여, 오버캡(14)를 직선적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보유한다. 안내레일(15),(15')는 레일(16,16')과 평행하며, 그의 정규의 직립 위치에 있을때 분무기(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오버캡(14)는 하기 설명하는 한계내에서 상하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분무기(10)의 배출구(11)보다 큰 구멍(17)이 오버캡(14)에 형성되어 있고 오버캡(14)가 제3,4도에 도시된 배출구 개방 위치로 미끄럼 이동된 때 배출구(11)과 일치하며 그 배출구를 완전한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노우즈부분(12)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의 완전히 폐쇄를 가능케 하는데 요구되는 거리 이상으로 오버캡(14)가 하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무기(10) 쪽으로 충분히 돌출하여 있는 하향 이동제한 스톱퍼(18)이 오버캡(1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오버캡(14)는 그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2,3,5 및 6도에서 상하로 연장하여 있는 고정부재(19)를 가지고 있다. 두개의 슬로트(20,21)이 오버캡(14)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오버캡(14)의 하부의 좁은 밴드부분(22,22')에 의해 고정부재(19)가 오버캡(14)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밴드부분(22,22')는 비교적 작은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비틀림에 대해 탄성이 있고 약한 비틀림 스프링으로 작용하여, 제2도와 같은 통상의 이와 위치에 고정부재(19)가 위치하도록 작용한다. 제3도를 보면 고정부재(19)의 상단부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턱은 노우즈부분(12)의 턱부분(24)에 접촉하여 배출구(11)을 개방시키는 배출구 개방위치에 오버캡(14)를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제1,2,3,5 및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부재(19)의 하단에는 압압부재(25)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압압부재는 슬로트(20) 및 (21)의 외연부와 횡폭이 동일하고 후술되는 바와같이 조작자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면적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하방으로 연장하여 있다. 고정부재(19)는 그의 걸림턱(23)이 노우즈부분(12)의 턱부분(24)로부터 떨어지는데 충분한 밴드부분(22,22')의 휨작용에 의해, 압압부재(25)의 압박시 제2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요홈부(27)이 노우즈부분(12)에 제공되어 있어, 압압부재(25)상의 손가락 압력의 제거시 밴드부분(22,22')의 비틀림 탄성하에 그 요홈부내로 들어가는 걸림턱(23)을 수용한다. 이 작용에 의해, 오버캡(14)가 배출구 개방위치에서 정위치에 보유되고 분무기 작동중 그의 우연한 이동이 방지된다. 노우즈부분(12)의 하연부에는 요홈부(27)로 노출되어 있는 경사면(28)(제3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턱(23)은 그의 하연부에 둥근 모서리를 가지고 있고 그 모서리가 경사면(28)과 협동하여, 오버캡(24)에 하향이동력이 가해진때 걸림턱(23)이 요홈부( 27)에서 이탈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중요한 특징은 오버캡(14)의 내측과 배출구(11) 주위의 노우즈부분 사이에 시일(seal)이 제공되는 것이다.
제2,3,4 및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은 오버캡(14)쪽 외측으로 돌출하고 평편한 상부표면 및 경사면(29a)를 가진 보스(boss)(29)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오버캡(14)의 내측 상부표면(14a)(제3 및 6도)는, 오버캡(14)가 배출구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노우즈부분(12)의 비돌출부분에 대하여 접촉하여 있는다.
대신에 2개의 실제로 평행한 슬로트(30,30')가 제4 및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버캡(14)의 상부에 헝성되어 있고 그 캡(14)를 관통하여 있다. 이들 슬로트(30, 30')는 오버캡(14)의 상부에 인접한 곳으로부터 구멍(17)의 바로 밑부분까지 하방으로 연장하여 있고, 따라서 그 슬로트들 사이의 오버캡(14)의 부분에 약간의 가요성을 제공한다. 오버캡(14)의 상부 내측면의 하연부 역시 모서리가 깎여 경사면(29b)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면(14b)는 오버캡(14)가 상방으로 이동된 때 보스(29)의 경사면 (29a)와 접촉하고 (제3도), 오버캡(14)의 가요성 때문에 경사면(14b)가 경사면 (29a)상에 얹힌다. 그때 보스(2 9)의 상부 평편한 표면과 오버캡의 상부 표면(14a)는 슬로트(30,30')사이 오버캡 부분의 굽힘에 의한 탄성효과에 의해 서로 접촉된다.
한편,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버캡이 배출구 폐쇄위치로 이동될때, 슬로트 (30,30')사이 캡 부분의 탄력성 때문에 그 캡부분이 노우즈부분의 보스(29)에 의해 밀리면서 오버캡이 하향이동되고, 그때 상부표면(14a)에 의해 배출구(11)이 폐쇄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버캡이 배출구 개방위치로 다시 복귀될 때 표면14a)는 재료자체(의 고유적인 탄력성으로 인해 그의 원래의 평면위치로 복귀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제8-13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예에서, 평면의 안전봉합 오버캡(31)은 노우즈부분(32)에 장착되며, 노우즈부분(32)상의 환형융기부(34 )에 결합되는 환형립(33)에 의해 제위치에 견고히 보유된다. 오버캡(31)은 영구적으로 제위치에 보유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오버캡(31)은 견고히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손가락으로 제거되지 않으나, 후술하는 해제수단의 작동에 의해 해제된 때는 비교적 쉽게 회전될 수 있다. 노우즈부분(32)는 제8,10,11 및 13도에 도시한 것처럼 환형 융기부(34)에 대하여 편심으로 위치한 배출구(35)를 가지고 있다. 돌출된 보스(36)은 도시된 것처럼 배출구(35)를 둘러싸고, 제8,10,12도에 도시된 오버캡(31)의 내부 보스(37)상의 평면과 접촉하여, 저장 및 운송시 누출을 방지하도록 배출구(35)를 폐쇄하는 평편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오버캡(31)의 보스(37)바로 밑에 오버캡(31)을 관통하는 구멍(38)이 있고 그 구멍은 제8-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으로 경사진 테를 가지고 있다. 이 구멍(38)은 배출구(35)보다 크고, 구멍(38)이 그 배출구와 일치되도록 이동된때 배출구(35)로부터 분무될 유체가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하여 오버캡(31)의 외측 전면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경사면(43)이 제12도에 도시된 것처럼, 오버캡(31)의 내면에 제공되어 있고, 구멍(38) 수준에서 시작하여 보스(37)의 수준까지 궁형으로 연장하여 있다. 이 경사면(43)은 배출구(35)가 보스(37)의 평편한 표면으로 덮힐 때까지 배출구 보스 (36)이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경사면(43)과 보스(37)은 보스(37)이 배출구(3 5)를 덮는 위치에 있을 때 큰 힘이 배출구보스(36)에 가해져 방아쇠(13a)의 작동시에도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양호한 시일이 얻어지도록 하는, 배출구 보스(36)에 대한 상대적인 칫수를 갖는다.
또한, 스톱퍼(44)가 제12도에서 처럼 오버캡(31)에 형성되어 배출구 폐쇄 위치및 배출구 개방위치를 지나 오버캡(31)이 초과 회전운동하는 것을 배출구 폐쇄 위치에서 보스(36)과 보스(37)이 그리고 배출구 개방 위치에서는 배출구(35)와 구멍(38)이 적절히 정력되게 하기 위하여 노우즈 부분(32)의 스톱퍼(45) 및 (46)(제13도)과 접촉되도록 배출되어 있다.
오버캡(31)밑에 캡(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탭은 그의 외측 표면과 오버캡의 둥근 부분(31)사이에 보강 지지벽(40)을 가지고 평편하게 되어 있으나 최하단에서 내측으로(분무기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탭(39)의 말단부의 하측면에 걸식부재 또는 치(41)이 방아쇠(13a)쪽 슬로트(42)내로 연장하여 있다(제8도참조). 탭(39)가 약간 구부러져 있어, 치(41)이 슬로트(42)내에 정확하게 위치되며 조작자에 의해 작동이 될때까지 오버캡(31)의 회전을 방지한다.
슬로트(42)는 치(41)보다 약간 길고 넓게 되어있어 그 치가 쉽게 그 슬로트내에 삽입되게 하나, 치(41)의 길이는 슬로트(42)의 측부에 접촉하여 오버캡(31)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는데 충분하도록 길게 되어 있다. 치(41)의 길이는 방아쇠(13a)가 정규 위치에 있을 때는 슬로트(42)의 측면에 접촉하고 방아쇠(13a)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는 슬로트(42)에서 떨어지는데 충하도록 짧게 되어 있다.
작동을 설명하면, 분사하려는 유체를 제1도의 분무기용기에 채운 다음 사용자는 통상하는 방식으로 용기의 목을 잡고 손가락으로 방아쇠를 당겨 분사시킨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오버캡에 의해 배출구가 막혀있기 때문에 분사가 행해지지 않고 유체가 분출되기전에 오버캡을 조작하여 배출구로부터 방해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제1-7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압압부재(25)를 분무기로 부터 당겨서 오버캡(14)를 들어 올리려는 통상의 습관을 가지지만이 동작은 안내레일(15,15')와 레일(16,16')에 의해 방지된다. 그대신, 압압부재(25)를 분무기쪽 내측으로 밀어(제1동작) 고정부재(19)를 그의 부착지점, 즉 밴드부분(22,22')를 중심으로 약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걸림턱(23)을 턱부분(24)에서 떨어질 때까지 제2도의 좌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리하여 오버캡(14)가 상승 이동될 수 있고 다음, 걸림턱(23)이 밴드부분 (22, 2 2')의 비틀림 편향력하에 요홈부(27)에 들어갈때까지 오버캡(14)를 상방으로 압압한다(제2동작). 오버캡(14)가 위쪽으로 미끄러져 이동될 때 구멍(17)이 배출구 (11)과 일치되어, 배출구(11)이 개방된다. 이것이 배출구 개방위치이며 통상의 방법으로 분무할 수 있다. 분무를 완료한 후 오버캡(14)상의 스톱퍼(18)이 노우즈부분 (12)의 상연부에 접촉할때까지 손가락으로 오버캡(14)를 하방으로 민다.
이 동작에 의해 구멍(17)의 배출구(11)과 어긋나게 되어 배출구(11)이 전술한 바 대로 다시 봉쇄된다. 또한 걸림턱(23)은 요홈부(27)로부터 벗어나 걸림턱(23)의 턱부분(24) 하부에 있게 되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것이 배출구 폐쇄위치이다.
제8-13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오버캡(31)은 탭(39)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탭(39) 및 오버캡(31)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치( 41)이 방아쇠(13a)쪽으로 슬로트(42)내로 연장된 배출구 폐쇄위치(제8도)에 있는다. 그 분무기의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충분히 방아쇠를 당겨서 치(41)가 슬로트(42)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그후 사용자는 탭(39)를 슬로트로 (42)부터 먼쪽으로 그 탭(39)가 위로 직립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스톱퍼(44)와 스톱퍼 (45)의 충돌에 의해 더이상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제2동작을 행한다. 환언하면, 사용자는 분무기를 향하여 거의 180도 시계반대 방향으로 탭(39)를 회전시킨다. 이 동작으로, 오버캡(31)은 노우즈부분(32)의 단부에서 회전하고, 편심된 보스(37)이 배출구 (35)로부터 먼쪽으로 회동하여 그 배출구를 개방한다. 이 동작과 동시에 오버캡(31)의 구멍(38)은 배출구(35)의 전면에 위치되어 유체가 배출구(35)로부터 분사되게 된다. 이것은 배출구 개방위치이다. 오버캡(31)과 탭(39)가 양방향보다는 오직 시계 반대방향회전 운동으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사실에의해 어린이 보호특징이 추가되는데 이는 어린이는 어른이 하는 것처럼 양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보다는 한 방향으로 만 노력할 것이므로 어린이가 배출구 개방위치로 작동시킬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유체 분사가 완료되면, 탭(39)와 오버캡(31)을 오버캡(31)의 스톱퍼(44)가 노우즈부분(32)상의 스톱퍼(46)에 충돌될 때까지 거의 180도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키다. 그리하여, 탭(39)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슬로트(42)내에 치(41)이 삽입되는 배출구 폐쇄 위치로 된다. 치(41)이 슬로트(42)내로 삽입된 후 방아쇠(13a)가 이완되고 치(41)이 배출구 폐쇄위치에 탭(39)와 오버캡(31)을 고정시키게 된다. 경사면(43)은 오버캡(31)이 회전한 때 보스(37)이 완전히 배출구(35)를 덮고 전술한 대로 그에 밀착될 때까지 배출구 보스(36)이 얹히는 경사부를 제공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Claims (1)

  1. 분무기의 유체 분사 배출구에 설치되는 평편한 오버캡으로 된 분무기용 안전봉합체에 있어서, 배출구 폐쇄위치로부터 배출구 개방위치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도록 분무기 노우즈부분(12)에 상기 오버캡(14)을 부착하기 위해, 노우즈부분상의 안내레일( 15,15')과 협동하는 레일(16,16')이 오버캡(14)에 설치되고 그 오버캡이 우연히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노우즈부분상의 턱부분(24)과 결합되는 걸림턱(23)과, 상기 미끄럼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수동압압되어 상기 걸림턱의 고정을 해제하는 압압부재 (25)을 가진 고정부재(19)가 오버캡(14)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용 안전봉합체.
KR2019820007563U 1979-05-24 1982-09-24 분무기용 안전 봉합체 KR840001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563U KR840001192Y1 (ko) 1979-05-24 1982-09-24 분무기용 안전 봉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680 1979-05-24
KR2019820007563U KR840001192Y1 (ko) 1979-05-24 1982-09-24 분무기용 안전 봉합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680 Division 1979-05-24 1979-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48U KR830000248U (ko) 1983-04-30
KR840001192Y1 true KR840001192Y1 (ko) 1984-07-10

Family

ID=7251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563U KR840001192Y1 (ko) 1979-05-24 1982-09-24 분무기용 안전 봉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1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48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6821A (en) Child-resistant closures for container mounted spray dispensers
JP4394576B2 (ja) ノズル閉鎖部材を備えた噴霧噴射装置
US6382463B2 (en) Spray dispensing device with nozzle closure
US5228600A (en) Child resistant nozzle for trigger sprayer
CZ9902505A3 (cs) Sprejová nádoba
PL194355B1 (pl) Głowica rozpylająca oraz pojemnik aerozolowy i pojemnik na pompkę zawierający głowicę rozpylającą
TWI716223B (zh) 兒童安全噴霧劑致動器
US4381065A (en) Continuous discharge aerosol actuator
US7032777B2 (en) Child-resistant trigger sprayer
US3638867A (en) Variable discharge aerosol spray nozzle
KR840001192Y1 (ko) 분무기용 안전 봉합체
US3924782A (en) Safety closure assembly for capping a dispensing container
RU2314984C2 (ru) Дозатор для порционной выдач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масс
US7036689B1 (en) Child-resistant trigger sprayer
KR200384899Y1 (ko) 디스펜서용 버튼
JP2000070791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のロック装置
JPH0344292Y2 (ko)
CA1107699A (en) Child-resistant closure caps for spray dispensers
KR200246375Y1 (ko) 에어로졸 연속분사 개폐장치
JP3530943B2 (ja) 噴霧器
JP2003040372A (ja) スプレー容器
JPH0719566Y2 (ja) エアゾール用キヤップ
KR200203457Y1 (ko) 분무기 노즐용 개폐밸브
JP3552969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キャップ
JPH0685056U (ja) 携帯用噴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