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709Y1 -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709Y1
KR840000709Y1 KR2019810007521U KR810007521U KR840000709Y1 KR 840000709 Y1 KR840000709 Y1 KR 840000709Y1 KR 2019810007521 U KR2019810007521 U KR 2019810007521U KR 810007521 U KR810007521 U KR 810007521U KR 840000709 Y1 KR840000709 Y1 KR 840000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filter
backwash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7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434U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삼양정수공업주식회사
장학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양정수공업주식회사, 장학정 filed Critical 삼양정수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10007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709Y1/ko
Publication of KR830001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자동 여과장치의 단면도로서 여과시의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 자동 여과장치의 단면도로서 역세척시의 상태도.
제3도는 제2도중 "가"부분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각 밸브 및 송풍기의 작동 순서와 동작지속시간을 나타낸 프로그램 그래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집수관 9 : 스트레이너
12 : 정수유출구 13 : 공동개거
14 : 집수관 51 : 공기취입노즐.
본 고안은 자동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와 물을 겸용하는 역세척방식의 자동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만으로 역세척을 행하는 여과방식에 있어서는 여과재의 표면세척을 겸하더라도 그 효과가 양호하지 못한 폐단이 있어 유럽 각국에서는 공기와 물을 역세척에 겸용하여 양호한 역세척 효과를 올리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럽식 공기, 물 겸용방식에서는 공기와 물로 동시에 역세척한 후 물만으로 수세(Rinee)하는 것이 상예인 바, 이들 두 과정을 이행하기 위하여는 공기 취입용 송풍기 이외에도 역세척 펌프의 역세척수 공급관이 필요하여 공사비가 고액으로 들뿐 아니라, 여과와 역세척 기능의 자동화 과정이 복잡한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물, 공기 겸용 역세척 방식의 폐단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호 인접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여과지의 정수유출구를 동일 개거에 연결시키고, 이젝터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스트레이너를 사용하여 역세척시 취입된 공기의 힘을 이용하여 물을 공기와 함께 여과사층으로 공급하므로서 역세척 펌프와 역세척수 공급관을 사용함이 없이 물, 공기 겸용 역세척을 행할 수 있게 한 것인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 상, 하부에 각각 자동원수면(4)이 구비된 원수도 입관(5)과 자동배수변(6)이 구비된 배수관(7)을 설치하고, 여과통(8)의 내부에 여과층(3)을 하부집수판(2)으로 지지시키고, 그 집수판(2)에는 복수개의 스트레이너(9)를 동간격으로 배설하며, 집수판(2) 하방에 압력실(20)을 두어 여기에 자동공기변(10)이 구비된 공기공급관(11)을 연설하여서 된 수개의 여과지(1)를 연립식으로 병설하고, 각 여과지(1)의 정수유출구(12)를 공동개거(13)에 연결시키고, 그 개거(13)의 높이를 상기한 각 여과지(1)의 여과통(8)의 높이 보다 높게하여 여과통(8)보다 높은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연립식 자동여과장치에 있어서, 하부집수판(2)에 설치된 각 스트레이너(9)의 집수관(14)은 그 하단부가 공기공급관(11)보다 낮은 위치에 오도록 하측으로 길게 연장하게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집수관(14)의 하측주벽에는 공기공급관(11)과 같은 수평위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수개의 공기취입노즐(15)을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60。각도로 경사지게 연설하여서 된 구조이다.
또한, 도면중 미설명부호 들은 역세척을 자동으로 개시 또는 중지하기 위한 조작장치로 모두 기존의 설비인바, 이를 간단히 약술하면, 16은 집수함이고, 17은 물공급관이며, 18은 3개의 전극스위치(19)를 구비한 조작함이다. 또, 전극스위치(19)는 공지의 프로그램타이머(도시하지 않음)의 회로에 연결하고, 이 프로그램타이머로 소정의 작동순서에 따라 자동원수변(4)과 자동배수변(6) 및 공기변(10)을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본고안 여과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여과시에는 원수변(4)은 열려 있고, 배수변(6)과 공기변(10)은 폐쇄되어 있는 바, 원수도입관(5)을 통하여 여과지(1) 내부로 도입된 원수는 여과통(8) 내의 여과층(3)을 통과하여 여과되고, 여과된 정수는 스트레이너(9)의 집수관(14)을 통해 집수판(2) 하방으로 집수되어 정수유출구(12)를 거쳐 연립된 각 여과지(1)의 공동개거(13)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여과가 지속되는 동안 여과층(3)의 여과저항 증대로 말미암아 여과지(1) 내의 수위가 점차로 상승하게 되고, 그 손실수두가 극한치에 달하여 역세척이 필요한 수위(H.W.L)에도 달되면 집수함(16)으로 유입된 물이 물 공급관(17)을 통해 조작함(18)으로 공급되고, 조작함(18) 내에 물이 차게 되면 전극 스위치(19)가 작동하면서 프로그램 타이머회로에 신호를 보내어 계획된 프로그램의 작동순서에 따라서 각 변들을 개폐 동작시킨다. 즉, 먼저 원수도입관(5)에 설치된 원수변(4)을 폐색하여 원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이 상태로 여과지(1) 내의 수위의 강하를 폐기하다가 여과지(1)내의 수위가 정수유출개거(13)의 수위(L.W.L) 근처에 달하게 되면 배수변(6)과 공기변(10)이 함께 열리면서 동시에 공기공급관(11)에 연설된 송풍기가 작동하여 공기를 취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공급관(11)을 통하여 압력실(20)로 공기가 들어오면 공기압력에 의하여 압력실(20) 내의 수위는 강하하면서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압축공기가 하부에는 물이 있게 된다.
이때, 스트레이너(9)의 집수관(14) 하단부는 물속에 잠기고 그 주벽에 천설되어 있는 공기 취입노즐(15)은 수면위로 노출되는데, 그 취입노즐(15)은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천설되어 있으므로, 압력실(20)내의 압축공기가 60。각도로 상향 분출되면서 통상의 이젝터와 같은 작용으로 하부에 있는 물을 받아 올리게 되고, 이 물은 공기와 함께 스트레이너(9)의분출구를 통하여 분사되어 여과층(3)을 교란시키면서 역세척을 행하게 된다. 역세척에 사용되는 물은 공동개거(13)에 있는 정수가 공급되는 것이며, 여과층(3)을 통과한 역세척수는 배수관(7)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역세척이 완료되면 공기변(10)은 닫히고 동시에 송풍기도 정지된다.
이상태로 물만의 수세를 행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수세가 끝나면 배수변(6)이 폐색되고 원수변(4)이 열려서 다시 원수가 공급되므로 여과가 재개된다. 제4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과정에 있어서 각 변의 개폐 및 송풍기의 가동 상태와 동작지속시간을 프로그램화한 그래프를 보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여과지의 정수유출구를 동일 개거에 연결시키고 이젝터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된 스트레이너를 사용하므로 역세척공기의 힘을 이용하여 물을 공기와 함께 여과층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별도의 역세척 펌프나 역세척 수 공급관을 설치함이 없이 공기와 물 겸용 역세척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복수개의 여과지(1)를 연립하여 설치하고, 각 여과지(1)의 여과통(8)내에는 여과층(3)을 하부 집수판(2)으로 지지시키면, 그 집수판 하측의 압력실(20)에 공기공급관(11)을 연설하고, 집수판(2)에는 집수관(14)을 갖는 복수개의 스트레이너(9)를 설치한 자동여과장치에 있어서, 각 집수관(14)의 측주벽에 공기 취입노즐(15)을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약 60。각도로 경사지게 천설하여서 된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KR2019810007521U 1981-11-09 1981-11-09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KR840000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7521U KR840000709Y1 (ko) 1981-11-09 1981-11-09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7521U KR840000709Y1 (ko) 1981-11-09 1981-11-09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34U KR830001434U (ko) 1983-10-17
KR840000709Y1 true KR840000709Y1 (ko) 1984-04-30

Family

ID=7247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7521U KR840000709Y1 (ko) 1981-11-09 1981-11-09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7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34U (ko) 198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62769B2 (ko)
KR840000709Y1 (ko) 공기. 물 겸용 역세척식 자동 여과장치
US3935109A (en) Straining apparatus
JP4313497B2 (ja) 逆洗水自己保有型圧力濾過機
US3549012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utomatic washing of rapid filters
JP4277589B2 (ja) 上向流式ろ過装置
JP2737468B2 (ja) 逆洗機能を備えた脱気装置
JP3217487B2 (ja) 浴槽湯の清浄化装置
JP3031402B2 (ja) 外圧式膜ろ過装置
GB868139A (en) Improvements in liquid filters
US650563A (en) Water-filter.
CN210786439U (zh) 一种污水处理用过滤器
US636356A (en) Water-filter.
JPS5814911A (ja) 濾過装置に於けるサイホン式自動逆洗装置
CN205659446U (zh) 一种连续砂过滤器
JPS63151312A (ja) 急速ろ過装置
KR930003040B1 (ko) 급속 여과지의 역 세척방법
KR0138445Y1 (ko)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JP3548938B2 (ja) ろ過設備
JPS5854176Y2 (ja) 移動「ろ」過装置における洗滌装置
SU1579532A2 (ru) Патронный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860001022Y1 (ko) 급속 여과지의 유량 조절 및 거품 제거장치
KR830002426Y1 (ko) 자동 여과 속도 조절장치
JP2929907B2 (ja) 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再生装置
US574511A (en) wil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