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879Y1 - 판재 연결용 찬넬 - Google Patents

판재 연결용 찬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879Y1
KR930003879Y1 KR2019910005576U KR910005576U KR930003879Y1 KR 930003879 Y1 KR930003879 Y1 KR 930003879Y1 KR 2019910005576 U KR2019910005576 U KR 2019910005576U KR 910005576 U KR910005576 U KR 910005576U KR 930003879 Y1 KR930003879 Y1 KR 930003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late
wall
wall portion
integrally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710U (ko
Inventor
이호형
주식회사한국 스페이스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스페이스월
이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스페이스월, 이호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스페이스월
Priority to KR2019910005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879Y1/ko
Publication of KR9200197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7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재 연결용 찬넬
제1도는 본 고안의 연결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 찬넬 20 : 외부 찬넬
본 고안은 합판, 파티클보드등의 판재들의 연결시키는 연결작업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판재 연결용 찬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합판이나 파티클보드등의 판재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일정한 각도로 접합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의 편의상 각종의 연결구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구들은 판재와의 연결부분이 취약하거나, 연결작업이 까다로워지는 결함이 있었다. 즉,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일체의 가공을 하지 아니한 판재가 끼워지는 연결구는 그 연결홈에 판재가 끼워진 후에 접합강도가 약하므로, 조그마한 충격하중에도 판재가 연결구와의 접합부로부터 일탈되는 결함이 있었으며; 연결작업이 견고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끝부분에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연결구는 그 연결홈에 판재가 끼워지기 이전에 끼움홈이 파여지도록 가공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판재와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뿐 아니라 접합부의 강도가 견고하게 되는 판재 연결용 찬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판재의 일측 마구리에 끼워져서 나사못이나 리벳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그 자체의 두께로 인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여주는 애부 찬넬(10)과; 상기 내부 찬넬의 외부에 끼워지되 연결접합후에 판재가 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선단부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찬렐(20)로 구성된다.
내부 찬넬(10)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일측 내벽부(11), 내마구리부(12)및, 타측 내벽구(13)가 서로 직각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찬넬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다. 여기에서 상기 내벽부들(11),(13)의 선단부들은 가급적 내벽부에 대하여 직각상태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로 이러한 선단부들이 걸림턱부(14),(15)들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면에 대하여 직각이 유지되는 걸림턱부가 걸림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부 찬넬(10)은 판재(30)의 일측 마구리에 그 내부홈(16)이 끼워져서 결합된 후, 상기 일측 내벽부 또는 타측 내벽부를 관통하여 나사못 또는 리벳등의 고정수단으로 판재(30)의 일측 마구리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내부찬넬의 재질은 고강도 합성 수지재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알루미늄등의 금속이 선정될 수도 있다.
외부 찬넬(20)은 일측 외벽부(21)와 타측 내벽구(2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벽부들은 선단부들에는 안쪽으로 꺽여져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들(23),(24)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외벽부들의 뒷부분의 내벽면에는 저지돌기(25),(26)들이 일체로 성형된다. 여기에서 걸림돌기들(23),(24)은 판재(30)의 일측 마구리에 고정된 내부찬넬(10)의 걸거림턱부(14),(15)들과 걸려져서, 판재(30)가 외부 찬넬(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저지돌기(25),(26)들은 판재(30)가 더 이상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걸림돌기들(23),(24)과 저지돌기들(25),(26)사이의 거리는 내부찬넬의 내벽부들(11),(13)의 폭보다 약간 큰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외부찬넬이 그 후단부들의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T형, Y형등, 전체적으로 여러 가지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본 고안의 범주안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 당연하다. 외부 찬넬의 재질도 내부찬넬과 마찬가지로 고강도 합성수지재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알미늄등의 금속이 선정될수도 있다.
이와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못질외에는 별도의 판재 가공작업을 수행하지 아니하여도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수행하면서도, 연결접합부의 강도가 견고하게 되는 판재 연결용 찬넬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연결하고자 하는 판재의 일측 마구리에 끼워져서 나사못이나 리벳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그 자체의 두께로 인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여주는 내부찬넬과; 상기 내부 찬넬의 외부에 끼워지되 연결접합후에 판재가 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선단부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찬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연결용 찬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찬넬은 일측 내벽부, 내마구리부 및 타측 내벽구가 서로 직각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찬넬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찬넬은 일측 외벽부와 타측 외벽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되, 그 선단부들에는 안쪽으로 꺽여져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들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외벽부들의 뒷부분의 내벽면에는 저지돌기들이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연결용 찬넬.
KR2019910005576U 1991-04-22 1991-04-22 판재 연결용 찬넬 KR930003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576U KR930003879Y1 (ko) 1991-04-22 1991-04-22 판재 연결용 찬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576U KR930003879Y1 (ko) 1991-04-22 1991-04-22 판재 연결용 찬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710U KR920019710U (ko) 1992-11-17
KR930003879Y1 true KR930003879Y1 (ko) 1993-06-25

Family

ID=1931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576U KR930003879Y1 (ko) 1991-04-22 1991-04-22 판재 연결용 찬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8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903B1 (ko) * 1998-03-17 2001-04-16 윤종용 디스플레이장치의 비디오 안정화회로
KR200445662Y1 (ko) * 2007-07-23 2009-08-24 대한주택공사 방향성이 보강된 h-형강 다중 조립체를 이용한현장타설말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903B1 (ko) * 1998-03-17 2001-04-16 윤종용 디스플레이장치의 비디오 안정화회로
KR200445662Y1 (ko) * 2007-07-23 2009-08-24 대한주택공사 방향성이 보강된 h-형강 다중 조립체를 이용한현장타설말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710U (ko) 199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0560B1 (en) Element for connecting two parts
JPH08128420A (ja) 連結材
US5671580A (en) Frame assembly
US6331092B1 (en) Corner joint for profile sections
CA2241439C (en) Lamp housing, mounting bracket and assembly thereof
US20020021950A1 (en) Component attachment apparatus
DK159253B (da) Klemmestykke med parallellogramform
US4348127A (en) Connector for extruded sections such as picture frame members
US20070154258A1 (en) Fitting with an arresting device
US4163618A (en) Joint for furniture
KR930003879Y1 (ko) 판재 연결용 찬넬
US4370841A (en) Connector assembly
GB1566914A (en) Fixing members of box section
EP0056960A1 (en) Joint for assembling panels
GB2087027A (en) Connector for framework components
US6146047A (en) Fastener and fastening structure
JPH05180210A (ja) 分割ナット
GB2179419A (en) Joining planar members at right angles
JPS606146Y2 (ja) コ−ナ−連結具
JPH04357229A (ja) 木質構造部材の接合金具および接合部構造
JPS6330293Y2 (ko)
JPS62407Y2 (ko)
KR830001931Y1 (ko) 파넬 부착구
JPH0223192Y2 (ko)
JP2791530B2 (ja) 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