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9942A - Lever driver composed of longitudinal effect electric expansion transducer prevents actuator deterioration - Google Patents

Lever driver composed of longitudinal effect electric expansion transducer prevents actuator deteri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9942A
KR830009942A KR1019820002318A KR820002318A KR830009942A KR 830009942 A KR830009942 A KR 830009942A KR 1019820002318 A KR1019820002318 A KR 1019820002318A KR 820002318 A KR820002318 A KR 820002318A KR 830009942 A KR830009942 A KR 83000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xis
foundation
poi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20002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00749B1 (en
Inventor
이즈미 후구이
다께시 야노
다께시게 하마쯔기
우시스께 사가노
히로가즈 이와다
사다유끼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세끼모도 다다히로
닛본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07953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96880A/en
Priority claimed from JP11197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4765A/en
Priority claimed from JP56111976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4587A/en
Priority claimed from JP4621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63669A/en
Priority claimed from JP46210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63668A/en
Priority claimed from JP57061218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77376A/en
Application filed by 세끼모도 다다히로, 닛본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모도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83000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7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 B41J2/5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9/00Hammer-impression mechanisms
    • B41J9/26Means for operating hammers to effect impression
    • B41J9/38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7Actuators for print wires
    • B41J2/295Actuators for print wires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mpact Print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구동기저하를 방지한 종축효과 전기팽창변환기로 구성된 레버 구동기Lever driver composed of longitudinal effect electric expansion transducer prevents actuator deteriora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Since this is an open matter, no full text was included.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 구동기의 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r dri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제5도에서 도시한 레버 구동기에 사용된 컵 모양의 부품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up-shaped component used in the lever drive shown in FIG.

제7도는 제5도에서 표시된 레버 구동기에 사용될 수 있는 판 연결부품의 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e connecting part that can be used in the lever driver shown in FIG.

Claims (41)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레버 구동기에서, 블럭축을 갖고 상기한 축과 수직한 제1, 제2표면단을 가진 연장된 종축효과 전기 팽창변환기 블럭과, 상기한 변환기블럭내에서 상기한 축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전계를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 발생시키어 역전할 수 있는 스트레인을 발생시키며 그것에 의해 상기한 제2표면단에 대해 상기한 제1표면단의 물체이동을 상기한 축과 평행하게 발생시켜주는 전계발생장치와, 기초부위를 포함하는 상기한 프레임부재와, 기초 부위한를 포함하을 상기와는 중간 평면상에 배치된 받침점, 파원점, 웨이트점을 갖는 레버부위와, 상기한 받침점을 기초부위에 연결시켜주는 탄성부위와, 능동적으로 상기 제1표 면단을 상기한 파원점에 연결해 주는 커플링 장치와, 상기한 제2표면단을 상기한 기초부 위에 연결하여 상기한 레버부위를 구동시키는 이동을 발생시켜 웨이트점을 이동시켜 주는 커넥팅장치와, 상기한 축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한 평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쌍의 제1주표면들을 갖고 능동적으로 상기한 제1표면관을 상기한 파워점으로 연결시켜 주는 본질적으로 판 모양 제1부위를 포함하는 상기한 커플링장치의 개량품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워진 레버구동기.In a lever drive comprising a frame member, an extended longitudinal effect electric expansion transducer block having a block axis and having first and second surface ends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in the converter block.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to generate an inverted strain by generating an electric field having The frame member including the device, the base portion, the support portion, the lever portion having the support point, the wave point, the weight point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plane including the foundation portion, and the support point connected to the foundation portion. The elastic part, a coupling device for actively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end to the wave point, and the second surface end connected to the base part. A connecting device for moving the weight point by generating a movement for driving the bur, and a pair of first major surfaces essentially parallel to the axis and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 first surface being actively described above. A lever actuator characterized by having an improvement of the above coupling device comprising an essentially plate-shaped first portion connecting the tube to said power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부위가 길이 방향으로는 견고하고, 두께 방향으로는 탄력이 있는 것으로 특징지워진 레버 구동기.2. The lever dri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fi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lastic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주표면들은 본질적으로 상기한 축의 양측면상에 있다는 것으로 특징지워진 레버구동기.3. The lever actuator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first major surfaces are essentially on both sides of the ax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넥팅 장치는 능동적으로 상기한 제2표면단을 상기한 기초부위로 연결시켜주는 본질적으로 판모양의 제2부위로 구성되고, 한쌍의 제2주 표면들을 갖고 있으며 이 표면들은 각각 상기한 제1주표면들의 연장상에 배치된 면들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4. The connecting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device consists essentially of a plate-shaped second portion that actively connects the second surface end to the foundation portion, and has a pair of second major surfaces. And the surfaces are surfaces arranged on the extension of the first major surfaces,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받침점과 상기한 파워점에 의해서 제한된 직선은 본질적으로 축에 수직이라는 것으로특징지워진 레버 구동기.5. A lever driver as claimed in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line defined by said support point and said power point i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제2부위들의 적어도 하나는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으로 구성되며, 한쌍의 주 표면들을 갖는 상기한 두꺼운 부분은 제1, 제2부위의 상기한 하나의 두 주표면들로서 역할을 하며, 상기한 두꺼운 부분과 전체를 이루는 상기한 얇은 부분은 상기한 두꺼운 부분보다 두께에 있어서 얇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구동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is comprised of a thick portion and a thin portion, wherein the thick portion having a pair of major surfaces is one of the two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nd said thin section, which serves as major surfaces, is thinner in thickness than said thick s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플링 장치는 상기한 제1부위와 전체로서 형성된 제1컵 모양부위로 구성되며 이것은 상기한 제1표면단에 인접한 상기한 변환기 블럭부위를 아늑하게 받아드려주며, 커넥팅 장치는 상기한 제2부위와 전체로서 형성된 제2컵모양부 위로 구성되며 이것은 상기한 제2표면단에 인접한 변환기 블럭부위를 아늑하게 받아드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coupling device comprises the first portion and a first cup-shaped portion formed as a whole, which snugly receives the transducer block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end. The connecting device comprises a second cup portion and a second cup-shaped portion formed as a whole, which snugly receives a transducer block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urface e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플링 장치는 상기한 제1표면단과 일치된 외깍을 갖는 제1판연결부품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상기한 제1부위와 제1분리된 컵 모양절연부품들과 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 절연부품들은 제1바닥 표면을 가지며, 상기한 제1바닥표면들과 접촉한 상기한 제1판연결 부품을 아늑하게 받아드리며 또한 상기한 제1표면단과 인접한 상기한 변환기 블럭부위를 받아드리며, 상기한 제1바닥표면은 상기한 제1부위가 연장되어 통하는 제1출구를 가졌으며, 상기한 커넥팅장치는 상기한 제2표면단과 일치된 외곡을 갖는 제2판연결부품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상기한 제2부위와 제2분리된 컵모양 절연부품과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컵모양 절연부품은 제2바닥 표면을 갖고 상기한 제2바닥표면과 접촉된 상기한 제2판연결부품을 아늑하게 받아드리며, 또한 상기한 제2표면단과 인접한 상기한 변환기 블럭부위를 받아드리며 상기한 제2바닥 표면은 상기한 제2부위가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제2출구를 가졌다는 것으로 특징지워진 레버 구동기.5. Th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upling device comprises a first plate connecting part having an external shape coinciding with the first surface end, wherein the first part and the first cup-shaped insulating parts and the whole are separated. Wherein the insulating parts have a first bottom surface and snugly receive said first plate connecting part in contact with said first bottom surfaces and which are adjacent said first surface end. The first bottom surface has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the first portion extends, and the connecting device comprises a second plate connecting part having an outward conformation with the second surface end. It is formed as a whole with the second portion and the second separated cup-shaped insulated part, wherein the cup-shaped insulated part has a second bottom surface and contacts the second plate connecting part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ttom surface. Accept it, The above-mentioned second surface area to the one converter block receive the second bottom surface adjacent said one end and the actuator lever is characterized by a second area above had a second outlet extending through the pass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력부위는 본질적으로 판모양으로된 제3부위를 가졌는데 이것은 상기받침점을 상기 기초부위로 연결해주고 상기한 평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쌍의 제3주 표면들을 가지며 상기한 전게가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서 발생되지 않았을 때, 상기한 축과 설정된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aid resilient portion has a third portion that is essentially plate-shaped, which has a pair of third major surfaces connecting said support point to said foundation portion and disposed perpendicular to said plane. And when one electric charge is not generated in the transducer block, the lever driver makes a set angle with the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초부위는 상기한 전계가 변환기 블럭내에서 발생되지 않았을 때 상기한 축과 규정된 각을 이루는 한쌍의 동일 평면들을 가지며, 상기한 탄력 부위는 바형 부재를 가졌는데, 상기한 탄력부위는 바형 부재를 가졌는데 이것은 상기한 평면과 수직으로배치된 바축을 갖고, 상기한 받침점에 고정된 중간부위로 구성되며 한쌍의 단부는 상기한 바축을 따라서 상기한 중간부위와 전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동일 평면에 고정된 것으로 특징지워진 레버 구동기.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foundation has a pair of coplanar planes that form a defined angle with the axis when the electric field is not generated in the transducer block, wherein the elastic portion has a bar-shaped member, The resilient portion had a bar-shaped member, which had a bar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consisted of a middle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point and a pair of ends were entirely in the middle portion and along the bar axis. A lever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nd fixed in the same plane. 제1항 부터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레인은 역전할 수 있는 팽창력이다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The lever driv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said strain is a reversible expansion force. 제11항에 잇어서, 상기한 이동에 의해서 구동된 레버 부위의 탈선을 제한하기 위한 제항장치로 구성하는데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서 발현된 장력이, 상기한 이동에 반응한 레버 부위가 움직인 순간에서 상기한 제한 장치가 없을때 상기한 변환기 블럭에서 발현된 압축력 크기의 1/5부터 1/4까지에 해당하는 최대크기를 갖도록 하는 제한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comprising a delimiter for limiting the derailment of the lever portion driven by the movement, wherein the tension developed in the transducer block moves at the moment when the lever portion in response to the movement is moved. And a limiting device having a maximum size corresponding to 1/5 to 1/4 of the magnitude of the compressive force expressed in the transducer block in the absence of the limiting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스피링 장치가 상기한 제1표면단을 상기한 블럭축을 따라서 제2표면단을 향하도록 충동하도록 되있고,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서 정지압축력을 발현시키는데 그 크기는 상기한 이동에 반응하여서 상기한 레버 부위가 움직이는 순간에 상기한 스프링 장치가 없을 때 변환기 블럭내에서 발현된 압축력의1/5에서 1/4가량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pringing device is adapted to impinge the first surface end toward the second surface end along the block axis, wherein the stationary compression force is developed in the transducer block. And about one-fifth to one-fourth of the compression force developed in the transducer block in the absence of the spring device at the moment the lever portion moves in response to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한쌍의 코일단을 갖는 코일스프링이며, 상기한 커플링 장치는 상기한 제1부위와 상기한 제1주표면단에 횡으로 돌출된 부위로 전체을 구성해주며, 상기한 기초부위와 상기한 돌출부위에 의해서 각각 지지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coil spring having a pair of coil ends, the coupling device is composed entirely of the first part and the part protruding transversely to the first main surface end. And levers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자유단과 고정단을 갖는 잎스프링이고, 상기한 커플링 장치는 또한 상기한 제1부위와 상기한 제1주표면단의 횡으로 돌출된 부위와 함께 전체로서 형성되어지는 돌출부위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기초부위와 상기한 돌출부위의 하나는 표면부위를 가졌는데 이것은 상기한 기초부위의 또 다른 부위와 상기한 돌출부위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있고, 상기 돌출부위는 상기 평면과 수직이고 상기 자유단을 미끄러지게 받아드리며, 상기 고정단은 기초부위의 또 다른 부위와 각 부에 대해 고정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레버 구동기.14. The sp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leaf spring having a free end and a fixed end, and the coupling device is further integrated with the first part and the transversely protruding part of the first major surface end. And one of the foundation portion and one of the protrusion portions has a surface portion, which is arranged to face another portion of the foundation portion and the protrusion portion, the protrusion portion being And a free end that slides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the fixed end being fixed relative to each other and to another portion of the founda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한쌍의 코일단을 갖는 코일스프링이며, 상기한 평면에 수직인 기초부위표면을 갖는 기초부위와, 본질적으로 평행한 상기한 기초부위와 마주보는 레버 부위 표면을 갖는 레버 부위와, 상기코일단은 상기 기초부위와 상기 레버 부위상에 각각 지탱되어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14. A spring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coil spring having a pair of coil ends, the foundation having a foundation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a lever region surface facing the foundation which is essentially parallel. And a lever portion having the coil end is supported on the base portion and the lever portion, respectivel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위표면과 상기 레버 부위표면의 하나는 상기 코일단의 하나를 아늑하게 받아드리는 오목한 바닥표면을 가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17. The lever driver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one of the base portion surface and the lever portion surface has a concave bottom surface that snugly receives one of the coil end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자유단과 고정단을 갖는 잎스프링이고, 상기한 기초부위의 하나와 상기한 레버 부위는 상기한 기초부위의 다른 부위와 상기한 평면과 수직인 상기한 레버 부위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었으며, 또한 상기한 블럭축과 횡으로 배치되었으며 상기한 자유단을 미끄러질 수 있게 받아드리며 상기한 고정단은 기초부위의 상기한 다른 부위와 레버부위에 고정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14. The lever as claimed in claim 13,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leaf spring having a free end and a fixed end, wherein one of the foundation portions and the lever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other portion of the foundation portion and the plane. It is arranged to face the site, it is also arranged transverse to the block axis and accepts the free end to slide, the fixed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part is fixed to the other part and the lever part of the foundation part Dri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부재는 제1,제2설정점을 가진 아암부위로 구성되며, 탄력부위는 상기한 제1설정점을 상기한 기초부위에 연결해주고, 부위축을 가진 부가부위는 상기한 제2설정점을 상기한 웨이트점에 연결시키는데 상기한 부위축은 상기한 제2설정점과 상기한 웨이트점 사이에 베치되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ame member is composed of an arm portion having a first set point and a second set point, the elastic portion connects the first set point to the base portion, and the additional portion having a portion axis And connecting the second set point to the weight point, wherein the portion axis is placed between the second set point and the weight poin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레인은 역전할 수 있는 팽창력의고, 상기한 레버 구동기는 레버 부위의 탈선을 제한하는 제한장치로 구성되며 변환기 블럭내에 발현된 장력이 상기한 레버 부위가 상기한 이동에 반응하여 움직이는 순간에 상기한 제한장치가 없을때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 발현된 압축력의 1/5부터 1/4가량인 최대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said strain is of reversible expansion force, said lever driver being comprised of a limiting device for limiting the derailment of the lever portion and wherein said lever portion in which said tension developed in said transducer block is moved. And a lever having a maximum size of about 1/5 to about 1/4 of the compressive force expressed in the transducer block when the limiting device is absent at the moment of movemen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레인은 역전할 수 있는 팽창력이고, 상기한 레버 구동기는 스프링 장치로 구성되는데 그것은 상기한 블럭축을 따라 상기 제2표면단을 향해 상기한 제1표면단을 충동하여 상기한 변환기 블럭상에 정지압축력을 나타내고, 그 크기는 상기한 레버 부위가 상기한 이동에 반응하여 움직이는 순간에 상기한 스프링 장치가 없을 때에 상기 변환기 블럭내에 나타난 변할 수 있는 압축력의 크기의 1/5부터 1/4가량되게 한다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레버 구동기.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said strain is a reversible expansion force, and said lever driver consists of a spring device that impels said first surface end toward said second surface end along said block axis. A static compression force on one transducer block, the magnitude of which varies from one fifth of the magnitude of the variable compressive force present in the transducer block in the absence of the spring device at the moment the lever portion move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Lever drive, characterized in that about 1/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한쌍의 코일단을 갖는 코일스프링이고, 상기한 평면과수직인 기초부위 표면을 갖는 상기한 기초부위와, 상기한 기초부위 표면과 마주보며 평행한 아암부의 표면을 갖는 아암부위와, 상기한 코일 단들은 상기한 기초부위 표면과 상기한 아암부위 표면에 의해서 각각 받아드려 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2. An arm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said spring device is a coil spring having a pair of coil ends, said foundation portion having a foundation surface surface perpendicular to said plane, and an arm portion parallel to said foundation surface; An arm portion having a surface and the coil stages are respectively received by the base portion surface and the arm portion surfa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초부위 표면과 상기한 아암부위 표면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코일단을 아늑하게 받아드리도록 오목한 바닥표면을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3. The lever driver as claimed in claim 2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surface and the arm portion surface has a concave bottom surface to snugly receive the coil en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장치는 자유단과 고정단을 갖는 잎 스프링이고, 상기한 기초부위와 상기한 로드부위의 하나는 상기한 기초부위의 또 다른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한 로드부위는 상기한 평면과 수직이고, 미끄러질 수 있게 상기한 자유단을 받아드리며 , 상기한 고정단은 기초부위와 아암부위의 상기한 또다른 면에 고정되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leaf spring having a free end and a fixed end, wherein on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rod portion is arranged to face anoth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rod portion Is a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accepts the free end so as to be slidable, wherein the fixed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and the arm par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한쌍의 코일단을 가진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한 평면과 수직이고, 상기한축에 대새서는 횡으로 된 레버부위 표면을 갖는 레버 부위와, 상기한 레버 부위표면과 평행이고 마주보는 아암부위 표면을 갖는 상기한 아암부위와, 상기한 레버부위 표면과 상기한 아암부위 표면에 의해서 받다드려지는 상기 코일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2. The lever device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coil spring having a pair of coil ends, the lever part having a lever par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transverse to the one axis, and the lever part. And said arm portion having an arm portion surface parallel to and opposing a surface, and said coil stage supported by said lever portion surface and said arm portion surfac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한 레버부위 표면과 상기한 아암부위 표면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한 코일단의 하나를 아늑하게 받아드리도록 오목한 바닥표면을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6. The lever driver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at least one of said lever portion surface and said arm portion surface has a concave bottom surface to snugly receive one of said coil end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자유단과 고정단을 갖는 잎스프링이고, 상기한 레버부위와 상기한 아암부위의 하나는 상기한 레버부위의 또다른 부위와 마주보는 부위표면을 가졌고 상기한 아암부위는 상기한 평면과 수직이고 상기한 자유단을 미끄러질 수 있게 받아드리며, 상기한 고정단은 레버부위의 또다른 부위와 상기한 아암부위에 고정되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leaf spring having a free end and a fixed end, wherein one of the lever portion and the arm portion has a portion surface facing another portion of the lever portion and The arm part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acceptably slides the free end, wherein the fixed end is fixed to another part of the lever part and the arm part. 제2항에있어서, 상기한 프레임부재는 상기 평면상에 배치된 제1, 제2, 설정점과 제3설정점을 갖는 제1아암부위를 갖으며, 제4,5 설정점을 갖는 제2아암부위와, 상기한 축의 양측면상에 배치된 상기한 제2주표면쌍과 상기한 제1주표면쌍으로 상기한 제1표면단을 상기한 제2설정점으로 능동적으로 연결하고 상기한 제1주표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2주표면들을 가진 본질적으로 판모양으로 된 제2부위와,제1부위축을 갖고 또 상기한 웨이트점을 상기한 제4설정점과 상기한 웨이트점사이에 있는 상기한 제1부위축으로서 상기한 제3설정점으로연결해 주는 제1부가 부위와, 제2부축을 갖고 또한 제3,5설정점들을 제3과 제설정점 사이에 있는 상기한 제2부위축으로 연결시켜주는 제2부가부위와 상기한 제3설정점을 상기한 웨이트점의 이동방향과 약간 다르게 이동하도록 하는 물체이동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레버 구동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rame member has a first arm portion having a first set point, a second set point and a third set point disposed on the plane, and a second having a fourth set point and a fifth set point. The first surface end is a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set point by the arm portion, the second main surface pai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xis, and the first main surface pair. A fourth set point and said weight point, said second point being essentially plate-shaped with a pair of second major surfaces disposed essentially parallel to said major surface, said first point having said first axis and said weight point The second part having the first part connecting the first set axis between the first set point and the third set point, the second sub axis and the third and fifth set points between the third and set points. The second additional part connecting the part axis and the third set point are moved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eight point. A lever driver having an object movement for moving slightly differently. 제2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그리고 제2부위들에 의해 가해진 제1, 제2힘들은 본질적으로 크기에 있어 각각 같고, 본질적으로 상기한 블럭축과 평행이고 상기한 제1표면단을 향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orces exerted by said first and second portions are each essentially the same in size, essentially parallel to said block axis and directed towards said first surface end. Lever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제29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초부위는 한쌍의 각(leg)부를 상기한 변환기 블럭의 양측면상에서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각부는 각각 각단표면들을 가지며, 상기한 탄력부위는 상기한 받침점을 각 표면단의 하나로 연결해주고, 상기한 신축부위는 상기한 제1설정점을 각 표면단의 또다른 면에 연결시킨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레버 구동기.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foundation portion has a pair of le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transducer block, each of which has angular surfaces, wherein the resilient portion has the support point at each surface end. And the stretchable portion connects the first set point to another surface of each surface end.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초부위는 상기한 기초부위를 통로형으로 제공하는 상기한 각 표면단들로 부터 원격진 부분에서 상기한 각부위를 전체적으로 결합시키는 비임부위로 구성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구동기.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foundation portion is composed of a beam portion for engaging the angular portion as a whole at a portion remote from the respective surface ends providing the foundation portion as a passage. Lever actuator. 제2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제2부위들의 각각은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두꺼운 부분은 제1, 제2부위의 각각의 두 주표면들로서 역할을 해주는 한쌍의 주표면들을 가지며, 상기한 얇은 부분은 상기한 두꺼운 부분과 전체를 이루며 두께에 있어서 상기한 두꺼운 부분보다는 얇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29. The device of claim 28,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is comprised of a thick portion and a thin portion, wherein the thick portion is a pair of principals serving as two major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Wherein said thin portion is entirely with said thick portion and is thinner in thickness than said thick portion. 제28항부터 제3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레인은 역전할 수 있는 팽창력이고, 상기한 레버 구동기는 상기한 이동에 의해서 구동된 레버부위의 탈선을 제한하는 장치로 구성되는데 이 장치는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서 발현된 장력이 상기한 제한장치가 없을 때 상기한 이동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한 레버부위가 이동하는 순간에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서 발현된 압축력의 크기의 1/5에서 1/4까지 되는 최대 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33. The apparatus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28 to 32, wherein said strain is a reversible expansion force, and said lever driver consists of a device for limiting the derailment of a lever portion driven by said movement. The tension developed in one transducer block is reacted by the movement in the absence of the limiting device, and at one-fifth of the magnitude of the compression force developed in the transducer block at the moment the lever is moved. Lever driv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aximum size of up to four. 제28항부터 제32항까지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레인은 역전할 수 있는 팽창력이고, 상기한 레버 구동기는 상기한 기초부위와 상기한 제2아암부위 사이에 스프링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상기한 제1푠면단을 상기한 블럭축을 따라 상기한 제2표면단으로 충동하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정지압축력을 발현하는데 그 크기는 상기한 레버부위가 상기한 이동에 반응하여 이동하는 순간에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가 없을시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 발현된 변할 수 있는 압축력 크기의 1/5부터 1/4가량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3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8 to 32, wherein the strain is a reversible expansion force, and the lever driver is composed of a spring device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The spring device causes the first end face to impinge on the second surface end along the block axis, and exhibits a static compression force, the magnitude of which is at the moment when the lever part move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Lever drive, characterized in that about 1/5 to about 1/4 of the variable compressive force developed in the transducer block in the absence of the spring device. 제3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장치는 한쌍의 코일단들이 상기한 기초부위와 상기한 제2아암부위에서 각각 지지된 코일 스프링이다라는 것에 특징지워진 레버 구동기35. The lever drive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coil spring in which a pair of coil ends are respectively supported at the base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제3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장치는 고정단과 자유단을 갖는 잎스프링이고, 상기한 기초부위와 상기한 제2아암부위의 하나는 상기한 기초부위의 또 다른 부위와 상기한 중간평면과 수직인 상기한 제2아암부위에 마주보도록 배치된 부위면을 가지며, 상기한 자유단을 미끄러질 수 있게 받아드리며, 상기한 고정단은 상기한 기초부위의 또다른 부위와 제2아암부위에 고정되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구동기.35. The apparatus of claim 34,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a leaf spring having a fixed end and a free end, wherein one of the foundation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is perpendicular to another portion of the foundation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lane. It has a part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arm portion, and accepts the free end so as to slide, the fixed end is fixed to another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of the base portion. Lever drive characterized by. 다수의 프린터유니트와 홀더로 구성된 프린터 두부에 있어서,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린틴 레버구동기와 프린팅소자와 구성된 각각의 프린터유니트와, 블럭축과 상기한 불럭축과 수직인 제1, 제2표면단을 가진 연장된 종축효과 전기 팽창 변환기와, 상기한 변환기블럭내에서 상기한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계를 발생하여 상기한 축에 따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한 제2표면단에 대하여 상기한 제1표면단의 물체이동을 발생시키는 전계발생장치와 , 기 부위와, 상기한 축을 포함한 중간평면상에 상기한 받침점과 상기한 파워점을 갖고 상기한 웨이트점에 부착된 상기한 프린팅소자를 갖는 상기한 프레임 부재와, 능동적으로 상기한 받침점과 상기한 기초부위를 연결해주는 제1커플링 장치와, 능동적으로 상기한 제1표면단을 상기한 파워점으로 연결시켜주는 제2커플링 장치와, 상기한 제2표면단을 상기한 기초부위에 연결해 상기한 이동이 상기한 레버부위를 구동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한 프린팅 소자를 움직이게 하는 커넥팅 장치와, 각각 설정된 프린팅위치에 도달하도록 배치된 각각의 프린터 유니트의 프린팅 소자로 각각의 프린터 유니트의 프린팅소자 구동기들을 유지하는 상기한 홀더와, 본질적으로 블럭축에 평행이고 중간평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쌍 주표면들을 갖고 상기한 각 프린팅 소자 구동기내에서 제1표면단을 파워점으로 연결해 주는 본질적으로 판모양으로된 부위로 구성된 각 프린팅 소자 구동기내에 있는 커플링장치의 개량품을 포함하는 프린터 두부.A printer head comprising a plurality of printer units and holders, each printer unit comprising a print lever and a printing element including a frame member, and first and second surface ends perpendicular to the block axis and the block axis described above. An extended longitudinal axis effect electric expansion transducer having a first electric field and an electric field gener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said axis in said converter block, said first surface being defined with respect to said second surface 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said axis. The above-described electric field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object movement at the surface end, and the above-described printing element having the support point and the power point on the intermediate plane including the axis and attached to the weight point. When the frame member, the first coupling device that actively connects the support point and the foundation portion, and actively connect the first surface end to the power point A second coupling device, a connecting device which connects the second surface end to the base portion, and wherein the movement drives the lever portion and thereby moves the printing element, and at each set printing position. Each of the above-described holders having the above-mentioned holder holding the printing element drivers of each printer unit with the printing elements of each printer unit arranged to reach, and a pair of major surfaces arranged essentially parallel to the block axis and perpendicular to the middle plane. A printer head comprising a modification of a coupling device in each printing element driver consisting of essentially plate-shaped portions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end to a power point in the printing element driver. 제37항에 있어서, 제2표면단에 대해서 제1표면단의 이동에 의해서 각 프린팅 소자구동기내에서 구동된 레버 구동기의 탈선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장치가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서 발현된 장력이 이동에 반응하여 움직이는 레버구동기가 구동하는 순간에 상기한 제한 장치가 없을 때에 상기한 변환기 블럭내에 발현된 압축력의 크기의 1/5에서 1/4가량으로 최대 크기를 갖는다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 프린터두부.38. The tension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37, wherein the limiting device for limiting the deviation of the lever driver driven in each printing element driver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surface end relative to the second surface end is moved. A printer head characterized by having a maximum size of about one fifth to one quarter of the magnitude of the compressive force developed in the transducer block in the absence of the limiting device at the moment of operation of the lever driver moving in response to the printer. 제38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린팅소자 구동기들의적어도 하나의 기초부위에 고정된 아암을 갖는 상기한 제한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 프린터 두부.39. A printer head as claimed in claim 38, comprising said limiting device having an arm fixed to at least one foundation of said printing element drivers. 제38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린팅 소자 구동기들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한 제한 장치로서 역할을 해주는 어깨부위를 갖는 상기한 홀더를 포함한다는 것으로 특징지워진 프린터 두부.39. The printer head of claim 38, comprising said holder having a shoulder portion that serves as said limiting device for at least one of said printing element drivers. 제38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린팅소자들의 각각은 로드부위를 포함하여, 상기한 홀더는 각각의 프린팅소자들의 로드부위가 미끄러져 통할수 있는 구멍을 갖는 로드가이드를 갖으며, 상기한 로드가이드는 상기한 제한 장치의 역할을 하도록 위치되졌다는 것에 특징지워진 프린터 두부.39. The apparatus of claim 38, wherein each of the printing elements comprises a rod portion, wherein the holder has a rod guide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rod portion of each of the printing elements slides. A printer head characterized by being positioned to act as the limiting device described above. ※ 참고사항 : 최초출원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The disclosure is based on the initial application.
KR8202318A 1981-05-26 1982-05-26 Printer head KR8600007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81-79531? 1981-05-26
JP81-79531~2 1981-05-26
JP56079531A JPS57193375A (en) 1981-05-26 1981-05-26 Impact printing head
JP56079532A JPS57196880A (en) 1981-05-26 1981-05-26 Rotating motion generating mechanism
JP11197581A JPS5814765A (en) 1981-07-17 1981-07-17 Impact printer head
JP81-111975-6 1981-07-17
JP56111976A JPS5814587A (en) 1981-07-17 1981-07-17 Piezo-electric device
JP4621182A JPS58163669A (en) 1982-03-25 1982-03-25 Impact printer head
JP82-46210-11 1982-03-25
JP4621082A JPS58163668A (en) 1982-03-25 1982-03-25 Impact printer head
JP82-61218 1982-04-13
JP57061218A JPS58177376A (en) 1982-04-13 1982-04-13 Print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942A true KR830009942A (en) 1983-12-24
KR860000749B1 KR860000749B1 (en) 1986-06-18

Family

ID=1369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318A KR860000749B1 (en) 1981-05-26 1982-05-26 Printer hea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93375A (en)
KR (1) KR8600007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765A (en) * 1981-07-17 1983-01-27 Nec Corp Impact printer head
JPS6031975A (en) * 1983-07-29 1985-02-18 Nec Corp Printing head
JPS59229349A (en) * 1983-06-10 1984-12-22 Nec Corp Impact printing head
JPS6025767A (en) * 1983-07-25 1985-02-08 Nec Corp Printing element
CA1319295C (en) * 1988-03-18 1993-06-22 Akio Yano Printing head of wire-dot impact printer
JP2736648B2 (en) * 1988-03-18 1998-04-02 富士通株式会社 Print head
CA1331313C (en) * 1988-07-08 1994-08-09 Akio Yano Printing head of wire-dot impact printer
JPH04347656A (en) * 1991-05-27 1992-12-02 Fujitsu Ltd Piezoelectric element-type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318A (en) * 1975-09-01 1977-03-05 Nippon Telegraph & Telephone Type head for high speed printer or the like
JPS52154425A (en) * 1976-06-17 1977-12-22 Nippon Telegraph & Telephone Mechanical amplify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749B1 (en) 1986-06-18
JPS57193375A (en) 198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5666A (en) Lever actuator comprising a longitudinal-effect electroexpansive transducer and designed to prevent actuation from degrading the actuator
US4570095A (en) Mechanical amplification mechanism combined with piezoelectric elements
US4952835A (en) Double saggital push stroke amplifier
US4675568A (en) Mechanical amplification mechanism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KR970072620A (en) Highly dynamic piezoelectric drive
KR830009942A (en) Lever driver composed of longitudinal effect electric expansion transducer prevents actuator deterioration
US5241234A (en) Vibration-driven motor
US5005994A (en) Printing head of wire-dot impact printer
KR900002534A (en) Motion transducer of piezoelectric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775739B2 (en) Motion conversion mechanism
JP2550583B2 (en) Motion conversion mechanism of piezoelectric element
JPS59175386A (en) Mechanical amplifying mechanism
JPH0889894A (en) Grip type linear actuator
JPH0243079Y2 (en)
JP2555667B2 (en) Piezoelectric motion converter
JPS60210171A (en) Actuator
JP2556111B2 (en) Piezoelectric motion converter
JPH05305574A (en) Piezoelectric cramping mechanism
JPH0344533Y2 (en)
JPH0413174Y2 (en)
JPH0427079Y2 (en)
JP2550583C (en)
JPH0715145Y2 (en) Displacement magnifying mechanism
JPH0644159U (en) Piezoelectric actuator
JPH0356065Y2 (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