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901B1 - 경질(硬質)금속 차폐물로 보호된 장신물 - Google Patents

경질(硬質)금속 차폐물로 보호된 장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901B1
KR840000901B1 KR1019800000681A KR800000681A KR840000901B1 KR 840000901 B1 KR840000901 B1 KR 840000901B1 KR 1019800000681 A KR1019800000681 A KR 1019800000681A KR 800000681 A KR800000681 A KR 800000681A KR 840000901 B1 KR840000901 B1 KR 84000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metal
plate
plug
piec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구니아트 풀
Original Assignee
몬트레스 라도 에스. 에이.
덕터 풀류티
몬트레스 라도 에스, 에이.
쿨트 뮬레탈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H171779A external-priority patent/CH632886GA3/fr
Priority claimed from CH1115779A external-priority patent/CH632634GA3/fr
Application filed by 몬트레스 라도 에스. 에이., 덕터 풀류티, 몬트레스 라도 에스, 에이., 쿨트 뮬레탈렐 filed Critical 몬트레스 라도 에스. 에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08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22Material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pocket watch or wrist watch 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질(硬質)금속 차폐물로 보호된 장신물
제1도는 제1실시태양의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상의 단면도.
제3도는 제2실시태양의 부분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부분과 유사한 제2실시태양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제3실시태양의 평면 축소도.
제6도는 제4실시태양을 나타내는 제5도와 비슷한 평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5 및 제6실시태양을 나타내는 제2도와 비슷한 단면도.
제9도는 제7실시태양의 한 엘레멘트의 단면도.
제10도는 제8실시태양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제8실시태양의 한 엘레멘트에 대한 단면도.
본 발명은 소결 경질금속 차폐물로 보호되는 예를 들면 시계케이스, 시계밴드, 팔찌, 반지, 고우스단추, 브로우치, 매다는 장신구 등등과 같은 장신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계가공을 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된 몸체부에 소결경질금속의 엷은 차폐물을 끼워서 고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되어 있는 이런 종류의 장신물에서 그 장신물의 몸체부에 보호편을 고착시킬 때에는 용접방법을 사용한다(미합중국 특허 제3,242,664호 참조).
그러나 이것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그리 용이한 것은 아니다. 강철 몸체부에 소결시킨 경질금속 박판을 용접할 때 예를 들면 관련된 소재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하여 그 경질금속판은 강력한 응력을 받게 된다. 더욱이 약 1000℃에 달하는 용접온도에서 그 보호편의 용접전 최종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므로 이 보호편은 용접후에 마무리 가공을 해야만 한다. 그러나, 연마를 포함하는 마무리 가공 작업은 가장 힘들고 또한 가장 섬세한 일이기 때문에 가장 많은 수의 불량품을 발생시킴으로서 그 경질금속편의 손실뿐만 아니라 이 경질금속편을 이미 부착시킨 전체 몸체부의 손실을 또한 가져오게 한다.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작업을 행하는 긴 연속공정은 결과적으로 납품시기를 크게 지연시킨다. 마지막으로 연마후에 경질 금속편을 착색할 경우에는 착색하지않는 장신물 부분은 덮개를 씌워야 하며, 또 착색후에 다시 덮개를 뜯어내야 하므로 마무리 작업을 더욱 복잡하게 하여 제조공정을 늦추게 하며, 또한 불량품 발생의 위험을 증대시킨다.
실제적으로 장신물을 보호하는데에는 박판 보다는 오히려 덩치가 큰 보호편을 사용하였다. 더우기, 기계 가공을 할 수 있는 물질로 된 몸체부와 소결경질금속 보호편을 각각 별도로 완전히 마무리 가공하게 하기위해서 이들 두 개의 편을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접착은 완전히 믿을수가 없으며 일정한 기후에서는 풀이 떨어지게 된다.
필요로 하는 고착을 확실히 하기위하여 고무 종류의 물질로 만든 래치를 포함하기도 하는 기계적인 부착 방법이 또한 제안되었었다(미합중국 특허 제3,643,423호).
그러나, 문제의 두 개 물체를 서로 고착시키는 방법은 기계가공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된 몸체부와 소결 경질금속 보호판의 모두의 정확한 모양과 치수를 요하는 것으로서 특히 보호판의 경우에 있어서 그것이 소결중에 받게되는 비교적 큰 수축때문에 또한 소결후의 경비가 많이드는 기계가공을 생략하려는 경우에는 소결전에 그 보호판에 적절한 모양을 부여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자에게 장애를 주게 된다.
장신물에 소결 경질금속을 사용하기 오래전부터 동업기술자들은 쉽게 기계가공할 수 있는 물질로 된 몸체부를 만들어서 그 몸체부에 경질의 물질로 제조한 차폐물을 부착하여 보호하려는 생각을 가져왔었다(CH―PS 제181,293호 및 동 제236,616호 참조).
그러나 그러한 공지의 차폐물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이 아직도 연한물질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보호할 물건의 연한 몸체부를 덮고 그 몸체부를 단지 싸 바르거나 또한 기타 기계적방식으로 예를 들면 크림핑 및 핀칭 등등의 방식으로 그 몸체부에 고착되게 하기위하여 접거나 스웨이징으로 어려움 없이 마음대로 형태를 만들수 있었다.
그러나 보호해야할 몸체부에 이같은 차폐물을 고착시키는데 사용된 방법은 소결 경질금속 차폐물에는 사용될 수 없었다.
장신물 몸체부에 박판을 고착시키는데에는 중간 래치 없이 행하는 기계적 고착방법이 또한 공지의 기술로 알려져 있다(FR-PS 제2,264,501호 참조).
비둘기 꼬리모양의 장부를 슬라이드 구멍에 안전하게 끼워놓기 위하여 이들 공지의 고착방법은 소결 경질금속판에서 기대할 수 없는 판의 탄성변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3,837,163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장신물 전체를 소결경질 금속으로 제조한다거나 또한 이같은 경질금속편이 피부에 접촉되도록 세트하는 일이 없고 또 그 소결 경질금속을 장신물의 노출표면을 보호하는 용도에만 한정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어려운 작업 및 위험도 및 결점등을 제거하면서 장신물 몸체부에 소결 경질금속 박판 보호편을 고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련될 고착장치는 한편으로 당연히 기계가공을 할 수 있는 물질로 된 몸체부에 판과 같은 소결경질금속 박편을 고착시킬 수 있어야 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보호편과 장신물 몸체부 두 개 모두가 각각 별도로 완전히 가공되었을때 최종작업으로서 조립공정을 거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부위에서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질금속편은 부위에 따라 두께의 차이가 있는 금속편 보다 소결하기 훨씬 더 쉽다. 더우기 제조의 마지막 공정에서 장신물의 몸체부에 보호판을 부착함으로서 이들 두개의 물건들은 따로 따로 제조할 수 있게 되었을뿐 아니라 이같이 함으로서 동시에 물품인도의 기간을 상당히 단축시킬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최종 마무리 작업과정에서 경질금속편의 하자가 나타나서 그 물건의 판매가 부적당하게 될 경우에도 그 손실에 몸체부는 포함되지 않으며, 따라서 불량폐기물은 최소로 줄일 수 있다.
공구제조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강철 몸체부에 소결 경질금속의 박판을 고착시키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나 그 조립은 그 몸체부에 경질금속판의 한쪽면을 용접함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소한 한쪽 방향서나마 비교적 큰 치수를 가진 판은 강철에 직접용접하지는 않는다.
기히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은 약 1000℃온도에서 이루어지며, 강철과 소결 경질금속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경질금속판은 냉각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력 때문에 파손되기 쉽다. 그러므로 공구의 경질금속판들은 중간에 구리와 같은 매우 연한물질로 만든 판을 끼워서 그 공구의 강철 몸체부에 용접을 한다.
보통 강철로 되어 있는 몸체부에 소결 경질금속 박판을 고착시키기 위하여 공구에서 흔히 쓰이는 방법은 외관상 또한 부식의 위험때문에 장신물에는 사용할 수 없다. 더우기 장신물이 끼우개판 즉, 유리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이 대부분 손상을 입을 수 있게 노출되어 있는 팔목시계 케이싱일때는 경질금속 보호편을 유리 끼우개판으로서 사용하고 또 거기에 유리를 고착시켜서 그 물체를 시계 케이스의 밀폐멤버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위 마지막 경우에서 경질금속 보호편은 영구 고착식이 아니고 떼어낼 수 있는 방법으로 케이싱 몸체부에 고착해야 한다.
제1실시태양에서 열거한 구조에서는 바라는 목적을 이룩할 수 있다. 즉, 제1실시태양에 따르면 장신물의 모양은 그 물건의 몸체부를 기계가공할 수 있는 물질로 된 것에 재래식 기계가공작업으로 만들어낸다. 그리고나서 그 물건에 고착시킬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는 경질금속편 또는 금속편들은 몸체부의 모양을 변형시키지 않으며 단지 약간 정도의 부피를 증대시킬 뿐이다.
그 몸체부와 이의 차폐물은 전적으로 각각 별개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두 개의 물편을 완제품에 물품송달 직전에 마지막 공정으로서 서로간에 고착하게 할 수 있다. 보호편의 고착용 플러그는 측면의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하므로 이들 플러그에 대한 적절한 위치는 어렵지않게 찾을 수 있다.
제2실시태양에 따르면 이 플러그를 몸체부에 부착되는 보호편의 측면에 대하여 손상의 위험없이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다. 용접은 단지 경질금속 보호편의 매우 작은 면적에서만 이루어지므로 냉각에서 일어나는 응력으로 인한 파손의 위험은 전적으로 피할수 있다. 더우기 제조과정에서 이 경질금속편에 용접되는 플러그들은 그것들이 보이지않는 쪽에 위치하게 되고 또 따라서 그것을 최종가공할 때에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경질금속편의 최종가공작업을 행할때 전혀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 고착용 플러그를 발 모양으로 보호편에 고착시키는 대신에 어떤 경우에는 제5실시태양에 기술된 방식으로 그 플러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수도 있다. 적절히 연마했을 경우 그 고착용 플러그의 머리는 경질금속 보호편에 박힌 보석같이 보이게할 수도 있다.
장신물의 몸체부에 고착용 플러그를 고착시키는 것은 다른 방법들로도 이룩할 수 있다. 또 그것은 기계적이든 또는 기타 방식이든간에(접착 및 용접 등) 분리 가능 고정시킬수도 또 영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장신물의 몸체부에서 보호판을 떼어낼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그 고착용 플러그를 제3실시태양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그 몸체부내에 간단히 끼워있게 할수도 있다.
반대로 제6실시태양은 그 보호편의 분리가 긴요한 것으로 되어 있는 구조를 상술하고 있다. 그러한 경우에 그 고착용 플러그들은 능율적이고 간단한 제7실시태양의 방식으로 장신물의 몸체부에 끼워있게 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제7실시태양에서 기술한 래칭멤버는 그것들이 완전히 감추어지며 또한 그뿐아니라 쉽게 만질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아직까지는 소결 경질금속 속에 보석 또는 준보석을 끼우는 것이 불가능 하였었지만 제4실시태양은 소결 경질금속편이 정확하게 장식 엘레멘트로 끼워있게 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소결 경질금속 차폐물을 이용하여 보호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장신물은 주로 시계케이스들이며 더 상세히 말하면 손목시계 케이싱 및 시계밴드, 팔찌, 반지, 고우스단추, 브로우치, 배다는 장신물 등등이다.
손목시계 케이싱에서 타물체와 접촉하게 됨으로서 손상을 입게되는 부분은 기본적으로 유리 끼우개편의 상부면이다. 더우기 시계의 외모는 주로 그 상부에 끼우개면의 모양에 따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면만을 보호하면 되는 것이다. 그 케이싱이 유리를 완전히 둘러싸는 끼우개판을 가졌을때 그 보호판은 제6실시태양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만들수 있다. 그때에는 그 끼우개판이 시계케이스의 밀폐하는 멤버를 구성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일체로 만들어진 저부와 케이스의 밴드 부착부의 저부쪽에 연결부를 구성하지 않게 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제8실시태양은 서로에 연결된 엘레멘트로 구성된 금속 시계밴드에 특히 효율적인 차폐구조를 기술하고 있다.
두개의 플러그가 하나의 보호판을 고착시키는데 필요한 경우에 그 플러그들은 제8실시태양에서와 같이 마련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는 용접이 전자의 경우들 보다 상당히 더 넓은 보호편의 배면에 걸쳐서 이루어지지만서도 보호판과 또한 고착용 플러그를 가진 물편의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보호판에 위함한 응력을 상대편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발생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물의 첫번째 실시의 태양(제1도 및 제2도)은 손목시계의 케이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케이싱은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든 컵 모양의 저부(1)와 끼우개 홈과 케이스밴드 부착부를 겸비한 부분(2)을 갖고 있다.
시계 구동부(3)는 위로 부터 부분(1)에 끼워서 원통형의 끼우개 구멍(4)에 놓이게 하며, 부분(1)의 테두리부(5)로 제자리에 바로 놓이게 하며, 그 테두리부(5)에 시계구동부의 기판(6)의 테두리부가 놓이게 한다. 다이알판(7)은 방사형으로 외부쪽으로 뻗어서 시계구동부 주면을 넘어서 부분(1)의 원형 홈부(8)에 걸치게 된다.
시계케이스의 부분(2)은 부분(1)의 원통형 베어링면(9) 그 둘레에 붙여지며, 시계밴드 부착용 러그(10)를 갖고 있다. 부분(2)은 부분(1)의 플랜지(11)위에 놓여서 4개의 나사(12)를 사용하여 그 플랜지에 고착하였다.
상기한 케이싱은 경사진 언저리(14)를 가진 납작한 사파이어 유리(13)로 꼭 닫혀있다. 유리(13)는 직사각형이며 러그(10)위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2)의 상향 돌출부(16)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5)속에 끼워있다. 이밖의 2개의 케이싱 측면은 유리(13)로 덮여 있으며 이 유리는 여기에서 케이싱의 각기 상응되는 2개의 측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의 밀폐는 부분(2)의 원통형 내부벽(18) 및 부분(1)의 상부면(19)과 스페이싱링(20)으로 형성된 홈의 저부에서 유리(13)를 압축하는 환상의 가스켓(17)으로 이루어진다. 압축된 가스켓(17)은 또한 유리(13)가 슬라이드 구멍(15)내에서 우발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계케이스를 닫을때 유리(13)는 나사(12)를 조이기 전에 슬라이드 홈(15)에 끼워야 한다.
전기한 설명과 도면에서 나타난 바로는 유리 끼우개 역할을하는 돌출부(16)의 상부 사면(21)은 시계를 찾고 다닐때 단단한 타물체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 손상, 예를 들면 긁힘으로 인한 손상에 실질적으로 노출되는 유일한 케이싱 부분이다. 따라서 케이싱의 좋은 외모를 보존하기 위하여는 면(21)을 보호하면 충분한 것이다.
제1의 실시태양에서는 그 보호를 면(21)에 부착한 2개의 판(2)으로 구성되는 소결 경질금속 차폐물로 이룩한다. 면(21)은 평면이므로 판(22)도 납작하며 또한 그것들은 사다리꼴의 윤곽을 가지고 있고 두개의 긴 언저리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판(22)의 제조는 그 단순한 형태 때문에 매우 용이하다. 판(22)의 두께는 고정되어 있으며 그 판들이 사용중에 단단한 타물체로 인하여 우연히 발생되는 압력 특히 충격에 견딜수 있는 두께로 선정해야 한다.
상기의 차폐물은 실제로 필요한 곳에 한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손쉽게 행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본 실시태양에서 경질금속판(22)을 부분(2)으로 구성되는 케이싱의 강철 멤버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를 행할 수 없는 것이다. 그 해결방법은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면(21)에 판(22)으로 구성되는 경질금속 보호편을 고착시키기 위하여 2개의 플러그(23)를 판(22)의 후면에 용접한다. 그 용접되는 후면은 외부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최종 마무리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플러그(23)의 용접은 판(22)의 소결 후 즉시 즉, 그 판을 마무리 가공하기 전에 실시한다. 플러그(23)는 강철로 만들어서 선반가공을 할 수 있게 한다. 플러그(23)와 판(22)간의 접촉면은 적지만서도 전술한 용접은 플러그(23)의 부착을 매우 만족스럽게 달성시킨다.
전술한 용접후에 판(22)의 외부면은 숙련기술자가 잘하는 재래식 방법으로 연마한다. 또한 그 면들은 착색된 코팅으로 피복할수도 있다. 판(22)이 소결 탄화 텅스텐으로 만들었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서 판(22)의 보이는 면에 질화코팅을 형성케 함으로서 착색을 이룩할 수 있다.
각각의 면(21) 아래쪽으로 또 러그(10)사이에 부분(2)의 도려낸 부분(24)을 마련하고 구멍(25)을 면(21)에 뚫어 도려낸 부분(24)과 통하게 한다.
플러그(23)의 넓은 머리부분(27)을 끼울 수 있게 구멍(25)의 상단부에 오목(26)을 형성케 한다.
판(22)내의 영구 응력을 피하기 위하여 오목부(26)의 깊이는 부분(27)의 높이 보다 약간 작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러그(23)가 구멍(25)에 완전히 끼워졌을때 머리부분(27)만이 오목부(26)의 저부에 압축되며 판(22)은 면(21)에 압착되지 않는다. 판(22)을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부착할 경우 플러그(23)의 단부는 부분(2)의 도려낸 부분(24)안으로 돌출되게 하며 플러그(23)를 리베트 부착시키며 따라서 판(22)을 부분(2)에 영구적으로 고착시킨다.
이 리베팅은 물론 부분(2) 또는 판(22)에 어떤 손상을 줄수 있는 응력을 발생케 하지않는다. 따라서 리베팅은 최후공정에서 행할 수 있으며 부분(2)과 판(22)을 완전히 별도로 제조하며 각기에 맞는 원하는 방식으로 마무리 가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경질금속판의 최종 가공작업을 하기 전에 그 판을 케이싱의 강철 몸체부에 고착시키는 과정을 할 필요가 없으며, 그럼으로서 그 경질금속판 중의 어느 하나가 연마중에 판매가 부적당하게 손상하였을때 전체 케이스를 잃게 되는 위험이 없다.
도면에 명백히 나타난 바에 따르면 시계케이스의 모양은 전적으로 부분(1)과 부분(2)으로 결정된다. 판(22)는 단지 유리 끼우개 역할을 하는 케이싱 부분의 높이만을 약간 증대시킨다. 부분(1)과 (2)는 강철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제작은 쉽고 아주 재래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당연히 부분(1)과 (2)는 예로서 놋쇠, 알미늄 또는 합성수지재료 등과 같은 기계가공을 할 수 있는 기타 물질로 만들수도 있다. 가스켓(17)과 스페이싱링(20)을 감추기 위하여 유리판(13)의 하면의 주변의 금속피막(28)을 입힌다.
제2의 실시태양은(제3도 및 제4도) 단지 경질금속판(31)의 구멍(30)에 끼워있는 보석 또는 준보석(29)을 갖고 있는 것만이 제1의 실시태양과 다르다.
구멍(30)의 언저리와 돌출부(16)의 면(21) 사이에 집혀서 보석(29)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멍(30)의 측면벽을 아래쪽으로 약간 넓어지게 도려냈다.
제3의 실시태양(제5도)에 의한 장신물 또한 손목시계 케이싱으로 구성된 것이며 유리판(32)을 완전히 둘러싸는 끼우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에 보호 경질금속편은 시계케이스의 끼우개부를 완전히 덮게 되는 엷은 틀(33)로 구성되어 있다.
그 틀을 기계가공할 수 있는 물질로 된 케이싱의 몸체부에 고착시키는 것은 그 틀 윗면에 용접된 4개의 플러그(34)를 사용하여 이룩한다.
제4의 실시태양(제6도)은 차폐물이 단일편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각기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기계가공을 할 수 있는 물질로 된 시계케이스 몸체부에 플러그(36)을 이용하여 각기 개별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여러개의 정사각판(35)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이 제3의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플러그(36)는 전술한 실시태양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되어 있지만(35)은 병렬 배치로 인하여 플러그(36) 둘레에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기타 실시태양에서 단일 플러그를 이용하여 경질금속 보호편을 고착시킬때 이같은 회전을 염려하게 될 경우에는 프리즘형의 플러그를 사용하여 그 플러그를 기계가공을 할 수 있는 물질로 된 몸체부에 상응하는 모양을 갖는 구멍에 끼워줌으로서 그러한 위험은 간단히 피할수 있다.
제5의 실시태양(제7도) 또한 손목시계 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이 시계케이싱은 저부와 케이스의 밴드를 함유하고 또 케이싱의 동일 측면에 위치한 러그 사이에 걸쳐있는 엷은 웨브판(39)뿐만 아니라 시계밴드에 부착하기 위한 러그(38)을 갖추고 있는 강철 몸체부(37)로 구성된다.
여러개의 오목부(40)(41)(42)(43)을 몸체부(37)에 마련하여 시계구동부(44) 및 케이싱 속의 시계구동부의 축방향위치를 확실학 하는 시계구동부 테(45) 및 시계 다이알판(46)과 스페이싱링(47) 및 0―링 조이개(48)를 각각 맞추어 넣는다. 그 0―링 조이개는 스페이싱링(47)을 둘러싸며 케이싱의 주변 홈에 놓여있게 되어 있다.
구동부(44) 및 다이알판(46)은 강화된 유리 또는 사파이어로 제조된 평유리판(50)을 갖고 있는 경질금속끼우개(49)로 각각의 오목부에 고정된다. 그 끼우개(49)는 또한 평면이며 그 두께는 유리를 끼울수 있고 최소한 유리두께와 같은 깊이를 가진 오목부를 마련할 수 있도록 유리판(50)보다 약간 두껍게 되어 있다.
유리판(50)은 그 끼우개 속에 완전히 부착할 수 있게 하여 그 상부 모서리가 단단한 타물체에 충돌하였을 때 긁히거나 톱니가 나지않도록 한다. 동업기술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경질유리를 보통 사용할 경우에는 그 유리판이나 끼우개 보다 연한물질로 만든 슬라이브(52)를 그들 두개 물체 사이에 끼우도록 한다.
이 슬리이브는 유리판(50)과, 그 리셈터클(51)의 제조공차 및 이 두개 물체의 열팽창계수를 함께 보상하는 쿳숀을 형성하며 또한 그들 사이의 짬새를 조이기도 한다.
이 케이싱을 닫기 위하여 오목부(43) 및 링(47)으로 형성된 홈속에 있는 0―링(48)을 압착하면서 끼우개판(49)을 멤버(37)의 상부 평면(53)위에 부착한다. 그 끼우개판은 4개의 플러그의 머리부(54)로 고착되어 있으며, 그 플러그 각각은 머리부(54)와 일체로 되어 있는 대(55)를 갖고 있는 끼우개판(49)의 구멍(57)을 통과하여 멤버(37)의 구멍(56)에 끼워져 있다.
웨브판(39) 밑의 러그(38)사이에 위치한 로킹나사(58)는 분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플러그(54)와 (55)를 축방향으로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플러그(54) 및 (55)가 지지해야 할 유일한 응력은 압착된 0―링(48) 조이개가 발생시키는 영구 인장력과 횡단방향의 충격에서 생기는 우발적인 전단력으로 생기게 되므로 플러그의 대(55)는 그 플러그가 특히 강철로 만들어졌을때 1mm보다 더 적은 비교적 적은 직경을 갖게 할 수 있다. 대(55)보다 단지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진 플러그 머리(54)는 끼우개판 위로 약간 돌출되게 한다.
그 플러그 머리의 연마면을 적절히 형성케 하여 보석이 그 끼우개판(49)위에 박혀있는 것 같은 인상을 나타내게 할 수도 있다. 구멍(57)의 상부를 원추형을 갖게 함으로서 그 플러그 머리가 완전히 끼우개판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면 끼우개판(49)은 전체적으로 거의 같은 두께로 되어 있으므로 그 제조는 윤곽의 모양이 어떻든간에 쉽게 만들수 있다.
소결과정에서의 수축으로 인한 뒤틀리는 위험 또한 없게 된다. 그 끼우개판은 단지 전체두께를 늘이게 할 뿐이고 시계몸체의 면의 수나 또는 그 면의 방향을 수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시계케이스의 최종 모양은 그 시계케이스가 기계가공할 수 있는 물질로 된 몸체 멤버이기 때문에 재래식 방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그 몸체 멤버(37)의 모양에 전적으로 따른다.
전술한 끼우개판은 전체에 걸쳐서 몸체 멤버(37) 위에 놓여 있기 때문에 사용중에 일어날 수 있는 타물체와의 우연한 충돌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변형력에 충분히 견딜수 있게 된다.
시계를 보통 팔에 차고다닐때 그러한 우발적인 접촉에 노출되는 부분은 주로 시계케이스의 상부면이고 또 외부로 나타나는 부분도 주로 그 면이기 때문에 그 케이싱의 상부면 전체를 덮는 경질금속 끼우개판(49)은 처음 모양을 계속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시계케이스의 적절한 차폐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케이싱 한쪽에 있는 두개의 시계밴드 부착 러그 사이에 뻗어있는 서로 정반대방향을 가진 두개의 웨브(39)에 관해서는 그것들이 시계구동부의 봉합물 역할을 하지 않으며 오히려 특히 시계밴드 부차부를 강철로 만들었을때에 그 시계밴드 부착부의 일부로서 보일뿐이다.
제6의 실시태양(제8도)은 케이싱의 상부면의 모양만이제5의 실시태양과 다르다.
상부 평면 대신에 몸체 챔버(37a)가 경사진 상부면(53a)을 갖고 있다.
끼우개판(49a)은 이 경우에 평으로 된 측면을 가진 안쪽부분(59)을 갖고 있으며 오목부(51)에 완전히 박혀있는 유리판(50)을 끼우게 되어 있다. 이 끼우개판은 또한 경사진 측면을 가진 바깥쪽 부분(60)을 갖고 있다. 끼우개판(49a)의 부분(60)을 가로질러 마련한 구멍(57a)은 이 끼우개판의 측면에 직각으로 뚫려 있으므로 플러그대(55)는 케이싱에 경사 방향으로 끼워있다. 플러그를 고착시키는 로킹나사(58)는 그 플러그대(55)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태양에서는 또한 그 끼우개판은 대체로 같은 두께로 되어 있으며 맞춘 상태에서 그 끼우개판은 몸체 챔버(37a) 위에 놓여서 시계케이스 양쪽에 두 개의 러그 사이에 겹치는 웨브(39a)를 제외한 그 몸체 챔버(37a)의 상부면 전체를 덮고 있다. 끼우개판(49a)의 역할은 제5실시태양의 끼우개판(49)의 역할과 같다.
제7의 실시태양(제9도)에 의한 보석 정신물은 서로 연결된 한 줄의 엘레멘트들로 구성된 금속시계밴드로 구성된 것이다. 제9도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몸체 챔버(61)를 포함하는 한 엘레멘트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 엘레멘트는 기계가공을 할 수 있는 기타 물질로도 만들수 있다.
이웃 엘레멘트에 그 엘레멘트를 연결하는 힌지(62)는 몸체 챔버(61)에 단단히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힌지들은 몸체 챔버와 일체가 되도록 만들수도 있다. 시계밴드를 차고다닐때 단단한 타물체와 우연히 접촉하게 되는 위험에 노출되는 부분은 그 엘레멘트의 상부면(63)이다. 그 상부면이 엘레멘트의 밖으로 보이는 유일한 면이기 때문에 경질금속 보호물을 이용하여 그 면을 보호하기만 하면 충분한 것이다. 그 문제의 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로인하여 그 면의 보호는 사각형의 경질금석판(64)을 사용하여 이룩할 수 있다. 그 판(64)을 몸체 챔버(61)에 고착시키는 것은 그 판의 뒷면에 용접되어 있고 제1의 실시태양의 판(22)의 경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61)에 리베팅한 한쌍의 플러그(65)를 이용하여 이룩된다.
도면 제10도 및 제11도에서 나타낸 마지막 실시태양은 기본적으로 시계밴드 엘레멘트의 몸체부(66)에 대한 보호판(64)을 확고히 고정시키는 방법만이 전자의 예와 다를뿐이다. 이 실시태양에서 판(64)의 두 개의 고착용 플러그(67)는 강철로 만든 장방형 판(68)과 일체가 되게 만들어져 있으며 그 판(68)은 보호판(64)의 뒷면에 용접되어 있다. 편(68)의 양쪽 언저리로부터 안쪽으로 교대로 뻗어나가게 하여서 가로로 판 구멍(69)은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게 함으로서 그 판(64)을 용접한 후 냉각을 할때 판(64)의 위험한 응력을 발생케 하지않는다. 고착용 플러그(67)는 편(68)의 단부를 직각으로 구부리므로서 그 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만든 플러그는 납작하게 되어 있다. 이 플러그들은 그 플러그 끝으로부터 뚫려져있는 긴 구멍(70)을 이용하여 탄성을 갖게 하였다. 그 구멍으로 생긴 두개의 다리는 시계밴드 엘레멘트의 몸체 챔버(66)의 구멍(71)에 해당 플러그를 끼웠을때 서로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몸체 챔버(66)에 플러그(67)를 고착시키는 것은 탄성의 찝는 힘으로 확고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고착은 다시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시계밴드 엘레멘트의 몸체 챔버(66)의 상부면(72)에 경질금 속판(64)을 놓을 수 있도록 오목부(73)를 수용편(68)을 끼울 수 있게 상부면(72)에 마련한다.
전술한 제8의 실시태양에서 보는바와 같이 평탄하거나 또는 평탄한 마면으로 구성되는 대신 그 보호편의 두께를 거의 똑같게하고 비교적 얇게 하기만하면 그 보호판을 만곡되게 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서 그 모양을 실제 사용되는 입체모양과 대비하여 평면같이 보이게 할수도 있다.

Claims (1)

  1. 통상 사용과정에서 단단한 타물체와 우연히 접촉하게 되었을 때 특히 손상을 받기 쉬운 외부면 부분을 경질금속 차폐물로 보호한 보석 장신물에 있어서, 기계가공을 할수있는 물질로 제조되고 또 외부손상에 노출되는 보석장신물의 외부면에 해당되는 외부면 부분(21)을 갖고 있는 케이스부분(2)과, 그 케이스부분(2)의 해당 외부면 부분(21)을 덮으며 또한 소결 경질금속으로 된 1개 이상의 엷은 보호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질금속 차폐물(22)과 각각의 경질금속차폐물(22)에 대하여 그 몸체 외부면의 해당부분(21)일지점에 마련된 1개 이상의 구멍(25)과, 그 구멍(25) 각각에 확고하게 끼워져 있고 또 이 차폐물(22)을 몸체의 해당 외부면 부분에 단단하게 고착시키는 고착용 플러그(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금속 차폐물로 보호된 장신물.
KR1019800000681A 1979-02-21 1980-02-20 경질(硬質)금속 차폐물로 보호된 장신물 KR840000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71779A CH632886GA3 (en) 1979-02-21 1979-02-21 Piece of jewellery protected by a shielding of hard metal
CH1717 1979-02-21
CH11157 1979-02-21
CH1115779A CH632634GA3 (en) 1979-12-17 1979-12-17 Waterproof wristwatch case protected by a hard metal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01B1 true KR840000901B1 (ko) 1984-06-26

Family

ID=2568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681A KR840000901B1 (ko) 1979-02-21 1980-02-20 경질(硬質)금속 차폐물로 보호된 장신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40935A (ko)
EP (1) EP0015242B1 (ko)
KR (1) KR840000901B1 (ko)
BR (1) BR8001076A (ko)
DE (1) DE3072194D1 (ko)
HK (1) HK142694A (ko)
MX (1) MX1507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3756A1 (en) * 1981-04-25 1982-11-11 Raval Jean Metal bracelet
CH643425B (fr) * 1981-06-01 Rado Montres Sa Boite de montre.
CH646028GA3 (ko) * 1981-08-10 1984-11-15
CH650895GA3 (en) * 1983-02-02 1985-08-30 Waterproof watch case
CH649675GA3 (en) * 1983-03-28 1985-06-14 Georges Ruedin Sa Wristwatch case
FR2616237B1 (fr) * 1987-06-04 1989-06-30 Lascor Spa Montre revetue d'une mosaique
CH672225B5 (ko) * 1987-12-23 1990-05-15 Ebauchesfabrik Eta Ag
FR2695544B1 (fr) * 1992-09-11 1994-11-04 Rado Montres Sa Bracelet de montre.
DE29714637U1 (de) * 1997-06-16 1998-02-26 Timehouse Handelsgesellschaft Uhren
US6553667B1 (en) * 1997-09-08 2003-04-29 Trent Wes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wear resistant jewelry and medical and industrial devices and components thereof
TW468098B (en) * 1999-11-17 2001-12-11 Rado Montres Sa Device for assembling a cover made of hard material on the middle part of a watch
JP2004085434A (ja) * 2002-08-28 2004-03-18 Seiko Instruments Inc 時計
ITRM20060130U1 (it) * 2006-07-07 2008-01-08 Promopharma Srl Orologio da polso provvisto di cassa idonea ad alloggiare nella parte inferiore pietre che vengono a contatto con la pelle
JP2008032418A (ja) * 2006-07-26 2008-02-14 Seiko Instruments Inc 時計
JP5003373B2 (ja) * 2007-09-14 2012-08-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
EP2521942A4 (en) * 2010-06-21 2013-07-31 Crown Internat Properties Establishment SYSTEM AND METHOD FOR EASY REPLACEMENT OF THE LID OF A JEWELRY BOX
CH708815B1 (fr) * 2013-11-06 2017-12-29 The Swatch Group Man Services Ag Elément d'habillage pour une carrure d'une montre-bracelet.
WO2015174816A1 (es) * 2014-05-12 2015-11-19 Garza Leal Jesus Carcasa protectora de lector de energia electrica con lente de cristal
EP3771948A1 (fr) 2019-07-31 2021-02-03 Omega SA Cadran pour piece d`horlogeri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245A (en) * 1901-02-01 1903-06-30 Max L Weiss Ring.
US1735384A (en) * 1927-03-02 1929-11-12 Joseph P Whitaker Bracelet chain
US2029769A (en) * 1934-12-04 1936-02-04 Goldblatt Joseph Mounting for the crystal of a wrist watch casing
CH181293A (fr) * 1935-04-20 1935-12-15 Freres Werthmueller Lunette de glace pour boîtes de montres, de compteurs, etc.
CH236616A (fr) * 1943-07-15 1945-02-28 Colomb Henri Boîte de montre-bracelet.
US2659105A (en) * 1949-07-20 1953-11-17 Halbig Paul Process for tempering curved glasses of organic materials
CH332892A (de) * 1956-04-19 1958-09-30 Rayville S A Uhrgehäuse
US3242664A (en) * 1961-11-08 1966-03-29 Schlup & Cie S A Watch case
CH571964A4 (ko) * 1964-05-01 1967-02-15
US3643423A (en) * 1969-09-30 1972-02-22 Piquerez Sa Ervin Protective screen for a timepiece casing
CH558040A (en) * 1971-09-01 1975-01-15 Watch case with protective cover - has cover made of extra durable material around the watch glass
JPS5330352B2 (ko) * 1971-12-14 1978-08-26
FR2264501A1 (en) * 1974-03-22 1975-10-17 Pfertzel Exploit Lucien Multiple section ring, bracelet etc - has decorative male section fitting into female section
US4034552A (en) * 1976-04-05 1977-07-12 Charles Davidson Wrist watch
CH617563B (fr) * 1978-06-02 Rado Montres Sa Boite de montre etanche a verre polygonal.
CH646028GA3 (ko) * 1981-08-10 1984-11-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50794A (es) 1984-07-19
BR8001076A (pt) 1980-10-29
EP0015242A1 (fr) 1980-09-03
US4740935A (en) 1988-04-26
HK142694A (en) 1994-12-23
EP0015242B1 (fr) 1991-09-18
DE3072194D1 (de) 199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901B1 (ko) 경질(硬質)금속 차폐물로 보호된 장신물
US6491424B1 (en) Apparatus for setting gems and providing hidden compartments in a timepiece
US20100110842A1 (en) Timepiece With Stabilizing Bezel
JP3493185B2 (ja) アクセサリーチェーン・紐体ストッパー
EP0013791A3 (en) Ornamental jewellery
US5868008A (en) Ornaments using jewels
US5806344A (en) Dual locking rings
KR840001081B1 (ko) 시계 케이스
KR910005422B1 (ko) 금속장식판 구성체
JPS645271B2 (ko)
EP3065587B1 (en) Interlocking center ring and outer jacket system
CN111134430B (zh) 珍贵宝石的镶嵌底座
US4674892A (en) Wrist watch having certain parts covered with extra hard material
US5606874A (en) Detachable jewelry ornamentation
US5027617A (en) Dual ring with protector
US2179294A (en) Diamond studded watch ornamentation
US3255611A (en) Finger ring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1280594A (ja) 時計ケ−ス
US6227006B1 (en) Wear-resistant bracelet
JPS635034Y2 (ko)
KR850001791B1 (ko) 팔목시계 케이스둘레 및 그 제조법
WO1999022620A3 (de) Schmuckstück
CN219574616U (zh) 一种具有抗摔结构的陀螺手表
KR0140815Y1 (ko) 시계의 보호 및 장식용 카바
RU2760302C1 (ru) Оправа украшения с вставко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