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361B1 -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40000361B1 KR840000361B1 KR1019800004872A KR800004872A KR840000361B1 KR 840000361 B1 KR840000361 B1 KR 840000361B1 KR 1019800004872 A KR1019800004872 A KR 1019800004872A KR 800004872 A KR800004872 A KR 800004872A KR 840000361 B1 KR840000361 B1 KR 840000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fer
- roller
- sheet
- transfer material
- be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를 적용하는 복사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전사재 분리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4도는 전사재 모서리부 절곡장치와 그 구동계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제5도는 전사재 모서리부 절곡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6도는 제5도 속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절곡날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전사재 포착박리부재와 전사재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9도는 전사재 포착박리부재와 감광체 드럼과의 위치관계를 나나태는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작용도.
제11도는 전사재의 분리반송에 대한 일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
제12도는 전사재 포착박리부재의 단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
제13도는 전사재 모서리부 절곡장치의 초기상태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14도는 동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15도는 클러치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16도는 동상의 제1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17도는 동상의 입력구동축과 스프링과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8도는 전사재 반송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9도는 동상의 정단면도.
제20도는 동상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21도는 제2 회전체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2도는 제1 회전체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3도는 제1회전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4도 내지 제26도는 제1 회전체의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형성하는 각각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7도는 또 다른 전사재 포착분리부재의 측면도.
제28도는 아직 또 다른 전사재 포착분리부재의 평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전사재 포착분리부재의 평면도.
제30도는 제28도의 전사재 포착분리부재의 주요 부분들의 사시도.
제31도는 전사재 반송장치의 또 다른예의 측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전사재 반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사기의 전사재(轉寫材)분리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복사기에서는 여러가지의 방식에 의해서 원고의 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 전사방식의 전자사진복사기에 있어서는, 상담지체(像擔持體)의 감광체면 상에 정전잠상(靜電像)을 형성하여 이것을 가시적인 상으로 만들어서 전사재에 전사하는 이른바 가시상전사방식의 것과, 상기 정전잠상을 전사재에 전사하여 이 전사재를 현상하는 이른바 정전잠상 전사방식의 것으로 대별된다.
어느 방식에 있어서도, 전사수료후 감광체면에 다같이 접해서 진행하는 전사재를 감광체면에서 분리시켜서 반송하는 것은 복사처리과정중에서 극히 중요한 요소이고,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는 전사재 분리반송장치로서는 여러가지의 방식의 것이 제안되고 또 제공되고 있다.
전사방식의 복사기에 사용되는 감광체로서는 드럼상의 것, 또는 벨트상의 것등 수종류의 것이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드럼상 감광체(이하 "감광체 드럼"로 칭함)를 든다.
감광체드럼의 주위에는 대전기, 노광광학계, 현상장치, 전사장치, 분리반송장치, 클리이닝장치 및 제전(除電)장치등, 공지의 각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감광체드럼은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이 감광체면에는 대전, 노광현상의 각 공정을 거쳐서 가시상이 형성된다. 이 가시상이 전사부에 이동해올 때, 이것과 동시에 전사재가 드럼표면에 밀착되도록 보내진다. 드럼에 밀착한 전사재에는 전사장치에 작용에 의해, 드럼표면에 형성된 상기 가시상이 전사된다.
가시상이 전사된 전사재는 감광체 드럼표면에서 분리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종래 여러가지의 분리방법이 있다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예를들면, 감광체 드럼주면에 분리클릭을 당접시켜서, 이 클릭으로 전사재를 박리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감광체 드럼을 클릭에 의해 손상시키는 율이 커지는 결점이 있다. 또 전사후의 전사재와 감광체 드럼주면 사이에 공기를 분사해서 전사재를 드럼주면에서 떠오르게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을 실시하면 소음이 발생하며, 공기분사에 따라 먼지가 심하게 나르게되는 결점이 있다. 또, 감광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전사부의 하류측의 드럼단부주면에 픽-오프(pick off)벨트를 배설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전사를 끝낸 전사재가 진행하면, 이 측연부가 상기 픽-오프벨트를 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탄 전사재는 픽-오프 벨트의 일부에 설치된 가이드편에 의해 감광체드럼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와같이 픽-오프벨트를 사용한 전사시이트 분리반송장치에서는, 전사의 측연부가 미리 벨트로부터 떠오르도록 드럼에서 이격되고 있기 때문에, 전사후의 시이트분리가 확실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시이트 분리반송장치는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반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은 불가피한 결점도 있다. 그것은, 시이트의 측단부쪽이 길이방향으로 전역에 걸쳐서 전사가 안되고, 이른바 백발(白拔)이 되는 점이다.
픽-오프벨트 분리방식으로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데, 원고의 가장자리끝까지 화상이 있을 경우에는 그 부분의 복사화상이 찍히지 아니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측단부는 복사상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유효 화상영역을 확대한다는 명제에 대해서 극히 큰 장해물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제1의 목적은 픽-오프벨트를 사용한 종래의 분리장치와 동등한 분리기능을 보증함과 동시에 유효화상영역을 최대한으로 설정할 수 있는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잠상 또는 가시상을 전사재에 전사시켜 상기 상을 감광체면에 형성하는 감광체와 ; 상기 전사재의 감광체면으로 향하는 선단연측의 모서리부만을 상기 감광체면에 대해서 떠오르도록 절곡하는 전사재 선단 모서리부 절곡장치와 ; 전사재에의 전사가 수료되고 동 전사재가 상기 모서리부를 제외하고 감광체면에 동일하게 접하면서 감광체와 같이 이동할 때, 감광체면에 대하여 부상되도록 절곡된 모서리부를 포착해서 전사재를 감광체면에서 박리하는 전사재 포착박리부재와 ; 상기 감광체의 이동속도와 거의 동일한 주속으로 서로 접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전사재 포착박리부재에 의하여 감광체면에서 박리된 전사재의 상기 모서리부측의 측연부를 협지하여, 감광체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사재를 감광체로부터 분리하면서 반송하는 전사재 반송장치를 구비한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 반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재의 선단 모서리부의 1개를 감광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전사후의 전사재를 상기 모서리부로 포착해서 박리하기 때문에, 전사재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유효화상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재의 화상영역을 최대한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아울러, 박리클릭과 같은 포착박리부재의 감광체면에 대한 당접력을 극히 약화할 수가 있으므로, 감광체면의 손상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전사재의 선단 모서리부를 절곡하는 장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사재의 스큐우(skew)를 방지하는 분리반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주면에 전사재의 선단측을 절곡하기 위한 날이 있는 로울러와 ; 상기 회전로울러와 협동하여 전사재의 선단측을 상향으로 절곡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로울러의 날이 전사재를 거쳐서 주면에 파고드는 탄성 로울러와 ; 상기 전사재를 전사재 세트 위치로부터 급송하여 전사재의 선단부를 상기 양 로울러가 접하는 부분이나 그 최근접부에 놓는 전사재급송수단과 ; 평상시에 상기 회전로울러의 날을 전사재의 양로울러에의 진입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퇴피시킨 상태에서 회전로울러를 정지시켜놓고, 전사재 선단측의 절곡동작을 개시하는데 앞서, 상기 날이 퇴피위치에서 상기 양로울러가 접하는 부분이나 그 최근접부의 위치에 올때까지 회전로울러를 회전시킨 다음, 상기 절곡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하여 회전로울러와 탄성로울러를 회전시키는 클러치기구와 ; 상기 클러치기구에 연결되는 입력 구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를 갖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사재를 스큐우 없이 그 선단 모서리부를 절곡하여 감광체에 급송할 수가 있다.
상기 클러치기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구성은 대경부 및 이것에 연결되는 소경부가 있으며, 전사재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구동축의 대경부와 소경부중 적어도 대경부에 일단측이 감겨있는 스프링과 ; 이 스프링의 타단을 계지(係止)하는 회전로울러와 ; 회전로울러의 계지 및 해제수단으로 구성되는 스프링클러치이다. 이러한 구성은 극히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전사를 수료한 전사재를 감광체로부터 분리하여, 이 감광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송출방향으로 반송함에 있어서, 절곡된 선단모서리부를 완전히 꺽어버리는 일 없이 오히려 이것을 펴면서 반송할 수 있으며, 또한 전사재를 접찰(摺擦)하는 일 없이 반송할 수 있는 전사재 반송장치를 구비한 복사기의 전사체 분리반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감광체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전사재의 이면에 접촉하는 제1회전체와 ; 이 제1회전체에 당접하여 회전하고 전사재의 표면에 접촉하는 저마찰계수의 부재로된 제2회전체와 ; 상기 감광체에 접촉해서 상기 상이 전사된 전사재를 상기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와의 사이에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기 전사된 전사재를 감광체로부터 분리해서, 전사재의 1측부를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로 협지하여 감광체의 이동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전사재를 반송하는 복사기의 전사재분리반송장치로서, 상기 제1 회전체의 표면이 전사재의 이면에 당접하는 고마찰계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제1 영역과, 전사재의 상기 1측부의 측연부에 당접하는 저마찰계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제 2영역과, 상기 제2회전체에 당접하는 고마찰계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제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회전체의 표면중, 전사재의 측연부가 당접하는 부분을 저마찰계수의 부재로 구성했기 때문에 이것에 전사재가 닿아도 활성이 있으므로, 가장자리가 꺾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 제1 회전체의 표면에, 전사재의 이면이 당접하는 제1 영역과, 제2 회전체가 당접하는 제3 영역을 설정하고, 이들 영역을 고마찰계수의 부재로 형성했기 때문에 전사재를 감광체로부터 분리반송하는데에 충분한 협지력이 얻어지는 동시여, 제2 회전체를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재표면에 전사된 직후의 화상을 접찰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하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사재분리반송장치를 적용하는데 적합한 전자사진복사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의 복사기에 있어서는 감광체로서 드럼상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벨트상의 감광체를 사용한 복사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잘 알수 있을 것이지만, 전사재로서는 일정치수로 절단된 보통의 종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사시이트의 명칭을 전사재에 붙이기도 한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은 감광체드럼을 나타낸다. 감광체드럼(1)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이 주위에는 감광체를 소정의 극성으로 대전시키는 대전기(2), 대전된 감광체에 대하여 접촉유리(3)상에 정치된 원고(도시생략)의 화상을 조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광학계(4), 이 잠상을 가시상화하는 도시예의 경우, 습식 현상장치(5), 현상 후의 감광체표면에 남는 현상액의 액후(液厚)를 정리하는 응축로울러(6), 가시상의 형성된 감광체 드럼표면에 대하여 전사시이트(S)를 급송하는 급지(給紙)장치(7), 감광체드럼표면에 밀착한 전사시이트(3)의 이면에서, 상기 가시상과의 역극성의 코로나 방전을 하는 전사 차아저(charger)(8), 전사를 끝낸 전사시이트(S)를 드럼표면에서 박리해서 드럼의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송하는 전사재분리반송 장치(9), 전사기의 감광체드럼표면을 세척하는 클리이닝장치(10), 및 제전기(11)로 구성되어 있다.
급지장치(7)은, 도시의 예의 경우, 2개의 급지카세트(13), (13)을 구비하고, 한쪽카세트에서 선택적으로 전사시이트가 송출로울러에 의해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급지카세트(13)에서 송출된 전사시이트는, 그 선단이 정지하고 있는 한쌍의 레지스트 로울러(registeration roller)(16)의 부분에 달한다.
그후, 한쌍의 로울러(16)이 회전을 시작하게되고, 이 한쌍의 로울러의 회전보내기작용으로 시이트선단은 드럼면 방향으로 반송되어, 동선단과 드럼상의 가시상의 선단측이 적시에 화합하게되면, 그후부터 전사시이트는 드럼에 접하면서 드럼과 같이 이동하여, 전사차아저(8)에 의하여 상기 가시상이 전사된다. 전사후, 시이트는 후술하는 전사재 포착박리부재에 의하여 드럼표면에서 격리되는 방향으로 유도되어 분리반송장치(9)에 의하여 정착장치(14)로 보내진 후, 카피트레이(copy tray)(15)에 배출된다.
그런데, 제2도에 있어서, 전사시이트(S)를 감광체드럼(1)에 향해서 협지반송하는 한쌍의 레지스트로울러(16)은 로울러(17)과 동(18)로 구성되고, 각각의 1축단부에는 탄성로울러(19)와 절곡날 로울러(20)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로울러(19)는 예를들면 연질고무나 스펀지고무등의 탄성체로 구성되고, 로울러(17)을 고정한 축(17a)에 대하여,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베어링스텐드(21)을 개재하여 회전자재하도록 구성된다. 즉, 축(17a)에 대하여 자유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절곡날로울러(20)의 주면에는 나선상의 절곡날(20a)가 형성되고, 이 로울러(20)은 스프링클러치의 기구의, 이른바 슬리이브(sleeve)로서의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다. 절곡로울러(20)의 플랜지(20b)에 형성한 단부(23)의 계지돌기(23a)가 계합되어 있다.
로울러(17), (18)의 구동계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입력원의 스프로킷(sprocket)(24), 톱니바퀴(25) 및 반송로울러(18)의 축(18a)에 고정된 톱니바퀴(26)등으로 구성되고, 로울러(17), (18)은 제2도에서 각각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구동 된다.
감광체드럼(1)의 주면단부축에, 동주면에 따라 배치된 탄성판으로 된 고정 블레이드(27)은 그 일단이 행거브래킷(hanger bracket)(28)에 그리고 타단이 또하나의 행거브래킷(29)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블레이드(27)에 형성된 만곡 가이드편(27a)의 내측에는 박리클릭(30)이 고착되고, 동 클릭(30)은 가이드편(27a)를 따라 만곡되어 있다. 박리클릭(30)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전사시이트의 박리를하는 것으로서, 박리작용단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어, 그 작용단은 감광체드럼에 대하여 극히 가볍게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브레이드(27)과 박리클릭(30)으로 전사재 포착박리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2도에 있어서, 급지카세트(13)(제1도 참조)의 어느 한쪽으로 부터 급송된 전사시이트(S)는 로울러(17), (18)의 상호 접촉 부분에 가이드판(31)(제6도 참조)에 따라 삽입되고, 시이트는 이 상태에서 대기한다. 다음, 소정의 시기에 로울러(17), (18)이 서로 화살표 방향으로 제4도의 구동계에 의하여 회전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고, 이것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2)가 여자된다.
이렇게 하여, 계지레버(23)이 회동되어서 계지돌기(23a)가 플랜지(20b)의 단부(20c)를 해제한다.
그러면,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른바 스프링클러치의 기능에 의하여, 절곡날로울러(20)이 로울러(18)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절곡날(20a)는 전사시이트를 사이에두고 탄성로울러(19)에 파고들면서 회전하고, 또 회전구동력이 없는 탄성로울러(19)는 절곡날(20a)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이때, 전사시이트(S)의 감광체드럼으로 향하는 모서리부가 감광체면에 대하여 부상되도록 절곡된다. 즉, 부호(Sb)로 나타내는 가장 자리부분이 절곡선에 따라 삼각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그리고, 예를들면 절곡날로울러(20)이 1회전을 끝낼때, 솔레노이드(22)의 여자 상태는 이미 해제되고, 이 결과로 계지레버(23)은 단부(20c)를 재차계지하고, 이 상태로 절곡로울러(20)은 정지한다. 이것에 대하여, 로울러(17), (18)은 회전을 계속하고, 가장자리 절곡부(Sb)를 가진 전사시이트는 감광체드럼(1)에 향해서 보내진다.
다음에, 전사시이트는 드럼주면에 접하면서 드럼과 함께 이동하여, 전사영역 A에서 드럼형상의 가시상이 전사된다. 이때 가장자리 절곡부(Sb)는 감광체면에서 부상되어 있다.
전사후 시이트는 계속 진행하여, 가장자리 절곡부(Sb)는 박리클릭(30)의 박리작용단(30a)를 통과하여, 그다음 가장자리 절곡부(Sb)이하의 시이트 밀접부분이 작용단(30a)에 의하여 박리되는 것이다.
즉, 박리클릭(30)은 감광체면에 대하여 부상하도록 절곡된 전사시이트의 모서리부, 즉 가장자리절곡부(Sb)를 포착해서 전사시이트를 감광체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기능을 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장치는 절곡날(20a)가 있는 절곡날로울러와 탄성로울러(19)로 구성되는 전사시이트 선단모서리부 절곡장치 및 박리클릭(30)과 같은 전사시이트 포착박리부재로 주로 구성되고, 전사에 앞서 상기 절곡장치에 의하여 전사시이트의 선단 모서리부만을 감광체면에 대하여 부상하도록 절곡하며, 전사후에는 상기 포착박리부재에 의하여 절곡된 선단모서리부를 포착하여 전사시이트를 감광체면에서 박리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그 오프벨트를 하용한 종래의 분리장치에 비해, 유효화상 영역을 최대한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이는 종래의 장치와 같이 시이트의 측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전역에 걸쳐서 부상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전사부분은 선단무서리부뿐이고, 이 부분은 시이트박리의 계기를 만들뿐이므로, 영역이 비교적 작아도 괜찮으며, 유효화상 영역을 최대한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부분에 화상이 존재하는 확률은 적고, 카피화상의 결손발상의 결함을 극력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전사시이트 포착박리부재로서 박리클릭을 사용했을 경우, 그 박리작용단의 드럼에 대한 당접력을 극히 약하게 하거나, 또는 작용단을 최대한으로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족하고, 감광체면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시이트분리작용도 확실히 보증된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분리장치에서는 박리클릭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일이 많은데, 이 경우에는 클릭을 감광체에 강하게 압접시키고 박리작용단을 단면형상에서 뾰족하게할 필요가 있어서, 감광체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 또, 박리클릭으로서, 제1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박리작용단(30)를 뾰족히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두께를 유지하게하여, 토너나 현상액 저류부(貯溜部)(32)를 전사시이트(S)의 화상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8도에 있어서, 가상선(33)은 감광체드럼에 대한 감광체층과 비감광체층과의 경계선을 표시하며, 도면에서 좌측은 감광체층이고 우측을 비감광체층이다. 그리고, 박리클릭(30)을 부착하는 고정블레이드(27)은 비감광체층의 결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가장자리절곡부(Sb)에 완전히 절곡선을 형성했으나,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절곡날(20a)를 예각상으로 하지말고, 모를 죽여서 시이트의 가장자리부를 강제적으로 커얼(curl)습성을 부여하여 부상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같이 하면 절곡선이 없는 카피를 얻을 수 있다. 또, 전사시이트 포착박리부재로서는, 박리클릭(30)이외에 가장자리절곡부를 크램프하는 개폐자재의 시이트그리퍼등을 사용하여 시이트를 분리하도록해도 된다. 또, 박리클릭(30)을 이 박리작용단(30a)를 정점으로하는 삼각형상의 것으로 함으로써, 토너나 현상액을 국부적으로 고이지않고 양측의 경사측연에 흘려보낼 수 있다.
제2도 및 제5도에 있어서 탄성로울러(19)를 회전구동력이 부여되지 아니한 자유회전의 것으로 구성함으로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은 기능을 달성할 수가 있다.
그래서, 로울러(18)을 고무로울러로 한다면 이것과 한쌍이 되는 로울러(17)쪽은 예를들면 금속성로울러가 된다. 이것에 대하여 탄성로울러, (19)쪽은 연성고무나 스폰지고무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 로울러의 마찰계수가 금속로울러의 마찰계수보다 커진다. 이와같은 조건에 있어서는, 전사시이트의 선단연부가 로울러(17)과 탄성로울러(19)에 충돌하게 되며, 또 로울러(17), (18)등의 사이에 삽입되면 탄성로울러와 상기 선단 연부와의 사이이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시이트의 선단모서리부의 부분이 지연진행함으로서 시이트에 스큐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탄성로울러(19)는 축(17a)에 대하여 베어링스텐드(21)에 의하여 회전자재로 구성되므로, 상기한 마찰저항에 의하여 로울러(19)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스큐우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절곡날(20a)는 약간이기는 하나 탄성로울러(19)에 몰입되도록 되어있어, 절곡날(20a)의 직경은 탄성로울러(19)의 직경보다. 크고, 따라서 절곡날쪽이 주속도가 빨라진다. 만약, 로울러(17)과 탄성로울러(19)가 일체로 구성된 것이라면, 탄성로울러(19)와 절곡날(20a)의 각 주속도의 차에 의하여 절곡날(20a)는 탄성로울러(19)내에서 슬립을 발생하여 고무로울러를 손상시키는 염려가 있다. 그러나, 탄성로울러(19)를 자유회전의 것으로하면, 날의 마찰저항력에 의하여 로울러(19)는 종동회전하여 상기와 같은 슬립의 발생이 없으므로 고무로울러를 손상시킬 염려가 없다.
다음에, 제9도에서 박리클릭(30)의 박리작용단(30a)가 감광체드럼(1)의 주면에 살짝 당접한상태로하고, 이 경우에 시인트의 분리를 할 때에만 상기 작용단(30a)를 드럼에 당접시키는 방식으로 하면, 상시 당접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서 감광체층의 마모등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다.
그래서, 탄성판으로된 고정블레이드(27)의 브래킷(28)측의 1단을 요동 자재하게 측지하고, 브랫킷(29)측의 타단을 자유단으로하여, 이 자유단을 제10도에서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밀어서 블레이드(27)을 이완시키고 또 이것을 해제함으로써, 박리클릭(30)의 박리작용단(30a)를 드럼면에 대하여 접리자재로 할 수가 있다.
상기 접리작용은, 예를들면 캠들의 수단을 사용하여, 감광체드럼의 착탈시나 전사차아저(제1도 부호(8)로 표시)의 착탈시, 전사 전후등에 행하도록한다. 또, 박리클릭(30)과 고정블레이드(27)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하등 지장이 없다. 그런데, 전자사진복사기에서는 급지카세트로 부터의 급지방식으로서, 편측(片側)기준과 중앙기준의 2개의 방식으로 대별된다. 편측기준은 복수사이즈의 시이트에 대하여, 시이트행진방향과 평행된 한쪽 측연을 기준으로 급송하는 방식이다. 제2도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측연을 탄성로울러(19) 및 절곡날로울러(20)의 곁에 배치하고 로울러(17), (18)로 시이트를 반송하면, 사이즈가 달라도 가장자리절곡부(Sb)의 크기를 일정하게할 수가 있다.
다음, 제2도에서, 박리클릭(30)은 시이트전체를 드럼에서 분리시키는 하나의 실마리에 만드는 것이나. 이 경우 가장자리절곡부(Sb)에서 시이트의 가장자리 깊숙이까지 박리클릭(30)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시이트가 일어설때, 이것을 터언(turn) 로울러(34)와 같은 제1 반송회전체와, 터언벨트(35)와 같은 제2 반송회전체로 감광체드럼(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면서 협지반송함으로써, 시이트의 분리를 선단연의 가로 방향 전역에 미치게할 수 있다. 즉, 가장자리절곡부(Sb)에서 이것과 반대쪽의 모서리부까지를 드럼표면으로 부터 강제적으로 잡아떼듯이 시이트를 드럼으로 부터 박리할 수가 있다.
터언로울러(34)는 주면이 고무로 구성되고, 이 터언로울러(34)에 접하는 터언벨트(35)는 터언로울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그리고, 터언로울러(34)는 감광체드럼의 회전과 동기해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제3도에 내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드럼(1)의 축(1a)에는 톱니바퀴(36)이 고정되고, 이 톱니바퀴(36)은 터언로울러(34)의 축(37)에 고정된 톱니바퀴(38)과 교합한다.
감광체드럼(1)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 톱니바퀴(36), 톱니바퀴(38), 단방향클러치(39)를 거쳐서 터언로울러(34)가 드럼의 회전과 동기해서 제2도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한다. 터언벨트(35)는 3개의 벨트풀리(40), (41), (42)에 걸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터언로울러(34)와 터언벨트(35)는 전사시이트의 절곡된 모서리부측의 측단부를 협지하여, 동 시이트를 감광체의 회전반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반송시키고, 또 반송로울러(43), (44)에 물어들이게 한다. 다음은 제1도와 같이 시이트는 정착장치(14)를 지나서 카피트레이(15)에 배출된다. 또, 제11도는 시이트가 박리클릭(30)에 의하여 박리되고, 동 클릭(3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터언 로울러(34)와 터언벨트(35)와의 사이에 물어들이게 하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와 같이, 터언로울러(34)와 터언벨트(35)와의 사이에 시이트의 측단부를 물어들이게하여 시이트를 협지반송함으로써, 시이트의 분리를 선단면의 가로방향의 전에 미치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이트는 후단측으로 향해서 드럼로 부터 연속적으로 잡아땔 수가 있고 시이트의 화상면이 연속해서 박리클릭(30)에 당접하는 일이 없으므로 화상을 손상시킬 염려가 없다.
또한,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터언로울러(34)의 시이트의 선단모서리부 즉, 가장자리 절곡부(Sb)가 통과하는 주면부분에 테이퍼상의 원주홈(34a)를 구성하여 가장자리절곳부를 그 홈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카피의 가장자리부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벨트(35)와 로울러(34)사이의 시이트 진입을 원활히 할 수가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본 발명 분리장치에서는 터언로울러(34)와 터언벨트(35)로 시이트(S)를 협지반송할때, 양자의 1부가 시이트(S)를 개재하지 아니하고 서로 접하도록한 구성으로 되어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터언벨트(35)에는 시이트의 화상면이 접하게되는데, 이 경우 그 화상이 벨트에 오프셋되지 않도록 벨트는 표면장력이 큰 재질, 예를들면 테프론(상품명)등의 오프셋 방지재질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재질의 것은 마찰계수가 작으므로, 가령 시이트가 터언로울러(34)와 터언벨트(35)사이의 상호접촉부분의 전역에 걸쳐서 개재되게되면 벨트와 시이트와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여, 화상이 긁히거나 벨트(35)가 정지되기도 한다. 이에 대하여 시이트협지 반송시에 있어서도 제3도와 같이 상호접촉부(45)를 만들어놓으면, 이부분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한 결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언벨트(35)의 표면에는 먼지나 토너(toner)등이 부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이 부착하게되면, 먼지나 토너등이 시이트화상면에 부착하거나, 또는 터언로울러(34)의 터언벨트(35)에 의한 시이트 협지력이 약화되거나 양자가 슬립하기도 한다.
그래서, 터언벨스(35)의 표면에 클리어닝로울(46)과 같은 클리이닝 부재를 당접해서 그 표면을 불식하여 청정하게 함으로써 상기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리이닝부재로서는 퍼어브러시를 사용 하거나, 또는 고무블레이드를 사용해도 된다. 그밖에 터언로울러(34)에도 토너나 현상액이 부착하는 일이 있으므로 로울러(34)에도 클리이딩 부재를 당접하는 것이 좋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재의 감광체로 부터의 분리를 확실하게 한 연후에 전사재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유효화상영역으로 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그 화상영역을 최대한으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박리클릭과 같은 전사재포착 박리부재의 감광체면에 대한 당접력을 극력 악화할 수 있으므로 감광체면의 손상이나 마멸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런데, 금지장치(7) (제1도 참조)에서 한쌍의 레지스트로울러(16)이 송출될때, 절곡날로울러(20)과 탄성로울러(19)는 제13도에서 표시하는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고, 이상태로 절곡날(20a)의 작용 개시단(20d) (제2도 참조)는 양 로울러의 축심을 잇는 선상, 즉 양 로울러의 최근접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작용개시단(20d)의 시이트(S)의 선단을 합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양 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서 시이트의 선단모서리부는 어긋나는 일없이 삼각상으로 단정히 절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절곡장치에 있어서, 제13도와 같이 전사사이트(S)를 급송하여, 그 선단부를 상기 작용개시부(20d)의 위치에 놓는 경우, 절곡날(20a)가 방해가되어, 시이트를 양 로울러사이에 진입시킬 수가 없다. 가령, 그것이 진입할 수 있다해도, 스큐우가 발생 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독특한 기구의 클러치기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있다. 절곡로울러(20)은 클러치기구의 하나의 수단예인 스프링클러치를 개재하여 축에 부착된다. 즉, 제15도에 있어서 입력구동축이 되는 축(18a)는 대경부(18b)와 이것에 연결되는 소경부(18c)가 있고, 이중대경부(18d)에는 제17도에 나타내는 스프링(47)의 일단축이 마찰적으로 감겨있고, 동 스프링(47)의 타단측은 소경부(18c)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다. 즉, 타단측은 예를들면 소경부(18c)에 도면과 같이 감긴상태에 있다. 또 스프링(47)의 타단(47a)는 절곡로울러(20)에 계지되어 있다. 절곡날로울러(20)은 한쌍의 베어링스텐드(48), (48)에 위하여 로울러(18)의 축(18a)에 회전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이 절곡날 로울러(20)의 절곡날(20a)는 평상시 제14도에서와 같은 위치에서, 이상태로 전사시이트(S)의 선단부가 양 로울러(19), (20)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 상태로 전사시이트는 대기하게 되는데, 감광체드럼(1)의 화상형성영역의 선단과 동기적으로 로울러(17), (18)이 체인(50)(제4도 참조)에 의하여 회전되면, 드럼를 향해서 송출된다. 로울러(17), (18)의 회전개시와 동시 혹은 약간 앞서서 솔레노이드(22)가 여자된다. 솔레노이드(22)가 여자되면, 계지레버(23)은 용수철(51)의 탄력에 반발하여 회동하고, 계지돌기(23a)는단부(20c)를 석방한다. 그결과 절곡날로울러(20)은 후기하는 작용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제14도와 같이 회전각 θ만큼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절곡날(20a)의 작용계시단(20d)는 제13도의 위치에 놓이고, 즉시로 레지스트로울러(16)이 회전하여 시이트의 반송을 개시하여, 제13도의 절곡날로울러(20)도 화살표 방향으로 따라서 회전하고, 탄성로울러(19)와 협동하여 시이트의 선단각모서리부를 절곡한다. 그러나, 제15도에 있어서 입력구동축인 축(18a)가 회전하게되면, 스프링(47)을 개재하여 절곡로울러(20)가 해재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치의 회전전달기능에 의하여 동 로울러(20)이 회전한다. 즉, 스프링(47)과 대경부(18b)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이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절곡날로울러(20)이 회전하는 동안, 제2도의 계지레버(23)의 계지돌기(23a)는 용수철(51)의 탄력에 의해서 플랜지(20b)의 주면에 압접되어, 절곡로울러(20)이 1회전째를 끝낸후, 계지돌기(23a)는 단부(段部)(20c)에 계합하여, 절곡로울러(20)을 정지시킨다. 이 1회전 동안에 시이트의 선단모서리부의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5도에서, 절곡날로울러(20)이 상기와 같이 계지되면, 다시말해서 스프링(47)의 타단(47a)가 계지되면, 이 단계에서는 레지스트로울러(16)은 회전을 계속하고 있고, 대경부(18b)와 스프링(47)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스프링(47)이 이 권체방향으로 부세되고, 소경부(18c)에 감긴 스프링(47)은 제16도와 같이 확대되어 열리어서, 시점에서 대경부(18b)는 스프링(47)에 대하여 슬립을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 제16도에 있어서 화살표 B방향에서 보아서 절곡날로울러(20)은 시계방향 즉 축(18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습성을 부여받게되나, 동로울러(20)이 계지되고 있으므로, 회전불능의 상태가 되어있다. 즉, 스프링(47)에는 확대되어 열린 상에서 소경부(18c)에 감길만한 탄력에너지가 축세(蓄勢)된 셈이된다.
여기에서, 제2도의 솔레노이드(22)가 여자되어서, 계지레버(23)이 회동하여 절곡날로울러(20)을 해제하게되면, 제16도의 절곡날로울러(20)은 우선, 상기 축세탄력에 의하여 제14도와 같이 각도 θ만큼 회전하게 되고, 또, 소경부(18c)의 주위의 스프링(41)은 제1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소경부(18c)에 감기게 된다.
다음에, 제15도의 상태로 스프링(47)을 개재하여 스프링클러치(52)의 전규의 회전전달기능에 의하여 절곡날로울러(20)이 계속해서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 탄성로울러(19)도 회전하게되어, 전사시이트 선단 모서리부의 절곡동작이 개시된다.
또, 스프링클러치의 스프링(47)은, 복사기의 복수준비 상태에서는 제15도와 같은 상태의 위치에 놓여지고, 복사기가 일단 가동을 시작하면 복사되기전의 초기상태로 제16도의 상태의 위치에 놓인다. 즉, 축(18a)가 일단 회전을 개시하여, 절곡날로울러(20)이 계지되게 되면, 소경부(18c)의 주위의 스프링(47)은 확대되어 열린 상태가 된다. 또, 상기한 각도 θ는 입력구동축인 축(18a)의 대경부, 소경부의 직경비나, 소경부 주위의 스프링의 권착회수등을 적당히 선정함으로서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 소경부(18c)의 주위의 스프링(47)은 확개와 수축을 번갈아 반복하는 것뿐이므로 반드시 소경부(18c)를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다만 소경부(18c)에 스프링(47)을 감으면 절곡날로울러(20)의 회전각 정밀도를 양호한 것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 소경부가 있어도 수축시에 스프링이 소경부에 감기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러나,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같이, 제16도의 절곡날로울러(20)는 소경부(18c)의 주위의 스프링(47)의 축세탄력에 의하여 시이트 진행방향에의 회전습성이 부여되어, 이 습성에 의한 회전은 계지레버(23)에 의해 저지되고 있으나, 이 경우 레지스트로울러(16)이 정지하고 있다고 한다면, 제16도의 대경부(18b)와 스프링(47)와의 사이의 마찰력과, 상기 축세탄력에 의하여 축(18a)가 역전하려고 한다. 즉, 축(18a)가 화살표방향에서 보아서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절곡장치를 구동할 경우에, 예를들면,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프로킷(24), 톱니바퀴(25), (26), 체인(50)등을 사용하면, 미소하기는 하나 톱니바퀴의 백러시나 체인의 이완등이 발생한다.
이와같은 경우에, 축(18a)에 역전습성이 부여되면, 상기 백러시나 이완등을 흡수해버리고, 축(18)이 역전하게 된다. 이와같은 일이 생기면, 상기한 스프링의 축세탄력이 어느정도 해제되어 절곡날 로울러의 초기회전각 θ가 작아져서, 절곡날(20a)는 소정의 위치에 설정되지 못하게된다.
그래서, 제4도와 같이 축(18a)의 1축단부에 단방향 클러치(53)을 개재하여, 이 단방향클러치(53)을 개재하여 축(18a)를 측판(54)에 지지시킴으로서 축(18a)의 역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종류의 역전방지수단으로서는 단방향 클러치이외에 주지의 역전방지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실시예에 사용한 스프링클러치는 출력측의 절곡로울러(20)을 이른바 2단계로 회전시키는 것이나, 이 경우에는 솔레노이드(22)를 1회만 적당한 트리거펄스에 의해 단발적으로 여자시키는 것만으로 족하고, 솔레노이드의 제어가 극히 간단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시이트등의 전사재의 선단측을 절곡하는 장치에 있어서, 동 전사재의 선단을 절골날로울러와 탄성로울러사이에 진입시킬때, 절곡날로울러의 절곡날이 그 진입로에서 퇴피하고 있기 때문에, 동 전사재의 진입을 저해하는 일이 없고, 또, 절곡동작의 개시될때, 절곡날로울러의 절곡날을 동 로울러와 탄성로울러와의 사이에 정확히 위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전사재의 선단의 절곡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가 있다.
그러나, 감광체드럼(1)에서 박리되어 진행하는 전사시이트가 터언벨트(35)와 터언로울러(34)에 물릴때, 그 선단연이 꺾어진다. 즉, 귀가 꺾이게 된다. 특히 선단모서부를 절곡하여 분리성능을 향상시킨 본 발명장치에 있어서는 절곡부분이 완전히 접쳐지는 가장자리중첩현상이 발생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모서리부에 화상이 존재하는 확률은 극히 적으므로, 가장자리 중첩현상에 의한 화상이 대한 영향을 염려할 것을 없으나, 얻어진 복사물의 모서리부가 꺾여있다는 것은 복사의 품질상 좋지 못하다. 그래서,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터언로울러(34)의 절곡부분(Sb)가 통과하는 주면부분에 원주홈(34a)를 형성하여, 이 홈에 절곡부를 통과시켜서 중첩을 피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반송장치로 반송되는 전사시이트(S)는, 제1도에서 나타내는 복사기의 경우, 정착장치(14)를 지나서 카피트레이(15)에 배출된다. 즉, 전사시이트(S)는 몇개의 반송수단(로울러)으로 협지되어 반송되는 것이나, 상기 절곡부가 반송로울러에 걸려서 전사시이트가 사행(斜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시이트의 시행은 페이퍼 잼(paper jam)현상의 발생원인이 되기쉽다. 특히 로울러 정착방식을 채용한 복사기에 있어서는 전사시이트의 가장자리중첩현상은 카피전체의 구김살발생의 원인이 됨으로 좋지 못하다.
가장자리중첨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터언로울러 및 터언벨트의 전사사이트에 접하는 면을 저마찰계수의 부재로 형성하여, 이것에 전사시이트의 선단이 서로 닿았을때, 미끄러지게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채택하면, 전사시이트를 협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이 손상되는 결점이 있다.
또, 터언벨트는 터언로울러에 따라서 회전되고 있는 것이나, 터언벨트를 터언로울러와 동기해서 회전구동하기가 곤란해지고, 전사시이트의 분리반송시에 터언벨트가 슬립하는 결함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전사시이트의 측연 끝까지 유효화상영역으로 사용하는 형식의 복사기에 있어서는, 상기 터언벨트가 슬립하면, 막 전사된 화상을 접착하여 이것을 파손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까지도 해결하는 구성으로되어 있고, 상기한 터언로울러의 표면구조에 특징이 있다.
제18도에서, 터언로울러(55)는 그 표면이 제1영역(56), 제2영역(57), 제3영역(58)의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영역(56)은 제19도와 같이 분리반송하는 전사시이트(S)의 이면에 당접하는 위치이고, 도시의 예의 경우, 고무 또는 고무유사품으로 고성되는 고마찰계수의 부재(59)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영역(57)은, 제19도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 저마찰 계수의 금속(60)의 표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사시이트(S)의 측연( )가 당접하는 위치이다.
상기 제3영역(58)은 상기 제1영역(56)과 같이 고무 또는 고무유사품으로 구성되는 고마찰계수의 부재(61)로 되어 있고, 후에 설명하는 제2회전체로서의 터언벨트(35)가 당접하는 위치이다.
즉, 터언로울러(55)는 금속(60)으로된 심(芯(로울러와 양단부외주에 고무등으로된 부재(59), (61)을 피복하여, 마찰계수가 높은 제1영역(56)과 제3영역(58)로 하고, 중앙부는 금속 그 자체를 노출시켜서 저마찰계수의 제2영역으로한 것이다. 심로울러로는 합성수지로 해도 된다.
또, 터언로울러(55)는 제19도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한쪽 방향을 향한 클러치(39)를 개재하여 축(37)에 지지되어 있고, 전사시이트를 감광체드럼(1)에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축(37)은 베어링스텐드(62)와 동(63)을 개재하여 브래킷(64)와 부동의 측판(54)에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터언벨트(42)는 벨트풀리(40), (41), (42)에 걸려있고, 풀리(40), (42)사이의 걸린부분을 상기 터언로울러(55)에 걸고 있다. 이 터언벨트(35)는 전사시이트에 전사된 화상,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시상에 접촉함으로 토너가 전이한다. 따라서 이 토너를 불식하기 위한 클리이닝 부재로서 블레이드(65)가 벨트표면에 압접되어 있다. 또 클리이닝부재로서는 벨트(35)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클리이닝로울러(46)으로도 되고,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다각주형상의 클리이닝부재의하나의 면을 벨트표면에 압접시켜도 된다. 또한, 도면에는 생략했으나, 터언로울러(55)에도 클리이닝부재를 압접시켜도 된다.
상기 벨트풀리(40), (41), (42)는 제19도에 풀리(41)을 대표적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지축(66)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있고, 상기 터언로울러(55)에 따라서 회전한다. 이 경우에, 터언벨트(35)에의 구동력은 이것과 터언로울러(55)로 전사시이트(S)를 협지하고 있을 때에는 주로 이 로울러(55)와 제3영역(58)에서 전달된다.
그리고, 제19도에 있어서 감광체드럼(1)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할때, 톱니바퀴(38), 단방향클러치(39)를 개재하여 터언로울러(55)가 드럼에 동기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전사시이트(S)의 동작을 보면, 절곡날(20a)로 절곡부(Sb)가 형성된 전사시이트(S)는, 전사영역 A에서 가시상이 전사된후, 제2도에서 부호 SA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박리클릭(30)으로 감광체드럼(1)의 표면으로부터의 1측연이 걷어 올려져서 그 선단부를 터언로울러(55)와 벨트(35)의 사이로 안내한다. 감광체드럼(1)가 동기해서 회전하는 로울러(55)와 벨트(35)가 전사시이트의 1측연을 협지하면, 이 전사시이드(SB)(제18도 참조)는 드럼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1측연 뿐만아니라 시이트 폭방향의 전체를 드럼표면에서 분리시키는 동시에 반송로울러(43), (44)로 반송한다. 반송로울러(43), (44)는 전사시이트(Sb)를 정착장치(14)(제1도 참조)로 보낸다. 이와같이 터언로울러(55)와 터언벨트(35)와의 사이에 전사시이트의 한쪽측연을 물어들이게하여 시이트를 협지반송함으로써, 시이트의 분리를 선단연의 폭방향 전연에 파급할 수가 있는 동시에 앞으로는 계속 시이트는 후단측에 향해서 드럼표면에서 연속적으로 분리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박리클릭(30)에 의해 픽오프된 전사시이트 SA의 선단모서리부의 절곡부 Sb는 터얼로울러(55), 또는 터언벨트(35)에 의해 충합(衝合)한다. 종래같으면, 상기 절곡부 Sb가 로울러나 벨트와의 이동속도의 차에 의해 절곡되어서, 이른바 가장자리중첩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사시이트의 측의모서리부가 당접하는 것이 터언로울러(55)의 제2영역(57)이기 때문에, 여기에 충합한 모서부는 미끄러져서 절곡되는 일없이 터언벨트(35)와의 사이에 들어갈 수 있다.
그런데, 전사시이트의 한쪽 모서리부에 형성된 절곡부(Sb)는 드럼로부터의 분리만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고, 이것이후의 시이트의 반송을 생각하면, 불필요한 것으로서, 차라리 이 절곡부는 해소되는 편이낫다.
본 발명에서는, 전사시이트의 1측연을 터언로울러(55)와 터언벨트(35)로 가장자리가 꺾어지는 일없이 협지함으로, 가령 미리 꺾어진 전사시이트라 할지라도, 이 절곡부를 눌러서 펴버리는 효과가 있어 차후의 반송을 안정된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8도에서 명백하듯이, 분리반송되는 전사시이트 Sb는 터언벨트(35)와 터언로울러(55)의 제1영역(56)과 제2영역(57)와의 사이에서 협지된다. 다시 말하면 시이트는 고마찰의 제1영역(56)과 터언벨트(35)로 협지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반송된다.터언벨트(35)는 저마찰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이트 표면에서 슬립할 것 같으나, 이 벨트는 터언로울러(55)의 고마찰의 제3영역(58)에 당접되어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슬립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사된 화상을 접찰하여 파괴시키는 일이 없다.
제18도에 나타낸 터언로울러(55)와 터언벨트(35)의 상호관계는 제20도와 같이 한줄의 터언벨트(35)를 로울러(55)의 전영역에 감은 것이다. 터언벨트(35)가 오프셋 방지를 위해 전사시이트 표면의 토너상이 이전이 어려운 부재로 형성되어 있응 경우, 터언로울러(55)의 제3영역(58)과의 사이에서의 슬립도 고려해야한다.
그래서, 터언벨트를 제21도에서 부호(35A)(35B)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줄로 분할해서 사용한다.
이 경우, 터언벨트(35A)는 그 표면(전사시이트에 접하는 면)이 저마찰계수의 부재로 형성되고, 이면은 고마찰계수의 부재로 형성된다. 또, 터언벨트(35B)는 표면과 이면이 다같이 고마찰계수의 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터언벨트(35A)는 터언로울러(55)의 제1영역(56)에 당접해서 전사시이트를 협지하고, 터언벨트(35B)는 터언로울러(55)의 제3영역(58)에 당접하것 있다. 또, 벨트를 감는 각 벨트풀리는벨트와의 사이에 활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표면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벨트(35B)와의 터언로울러(55)는 활성의 발생이 없이 같이 회전하고, 또 벨트풀리는 한쪽의 벨트(35B)의 회전을 확실하게 다른쪽 벨트(35A)에 전달함으로써 이 벨트(35A)와 터언로울러(55)는 같이 동일속도로 회전하므로, 전사시이트를 접찰하지 아니한다. 또, 제21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터언벨트(35A)의 일부가 제2영역(57)의 일부에 당접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터언로울러(55)는, 각 영역의 직경이 동일하다.
절곡부(제18도 참조)의 교정을 위해서는 터언로울러(55)의 주면은 각 영역과 동일 직경으로 되는 것이 좋으나, 가장자리 중첩 방지라는 견지에서 보면, 제2영역(57)에 한해서 다른 영역보다 근소한 차이 같으면 소경이라도 좋다.
이 예를 제22도에 나타낸다. 터언로울러(55)는 금속로울러의 중앙부를 노출시켜서 저마찰의 제2영역(57)로 하고, 그 양단부에 고무등의 박층으로 구성되는 고마찰의 제1, 제3영역(56), (58)을 형성한 것이다.
제22도에서는 각 영역의 직경차를 과장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면, 로울러를 싼값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제22도에 표시하는 예의 경우, 제2영역(57)에 테플론 등을 피복해서 보다 저마찰의 표면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피복은, 제20도 및 제21도에 나타내는 로울러에도 제1, 제3영역보다 직경이 커지지 않는한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회전체로는 상기한 터언로울러(55)에 한하지 않고, 제23도와 같이 엔드레스(endless) 벨트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제1회전체(55A)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영역(56),, 제2영역(57), 제3영역(58)으로 구성되는 표면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각 영역의 형성방법의 맺맺 예를 설명하면, 제24도는 벨트의 베이스에 고무 등의 고마찰계수의 부재를 사용해서 제1, 제3영역(56), (58)을 형성하고, 중앙요부에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의 저마찰계수의 부재를 첩착 또는 피복해서 제2영역(57)을 형성하는 예이다. 제25도는 벨트의 베이스에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사용하여 제2영역(57)을 형성하고, 그 양쪽에 예를들면 고무를 접착해서 제1, 제3영역(56), (58)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제26도는 예를 들면 벨트의 베이스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제2영역(57)로 하고, 그 양쪽에 예를들면 고무를 피복해서 제1, 제3영역(56), (58)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어느 경우에도 각 영역은 동일면이 되거나, 제2영역(57)이 요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 제1회전체를 무단벨트로 구성하는 경우, 이것의 구동원과의 사이에서 활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함은 물론이다.
감광체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시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픽-오프 포올(pawl)을 이하 설명한다. 그것은 전술한 차입의 시이트 분리부재와 다르다.
제27도에서, 시이트 픽-오프 포올(300)은 쐐거형태로 되어 있다. 그 시이트 퍽-오프 포올(300)의 첨단부(100c)는 감광체드럼(1)의 표면에 접촉하여 있고 칼날형태로 되어있다.
감광체드럼(1)의 표면과 접촉하여 있는 측부상의 첨단부(300c)의 양측부의 표면(300a)는 비교적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고무층(300d)로 만들어져 있다.
첨단부(300c)의 타표면(300b)는 마찰계수가 고무층(300d)의 것보다 작은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그 표면(300d)는 전술한 상태에서 표면(300b)을 형성하도록 시이트의 영상과 접촉하게 되고, 그 시이트 픽-오프 포올은 금속 또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무층(300d)를 형성할 때, 얇은 고무필름이 그 고무층(300d)에 부착된다. 다른 방식으로는, 고부층(300d)가 피복물질을 분무하거나 피복물질로 침지하여 피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시이트 픽-오프 포올에서, 감광체드럼(1)의 표면으로 부터 각 시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시이트 분리부분과, 시이트 반송장치에 분리된 시이트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분은 일체로 만들어진다.
시이트 분리포올의 하기에는 시이트 분리작용 및 시이프 안내작용을 이행하기 위한 별도의 부분들을 가지고 있다.
제28도-제30도에서, 사이트 픽-오프 포올(301)은 드럼(1)의 표면에 접촉하는 시이트 분리부분(301a)와 전사재 반송장치에 분리된 시이트를 안내하기 위한 시이트 가이드부분(301b)를 포함한다. 드럼(1)의 표면에 접촉하여 있는 시이트 픽-오프 부분(301a)의 표면에는 시이트 분리포올의 전술한 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무총(300d)가 부착될 수 있다.
제30도에서, 그 고무총(300d)의 두께는 예시를 위해 확대되어 표시된 것이다. 가이드부분(301b)의 연부드럼(1)의 표면으로 부터 약간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시이트(S)는 드럼(1)과 함께 전진하고, 그 시이트(S)의 만곡부(Sb)는 시이트 픽-오프부분(301a)에 의해 들어올려진 다음, 그 시이트(S)는 매우 짧은 거시만큼 안내된다.
다음, 시이트(S)의 안내는 가이드부분(301)에 의해 취해져 전사재 반송장치로 안내된다. 그 시이트가 전사재 반송장치에 의해 반송될 때, 시이트의 영상지역이 반송장치의 반송속도를 감광체의 이동속도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시이트 픽-오프 포올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그리하여, 시이트 분리포올에 의한 시이트의 영상표면의 긁힘이 방지될 수 있다. 토너(toner)는 그것이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퍼올려질 때 드럼(1)의 표면과 접촉하여 있는 시이트 분리부분(301a)에 접착한다.
한편, 토너는 시이트 가이드부분(301b)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드럼(1)의 표면으로 부터 분리된 시이트는 시이트 가이드부분(301b)에 의해 안내되고 따라서 토너에 요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회전모재는 전술한 터언 벨트(35)에 한정되지 않고, 그 부재는 제1회전부재와 접촉하여 구동되는 다수의 피구동 로울러일 수도 있다. 제31도에서, 3개의 피구동로울러(303), (304), (305)는 제1회전부재로 작용하는 로울러(302)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있다.
그 3개의 피동로울러(303), (304), (305)의 각각의 외주면상에는 많은 날카로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돌출부들은 피동구 로울러들의 각각과 시이트의 접촉지역을 감소시킴에 의해 통상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각 피구동로울러들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며, 구동로울러(302)와 압접하도록하는 방향으로 압압된 채 축상에 지지되어 있다.
각 피구동로울러들은 다음 조건하에 배치된다. 피구동로울러(303), (304), (305)와 구동로울러(302)의 접촉지점들이 각각 P1, P2, P3이고 그 접촉점 P1과 피구동로울러(304)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l1이라고 가정할 때, 접촉점 P1에서의 접선l2와 선 l1사이의 각도는 θ1이다. 접촉점 P2와 피구동로울러(305)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l3일 때 그 선 l3와 접촉지접 P2에서의 접선 l4사이의 각도는 θ2이다. 즉, 접촉점 P1에서의 접선 l2의 연장선은 피구동로울러(304)의 회전중심과 접촉점 P2사이를 통과한다. 이와 비슷하게 접촉점 P2에서의 접선 l4의 연장선은 피구동로울러(305)의 회전중심과 접촉점 P3사이를 통과한다.
또한,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구동로울러 (303), (304), (305)은 각개 피구동로울러들과 시이트의 접촉부분들이 중첩하지 않도록 정렬되지 않게 배치된다.
Claims (1)
- 정전잠상 또는 가시상을 전사재에 전사시키기 위해 상기상을 감광체면에 형성하는 감광체(1)와, 상기 전사재의 감광체로 향하는 선단연측의 모서리부(Sb)를 상기 감광체면에 대하여 부상하도록 절곡하는 전사재 선단모서리부 절곡장치(19, 20)와, 전사재에의 전사가 종료하여, 동 전사재가 상기 모서리부를 제외하고 감광체면의 전체에 접촉하면서 감광체와 같이 이동할 때, 감광체면에 대하여 부상하도록 절곡된 모서리부(Sb)를 포착해서 전사재를 감광체면에서 박리시키는 전사재 포착박리부재(27a, 30)와, 상기 감광체의 이동속도와 거의 동기한 주속으로 서로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전사재 포착박리부재에 의하여 감광체면으로부터 박리된 전사재(S)의 상기 모서리부측의 측연부를 협지하여 전사재를 감광체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반송하는 전사재의 이면에 접촉하는 제1회전체(34) 및 이 제1회전체에 당접해서 회전하고 전사재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2회전체(35)로 구성되는 전사재 반송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 반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4872A KR840000361B1 (ko) | 1980-12-20 | 1980-12-20 |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4872A KR840000361B1 (ko) | 1980-12-20 | 1980-12-20 |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0361B1 true KR840000361B1 (ko) | 1984-03-26 |
Family
ID=1921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00004872A KR840000361B1 (ko) | 1980-12-20 | 1980-12-20 |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40000361B1 (ko) |
-
1980
- 1980-12-20 KR KR1019800004872A patent/KR840000361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11511A (en) | Image transfer material separation and transportation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 |
JP2805390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4876576A (en) | Device for changing sheet shape before entry into fuser nip | |
US4370050A (en) | Image transfer type copying apparatus with pre-transfer cleaning of transfer paper | |
JPH0741204A (ja) | 画像形成装置 | |
JP3303622B2 (ja) | 厚紙搬送方法とその方法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 |
KR840000361B1 (ko) | 복사기의 전사재 분리반송장치 | |
JPH01316784A (ja) | キャリヤ粒子除去装置を備えた複写機 | |
US4410262A (en) | Sheet transportation and separation apparatus | |
JPH1138855A (ja) | 画像形成装置用のクリーニング装置 | |
JP3001993B2 (ja) | 像担持体ベルト走行装置 | |
US3995951A (en) | 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achine | |
JP3026287B2 (ja) | 転写材担持体への用紙ガイド装置 | |
JP200533870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S6348347B2 (ko) | ||
JPS6128575B2 (ko) | ||
JPS5934911Y2 (ja) | 静電潜像転写型複写機における画像汚染防止装置 | |
JPS63137284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749492Y2 (ja) | 画像形成装置 | |
JPS61210380A (ja) | 静電記録方法 | |
JP3033996B2 (ja) | 紙詰まり除去装置 | |
JPS6312355Y2 (ko) | ||
JP2000292988A (ja) | 両面画像形成装置 | |
JPH0990768A (ja) | 記録シート剥離装置 | |
JPH06324582A (ja) | 転写チャージャ直前搬送機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