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757B1 - 안정화 전원회로 - Google Patents

안정화 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757B1
KR840000757B1 KR8204537A KR820004537A KR840000757B1 KR 840000757 B1 KR840000757 B1 KR 840000757B1 KR 8204537 A KR8204537 A KR 8204537A KR 820004537 A KR820004537 A KR 820004537A KR 840000757 B1 KR840000757 B1 KR 840000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voltage
power source
consta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169A (ko
Inventor
박찬용
Original Assignee
허신구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신구,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허신구
Priority to KR820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57B1/ko
Publication of KR84000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정화 전원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원공급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의 보조전원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호로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5도와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일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Q3: 트랜지스터 ZD1-ZD2: 제너다이오드
R1-R3: 저항 C1-C4: 콘덴서
D1-D6: 다이오드 T1: 트랜스
본 발명은 원격제어 텔레비젼에 적용되는 전원공급회로에 있어서 주전원으로부터 안정화된 출력전압을 인출하여 보조전원에 공급하므로 보조전원에서의 전력 소비가 절감되고, 주변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보조전원의 안정화 전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원격제어 텔레비젼에 있어서 교류입력 전원전압의 범위가80-260V의 광대역한 경우에도 텔레비젼을 안전하게 동작시키는 자동전압 조절기능을 가지도록 된 경우, 통상적으로 텔레비젼내의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장치는 제1도와 같이 주전원(1)과 보조전원(2)를 가지도록 되어 있었다. 즉, 주전원(1)은 텔레비젼회로(5)에 전원을 공급하며, 보조전원(2)은 원격제어 수신부(4) 및 제어부(3)에 전원공급을 행하는 [것이고, 제어부(3)는 원격제어 수신부(4)의 검출된 신호에 의하여 주전원(1)의 개폐 및 텔레비젼 회로(5)의 각 기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전원 공급회로에 있어서 보조전원(2)는 제2도에서 처럼 구성되었으므로 입력단자(a,b)에 교류 입력전원(Vi)이 입력되면 트랜스(T1)에서 강압되고, 강압된 이전압은 다이오드(D1,D2), 콘덴서(C1)에서 정류되어 정전압회로(6)에 입력되고, 정전압회로(6)에서 안정화된 출력전압(Vo)이 제어부(3)의 원격제어 수신부(4)에 공급된다.
그러나 트랜스(T1)의 입력전압(Vi)의 범위가 70-280V의 경우 접속점(g)의 정류전압은 출력전압(Vo)의 1.2-4.8배의 범위로 된다.
즉, 트랜스(T1)의 최대입력시는 접속점(g)의 정류전압은 4.8Vo이므로 정전압회로(6)의 출력전압(Vo)과 접속점(g)의 정류전압의 차(4.8Vo-Vo)인 3.8Vo는 정전압회로(6)에서 강하되며 이는 열로서 소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1도의 제어부(3)와 원격제어수신부(4)에 흐르는 전류를 I라 하면 이때 정전압 회로(6)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3.8Vo×I의 값이 되며 통상적으로 그 값은 8-10W 정도로 큰 손실을 나타나게 되고, 또한 발열에 의해 주변회로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보조전워(2)에서의 전력손실을 제거하고, 주변회로의 신뢰성을 높이게 발명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서 처럼 입력단자(a,b)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보조전워(2')는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3)에 의해 주전원(1)이 동작되면 주전원(1)은 텔레비젼 회로(5) 및 보조전원(2')의 단자(e)에 전원이 인가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전원(2')의 단자(e)에 안정화된 전압이 인가되면 제2도의 정류회로(가)의 정류전압을 차단시키므로 텔레비젼 동작시의 보조전워(2)에서의 전력손실을 제거시킨 것으로 제4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랜스(T1), 다이오드(D1,D2), 콘덴서(C1)로 구성된 정류회로(가)의 출력측 접속점(g)은 저항(R1), 트랜지스터(Q1), 제니다이오드(ZD1)로 구성된 정전압회로(나)에 접속시키어 다이오드(D3)(D4)에 연결시키고, 주전원(1)에 연결된 보조전원(2')의 단자(e)와 저항(R3)은 저항(R2), 트랜지스터(Q2), 제너다이오드(ZD2)로 구성된 정전압회로(다)에 접속시키어 다이오드(D5)에 연결시키며, 정전압회로(다)의 제너다이오드(ZD2)와 정전압회로(나)의 트랜지스터(Q1)베이스 사이에 트랜지스터(Q3)를 접속시키고, 다이오드(D4)(D5)와 콘덴서(C2)의 접속점은 제어부(3)와 원격제어 수신부(4)에 연결된 단자(f)에 접속시켜 보조전원(2)을 구성시킨 것으로 보조전원(2')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류회로(가)에서 정류된 전압이 접속점(g)에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아스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1)의 출력전압은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콘덴서(C2)를 충전시키므로 단자(f)에는 안정된 전압이 출력되며 이 전압은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 공급되어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를 동작시키고,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1)이 온되면 보전전원(2')의 단자(e)에 전압이 인가되고, 단자(e)에 인가된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보다 높게 될때 저항(R3)과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바이아스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는 도통되므로트 랜지스터(Q1)는 차단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오프로 정류회로(가)의 접속점(g)에 인가된 전압은 차단되고, 단자(e)에 인가된 전압은 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2)의 출력정압은 다이오드(D5)를 통하여 콘덴서(C2)를 충전시키므로 단자(f)에도 안정된 전압이 출려되어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 공급되어진다. 그러다가 제어부(3)에 의해 주전원(1)이 차단되면 단자(e)의 인가전압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이하로 떨어져서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다시 바이아스 전압이 인가되어 도통된다.
따라서 단자(f)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어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이 입력되어 원격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단자(e)의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에서와 같이 단자(f)의 전위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다이오드(D5)의 애노드의 전위가 단자(e) 전위보다 높게되어 정전압회로(다)의 정전압 작용을 중지하게 하고 단자(e)의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보다 높으면 정전압회로(나)는 정전압 작용을 중지하고 정전압회로(다)만 정전압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젼이 정상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주전원(1)에서 단자(e)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보조전워(2)회로가 동작하므로 종래의 정류회로(가)의 접속점(g)과 정전압회로(6)의 출력전압(Vo)과의 차의 손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제어부(3)에 의해 주전원을 온할 경우 주로 릴레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릴레이를 온시키기 위해서는 릴레이의 구동전류를 필요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12V용의 릴레이인 경우 릴레이의 구동전류는 80mA-100mA인 큰 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종래의 정전압회로에서 릴레이 구동에 따른 손실은 전체 손실의 약 50%이상을 차지하게 되며 이 손실은 주전원에서의 손실보다도 큰 값이다. 한편 주전원(1)이 오프되어 잇는 상태에서는 릴레이 구동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므로 그 손실은 주전원(1)이 온된 경우의 전손실의 50%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주전원(1)이 오프되어 있는 대기상태에서의 손실은 종래와 동일하게 되나, 주전원(1)이 온되어 있는 경우는 주전원(1)에서 단자(e)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정전압 작용을 하므로 보조전원(2')의 정전압회로에서의 손실은 종래 방식에 비해 10%이하로 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5도에서는 제4도의 정전압회로(나)에 정전압(다)및 주전원(1)에 연결된 단자(e)를 연결하고, 정전압회로(다)의 출력측은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 연결된 단자(f) 및 콘덴서(C3)에 접속시키어 보조전원(2')를 구성시킨 것으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류회로(가)에서 정류된 전압이 접속점(g)에 출력되면 정전압회로(나)에서 1차 강압시켜 안정된 전압을 출력시키고, 이 전압은 정전압회로(다)를 거쳐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 연결된 단자(f)에 안정된 전압을 출력시키므로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는 동작된다. 따라서 제어부(3)의 제어에의해 주전원(1)이 온되면 보조전원(2')의 단자(e)에 전압이 인가되고, 단자(e)의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 전압보다 높으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에미터사이에는 역 바이아스가 걸리므로 정전압회로(나)는 동작을 중지하여 전압강하에 따른 손실을 막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단자(e)의 전압은 정전압회로(다)를 통해 단자(f)에 출력되므로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6도에서는 제4도의 정전압회로(나)에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 연결된 단자(f) 및 콘덴서(C4)를 접속시키고, 주전원(1)에 연결된 단자(e)는 다이오드(D6)에 접속시키어 단자(f) 및 콘덴서(C4)를 접속시키고, 주전원91)에 연결된 단자(e)는 다이오드(D6)에 접속시키어 단자(f)에 접속시킨 것으로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류회로(가)에서 정류된 전압이 접속점(g)에 출력되면, 정전압 회로(나)는 동작되어 단자(f)에는 안정화된 전압이 출력되어 제어부(3)와 원격제어 수신부(4)를 동작시키고,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1)이 온되면 단자(e)에는 안정화된 접압이 인가되고 이 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보다 높은 전압이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에미터에는 역 바이아스가 걸려 정전압회로(나)는 동작을 중지하여 정전압회로(나)에서의 손실을 막는 것이다.
그러나 단자(f)에는 단자(e)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제어부(3)와 원격제어 수신부(4)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 원격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에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보조전원(2)에서의 전력손실을 제거하고, 주변회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텔레비젼에 있어서,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 (1)이 동작될때 주전원(1)으로부터 안정된 출력전압을 인출하여 보조전원(2')의 단자 (e)에 공급되게 하고, 이에 따라 보조전원에서도 정류회로(가)의 정류전압을 차단시키어 텔레비젼 동작시에 보조전원(2')에서의 전력손실을 제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원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통상의 정류회로(가)의 접속점(g)을 정전압회로(나)에 접속시키어 다이오드(D3,D4)에 연결시키고, 주전원에 연결된 단자(e)는 정전압회로(다)에 접속시키어 다이오드(D5)에 연결시키며 정정압회로(나)(다) 사이에 트랜지스터( Q3)를 접속시키고, 다이오드(D4,D5)와 콘덴서(C2)의 접속점은 제어부(3)와 원격제어 수신부(4)에 접속된 단자(f)에 연결시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원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정전압 회로(나)의 출력측은 주전원(1)에 접속된 단자(e) 및 정전압회로(다)에 연결시키고,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4)에 연결된 단자(f)와 콘덴서(C3)를 정전압회로(다)의 출력측에 접속시키어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원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정전압회로(나)의 출력측은 제어부(3) 및 원격제어 수신부에 연결된 단자(f) 및 콘덴서(C4)에 접속시키고, 주전원(1)에 연결된 단자(e)는 다이오드(D6)를 통해 단자(f)에 연결시키어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원회로.
KR8204537A 1982-10-08 1982-10-08 안정화 전원회로 KR840000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537A KR840000757B1 (ko) 1982-10-08 1982-10-08 안정화 전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537A KR840000757B1 (ko) 1982-10-08 1982-10-08 안정화 전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757B1 true KR840000757B1 (ko) 1984-05-31
KR840002169A KR840002169A (ko) 1984-06-11

Family

ID=1922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537A KR840000757B1 (ko) 1982-10-08 1982-10-08 안정화 전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7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69A (ko) 198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453A (en) Power supply with switched starting circuit
US3819986A (en) Excess voltage protecting circuit
KR100562242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JP2876829B2 (ja) 電源電圧制御切換え回路
JPH0628515B2 (ja) 電源装置
KR100522017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US4350949A (en) Bidirectional switching circuit with control terminal
JPS63299465A (ja) テレビジョン装置用電源
JPH0279773A (ja) 電源制御回路
KR840000757B1 (ko) 안정화 전원회로
US4652987A (en) Regulator with rectifier IR drop compensation
US6236577B1 (en) Power circuit with stable main and auxiliary power outputs
KR970005996B1 (ko) 그린파워 장치 및 제어방법
GB1596674A (en) Shaping arrangement
EP0405911A2 (en) Regulated dc power supply
JPH07123719A (ja) 多出力型電源装置
JPH0467724A (ja) 電源出力遮断装置
KR960009145Y1 (ko) 자동 디가우싱 회로
KR0130035B1 (ko) 스위칭 타입의 전원장치
KR800001294Y1 (ko) 전압 자동조절회로
JP287035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370057B1 (ko) 전압공급 스위칭을 위한 스탠바이 제어회로
KR840001225B1 (ko) 리모콘 수신장치용 무절환 전원 회로
JPH0258860B2 (ko)
KR840001038Y1 (ko) 전압자동 조절 회로에 있어서 헌팅(Hunting)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