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3007Y1 -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 Google Patents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3007Y1
KR830003007Y1 KR2019830009365U KR830009365U KR830003007Y1 KR 830003007 Y1 KR830003007 Y1 KR 830003007Y1 KR 2019830009365 U KR2019830009365 U KR 2019830009365U KR 830009365 U KR830009365 U KR 830009365U KR 830003007 Y1 KR830003007 Y1 KR 830003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inlet
auxiliary
main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다로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샤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1365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2501A/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샤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샤꾸쇼
Priority to KR2019830009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3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3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전브러시 흡구를 갖춘 융단용 전기 소제기의 사시도.
제2도는 회전브러시 흡구의 상부 구조 설명도.
제3도는 회전브러시 흡구의 하부 구조 설명도.
제4도는 회전브러시 흡구의 저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일부를 단면한 내부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 단면도.
제7도는 일부 단면을 포함한 회전브러시체의 평면도.
제8도는 가요판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9도는 절환레버 부분의 구조설명 하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좌측면도.
제11도는 절환레버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는 좌측면도.
제12도는 마루브러시의 수납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전기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吸口)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융단의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에 관한 것이다.
융단의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 소제기용 회전 브러시 흡구로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188,681호 명세서나 미국 특허 제3,199,138호 명세서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는, 상부에 핸들 파이프를 설치하는 한편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에 취부된 더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전기 소제기 본체의 더스트 케이스 입구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브러시 흡구에서는 하부전방의 흡입구의 브러시와 비이터(beater)를 설치한 회전브러시체가 흡구본체에 내장된 회전브러시체의 구동전동기에 의해 회전된다.
또, 융단에 박혀있는 브스러기나 먼지를 비이터로 두들겨줌과 동시에 브러시가 융단을 풀어서 털에 휘감겨진 실부스러기나 머리털을 풀어 흡구내에 설치된 통로를 통해 전기소제기 본체의 더스트 케이스 내에 집진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는 회전브러시체가 흡구본체의 횡폭보다 상당히 적고, 또 흡구본체의 거의 중앙부에만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회전브러시 흡구본체의 측단에는 회전브러시에 의해 먼지를 긁어올리는 작용이 없으며 방 전체에 깔려진 융단의 구석이나 벽 가장자리 부분에 쌓인 먼지 또는 휘감겨진 실부스러기를 제거하여 소제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흡구 본체의 측단에서의 먼지를 긁어 올릴 수 있는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흡구본체의 측단의 긁어 올려진 먼지를 원활하게 흡구 본체내에 인도할 수 있는 전기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풍속에 관계하는 흡입력이 평균화되고, 특히 저풍량시(低風量時)의 흡입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브러시체의 회전을 멈추고 기류에 의해 흡입력만으로 마루, 다다미 위를 소제하기에 적합한 전기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하면 앞부분에 흡입구를 가지며 전동기를 내장한 흡구본체와, 흡구본체의 흡입구에 연통하고 하류에 위치하는 회전브러시 실에 설치되어 양단을 축받이를 지지하여 배치고,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주브러시 및 비이터를 가진 주브러시체와, 흡구본체의 뒷부분에 회전자재로 설치되어 흡구본체를 소제기 본체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관과, 흡구본체내에 설치되어 주브러시체의 회전브러시실의 도입구와 접속관의 흡입구를 연통하는 덕트(duct)를 구비한 전기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에 있어서, 주브러시체를 지지하는 일방의 축받이봉의 외측에 인접하는 보조흡입구와 이 보조흡입구의 하류에서 도입구를 덕트도입구에 연통시킨 보조브러시실을 흡구본체의 앞부분에 형성하고, 이 보조브러시실내에 주브러시체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브러시를 가진 보조브러시체를 설치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다.
융단용 전기소제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브러시 흡구(100)는 뒷부분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자재인 접속관(200)을 개재하여 전기소제기 뵨체(300)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소제기 본체(300)의 상부에는 핸들 파이프(400) 및 핸들 손잡이(401)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소제기 본체(300)는 접속관(200)에 연통한 더스트 케이스(301)와, 이 더스트 케이스(301)가 개페버턴(클램프)(302)에 의해 착탈자재로 취부되는 전기소제기 본체 케이스(303)로서 구성되어 있다.
전기 소제기 본체 케이스(303)에는 소제중에 손으로 주운핀이나 코일을 넣는 작은 물건의 포겟(304) 및 본체 핸들(30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기소제기 본체 케이스(303)에는 전동 송풍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또한 더스트 케이스(301)에는 더스트 캡슐, 필터장치 및 제진장치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다음에 회전브러시 흡구(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브러시 흡구(100)의 흡구 본체(101)는 상면, 측면 및 앞뒷면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본체 상부케이스(102)와, 하면의 주요부와 측면, 앞뒷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본체 하부케이스(103) 및 본체 하부케이스(103)에 취부되어 접속관(200)의 취부부분을 덮는 합성수지제 이음매 커버(104)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하부케이스(103)는 나사(105)로서, 또 이음매 커버(104)는 나사(106)로서 각각 본체 상부케이스(102)이 고착된다.
또 흡구본체(101)에는 전동기(109)가 2개의 방진고무(107a),(107b)에 끼워져 흡구 본체(10)의 전동기지지벽(108)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기(109)의 회전축(110)의 선단에는 소풀리(111)가 나사로 부착되어 있다.
또 흡구본체(101)의 앞쪽부분에는 회전브러시체(112)가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브러시체(112)에는 주브러시체 (113)와 보조브러시체(114)로 되고, 주브러시체(113)의 일단부에는 대풀리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동기(109)의 소풀리(111)에서 벨트(116)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브러시체(113), 대풀리부(115)는 브러시체 축(117)위에 2차 성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이다.
주브러시체(113)는 나선형으로 심어진 주브러시(118)와, 구브러시체(113) 표면에 역시 나선형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된 경질의 두둘기는 가닥으로 이루어진 비이터(119)를 구비하고 있다. 주브러시체(113)의 타단부에는 주브러시체(113)를 관통하는 일체의 브러시체축(117)이 길게 돌출하여 있으며 와셔(120)를 개재하고 볼베어링(121)이 눌러들어가 축받이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볼베어링(121)보다 돌출한 브러시체축(117)의 선단에는 단(段)이 붙혀진 부분(122)과 좌나사부(1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와셔(124)를 개재하여 보조브러시체(114)가 좌나사부(124)에 나사로 부착하는 좌너트(125)에 의해 조여붙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브러시체(114)는 주브러시체(118)가 지지되는 일방의 축받이부 외측으로 인접하여 되어 있다. 이 보조브러시체(114)에는 그 외주상에 4개의 보조브러시(126)가 심어져 있다.
볼베어링(121)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제의 방진커버(127)가 피복되는데, 이 피복된 방진커버(127)를 끼워 흡구본체(101)의 지지리브(128a),(128b)에 지지되어 있다.
또, 제5도에서 브러시체축(117)의 대풀리부(115) 측단부는 함유(含油)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평축받이(129)로 지지되고 이 평축받이(129)는 축받이커버(130)를 끼워 흡구본체(101)의 지지케이스(131)내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브러시체(112)의 주브러시체(113)와 보조브러시체(114)는 격벽(132)(제6도 참조)에 의해 흡구본체(101)의 다른 내부와 칸막이 되어 있고, 흡입구(133)와 보조흡입구(134)에 연결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브러시실(135)과 보조브러시실(136)내에 위치하여 있다.
이 회전브러시실(135)은 주브러시체(113)가 관통해 있는 측벽(137)에 의해 벨트실(138)과 거의 칸이 막혀져 있다. 회전브러시실(135)과 보조브러시실(136)은 지지리브(128a)의 후방의 연락통로(13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구(133)의 측면에는 흡입구(133) 전연부(前緣部) 등의 흡구본체(101) 앞부분의 하면(下面)보다도 움푹 패어들어간 먼지도입홈(140)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133)와 보조흡입구(134) 사이의 흡구본체(101)의 저면은 먼지도입홈(140)과 동일하게 움푹 패어들어간 가교부(架橋部)(141)로 되어 있다.
보호판(142)은 흡입구(133)의 후연을 구성하도록 흡구본체(101)의 하면에 취부되어 있으머, 실질적으로는 큰 흡입구(l33)의 뒷부분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호판(142)은 사람이 실수로 흡입구(133)로부터 회전브러시실(135)로 손가락을 넣은 경우에, 손가락이 회전중의 회전브러시체(112)의 비이터(119)와 흡입구(113)의 후연에 끼워져 상처를 내지 않도록 가요성의 탄성체로 되어 있다.
가요판(可撓板)(l43)은 흡입구(133)의 앞쪽 즉, 흡구본체(101)의 맨앞부분 하면에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취부된 풍부한 가요성의 선단 박판헝 설판(舌片)으로서, 6매의 동일형상의 것이 약간의 틈을 두고 등간격으로 거의 흡입구(133)의 폭 전부분에 걸쳐 나열되어 있다.
이 가요판(143)은 흡구본체(101)가 마루면에 놓여진 경우에, 마루면에 접촉하여 흡입구(133)의 전연부와 마루면의 간격을 통해 흡입구(133)의 전방에서 유입하는 기류를 그 가요성에 의해 제어하여 보조흡입구(134)에서의 풍속을 조절하는 역활을 한다.
즉,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구(133)에서 발생하는 풍량이 많은 경우에는 풍압에 의해 크게 휘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마루면과의 사이에 간격(G)을 형성하고(제8도에서 화살표는 기류를 나타낸다)풍량을 확보하여 풍속을 완화하다. 흡입구(133)에서 발생하는 풍량이 적은 경우에는 그다지 휘지 않으며, 마루면과의 간격(G)을 적게 확보하지만, 마루면에 접촉하는 가요판(143)의 간격에 의해서만 바람을 통해 풍속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풍속에 관계하는 흡입력이 풍량이 많을때나 적을때도 평균화되어 특히 저풍량시의 흡입력 저하를 방지한다.
가요판(143)은 흡구본체(101)의 본체 하부케이스(103)의 전단(前端) 모퉁이부에 각각 간격을 유지하도록 삽입하고 그 선단부만이 가요판(143)의 수에 맞는 6개의 솔릿(144)을 통하여 본체 하부케이스(103)의 하면으로부터 나온다. 그리고, 제3도에서 본체 하부케이스(103)에 나사(145)로 고정되는 눌림판(146)은 상기 6매의 가요판(143)을 동시에 눌려 지지시킨다.
또, 가요판(143)의 5개소의 간격을 합한 폭은 흡입구(133)폭의 2∼5%로 한정되어 있다.
제5도와 제6도에서 닥트(147)는 회전브러시실(135)의 보조브러시실(136) 근처에 설치된 도입구(148)와 흡구본체(101)의 뒷부분에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는 접속관(200)의 흡입구를 접속하는 단면이 원통형인파이프로서 양탄부가 각각 격벽(132)과 접속관 지지벽(149b)에 당접하여 있다.
이와 같이 덕트(147)의 도입구(148)는 회전브러시실(135)과 보조브러시실(136)을 연결하는 연락통로(139)의 흡구본체(101) 중앙근방에 위치시켜져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147)는 합성수지제로 단면이 반원통형인 상반부(150)와 여기에 맞닿는 대칭형의 하반부(151)를 포개어 형성하는 것으로서 접합부에는 물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상부 케이스(102)와 본체 하부케이스(103)에 끼워지지 함으로써 파이프로서 유지된다.
제3도에서 152는 덕트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리브이다.
제5도에는 덕트(147)가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내져 있다.
제3도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루브러시체(153)는 마루브러시부(154)가 브러시커버(155)와 본체 하부케이스(103)의 브러시벽으로 구성되는 마루브러시 수납부(156)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5도에서 상기 마루브러시체(153) 양단의 축부(157),(158)는 마루브러시 수납부(156)의 축받이부(159),(160)에 회동지지되어 있다.
마루브러시 수납부(156)에는 거의 중앙에 보강을 하기 위한 저판교(底板橋)(161)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158)는 마루브러시 수납부(156) 측면보다 더욱 신장하여 그 선단에 아암(16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5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162)의 선단부에는 외측에 접동축(163), 내측에 스프링걸이축(164)이 아암(162)과 거의 T자형으로 이루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절환레버(165)는 양측면의 레버축(166a),(166b)을 중심으로 하여 흡구본체(101)이 설치되어 절환레버부를 포위하고 있는 레버 격벽에 설치된 레버축받이(167a),(167b)에 회동지지되어 있으며 그 패달부가 패달취구공(取口孔)(169)을 통하여 흡구본체(101) 상면보다 외부에 노출하여 있다.
레버축(166b)에는 그 중심에 스프링 지지구멍이 관통하여 있으며, 일방의 레버축(166a)의 선단에는 거의 L자형을 이룬 스위치레버(17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절환레버(165) 하면의 거의 중앙부에는 브러시 작동레버(171)가 폐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는 접동할 수 있는 긴 구멍(171a)(제10도 참조)을 가진다.
접동할 수 있는 긴 구멍(171a)은 마루브러시체(153)의 접동축(163)의 지름보다 약간 큰폭이 있고, 이것에 접동축(163)이 끼워 맞춰져 있다. 패달부의 조작에 의해 접동축(163)은 접동할 수 있는 긴 구멍(171a)내를 왕복 운동한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스프링(172)은 트위스트 코일스프링으로서, 편단(片端)은 거의 환상단부(173), 또 일방단은 L자형 단부(174)로 되어 있다.
이 거의 환상단부(173)는 발지돌기(拔止突起)(175)를 가진 마루브러시체(153)의 스프링걸이축(164)의 외주에 끼워 넣어지고, L자형단부(l74)는 절환레버(165)의 레버축(166b)에 있는 스프링 지지구멍(168)에 그 선단이 삽입되어 있다.
레버스프링(172)은 절환레버(165)와 마루브러시체(153) 사이에서 마루브러시체(153)의 아암(162)을 접동할 수 있는 긴구멍(171a)의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 레버스프링(172)의 양단은 각각 스프링걸이축(164)과 스프링 지지구멍에 회동자재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루브러시체(153), 절환레버(165), 레버스프링(172)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우선 제9도,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달부의 「마루·다다미측」이 넘어져 있을때는 브러시 작동레버(171)는 하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동할 수 있는 긴구멍(171a)에 접동축(163)이 끼워맞춰지는 마루브러시체(153)의 아암(162)은 거의 수평상태이고, 이것에 연결된 브러시부(154)를 하향으로 유지하여 브러시부(154)에 심어진 마루브러시(176)를 하향으로 흡구본체(101) 하면으로부터 뽑아낸다.
또, 이 마루브러시(176)가 마루·다다미를 소제할때 피소제면에 접하여 이것을 소제하고, 먼지를 모아 달라붙은 먼지를 털어내는 역활을 한다. 다음에 제9도의 상태에서 이번에는 패달부의 「융단측」을 눌러 넘어뜨리면 브러시 작동레버(171)는 레버축(166a),(166b)을 중심으로 앞상방(前上方)으로 회전한다(제10도 S화살표). 이에 따른 접동축(163)이 접동할 수 있는 긴구멍(171a)내를 레버스프링(172)의 힘에 대항하여 양단의 열림을 압축하면서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슬라이드하고, 따라서 이것에 연결된 아암(162)이 축부(158)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한다(제10도 T화살표). 이 아암(162)의 회전에 따라 일체의 브러시부(154)는 축부(157),(158)의 회전으로 후방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패달부의 「마루. 다다미측」에서 「융단측」에의 절환동작의 거의 중간점에서 접동축(163)은 접동할 수 있는 긴구멍(171a)내의 최상위에 달하고, 또한 브러시 작동레버(171)가 앞상방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이번에는 접동할 수 있는 긴 구멍(171a)내를 하방으로 되돌아가면서 아암(162)을 다시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벼버스프링(172)은 양단의 열림을 확대하는 방향이 되고 접동축(163), 브러시 작동레버(l71)의 움직임을 조장(助長)하는 역활을 한다.
즉, 패달부 절환의 거의 중간점에서 레버스프링(172)은 사점을 초과하게 되고, 패달부의 절환에 마디운동(節動)을 준다.
최종적으로 패달부의 「융단측」이 넘어지면, 제11도의 상태로 되어 접동축(163)은 접동할 수 있는 긴 구멍(171a)의 긴 하부로 되돌아오고, 아암(162)은 세워진 상태로 되어 이것에 연결된 브러시부(154)는 후횡쪽으로 90°보다 조금 더 회전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마루브러시(176)는 후방향이 되고, 마루브러시 수납부(156)(제5도 참조)내에 수납되어 흡구본체(101) 하면으로부터 끌려 들어간다.
따라서, 마루브러시(176)는 융단을 소제할때 융탄의 털에 파고 들어가서 회전브러시 흡구(100)가 잘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조작력을 크게 할 수가 없다.
또, 브러시부(154)의 측면이 흡구본체(101)의 마루브러시 수납부(156) 주위의 하면과 거의 같은높이로 동일면이 되므로 융탄의 털이 마루브러시 수납부(156)내에 많이 들어가 실질적으로 흡구본체(101)가 융단상에 깊이 들어간 상태가 되어 조작력을 크기 할 수 있더라도 방지된다.
한편, 절환레버(165)의 레버축(166a)에 일체의 스위치 레버(170)는 패달부의 절환동작에 의해 레버축(166a),(166b)을 중심으로 제10도에서 제1l도와 갈이 회전하지만,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달부가「마루·다다미」측으로 넘어진 경우에는 그 선단에서 상폐(常閉)접점을 가진 마이크로 스위치(177)의 작동기판(178)을 가압하여 스위치버턴(179)을 눌러 들어가게 하고, 전동기(109)의 회로를 열어 전동기(109)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회전브러시체(112)의 회전을 정지하게 한다. 이것은 마루나 다다미를 소제할 때, 회전브러시체(112)의 주브러시(118)나 보조브러시(126)가 피소제면상의 먼지를 날려버린다든지 혹은 고속회전하는 주브러시(118)나 비이터(119)가 마루면에 상처를 준다든지 하기 때문이다.
패달부가 「융단측」으로 넘어진 경우에는 스위치레버(170)는 작동기판(178)으로부더 떨어지고 이에 의해 스워치버턴(179)은 자유위치에 되돌아와 있어서, 마이크로스위치(177)는 전동기(109)의 회로를 닫아 전동기(109)가 회전하여 회전브러시체(112)를 구동하게 된다. 주브러시(118), 보조브러시(126), 비이터(119)는 융단의 털속에 먼지를 풀어서 긁어올리는 동작을 행한다.
마이크로 스위치(177)는 스위치 케이스 속에 고정되어 있다.
제2도,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접속관(200)은 합성수지제의 거의 T자형의 파이프이고, 밑부분에 좌우로 뽑아낸 외형 원통형의 회동부(201),(20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회동부(201),(202)의 거의 중앙에 역시 원통형의 연통관(203)이 연결되어 있다. 연통관(203)는 편측의 회동부(202)내에 형성된 엘보우 관부(204)를 통해 회동부(202) 단면의 흡입구와 연락(連洛)하고 있다.
좌우의 회동부(201),(202)의 외주에는 접동칼라(collar)(205)(206)가 있고, 이것들은 흡구 본체(201)의 접속관 지지벽(149a),(149b)내에 끼워맞춰져 있으며 접속관(200)의 좌우의 스톱퍼가 되어 제6도의 화살표와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관(200)의 흡구본체(101)에 대해 전후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입구(148)측의 회동부(202) 단면은 접속관 지지벽(149b)상에서 덕트(174)의 단면과 당접해 있으며 접속관(200)의 회동에 따라 서로 연통을 유지하면서 접동한다.
마디작동돌기(207)는 일방의 회동부(201) 단면에 설치되어 접속관(200)의 회동에 의해 마디작동판 스프링(208)의 돌기(209)를 누르면서 이것을 타고 넘어 접속관(200)의 넘어짐을 방지한다.
전원코오드(180)는 선단에 플러그(181)의 가지며 흡구본체(101) 후면에 설치된 누르게(182)를 통해 흡구본체(101)내에 끌려 들어가 사행(蛇行:meander)으로 눌러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원코오드(180)는 전동기(109)의 리이드선(183), 마이크로 스위치(170)에서의 리이드선(184)과 합착단자(185)에 의해 결선(結線)된다.
차륜(186)은 차축(187)을 본체 상부케이스(102)와 본체 하부케이스(103)로서 형성되는 차륜취부벽에 고정하여 취부된다. 차륜(188)도 마찬가지이다
소차륜(189),(190)(제4도 참조)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 하부케이스(103)와 일체로 형성된 차륜 커버내에서 차축(191)의 회전으로 회동자재로 취부된다.
제2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기(192)는 흡구본체(101)이 본체 상부케이스(102)에 설치된 복수개의 흠(193)이 발지부(拔止部)(194)를 삽입하여 본체 하부케이스(103)에 의해 이것을 서로 눌러 지지함으로써 흡구본체(101)의 전면과 양측면에 취부되어 있다.
전동기(109)는 내부에 자동냉각팬(fan)을 가지고 있으며, 이음매 부착 凹부(195)의 앞벽에 설치된 도입창(導入窓)(196)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전동기(109)의 흡기구(吸氣口)에서 전동기(109) 내부에 인도하여 자동냉각하고 흡기구와 마찬가지로 소풀리(111)쪽 측면의 배기구를 거쳐 흡구본체(101) 측면에 설치한 배출창(排出窓)(197)으로 배출한다. 198,199는 도입창(196), 배출창(197)에 각각 설치한 이물질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는 필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전브러시 흡구(100)로 소제를 하는데는 전원코오드(180)의 플러그(181)를 예컨대, 전기소제기 본체(300)에 설치한 전원에 접속하고, 접속관(200)을 그 클램프부를 이용하요 전기 소제기 본체(300)에 직접 접속한다든가 본체에 연통하는 연장관(도시않음)에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전기소제기 본체(300)를 운전하면 피소제면에서의 먼지를 포함한 기류는 흡입구(133), 보조흡입구(134)로부터 흡구본체(101)내로 들어와 회전브러시실(135) 보조브러시실(136)을 거쳐 도입구(148)에서 덕트(147)내로 들어오고, 덕트(147)를 통과하여 접속관(200)의 흡입구에 이른다. 그리고 흡입구에서 접속관(200)의 엘보우관부(204), 연통관(203)을 통해 접속된 전기소제기 본체(300)에 흡입되어 먼지를 잡을 수가 있다. 여기서 피소제면이 융단인 때는 절환레버(165)의 패달부(168)를 융단측으로 넘긴다.
이때 스위치레버(170)는 마이크로 스위치(177)의 작동기판(178)을 이탈시키고 마이크로 스위치(177)는 전동기(109)의 회로를 닫아 전동기(109)가 운전되고 회전브러시체(112)는 벨트(116)를 통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주브러시체(113)의 비이터(119)는 융단의 털을 두들기면서 풀어 털 사이의 먼지를 떠오르게 하여 주브러시(118)와 보조브러시(126)가 털 사이의 먼지릍 긁어올려 효과적인 소제를 한다. 이때 마루브러시체(153)의 브러시부(154)는 절환레버(165)에 연동하여 후방으로 회전하고, 마루브러시(176)는 마루브러시 수납부(156)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마루브러시(176)가 융탄의 털에 파고 들어가 회전브러시 흡구(100)의 미끄러짐을 나쁘게 하여 조작력을 과대하게 하지 않는다.
피소제면이 마루나 다다미의 경우에는 절환레버(165)의 패달부(168)를 「마루·다다미측」으로 넘긴다.
이때 스위치레버(170)는 마이크로 스위치(177)의 작동기판(178)을 눌러 들어가게 하고 마이크로 스위치(177)는 전동기(109)의 회로를 열어 전동기(109)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회전브러시체(112)는 회전하지 않으며 「마루·다다미」 위의 먼지가 기류에 의한 흡입력만으로 소제되고 회전브러시체(112)의 주브러시(118)나 보조브러시(126)가 」마루·다다미」위의 모래 먼지등을 날리므로 소제의 효율을 띨어뜨리지 않으며 또, 마루면상에 고속회전하는 주브러시(118), 비이더(119), 보조브러시(126) 등에 의해 마루면이 긁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마루브러시체(153)의 브러시부(154)는 질환레버(165)에 연통하여 하방으로 회전하고, 마루브러시(176)는 마루브러시 수납부(l56)에서 하방으로 돌출하여 있으며, 회전브러시 흡구(100)의 조작에 따라 마루, 다다미면을 부드럽게 쓸어 표면에 부착한 먼지를 박리시킨다든가, 움푹 파여진 곳에 들어있는 먼지를 긁어낸다든가 하여 소제효과를 증가시킨다.
본 고안의 상기 1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브러시 흡구(100)의 회전브러시체(112)의 주브러시체(113)에 다시 보조브러시체(114)를 취부하고, 이 보조브러시체(114)를 주브러시체(113)의 일방의 축받이인 볼베어링(121)의 외측에 배치시켜, 이 보조브러시체(114)는 흡구본체(101)의 측단까지 위치시켜지므로 회전브러시체(112)의 측단에서도 융단의 먼지를 긁어올릴 수 있고 방구석, 벽가장자리에 쌓인 먼지도 충분히 제거할수 있다.
그리고, 주브러시체(113) 표면의 주브러시(118), 비이터(119)가 회전브러시체(112)의 회전에 의해(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방향을 제6도의 단면도에서 보면 시계방향) 주브러시(118)가 일종의 축류(軸流)팬이 되고, 제5도에서 좌측에서 우축에로의 기류, 즉 대풀리(115)측에서 보조브러서체(114)에의 기류가 일어나고 이 기류중의 축방향의 기류가 보조브러시체측으로 향한다.
또한, 회전브러시실(135)내에 일어나는 축방향의 기류는 흡입구(133)에서 유입하고 덕트(147)의 도입구(148)까지 이동하는 전기소제기에 따른 기류인데, 이 기류는 주브러시(118)와 비이터(119)에서 일어나는 상기 기류를 조장하게 된다.
이 주브러시체(113)의 회전에 따라 보조브러시체(114)로 향하는 축방향의 기류에는 흡입구(133)에서 흡입된 먼지가 타고 날아간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보조브러시체를 설치하였으므로 보조흡입구(134), 보조브러시실(136), 연락통로(139)를 거쳐 회전브러시실(135)로 유입되는 기류는 상기 축방향의 기류와는 약간 반대쪽의 방향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주브러시체(113)의 회전에 따라 보조브러시체(114)로 향하는 축방향의 기류와, 보조브러시체(114)의 회전에 마른 보조브러시실(136)의 개구인 보조흡입구(134)에서 유입하여 보조브러시실(136), 연락통로(139)를 거친 전기소제기에 마른 기류의 일부가 회전브러시실(135)에 도달하는 개소에서 충돌한다.
이와 같이 주브러시체(113) 및 보조브러시체(114)의 회전에 따른 축방향의 기류는 회전브러시실(135)내의 축받이 부분의 바로 앞에서 충돌함으로써, 축방향으로 흐르는 먼지의 속도를 띨어뜨리고 축받이부의 충돌을 완화한다. 따라서 축받이부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축받이부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회전브러시체(112)의 대풀이(115)측의 평축받이(129)는 축방향흐름의 상류에 위치하고 이곳으로 향한 축방향의 기류가 없으므로 먼지가 날안 들어오지도 않으며 마찬가지로 축받이의 수명은 길어진다.
또, 회전브러시실(135)과 접속관(200)을 연결하는 덕트(147) 부분의 도입구(148)을 흡구본체(101) 중앙에서 보조브러시체(114)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일단측에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기소제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기류중, 보조브러시체(114)가 수납되어 있는 보조브러시실(136) 때문에 보조흡입구(134)로부터 유입되는 기류의 량이 도입구(148)가 흡구본체(101)의 중앙이나 보조브러시체(114)와 반대측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있는 것보다도 많아지고, 보조브러시(126)에 의해 긁어올린 먼지를 보조브러시실(136)이나 연락통로(139)에 남기지 않고 도입구(148)까지 운반할 수가 있어 다시 마루위에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 덕트(147)의 도입구(148)를 회전브러시실(135)과 보조브러시실(136)을 연결하는 연락통로(139)의 회전브러시실(135)측의 근방에 설치하였으므로, 회전브러시실(135) 등에 비해 단면적이 작고 속도가 큰 덕트(147) 부분의 기류의 영향은 덕트(147) 선단의 연락통로(139)에까지 미쳐 연락통로(139)에서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연락통로(139)에 먼지가 걸린다든지 먼지가 체류하는 확율을 저하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회전브러시체(112)의 주브러시(118)가 회전브러시체(112)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대풀리(115)측에서 보조브러시체(114)측으로의 기류의 운반작용에 의해, 덕트(147) 부분의 도입구(148)를 보조브러시체(114)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흡입구(133)의 대풀리(115)측에서의 기류가 적어지고 주브러시(118)에 의해 긁어올려진 먼지가 상기 덕트(147) 부분에 체류하지 않게 된다.
또 절환레버(165)를 절환하여 회전브러시체(112)의 회전을 멈추게하고 기류에 의한 흡입력만으로 마루, 다다미 위를 소제하는 경우에, 보조브러시(114)의 보조흡입구(134)에서 유입하는 기류의 량은 흡구 본체(101) 측단에서의 흡입성능을 결정하고 덕트(147)의 도입구(148)가 보조브러시체(114)측에 있기 때문에 마루, 다다미 위에서의 방구석의 소제효과를 올릴 수 있다.
그리고 흡구본제(101)의 맨 앞부분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하여 선단 박판형의 설편(舌片)인 가요판(143)을 설치했으므로 흡입구(133)에서 발생하는 풍량이 많은 경우에는 이 가요판(143)이 풍압에 의해 크게 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마루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만들고 풍량을 환보하여 풍속을 완화하고, 한편 흡입구(133)에서 발생하는 풍량이 적은 경우에는 이 가요판(143)은 그다지 휘지 않으며 마루면과의 간격을 작게 확보하지마는 마루면에 접촉하여 간격에 의해서만 바람이 통해지므로 풍속이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요판(143)을 취부하였으므로 풍속에 관계하는 흡입력이 풍량이 많은 때나 적은때나 평균화되어 특히 저풍량시의 흡입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브러시와 비이터를 가진 주브러시체의 일방의 축받이부의 외측에 인접하여 보조흡입구와 보조브러시실을 흡입구 본체에 형성하고, 이 보조브러시실내에 주브러시체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브러시를 가진 보조브러시체를 설치했으므로, 흡구 본체 측단에서의 먼지를 긁어올릴 수가 있고 긁어올려진 먼지가 원활하고 흡구본체내를 흘러 방의 구석이나 벽가장자리까지 충분히 소제할 수 있는 전기소제기의 회전브러시 흡구가 얻어지게 된다.

Claims (1)

  1. 하면 앞부분에 흡입구(133)를 가지며, 전동기(109)를 내장한 흡구본체(101)와, 흡구본체의 흡입구에 연통하여 하류에 위치하는 회전브러시실(135)이 배치되어 양단을 축받이로 지지하여 배치되고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주브러시(118) 및 비이터(119)를 가진 주브러시체(113)와, 흡구본체의 뒷 부분에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흉구본체를 전기소제기 본체(3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관(200)과, 흡구본체내에 설치되어 주브러시체의 회전브러시실의 도입구(148)와 접속관의 흡입구를 연통하는 덕트(147) 등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주브러시체(113)를 지지하는 일방의 축받이부의 외측에 인접하는 보조흡입구(134)와 이 보조흡입구의 하류에서 도입구를 덕트(147) 도입구에 연통시킨 보조브러시실(136)을 흡구 본체의 앞부분에 형성하고, 이 보조브러시실내에 주브러시체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브러시(126)를 가진 보조브러시체(11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KR2019830009365U 1980-04-01 1983-11-03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KR830003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365U KR830003007Y1 (ko) 1980-04-01 1983-11-03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365A KR830002501A (ko) 1980-04-01 1980-04-01 전기 소제기용 회전 브러시 흡구
KR2019830009365U KR830003007Y1 (ko) 1980-04-01 1983-11-03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365A Division KR830002501A (ko) 1980-04-01 1980-04-01 전기 소제기용 회전 브러시 흡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007Y1 true KR830003007Y1 (ko) 1983-12-27

Family

ID=2662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365U KR830003007Y1 (ko) 1980-04-01 1983-11-03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30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519B1 (ko) * 2000-07-19 2002-10-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519B1 (ko) * 2000-07-19 2002-10-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0666B (zh) 真空吸尘器的管嘴组件
KR200163307Y1 (ko) 전기청소기
EP2016882B1 (en)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RU2308213C2 (ru) Узел щетки для пылесоса
US20220257071A1 (en) Wet-dry vacuum cleaner device
JP2639155B2 (ja) 電気掃除機
KR830003007Y1 (ko) 전기 소제기용 회전브러시 흡구
JP2000166826A (ja) 電気掃除機
GB2046087A (en) Vacuum cleaner
JP354226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3813811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100572153B1 (ko) 브러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JP2004057365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07307335A (ja) 静電気クリーナー用除埃器
JP4738960B2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と電気掃除機
JP3187346B2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114928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S6032457B2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口
JP2005224415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23169627A (ja) 電気拭き掃除機、掃除機システム、及び、拭き掃除用ヘッド
JPS6057846B2 (ja) 電気掃除機の回転ブラシ吸口
JP200412978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2065525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4057364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3204219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20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