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822B1 - 단형 편평기용 자동편사공급 및 추진벨트장치 - Google Patents

단형 편평기용 자동편사공급 및 추진벨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822B1
KR830002822B1 KR1019800004705A KR800004705A KR830002822B1 KR 830002822 B1 KR830002822 B1 KR 830002822B1 KR 1019800004705 A KR1019800004705 A KR 1019800004705A KR 800004705 A KR800004705 A KR 800004705A KR 830002822 B1 KR830002822 B1 KR 830002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upply
yarn
knitting yarn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475A (ko
Inventor
크리스토포울로스 죤
다이아몬드 버트
이 · 폴로프 데니스
Original Assignee
스테브코크니트 인코포레이티드
스튜어트 스테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브코크니트 인코포레이티드, 스튜어트 스테인 filed Critical 스테브코크니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3000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형 편평기용 자동편사공급 및 추진벨트장치
제1도는 도식적으로 나타낸 단형 편평기의 일부와 함께 도시한 본 발명의 개량된 편사 공급추진장치의 정측면도.
제2도는 편의상 지지구조물의 일부는 잘라내버리고 나타낸 본 편평기의 추진부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단형 편평기 부분은 잘라내 버리고 좌측에서 취한 정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공급륜 조립체와 줄무늬기상자의 상대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선(4-4)에 따라서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공급륜 조립체의 상세한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좌측에서 취한 공급륜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공급륜상에서 편사가 여러가지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공급륜 조립체의 측면 확대로.
제8도는 본 발명의 공급륜 조립체의 다른 예의 측면도.
제9도는 제8도 예의 정면도.
본 발명은 단형 편평기 (circular kniitting machine)에 사용하기 위한 편사공급기와 그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편물작업시에 편사를 여러 공급로에 일정하게 또는 일정하지 않게 공급해야 하는 단형 편평기나 또는 특정한 편사들을 선별하여 단속적으로 공급해야하는 줄무늬상자(striping boxes) 또는 그같은 것이 달린 편평기에 사용하기 위한 자동편사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이 편사공급에 쓰이는 공급륜(feed wheel)의 외주면은 상부의 고마찰 편사전진부와 하부의 저마찰 편사정지부로 구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편평기의 편물작업부위에 있는 편사공급로에 특정한 편사를 필요한만큼 정확히 공급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속도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일련의 벨트를 갖춘 편사공급기 추진장치에 의한 것이다.
적극 편사공급기(positive yarn feed device)라 하면 편물기술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허 제 3,090,215호에 소개된 장치는 공급륜 또는 롤러를 각 편사코온(cone)과 결합시켜 사용한 적극 편사공급기이다. 다수의 공급륜을 편사코온 부근에 원형으로 배열시킴과 동시에 각 공급륜의 주계면에서는 납짝한 테이프를 부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공급륜을 움직이도록 되어있다. 이때 편사는 공급륜의 외주면과 납짝한 테이프의 안쪽면 사이에 끼여 적극 공급된다. 그러나 이 장치에는 특정한 편사의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설비가 되어있지 않음은 물론 편평기를 처음에 시동시키고자 할 경우나 또는 프레스오프(pressoff)가 있은 후에 재시동시킬 경우에 상당한 난점이 대두된다. 특히 주목해야할 점으로서는 이러한 장치는 편사공급을 불규칙하게 또는 단속적으로 해야하는 무늬륜(puttern wheel)이나 무늬상자가 달린 편평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난점의 극복을 시도하여 개량한 편사 공급기가 미국특허 제3,802,228호, 제3,418,831호, 제3,950,966호 및 제 4,043,155호로서, 제 3,802,228호의 적극편사 공급기는 편물작업시에 수동으로 동작을 중단시켜 편평기를 재정비하거나 또는 적당한 시간간격으로 몇개의 공급기를 수동으로 우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3,651,668호의 장치는 편사를 적극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편사를 비공급상태로 둘수 있는 설비도 갖추고 있으나, 상기한 두 장치 어느것에도 공급 및 비공급 상태간을 자동으로 오고 갈 수 있는 설비가 되어있지는 않다.
특히, 제 3,418,831호의 장치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적극 공급성능을 자동으로 발휘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전기 및 기계를 이용한 장치는 올바른 때에 편사를 공급륜표면과 납짝한 테이프 사이에 배치시키는데 모두 편사안내지주를 제1편사 정지위치에서 제2편사 젼진위치로움직일 수 있게끔 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복잡하다.
미국특허 제 3,750,966 및 4,043,155호의 장치는 하중팔(weighted arm)과 마찰장치 결합체를 편사 그자체에 이용하여 편사를 공급상태에서 비공급상태로 움직이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마찰량과 균형축의 위치가 개별적인 각 편사공급시에 정확하게 조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상당히 든다.
편평기의 동작시에 편사가 코온으로부터 끌려나올 때에는 공급장치로 들어가는 편사의 장력과 표면 마찰력이 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균형추와 마찰장치를 재조정 해야 만 동작이 올바르게 유지된다. 그렇지 않으면 편사가 과공급되거나 하중팔의 축격(hunting of the weighted arm)으로 인해서 적극 공급장치가 완전한 동작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특화 제 3,90,966 및 4,043,155호의 장치는 공급상태에서 편사를 공급륜의 원주면과 테이프 사이로 안내하지만, 원주면이 고마찰부와 저마찰부로 되어있는 공급륜을 갖츤 공급장치를 시중에서 구해서 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스프링으로 제어된 팔을 이용하여 편사를 공급 위치에서 비공급위치로 움직이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특허 제 3,950,966 및 4,043,155호의 장치에서와 동일한 이유때문에 만족스럽지가 못하다. 이들 장치는 모두 기정된 일정한 변수(예컨대, 균형추나 스프링의 작용력 : 편사표면의 마찰력)를 이용하여 코온상에 감긴 편사의 장력이나 편사표면의 분균일성과 같은 편물공정 고유의 변화에 반응토록 되어있다.
여러 공급륜에 따라서 여러평면에 존재하는 축진벨트를 이용한 편사공급 추진장치가 있으나, 미국특허 제 3,785,176호에서와 같이 동일한 각각의 주변속도로 추진되는 다수의 추진벨트를 이용하거나 미국특허 제 3,243,091호에서와 같이 납짝한 테이프와 맞대어져 돌아가는 원둘레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는 비교적 복잡하고 비싼 추진륜을 이용하도록 되어있다.
대체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공지기술의 결점을 하나 또는 그이상 해소시킨 개량된 편사 적극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는 다수의 공급륜을 결합하고 있는 개량된 적극 편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 공급륜의 외주면은 고마찰 재료로 싸인 상부와 표면을 부드럽게 연마한 강(steel)과 같은 저마찰 재료로된 하부로 구성된다. 편사는 고정된 편사도입 안내로를 통하여 공급륜의 상부 고마찰면을 따라 안내된다. 편사가 행침에 끌려 장력을 받으면 회전공급륜의 고마찰표면에 의해서 적당한 속도로 견인된다. 공급륜은 여러 수평면에 각기 배치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추진벨트중 하나에 의해서 회전된다. 각 추진벨트는 본 발명의 추진 장치에 의해서 각기 다른 원주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편사의 필요 및 불필요시에 사실상 곧바로 반응하는 편사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사공급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서도 무늬륜이나 무늬상자와 같은 것이 달린 편평기에 편사를 일정하게, 일정하지 않게 또는 단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동 편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편사에 대하여 조정할 필요가 거의 없는 동시에 이동시켜야할 부분이 거의 없는 편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평기를 시동시키기 위하여 또는 편사가 끊어진 후에 재시동시킬 경우에 손으로 비공급위치에서 공급위치로 또는 공급위치 에서 비공급위치로 옮길 필요가 없는 편사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존하는 편평기에 쉽사리 설치할 수 있는 편사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편사들을 서로 다른 각종의 공급속도로 공급할 수 있는 편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가지 속도로 할 수 있는 V-벨트도르래(pulley)와 같은 쉽사리 구할 수 있는 경제적인 부품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편사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목적에 따른 일예의 편평기용 적극편사 공급장치는 설치대위에 공급륜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 공급륜의 외주면은 그 수직축에 직교하는 중심만에 의해 상부 및 하부로 구분된다. 이 외주면의 상부는 비교적 고마찰면으로 되어있으며, 하부면은 비교적 저마찰면으로 되어있다. 공급륜 회전장치도 설치된다. 편사 안내장치를 설치대위에 공급륜과 관련되어 작용하도록 고정설치하는데, 편사도입안내로는 이 고정된 편사안내장치속에 설치된다. 편사도입안내로의 밑바닥 출구면은 공급륜의 중심면 윗쪽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편사 안내장치의 편사도입안내로에서 나오는 편사가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공급로를 갖춘 편평기에 달린 지지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극 편사 공급장치용 추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제1편사 공급륜 대열은 지지대에 달린 지주위의 제1공통 수평면에 회전할수있도록 설치되며, 제2편사 공급륜대열은 지지대에 달린 지주위의 제2공통수평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추진장치는 제1편사 공급륜 대열과 연결되며, 제2축진장치는 제2편사 공급륜 대열과 연결된다. 제1추진 장치와 제2추진장치의 작동장치는 추진대에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으로 수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제1회전축의 한끝에는 여러가지속도로 회전될 수 있는 제1도르래를 부착시키고 다른 끝에는 제1도르래의 회전에 따라 제1공통평면안에서 들 수 있도록 출력도르래를 부착시키는 한편, 제2회전축의 한끝에는 여러가지 속도로 회전될 수 있는 제2도르래를 제1도르래의 공통평면안에 부착시키고 다른 끝에는 제1도르래의 회전에 따라 제1공통 평면안에서 돌 수 있도록 출력도르래를 부착시킨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및제2도르래를 추진시키기 위하여 추진축을 설치하고 이 추진축에는 추진도르래를 제1및 제2도르래와 공통평면안에 존재하도록 부착시킴과 동시에 서로 동력연결시킨다.
본 발명에 대해서 바람직한 예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특히, 제1도에는 단형편평기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해 개량된 편사 공급장치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줄무늬기상자(12)를 쓰는 편평기와 함께 도시하였는데, 각 줄무늬기 상자에는 교대로 공급되는 네개의 편사(Ya, Yb, Yc 및 Yd)가 표시되어있다. 통상 편평기는 서른두개의 줄무늬상자와 128개의 편사 및 이와 관련된 편사 공급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는 특정한 무늬에 따른 편사나 편사의 공급량을 맞출 수 있도록 각 편사의 공급속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는 설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편사공급구조물 (10)에는 통상편사코온(도시안했음) 밑에서 단형편평기의 기본적인 편물 작업부위에 고정지지된 링 (14,16)에 부착된 다수의 공급륜 조립체 (11)가 포함된다. 줄무늬상자 (12)는 각 공급로에 공지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줄무늬기상자 (12)에 사용된 네개의 서로 색의 다른 편사 (Ya, Yb, Yc 및 Yd)는 각각 별개의 공급륜조립체 (11)에 의해 전진된다. 네개의 공급륜 조립체 (11)를 고정된 링(14 또는 16)에 쉽게 매달수있도록 짧은 지주 (20)와 긴지주 (22)를 교대로 배치시킨다. 각 공급륜조립체는 짧고 긴 지주 (20,22)에 각각 공급륜(18,19)을 회전식으로 설치하여 구성한다. 그 밖의 공급륜 조립체 (11)를 구성하는 부품은 제 4-7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고정링 (14)의 주변을 따라서 설치된 짧은 지주 (20)에 매달린 다수의 공급륜 조립체 (18)는 제1회전수평면을 형성하며, 고정링 (14)에 설치돈 긴 지주 (22)에 매달린 다수의 공급륜 조립체 (19)는 제1회전 수평 면 밑에서 제2회전 수평면을 형성한다. 비슷하게, 고정링 (16)에 설치된 짧은 지주 (20)에 매달린 다수의 공급륜 (18)은 제2회전수평면 밑에서 제3회전 수평면을 형성하며, 고정링 (16)에 설치된 긴지주(22)에 매달린 다수의 공급륜 (19)은 제3회전 수평면 밑에서 제4회전 수평면을 형성한다.
각 공급륜 (18,19)은 중심테(28)에 의해서 상부의 편사결합부(24)와 하부의 추진부(26)로 구분된다. 제1공급벨트(30)는 제1회전수평면의 고정링에 설치된 각 공급륜(18)의 하부 추진부(26)와 맞물려서 고정링(14)의 주변을 따라 연장된다. 제2공급벨트(32)는 제2회전 평면의 고정링(14)에 달린 공급륜(19)의 하부추진부(26)와 맞물린다. 이와 똑같이 제3공급벨트(34)는 고정량(16)에 달린 공급륜(18)의 하부추진부(26)와 맞물리며, 제4공급 벨트(36)는 제4회전수평면에서 고정링(16)에 달린 공급륜(19)의 하부추진부(26)에 맞물린다. 공급벨트(30,32,34,36)를 납작하게도 시하였으나, "V"벨트 및 원형벨트등과 같이 적당한 어떤 형태의 것도 쓸 수 있다. 사실,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체인 및 V자형의 홈이 있는 벨트등을 포함하는 사실상 어떠한 탄성추진장치를 공급륜 조립체(11)에 사용할지라도 본 발명의 기본정신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공급벨트는 편사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체인등과 같이 윤활제를 필요로하는 추진벨트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더욱 특기할만한점은 동일한 공급벨트를 가지고 서로 다른색이나 섬유로된 편사를 공급할지라도 그 편사들을 더럽히지 않는다는 것으로서, 그 이유는 공급벨트와 편사가 어떤 경우에도 서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추진대 (38)는 통상 단형편평기 추진모터집(40) 부위에 있는 지주(41)에 부착된 상부의 주 버림대(39)에 의해서 단형편평기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의 측으로 뻗어있다. 주 추진축(42)은 추진 모터집(40)에서 윗쪽으로 뻗어서 여러가지 속도를 낼 수 있는 추진기(도시안했음)에 의해서 회전된다. 주 추진도르래(44)는 주 추진축(42)에 부착되며, 주 추진벨트 (46), 바람직하기로는 "V"형 벨트는 주 추진도르래(4)에 의해 돌아간다. 주 추진벨트(46)에 의해서 주 추진도르래(44)에 네개의 다른 도르래가 연결되어 각각 제1, 제2, 제3및 제4공급벨트(30,32, 34; 36) 추진 장치와 연결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가변도르래(48,50,52,54)는 각각 대응하는 젝 (56,58,60 및 62)의 한끝에 부착되어 주 추진도르래(44)의 회전면과 공통의 회전면상에 존재한다. 각 젝축은 추진대(38)에 부착된 상하부지지조립체(64a, 64b)에 의해서 사실상 수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 공급벨트(30,32,34 및 36)는 서로 다른 주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공급 벨트(30)의 회전을 예로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 추진도르래(44)는 주추진벨트(46)에 의해서 제1가변 도르래(48)로 연결된다. 제1가변 도르래(48)는 제1젝축(56)의 한끝에 부착됨과 동시에 제1공급벨트 도르래(66)는 제1젝축(56)에 그 길이를 따라서 제1회전수평면의 높이로 부착된다. 공전도르래(68,68)는 고정링 (14)에서 뻗어나온 공전지주(70,70)에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주 추진축(42)의 회전속도에 대한 제1공급벨트(30)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1가변 도르래(48)의 상하부테(48a 및 48b)는 서로 축방향으로 움직여서 주 추진벨트(46)와 제1가변 도르래(48)가 맞물리는 반경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테(48a 및 48b)를 서로 접근시키면 제1가변 도르래(48)의 유효직경이 늘어남으로써 주추진축(42)에 대한 제1젝축(56)의 회전속도가 준다. 반대로 테(48a 및 48b)를 멀리 떨어뜨리면 주 추진벨트(46)가 제1가변 도르래(48)에 맞물리는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제1젝축(56)의 회전속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제1공급벨트(30)의 속력이 증가한다.
제2젝축(58)에는 제2가변 도르래(50)와 제2공급벨트도르래(72)가 부착되어있다. 제2추진벨트도르래(72)는 제2젝축(58)에 그 길이를 따라서 제2회전평면상에 축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고정링(14)에 설치된 긴 지주(22)에 달린 공급륜(19)의 하부 추진부분(26)과 사실상 일직선상에 존재한다. 제2공급벨트(32는 고정링(14)에 달린 하부지주(78)에 회전식으로 설된치 공전도르래(68)위로 지난다. 제3젝축(60)에는 그에 대응하는 제3가변도르래(60)와 제3공급벨트도르래(52)가 포함되는데 제3공급벨트 도르래(74)는 제3회 전수평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제4잭축 (62)에는 제4가변도르래(54)가 포함됨과 동시에 제4공급벨트 도르래(76는 제4회전 수평면안에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제3및 제4공급벨트(34,36)는 고정링(16)에 매달린 고지주(70) 또는 저지주(78)에 설치된 공중도르래(68,68)에 의해서 적당한 장력으로 유지된다.
제1잭축(56)과 그에 연결된 제1가변도르래(48) 및 제1공급벨트 도르래(66)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제2, 제3, 및 제4가변 도르래(50,52,54)도 모두 그들 각 테를 축방향으로 움직여서 조절할 수 있다. 추진벨트 공전도르래(80)는 추진대(38) 바닥에 달린 회전팔(82)위에 회전식으로 설치됨으로써 추진벨트 공전도르래(80)의 위치는 주추진벨트(46)가 미끄러지지 않게끔 적절한 장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주 추진축(42)의 실제 수직위치는 지주(41)에서 사실상 수평으로 뻗어있는 지지테(4)에 의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추진대 조립체는 더 거친 여덟절단식으로 부터 섬세한 서른두 절단식에 이르기까지 각종의 단형편평기에 실제적인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추진 조립체는 가변도르래만 제외하고는 통상, 편물공업에 이용되는 쉽사리 구할 수 있는 부품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가변도르래의 조정범위가 크기 때문에 실이 더 많이 드는 루우핑 스팃치나 실이 조금드는 조밀한 스팃치 어느 형태로 기계가 조정될지라도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적극 편사공급특징은 제 4-3도를 참조하면 잘알 수 있다. 특히, 제4도에 나타낸 한쌍의 공급륜 조립체(1)는 각각 고정링(14,16)에 부착된 긴 지주(22)에 회전식으로 설치된 공급륜(19)를 포함한다. 작업시에 편사(Yb)는 편사 저장코근(도시안했음)에서 재래식 마찰장치(86)를 통하여 고정링(14)에 달린 상부 공급륜 조립체(11)로 안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초기 마찰이 중요치않다. 편사(Yb)는 고정 편사안내장치(89) 속에 달린 편사 도입로(88)를 통해서 안내되어 공급륜(19)의 상부편사 결합부(24)의 원주면 둘레에 감긴다. 편사(Yb)는 공급륜 조립체(11)에서 편사배출 안내장치(제5도에 도시하였음)를 통하여 빠져나와 재래식 정지운동 조립체(92)를 통하여 줄무늬상자(12)속의 적당한 편사가락(94)에 공급된다.
고정링(16)에 매달린 하부 공급륜 조립체(11)는 편사(Yd)를 편사코온에서 출무늬기상자(12)속의 적당한 편사가락(94)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부 공급륜 조립체(11)에서는 편사(Yb)가 비공급위치에 있는 반면, 하부 공급륜 조립체(11)는 공급위치에 있어서 편사(Yd)가 공급륜(1)의 상부 편사결합부(24)에 맞물려 전진된다. 이 경우에는 편사가락(94d)이 동작하여 편사(Yd)가 짜여진다.
짧은 지주(20)에 회전식으로 설치된 공급륜(18)이 제5도에 확대 도시되어있다. 뚜렸하게 나타내기위하여 짧은 지주(20)를 고정링(14)의 일부에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여 공급륜조립체(11)가 제1공급벨트(30)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였다.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공급륜(18)은 중심테(28)에 의해서 상부편사 결합부(24)와 하부추진부(26)로 구분된다. 공급륜(18)의 상부 편사 결합부는 중심테(28)와 공급륜(18)의 상부테(96)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상부 편사 결합부(24)는 다시 공급륜(18)의 회전축에 직각으로 그 자신의 중앙을 가르는 평면에 의해 편사추진면(98)과 편사 공전면(100)으로 구분된다.
편사추진면(98)은 실리콘, 부틸, 네오프렌등과같이 비교적 마찰력이 높은 재료로만든다. 고마찰면과 편사(Y) 사이의 마찰로인해서 편사(Y)는 공급륜(18)의 주계속도와 사실상 동일한 선속도로 견인된다. 공급륜(18)의 상부편사결합부(24)의 편사공전면(100)은 연마한 금속봉(104)이나 표면은 부드럽게 연마하여 마찰계수가 낮아진 재료로 만들어진다. 편사(Y)가 공급륜(18,19)의 편사 공전면과 접촉하면 둘 사이의 낮은 마찰력으로 인해서 편사는 전진하지 않고 회전하는 공급륜에 접촉한 상태로만 남아있는다.
공급륜(18)의 하부추진부(26)는 중심테(28)와 바닥테(106)로 제한된다. 하부추진부(26)의 원주면은 제1공급 테이프(30)와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회전하는 공급륜(18)의 주계면 속도는 제1공급테이프(30)의 주계속도와 사실상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된 편사안내장치(89)속에 달린 편사도입로(88)는 그 밑바닥 출구면(108)이 사실상 수평면을 이룬다. 이 출구면은 공급륜(18)의 상부편사 결합부(24)를 편사추진면(98)과 편사공전면(100)으로 나누는 중앙평면의 상부에 존재한다. 이 경우 편사(Y)는 공급륜조립체(11)에 의해 추진되어 편사 도입로(88)를 통해 그 출구면과 사실상 동일평면의 위치로 빠져 나온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급륜(18)은 화살표 방향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편사(Y)는 편사 도입로(88)를 통해 출구면(108)을 가로질러 공급륜(18)의 상부편사결합부(24)의 편사추진면(98)으로 견인된다. 공급륜(18)이 계속 회전하면 편사는 화살표방향으로 공급된다.
제7도에 편사(Y)의 공급위치(Pf), 비공급위치(Pn) 및 중간위치 (Pi)가 표시되어있다. 정상가동시에는 편사(Y)가 각 공급륜 조립체(11)에서 공급위치(Pf)나 비공급위치(Pn)로 존재한다. 중간위치(Pi)는 편사(Y)가 비공급위치(Pn)에서 공급위치(Pf)로 넘어가는 순간을 의미한다. 특히 편사(Y)가 줄무늬상자속의 어떤 편사가락이나 또는 무늬륜의 동작에 응하여 행침에 의해 이끌리면 장력을 받아서 상부편사결합부(24)주위로 조여진다. 편사(Y)가 공급륜(18)의 중앙평면위에 있는 편사도입안내로(88)의 바닥출구면(108)으로 안내된다는 사실때문에 편사(Y)는 그가 받는 장력에의해서 비공급위치에서 공급위치로 이동한다. 편사(Y)가 중간위치(Pi)에 있을 경우에는 고마찰면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고마찰면을 따라 견인된다. 사실상 순간적으로 편사(Y)는 화살표와 같이 상방으로 움직여서 공급위치(Pf)로 존재하게 된다. 편사(Y)가 그 자신의 편물작업으로 인해 장력을 받는한 그 편사와 고마찰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적극 공급될 것이다.
줄무늬기상자속의 편사가락을 바꾸던가 무늬륜 또는 캠에의한 변화로인해 편사(Y)가 더이상 필요치 않으면 그 편사(Y)에 더 이상 장력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고마찰면에 대한 편사(Y)의 압력이 떨어져서 편사는 고마찰면에서 벗어나서 아래로 이동되어 공급륜(18)의 편사결합부(24)의 편사공전면(100)으로 가서 비공급위치(Pn)로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위해서는 편사도입(88)의 바닥출구면(108)이 상부편사결합부(24)의 중앙평면 위로 있어야하지만 편사 출구안내장치의 그 중앙평면에 대한 수직위치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편사공급장치에 있어서는 편사배출안내장치가 그 중앙평면의 위,아래 또는 바로 그곳 어느쪽에있든 상관없다.
어떤경우, 특히 편사의 비공급기간이 극히 짧은 경우에는 편사가 중앙평면위에 그대로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경우에도 편사에는 장력이 걸리지 않기때문에 고마찰로 인한 편사의 공급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동작을 최선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편사도입로(88)와 편사배출안내장치(90)를 공급륜(18,19)의 원주면에 대하여 편사의 공급속도가 공급륜의 주계속도와 사실상 일치할만큼 충분히 편사가 공급륜의 주변에 맞물리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서로 다른 섬유를 갖는 편사를 사용할때는 편사도입로(88)와 편사배출 안내장치(90)의 공급륜(18,19)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켜 공급륜의 원주면에 대한 편사의 접선점사이의 각을 변화시킨다. 고마찰면과 편사사이의 마찰량이 편사의 성질이나 그 마찰면재료의 성질로 인하여 너무높으면 접선점사이의 각을 줄이고 반대로 그 마찰량이 낮으면 그 각도를 증가시켜 그 원주면에 편사가 더 많이 맞물리도록 한다.
제8도에는 녀개의 따로된 공급륜 조립체(11)대신에 복수형 공급륜(112)을 갖춘 복수형 편사공급륜 조립체(110)에는 다수의 편사 결합부 (124)와 한개의 추진부(126)가 한덩어리로 되어 공통축(128)상에 동심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공급륜 조립체(110)에는 주지주(130)가 포함되어 있어서 이것으로부터 뻗어있는 상합부 지지팔(132,134)에 의해서 축(128)을 사실상 수직위치로 지지한다. 각 편사결합부(124)는 두 인접테(125,125)에 의해 정해진다. 마찬가지로 추진부 (126)는 제8도 및 9및에서 같이 공급륜 조립체(110)의 중심에 위치하거나 또는 임의의 두 편사 결합부(124)들 사이에, 또는 편사결합부 덩어리의 꼭대기나 바닥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형 공급륜(112)은 개별적인 공급륜을 여러개 함께 붙여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 한 덩어리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복수형 공급륜(112)은 한개체로서 회전한다.
복수형 공급륜(112)의 각 편사 결합부(124)는 축(128)에 직각으로 그 자신의 중앙을 가르는 평면의 양쪽으로 편사추진면(136)과 편사 공전면으로 구분된다. 편사추진면(136)은 본 발명의 예로서든 바와같이 고무(140)띠와 같은 비교적 마찰력이 높은 표면으로 되어있다. 고정된 편사안내장치(142)는 복수형공급륜(112)의 각편사 결합부(124)와 연결된다. 제9도 및 제9도의 본 발명의 예를 보면 내개의 고정된 편사내장치(142)가 있다. 각 고정된 편사 안내장치(142)의 속에는 편사도입로(144)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편사도입로(144)의 바닥 출구면(14)은 대응하는 편사결합부(124)의 중앙평면위로 사실상 수평하게 배치된다. 또한 각 고정된 편사 안내장치(142)는 편사배출안내장치(150)를 포함한다. 편사배출안내장치(150)는 복수형 공급륜(112)의 편사결합부(124)에 인접배치되며, 편사배출 안내장치(150)의 중앙평면에 대한 위치는 중요치 않다.
동작시에 복수형 편사공급륜 조립체(110)의 복수형 공급륜(112)은 추진벨트(148)에 의해서 제9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돌아간다. 제9도에서 꼭대기 편사(Ya)로 나타낸바와 같이 특정한 편사가 사용될때에는 행침에 의해서 편사에 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편사는 편사추진면(136)의 고마찰면에 단단히 조여진다. 편사가 쓰여지고 있는 한 복수형편사 공급륜 조립체(110)의 자동추진 작용에의해 편사가 계속 공급된다. 그러나 더이상 그 편사가 필요치 않으면 편사에 걸린 장력이 사라짐으로써 편사는 사실상 순간적으로 아래로 떨어져서 고마찰면을 벗어나 중앙평면을 지나서 제8도 및 9도에 Yb 및 Yd의 위치로서 표시한 바와같이 편사공전면(138)상의 위치로 오게된다. 어떤경우에는 편사가 중앙평면 윗쪽에 있을 경우로 있으나 편사에 장력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고마찰면에 의한 편사의 추진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편사가 공전또는 비공급위치에서 추진 또는 공급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제8도 및 제9도에서 편사(Yc)로 표시하였다. 특히, 제7도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8도 및 제9도도에서 편사 (Yc)는 사실상 순간적으로 고마찰면상으로 올라가서 제8 및 9도에 도시한 복수형 공급륜(112)의 꼭대기 편사 결합부(124에 도시한 위치로 유지된다. 동시에 편사(Ya)는 제8도 및 제9도의 편사(Yb 및 Yd)에 대해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한다.
복수형 편사공급륜 조립체 (110)를 사용하면 자동 복수형 편사 공급장치를 더욱 조밀하게 배열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재래적 단일 편사 공급장치 및 단일 추진 벨트로된 현존하는 단형 편평기에 간단히 첨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복수형 편사조립체(110)를 이용하면 각 편사의 공급속도를 따로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결점은 복수형 편사공급 조립체(110)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는 점과 그 설치공간이 작아진다는 점으로서 극복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하나의 편사추진면에 둘, 셋 또는 넷 이상의 편사 결합부(124)가 결합된 구조물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추진특징은 공지기술의 장치에 비해 수많은 장점을 지닌다. 가장 뛰어난점은 편사필요에 따라 자동추진됨으로써 줄무늬가 더욱 균일하게 짜여지도록 하거나 칫수안정도가 더욱 높은 재카드 직물은(Jacquard fabric)을 얻을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줄무늬기상자와 함께 사용되어 그 상자의 작용에따라 임의로 적절한 편사를 단속적으로 적극 공급토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무늬륜에 사용하여 편사의 불균일한 공급을 필요로 하는 재카드무늬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편사를 적극공급하면 직물의 외양과 품질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자동줄무늬를 사용할때는 편사변화로 인하여 형성되는 일반적으로 이음매라고하는 다른 종류 또는 다른 색갈의 수직 개재직물부위로 행침을 이동시켜야 한다. 이 이음매부위가 공급장치로 넘어갈때는 언제나 행침의 수가 작은 수로 실이덜든다. 그러나 공지기술에 의한 편사공급장치는 전형적으로 편사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거나 또는 이음매부위 및 이음매의 하류에서 행침으로 편사가 과공급되므로 그 속도를 줄여야 할 경우에 너무 늦게 반응한다. 빈번한 과공급 현상으로 인하여 바느질이 느슨해짐으로써 종종 이음매 부위에서 행침의 랫취(Latch)가 구멍을 뚫지 못하거나 이음매의 하류에 있는 재료에 느슨하고 불균일한 바느질이 이루어진다. 그러나본 발명은 편사의 필요량이 줄어들면 사실상 즉시로 반응하여 과공급문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사 공급자치의 다른 장점은 편평기를 시동시킬때나 프레스 오프 후에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편사가 끊어진 후 재시동시킬 경우에도 공급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특히 본 발명의 편사공급장치는 편사에 장력이 걸리지 않으면 공급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편평기를 손으로 조작할때 쓸데없이 편사가 과도하게 공급되지 않으므로 엉키거나 끊어질 염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한 편평기를 쓰면 직물생산이 상당히 증대된다. 몇몇 공지기술에 의한 편사공급장치는 그러한 곤란을 피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비공급위치로 놓여질 수 있지만 다른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있다. 즉, 조작자가 각 공급장치를 편사공급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을 잊으면 생산된 직물이 불균일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편사공급장치는 위치를 이동시켜야할 부품이 거의 없으며, 초기시동시에 거의 조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편사도입로의 바닥출구면의 공급륜의 편사 결합부에대한 공간적인 위치는이미 결정되어 있으며 져조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편사공급장치는 편사코온에 실이 감겨진 상태의 변화로인해 일어나는 초기장력이나 장력의 불균일성을 편사가 공급장 공급되기전에 없애버린다. 수많은 공지기술에 의한 편사위치와 달리, 초기장력의 변화가 본 발명의 공급장치의 동작에 특히, 이음매에서, 변화가 일어난다던지 또는 안난다던지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행침이 편사를 필요로 할때는 즉시 기정된 최소량의 장력이 행침에의해서 편사에 가해짐과 동시에 공급륜에 의해 편사가 일정한 장력으로 기정된 속도로 공급된다면 또는 다중면사 편물, 저지 바느질(Jersey stitch)에 대해서는 편사에 최소한 5g의 장력을 가하면 적극 공급이 이루어진다. 초기장력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라도 편사의 적극 공급에는 상관없다.
상술한 예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 특징들중 몇가지만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따라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급륜(feed wheel)을 그 설치대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공급륜 (18 또는 19)은 그 수직축에 직교하는 중앙평면에 의해 비교적 표면의 마찰력이 높은 상부(98)와 표면의 마찰력이 낮은 하부(100)로 구분된다는 것과 편사 안내장치(Yarn guide means)(89)는 상기의 설치대위에 공급륜과 관련되어 작용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된다는 것과 이편사 안내장치속의 편사도입로(Yarn inlet guide)(88)의 바닥출구면은 평면으로 되어 공급륜의 중앙 평면 위로 존재함으로써 그편사 도입로에서 나오는 편사는 공급륜의 상부로 안내된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평기용 적극편사 공급장치(positive yarn feed device).
KR1019800004705A 1979-12-11 1980-12-11 단형 편평기용 자동편사공급 및 추진벨트장치 KR830002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45379A 1979-12-11 1979-12-11
US102,453 1979-12-11
US102453 1979-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475A KR830004475A (ko) 1983-07-13
KR830002822B1 true KR830002822B1 (ko) 1983-12-26

Family

ID=2228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705A KR830002822B1 (ko) 1979-12-11 1980-12-11 단형 편평기용 자동편사공급 및 추진벨트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S5696941A (ko)
KR (1) KR830002822B1 (ko)
DE (1) DE3046003A1 (ko)
ES (1) ES8202072A1 (ko)
FR (1) FR2471428B1 (ko)
GB (1) GB2065723B (ko)
IT (1) IT11346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3159A (en) * 1981-05-29 1984-11-20 Savio & C. S.P.A. Yarn feeding apparatus for multi-fall knitting machines
GB2138846B (en) * 1983-04-27 1986-04-23 Triplite Ltd Yarn feed device
GB8311503D0 (en) * 1983-04-27 1983-06-02 Triplite Ltd Yarn feed device
JPS60188272A (ja) * 1984-03-06 1985-09-25 Fukuhara Seiki Seisakusho:Kk 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DE3412550A1 (de) * 1984-04-04 1985-10-17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470 Albstadt Vorrichtung fuer positive fadenlieferung an textilmaschinen
DE3711558C1 (de) * 1987-04-06 1988-06-23 Sipra Patent Beteiligung Fadenliefervorrichtung fuer Strickmaschinen
JPH0733621B2 (ja) * 1988-03-18 1995-04-12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EP0350976A1 (en) * 1988-07-11 1990-01-17 Jen-Fu Chen A synchronous yarn feeding device
US5048312A (en) * 1989-10-27 1991-09-17 Chen Jen Fu Slip-proof elastic yarn feeding ring device removably mounted on yarn-feeding drum
GB9022615D0 (en) * 1990-10-18 1990-11-28 Triplite Ltd Yarn fe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33959A (fr) * 1954-06-18 1957-04-04 Stibbe G & Co Ltd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dispositifs d'alimentation de fil des machines à tricoter
US3361317A (en) * 1965-01-11 1968-01-02 Levin Nathan Yarn furnishing means for knitting machines
FR2141482A1 (en) * 1971-06-03 1973-01-26 Inst Textile De France Knitting machine yarn feed device - using high friction drive roller around which yarn passes
CH591589A5 (ko) * 1974-03-12 1977-09-30 Iro Ab
FR2278817A1 (fr) * 1974-07-17 1976-02-13 Inst Textile De France Dispositif d'alimentation en fil pour metier de bonneterie
GB1584259A (en) * 1976-08-16 1981-02-11 Iro Ab Methods and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 control systems
DE2836716C2 (de) * 1978-08-22 1980-04-30 Ab Iro, Ulricehamn (Schweden) Positive Fadenliefervorrichtung für Ringelvorrich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65723A (en) 1981-07-01
KR830004475A (ko) 1983-07-13
FR2471428A1 (fr) 1981-06-19
GB2065723B (en) 1983-11-02
DE3046003A1 (de) 1981-09-03
IT8026543A0 (it) 1980-12-10
ES497587A0 (es) 1982-01-16
JPS5696941A (en) 1981-08-05
ES8202072A1 (es) 1982-01-16
FR2471428B1 (fr) 1985-07-12
IT1134654B (it) 1986-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8560A (en) Positive type yarn feed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KR830002822B1 (ko) 단형 편평기용 자동편사공급 및 추진벨트장치
US6283397B1 (en) Variable and steady yarn feeding apparatus
US6834517B1 (en) Yarn feeding system
US3090215A (en) Device for guided feeding of yarn to knitting machines
US4671083A (en) Driving apparatus in take up unit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481794A (en) Yarn feed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4138866A (en) Yarn delivery apparatus, especially for knitting machines
US3847099A (en) Ribbon feeding attachment for sewing machines
US4028911A (en) Inclined pin wheel for yarn storage drum
US3361317A (en) Yarn furnishing means for knitting machines
DE3205450C2 (de) Selbsttaetige, zwangsgesteuerte fadenzufuehrungsvorrichtung
US6270032B1 (en) Variable or steady yarn feeding apparatus
US2744399A (en) Yarn feeding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EP0623696B1 (en) Yarn feeding system for high speed knitter
KR19990077813A (ko) 얀 주행 동작이 개선된 얀 공급기
US2627738A (en) Elastic yarn feeding means for
US4026127A (en) Roll feed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489899A (en) Yarn feeding apparatus for multi-feed knitting machines
US4571958A (en) Yarn feed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stripers
CN111020851B (zh) 一种大圆机的纱线张紧装置
US3651668A (en) Yarn feeding means for knitting machines
US3478945A (en) Yarn supplying means for knitting machines
JPH0224942B2 (ko)
CA1153570A (en) Self actuating yarn feed and drive belt arrangement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