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039Y1 - 나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나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039Y1
KR840000039Y1 KR2019800003320U KR800003320U KR840000039Y1 KR 840000039 Y1 KR840000039 Y1 KR 840000039Y1 KR 2019800003320 U KR2019800003320 U KR 2019800003320U KR 800003320 U KR800003320 U KR 800003320U KR 840000039 Y1 KR840000039 Y1 KR 840000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crew
ribs
teeth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3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504U (ko
Inventor
시릴 리욘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비아이씨씨 리미티드
죤 토마스 부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이씨씨 리미티드, 죤 토마스 부루어 filed Critical 비아이씨씨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30000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나사 고정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너트의 제2도에서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2도와 제3도는 각각 너트의 정면도와 투시도이다.
제4도와 제5도는형재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조립도이다.
본 고안은 나사(나사줄이 난 볼트)가 그 주위에 함께 고정된 주요 부재(部材)들과 구별되는 암나사 부재(너트)내로 죄어지고, 주요 부재들 중 하나내에 슬로트의 길이를 따라 조정될 수 있는 종류의 나사 고정에 관한 것이다.
한가지 중요한 실례는형재 가장자리의 고정되지 않은 선단부에 굽혀진 플랜지들을 가진 종류(예를 들어서 "레프랙(Leprack)"상표하에 레프랙형재로서 출원인들의 부속 BICC콤퍼넌트 유한회사를 통해서 시판되는 것)의형재들에 브래킷들 또는 기타 부속물들을 고정시키는데 있으며, 이러한 고정은 굽혀진 플랜지들 사이의 개방 슬로트를 통해서 통과될 수 있고 그 다음 이들 플랜지들 뒤로 결합되기 위해서 90°회전될 수 있는 직사각형너트(보통 두개의 둥근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로써 나사와 너트는 죄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장치배열은 나사와 너트가 죄어질 때와 때로는 이들이 죄어진 후에 하중하에 있을 때, 나사와 너트가형재내에서 길이로 미끄러 질 수 있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에 따라서, 나사 고정장치는 나삿줄이 난 너트를 가진 나사, 각각 서로 마주보는 베어링 표면을 가진 나사 헤드와 너트, 그리고형재 가장자리의 고정되지 않은 말단부에형재의 기저부를 향하여 굽혀진 플랜지를 가진형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들은 양쪽 말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슬로트를 고정시키며, 플랜지들 중 최소한 하나는 그것의 고정되지 않은 모서리에형재의 기저부를 향한 톱니가 나 있으며, 플랜지들 중 최소한 하나는 그것의 고정되지 않은 모서리에형재의 기저부를 향한 톱니가 나 있으며, 이와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 표면은 나사와 너트가 채널내에서 길이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톱니와 맛물려 있는 평행한 리브(rib)들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에 있는 톱니는 비록 그것이 슬로트의 주축에 작은 각도로 고정될 수 있지만 슬로트이 주축과 수직이 되는 것이 좋다.
더우기, 슬로트의 양쪽 모서리에 톱니가 있을 경우, 리브들은 때때로 톱니와 서로 결합되는 위치에 있어서 각각 한쪽 모서리상에서 이에 대응하는 톱니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너트 또는 나사 헤드의 여러 각(角)위치에서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리브들의 피치는 톱니의 피치와 같은 것이 좋다. 또하 리브들의 피치는 톱니의 두배가 되거나 또는 톱니피치의 또 다른 근소한 배수가 될 수 있다.
평행한 리브들을 가진 베어링 표면이 너트상에 있을 때, 리브들은 여하한 적당한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서 너트는 주조되거나 또는 압형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리브들은 베어링 표면을 가로질로 단지 쪽으로만 연장되는 것이 좋다.
또한 리브들은, 너트의 말단부들이 기계 가공되고 구멍이 뚫려지고 나삿줄이 가공되기 앞서, 너트가 형성되는 부분이 압연 또는 사출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리브들은 통상적으로 표면을 가로질로 길이로 똑바로 연장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너트 또는 나사 헤드는 원형이 아니며(예를 들어서 이들은 원형이거나 또는 릴리이브된 두개의 반대의 모서리들을 가진 보통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인 형태일 수 있다).
이로써 이들은 슬로트를 통해서 통과될 수 있고 채널의 굽혀진 플랜지들과 결합되기 위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리브들은 최소한 너트 또는 나사 헤드의 주요 치수에 대략적으로 평행하게(직사각형중 길이가 긴 변으로서)연장될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형재 가장자리의 고정되지 않은 말단부에형재의 기저부를 향하여 굽혀진 플랜치들을 가진 채널, 양쪽 말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슬로하를 고정하는 플랜지들, 나삿줄이 나 있는 너트를 가진 나사로 구성된 장치, 원형이 아닌 접합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접합 부재는 슬로트를 통과하며, 접합부재가 채널의 굽혀진 플랜지들과 결합할 때까지 나사 및 너트가 함께 회전되는 나사헤드 또는 너트, 평행한 리비들과 최소한 하나의 굽혀진 플랜지를 가지고, 또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채널의 기저부를 향한 고정되지 않은 모서리에 톱니를 가지며, 나사 헤드를 향해서 너트를 죄이기 위해서 너트에 상대적으로 나사가 회전되는(접합부재, 나사와 너트가 채널내에서 길이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호 맞물리게 하는 리브들과 톱니들로 구성된 나사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슬로트의 측면들은 평항하지만 이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장치는 클리어런스 구멍을 통해서 통과하는(미리 삽입되어 있는 것이 좋다)나사와 나사줄이 난 너트를 가진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클리이런스 구멍은 나사 직경과 톱니의 피치를 합한 치수보다 약간 더 크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리브들과 톱니의 한정된 크기에도 불구하고 주요 부재에 상대적인 어떠한 원하는 위치에서도 부속품이 슬로트에 대해서 길이로 위치될 수 있다.
나사와 너트를 나사헤드를 향해서 죄는 것에 저항을 주는 장치에 의해서 맞물리게 하는 것이 좋다.
굽혀진 플랜지상의 톱니는 여하한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형재의 형태를 예비 성형하기전에 너얼링, 펀칭 또는형재 예비성형물의 모서리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조업은 예비성형의 포울딩과 함께 즉시 처리되거나, 또는 편편한 예비 성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절단도중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3도에 보여진 너트(1)은 두개의 둥근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2)와 (3)을 가진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리비(4)는 너트를 스탬핑하여 너트(1)의 한쪽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의 첨점은 대략 90°의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리브들은 대략 2mm의 피치를 가지고 있다.
제4도와 제5도에서 보여진형재는,형재의 기저부를 향한형재 가장자리의 고정되지 않은 끝 부분에 굽어진 플랜지(6)를 가지고 있으며, 각 플랜지는 이의 고정되지 않은 모서리에 형성된 톱니(7)을 가지고 있다. 톱니(7)은 플랜지(6)의 표면에 수직으로 되어 있으며,형재(5)의 기저부를 향해있고, 그 형태와 크기에 있어서 너트상의 리브들과 상호 보완적이다.
제6도는형재 내에서의 두개의 너트(1)의 위치를 보여주며, 이들 중 하나는 나사줄이 나 있는 나사(9)를 가지고 있고, 리브들(4)는형재의 플랜지(6)상에서 홈(7)과 서로 맞물려 있다. 플랜지(6)는형재 내에 슬로트(10)을 고정시키며, 슬로트는 양쪽 선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너트를형재의 굽어진 플랜지(6)를 향해서 강압시키기 위해서 너트(1)에는 각 너트와형재의 기저부(8)사이에 위치된 바이어스 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다.
비록 리브들은 90°의 첨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각도는 광범위하게 바꾸어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

  1. 너트를 갖춘 나사와 양측벽의 단부를 내측 기저부 쪽으로 구부려서 플랜지로 형성시킨형재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형재(5)의 내측 기저부(8)쪽으로 구부러진 플랜지(6)의 선단부와 이것과 접하는 너트(1)의 지지면상에 서로 맞물리는 톱니(7)와 리브(4)를 형성시켜 나사와 너트가형재를 따라서 미끄러지지 못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고정장치.
KR2019800003320U 1979-05-25 1980-05-23 나사 고정 장치 KR8400000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7918495 1979-05-25
GB7918495 1979-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04U KR830000504U (ko) 1983-06-17
KR840000039Y1 true KR840000039Y1 (ko) 1984-01-25

Family

ID=1050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3320U KR840000039Y1 (ko) 1979-05-25 1980-05-23 나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55159309A (ko)
KR (1) KR840000039Y1 (ko)
BE (1) BE8834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869A (ja) * 1984-05-30 1985-12-13 Yamaha Motor Co Ltd クラツチハウジング付vプ−リ
JPS6123516U (ja) * 1984-07-18 1986-02-12 株式会社 ブレスト工業研究所 リツプ溝形鋼材用ナツト
JPS62192990U (ko) * 1986-01-20 1987-12-08
JP2000110968A (ja) * 1998-10-01 2000-04-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配管固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883454A (fr) 1980-09-15
JPS55159309A (en) 1980-12-11
KR830000504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6282A (en) Sheet metal fastener with t-shaped key
US3189077A (en) Retaining clip for headed fasteners
US4525933A (en) Adjustable T-square
ATE167795T1 (de) Osteosynthesevorrichtung
JPH05118307A (ja) 成形ロツドの横結合部
US3914832A (en) Worm gear clamping apparatus
US4557653A (en) Captive panel screw
KR840000039Y1 (ko) 나사 고정 장치
US4440535A (en) Sheet metal fastener
US4509890A (en) Captive panel screw
US6604798B1 (en) Enclosure for securing components
US4391546A (en) Screw fixing
US3385129A (en) Means for mounting a lever to a rotatable shaft
KR960012156B1 (ko) 나사체결구
WO1997047892A1 (en) Floating spring nut assembly
CA1164692A (en) Screw fixing
JPH07198069A (ja) 配管用クリップ装置
JPH10231816A (ja) 付属装置
US4095345A (en) Straight edge assembly
JPH0842526A (ja) アルミダイキャストその他金属面に対するシャフトの固定方法およびシャフト固定用のクリップ
US4927308A (en) Fastening means
JPS6133667Y2 (ko)
JPH0134382Y2 (ko)
KR930003879Y1 (ko) 판재 연결용 찬넬
JP3183013B2 (ja) 管固定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