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629B1 - 전자식 동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동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629B1
KR830002629B1 KR1019800003767A KR800003767A KR830002629B1 KR 830002629 B1 KR830002629 B1 KR 830002629B1 KR 1019800003767 A KR1019800003767 A KR 1019800003767A KR 800003767 A KR800003767 A KR 800003767A KR 830002629 B1 KR830002629 B1 KR 83000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tuning
boundary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985A (ko
Inventor
굿챠일드 노리 헨더슨 죤
죠셉 매츠로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83000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20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where the scanning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 H03J7/22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where the scanning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in which a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circuit is brought into action after the scanning action has been stopp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33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for voltage synthesis with a D/A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동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 구체적 실시예의 동조장치로 구성시킨 텔레비젼 수상기의 개략적인 계통도.
제2도는 제1도 동조장치 동조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3도는 제1도의 동조장치에 포함된 메모리의 구조를 나타낸 테이블.
제4a도 내지 제4e도는 제1도의 동조장치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5도는 제1도 동조장치에 의해 발생된 신호파형도.
본 발명은 전자식 동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동조전압의 크기에 따라 전압제어 튜너의 동조 주파수를 결정하게 하여 라디오 및 텔레비젼 수상기를 동조하는 여러 가지의 전자식 동조장치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동조장치는 다음의 세 그룹 중의 어느 하나로 분류된다. 다음의 세 그룹의 장치는 (1) 튜너에 의하여 발생된 국부발진기신호의 주파수가 기준신호에 비교되는 동조전압을 발생시키는 폐루프로 이루어진 주파수 합성형 동조장치와, (2) 선택하고자 하는 각 채널에 대한 동조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2진 신호를 기억시키게 한 메모리와 각각의 채널이 선택되었을 때 2진 신호를 적당한 크기의 동조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로 구성시킨 메모리형 동조장치와, (3) 허용 가능한 수신특성을 갖는 RF반송파를 검출할 때까지 튜너가 동조되는 주파수를 소인(sweep)하도록 램프(ramp)형 크기 특성을 갖는 동조전압을 발생시키는 서치(search)형 동조장치가 있다.
주파수 합성형 동조장치는 비교적 정확하나 일반적으로 고속의 분주기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값이 비싸다. 메모리형 동조장치는 주파수 합성형 동조장치보다 저렴하나, 근본적으로 개방 루프장치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확하지 못하다. 서치형 동조장치는 고속의 분주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주파수 합성 동조장치보다 저렴하며 그들의 폐루프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메모리형 동조장치보다 더욱 정확하다. 그러나 서치형 동조장치는 채널선택의 용이한 점에 대해서는 주파수 합성 동조장치 및 메모리형 동조장치에 비하여 덜 유리하다. 특히 주파수 합성형 및 메모리형 동조장치에 있어서, 동조처리는 션택채널을 나타내는 2진 신호가 발생되므로써 시작된다. 그러므로 10자리 수와 단단위 숫자의 그에 관련된 체널번호에 해당하는 키보드의 숫자키를 누르므로써 직접적으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채널 선택장치가 주파수 합성형 및 메모리형 동조장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종래 서치형 동조장치에서도 동조치리가 허용가능한 수신특성을 가진 RF반송파를 검출하므로써 시작되므로, 서치형 동조장치가 직접적인 채널선택에는 특별히 작합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서치형 동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서치형 동조장치의 구체적 실시예는 동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수신기를 동조시키는 발생기와, 허용가능한 수신특성을 가진 RF반송파를 검출했을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로 구성시키면서, 동시에 채널을 직접적으로 선택하는 채널선택장치를 설치한 서치형 동조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는 선택하고자 하는 각 채널의 동조제어신호 범위에 대한 경계를 나타내는 2진 신호를 기억하도록 여러 개의 기억위치를 갖게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채널이 키보드에 의하여 직접 선택될 때 선택된 채너과 관련된 두 가지 경계중 어느 한 경계를 기억하는 메모리 검출작동이 제어기에 의하여 어드레스되며 그 내용(content)이 동조제어신호와 그들 경계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비교기에 인가된다. 제어기의 제어하에서 어드레스된 메모리 위치에 기억된 경계에 도달될 때까지 발생기가 동조 제어신호의 크기를 적당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한다.
그후 검출기는 허용가능한 수신특성을 가진 RF반송파를 검출하도록 작동된다. 허용가능한 RF반송파는 제어기의 제어하에서 즉시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기는 동조제어신호의 크기를 허용가능한 RF반송파가 검출될 때까지 경계들 사이에서 교대로 증가 및 감소시키도록 한다. 또한 수신기가 채널에 대한 RF반송파의 일시적 부재중에 다른 반송파에 동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채널에 관련된 두 가지 경계를 기억한 메모리위치는 미리 결정된 속도로써 교대로 어드레스된다. 동조제어전압이 두 가지 경계를 초과했을 때 발생기는 제어기의 제어하에서 동조제어신호의 크기를 적당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 동도제어신호를 선택채널에 대한 두 가지 경계 사이에 다시 있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텔레비젼 수상기는 선택채널에 관련된 RF원(3)에 의하여 발생되게 한 다수의 RF반송파중의 특정한 어느 한 방송파가 선택된 RF반송파를 동조시키기에 적합한 주파수를 가진 내부에서 발생되는 국부발진기 신호와 헤테로다인되게 하여 화상 및 음성 반송파 성분을 가진 IF신호를 발생시키게 한 튜너(1)가 설치된다.
IF신호는 IF신호처리기(5)에 의해 여파 및 증폭된다. 명도 및 색도 신호처리기(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음)로 구성시킨 화상처리기(7)는 IF신호의 화상성분으로부터 적, 녹 및 청의 칼라구동신호를 발생시킨다. 영상관(9)은 칼라구동신호에 해당하는 세 개의 전자비임을 발생시킨다. 동기처리기(11)는 영상관(9)의 스크리인상에 가시응답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자비임의 편향을 제어하도록 편향유니트(13)에 의해 사용되는 IF신호의 화상성분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동기펄스를 유도한다. 음성처리기(15)는 IF신호의 음성성분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유도하고, 스피커(17)는 이 음성신호에 음답하여 가청응답을 발생시킨다.
자동이득제어(AGC)기(19)는 IF신호의 진폭에 응답하여 IF처리기(5) 및 튜너(1)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AGC 신호를 발생시킨다. 자동미세 동조(AFT)변별기(21)는, 실예를 들면 미합중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45.75메가헤르쯔인 소정치 또는 정규치로부터 IF화상성분의 주파수 편차를 나타내는 일반적으로 S자형인 전압대 주파수 특성곡선의 AFT신호를 발생시킨다. 수상기에 대한 작동전압은 전원(23)에 의해 발생된다.
수상기의 여러 부분(동조제어장치 제외)은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알 씨 에이 서비스 데이터 화일 씨-4, 1978년"에 기술되어 있고 인디아나, 인디아나 폴리스의 알 씨 에이사에 의해 제작된 CTC-칼라텔레비젼샤시의 해당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튜너(1)는 RF원 및 국부발진기(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음)를 포함한다. RF처리기는 RF원(3)에 의해 발생된 여러 가지 RF반송파로부터 어느 한 RF반송파를 선택하기 위해 필터장치내의 동조회로를 포함한다. 국부발진기는 그의 발진주파수를 결정하는 동조회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동조회로는 선택된 채널이 속하는 즉 2 내지 6VHF 채널용 VL, 7 내지 13VHF 채널용 VH, 14 내지 83VHF 채널용 U등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동조제어장치(25)에 의해 발생된 대역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인덕턴스 소자로 구송되어 있다. 선택된 인덕턴스 소자는 동조회로의 동조영역을 결정한다. 또한 각각의 동조회로는 동조제어장치(25)에 의해 발생된 동조제어전압(TCV)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 값을 가지는 바렉터(varactor) 다이오드와 같은 전압을 가변할 수 있는 캐패시턴스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캐패시턴스 소자값은 동조회로가 동조되는 특정한 주파수를 결정한다. 선택된 채널의 작용으로 TCV으 크기를 나타내는 도표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동조제어장치(25)는 종래 기술의 서치동조장치의 채널선택은 "위" 또는 "아래"의 채널선택 압압버턴을 압압하여 동조장치가 현재의 동조된 RF반송파 다음에 허용가능한 수신특성 곡선을 가진 제1의 비교적 높거나 낮은 RF반송파를 동조하게 하는 간접적인 방식이었으며,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의 서치형 동조장치에서의 채널선택은 소정채널의 채널번호에 대한 십자리수와 한자리수에 해당하는 계산형 키보드의 두 가지 압압버튼을 연속적으로 압압하게 한 직접적인 방식이다.
동조제어장치(25)에는 램프 발생기(27)가 설치되어 있어 TCV를 발생시키며 TCV의 크기가 여러 가지의 변화비로써 선택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되게 한다. 램프발생기(27)는 예를 들면, 반전 및 비반전 입력을 가지는 연산증폭기와 부궤한 배열(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음)내으 반전입력 및 반전출력간에 결합된 캐패시턴스 회로망으로 이루어진 적분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TCV의 크기는 저항회로망을 통해 연산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정극성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는데 의해 증가되고, 정극성전압을 다른 저항회로망을 통해 반전입력에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는데 의해 감소된다. TCV의 변화비는 저항회로망의 저항치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의해 증가되고 저항회로망의 저항치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데 의해 감소된다.
복수의 메모리위치를 가진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M)(29)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동조전압영역, 즉 채널 2 내지 83의 하부 및 상부 경계를 나타내는 2진 신호를 기억하는 동조장치(25)내에 설치된다. 제3도는 경계들이 경계의 프로그램 가능한 일기전용메모리(26)에 기억되는 방법을 도해적으로 설명한다.
대역내의 채널에 대한 경계는 사실상 인접채널의 화상 반송파 공칭주파수간의 주파수 중심에서의 TCV의 크기와 동일하다. 그 결과로서, 각각의 이들 경계전압은 한 채널에 대한 TCV영역의 상단부와 그 다음 채널에 대한 동조전압의 하단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낮은 VHF대역에서 2+,3+,4+및 5+로 표시된 경계는 각각의 채널 2,3,4 및 5에 대한 TCV영역의 최대크기에 일치하고 이와 아울러 채널 3,4,5 및 6에 대한 TCV영역의 최하크기와도 개별적으로 일치하며, 이에 따라 3-,4-,5-및 6-로 식별된다. 부가하여, TCV대채널(제2도 참조)이 불연속성이므로 사실상 각 대역에서 가장 낮은 채널, 예를 들면, 2-에 대한 TCV영역의 가장 낮은 크기와 동일한 경계와, 또한 각 대역에서 가장 높은 채널, 예를 들면 6+에 대한 TCV영역의 가장 높은 크기와 동일한 경계는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모리(29)내의 연속메모리 위치내에서 기억될 수도 있다. 경계의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모리(29)에 기억된 정보가 선택하고자 하는 여러 채널에 대한 TCV영역의 개시 및 종료를 규정하므로, 상기의 D/A메모리형 동조장치의 경우에서와 같이, 채널과 관련된 RF반송파에 수상기를 동조시키는 것이 정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동조제어전압대 채널특성곡선이 수상기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경계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ROM)는 읽기전용메모리(ROM)보다는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모리가 더 바람직하다. 경계의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모리(29)에 경계를 기억시키는 장치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컴퓨터(33)는 동조제어장치(25)의 제어장치이다. 마이크로컴퓨터(33)는, 동조제어장치(25)의 다른 부분으로 2진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부분으로부터의 2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출력포오트와, 입력포오트에 의하여 수신된 2진 신호의 논리레벨이 의거한 논리적 결정을 하고 그에 따라 출력포오트를 경유하여 전송된 2진 신호를 발생시켜 동조제어장치(25)의 나머지 부분을 제어하느 중앙 연산처리기(CPU)(특별히 도시않됨)와, 중앙연산처리기의 작동은 제어하여 차례로 동조제어장치(25)의 나머지 부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2진 신호를 기억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모리(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음)로 구성된다. 입출력 포오트는 알 씨 에이사로부터 입수가능한 CDP 1802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로리는 온 인텔사로부터 입수가능한 CDP 1802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모리는 온 인텔사로부터 입수가능한 2758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실제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33)에 내장된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모라는 경계의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전용메모리(29)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동조제어장치(25)에 사용된 2진 신호의 논리레벨은 정의 논리구조로 선택된다. 마이크로컴퓨터(33)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가 제4a도 내지 제4e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마이크로컴퓨터(33)가 제4a도 내지 제4e도의 플로우챠트에 기술된 논리작동을 하고 집적회로내에 동조제어장치(25)의 다른 부분과 협동하도록 설계된 결합 논리회로로 대치될 수도 있다.
채널은 채널번호의 십자리수 및 한자리수와 관련된 계산기형의 키보드(31)의 압압버튼(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음) 또는 두 개의 키를 연속적으로 압압하므로 선택된다. 키가 압압될 때 2진화 십진법으로 나타내는 4개의 2진 신호, 즉 그에 관련된 숫자가 키보드(31)에 의해 발생된다. 마이크로컴퓨터(33)는 키보드(31)에 의해 연속발생된 채널번호의 두자리수 및 한자리수를 나타내는 4개의 2진 신호의 그룹을 전체의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8개의 2진 신호그룹으로 재구성된다. 이 8개의 2진 신호는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연속동조처리를 제어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33)에 의해 산정된다. 또한 전체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8개의 2진 신호 VL, VH 및 U대역 선택신호중의 적당한 어느 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선택된 채널의 대역을 결정하도록 산정된다. 전체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8개의 2진 신호는 채널번호 표시장치(32)에 인가된다.
새로운 채널이 선택된 후의 동조제어장치(25)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4b도 내지 제4e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로운 채널을 선택한후 마이크로컴퓨터(33)는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앞서 그 이전에 선택된 채널보다 높은 채널번호를 가질 경우 새로이 선택된 채널과 관련된 비교적 낮은 경계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스시키거나, 또는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앞서 선택된 채널보다 낮은 채널번호를 가질경우, 새로 선택된 채널과 관련된 비교적 높은 경계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스시키기 위한 2진 신호를 발생시킨다(이는 새로 선택된 채널과 그 이전에 선택된 채널이 동일 대역내인 것을 가정한 것이며, 다른 상항은 다음에 검토될 것이다). 어드레스된 메모리 위치의 내용은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TCV에 비교되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35)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전압으로 변환된다. 또한 새로운 채널이 선택될때, 마이크로컴퓨터(33)는, 램프(RAMP)신호와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앞서 선택된 채널보다 높은 채널번호를 가질 경우 페스트 업(Fast up)신호나 새로 선택된 채널이 앞서 선택된 채널보다 낮은 채널번호를 가질 경우의 패스트 다운(Fast Down)신호중의 어느 한 가지 신호를 발생시킨다(특히, 제4b도 및 제5도의 "(A)"부분 참고). 램프신호는 TCV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도록 램프발생기(27)을 구동시킨다. 패스트 업신호는 램프발생기(27)가 예를 들면, 밀리초당 0.14볼트인 비교적 높은 비로 TCV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패스트 다운신호는 램프발생기(27)가 패스트 업신호와 대략 동일한 비로 TCV으 크기를 감소시킨다.
TCV 의 크기가 램프신호 및 패스트 업 또는 패스트 다운신호중의 한 가지 신호에 응답하여 급속히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될 때, 동조제어장치(25)의 RF반송파 검출기는 작동되지 않는다(disable). 특히 자동미세동조(AFT)검출기(37), 동기검출기(39) 및 자동이득제어검출기(41)는 자동미세동조 및 자동이득제어신호의 진폭과 동기펄스의 평균값을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산정하여 수신된 RF신호가 허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치된다. 패스트 업 또는 패스트 다운신호중의 어느 한 가지 신호가 발생될 때, 고 논리레벨은 NOR게이트(43)의 해당 입력으로 인가된다. 그에 따라 NOR게이트(43)는 저논리레벨을 발생시키며, 이로써 AND게이트(45)가 자동 미세동조검출기(37)의 출력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33)에 인가하지 못하게 한다. 그 결과로서, RF반송파의 존재는 "패스트 램핑"동안 검파되지 않는데, 이러한 이유로 선택된 채널 이외의 다른 채널에 해당하는 RF반송파가 동조되지 않게 한다.
이후 실시예에 의하여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미리 선택된 채널보다 높은 채널번호를 가진 것으로 가정하면,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미리 선택된 채널보다 낮은 채널번호를 가진 상황과 유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미리 선택된 채널보다 높은 채널번호를 가질 때, 패스트 업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비교기(47)는 TCV의 크기가 낮은 경계에 도달할 때 인 레인지(IN RANGE)신호를 발생시킨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33)는 패스트 업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패스트 업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때, NOR게이트(43)의 양입력은 저논리레벨로 된다. 그에 따라, 고 논리신호 NOR게이트(43)의 출력에서 발생되고 AND게이트(45)는 마이크로컴퓨터(33)에 자동미세동조검출기(37)의 출력신호를 인가하도록 작동된다. 그결과, 허용 가능한 RF반송파의 존재가 검출될 수 있다.
패스트 업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때, 마이크로컴퓨터(33)는 패스트 업신호를 발생시키며, 패스트 업신호가 종료된 후 연속적으로 발생되어야 하는 입신호와 램프신호에 응답하여, 램프발생기는 "패스트 램핑" 비보다 약간 늦은 예를 들면, 밀리세컨드당 0.04볼트의 비율로 TCV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증가시킨다(특히 제4c도 및 제5도의 "(A)"부분 참고). RF반송과 검출장치가 패스트 업신호의 종료시에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허용가능한 RF반송파가 선택채널을 위하여 존재할 경우, 이것은 TCV의 크기가 천천히 증가되는 동안 검출된다.
허용가능한 RF반송파는 다음의 방법에 따라 검출된다. 자동미세동조검출기(37)는 자오미세동조신호의 진폭이 AFT신호의 제어범위를 한정하는 밀 결정된 드레스 호울드값 사이에 있을 때 정지(STOP)신호를 발생시킨다(즉, 자동미세동조신호의 S자형 특성신호의 정 및 부로 진행하는 피크치 사이의 범위). 이것은 RF반송파의 존재를 의미한다. 정지신호는 자동미세동조유효(AFT VALID)신호로서 이네이블 AND게이트(45)를 경유하여 마이크로컴퓨터(33)에 인가된다. AFT VALID신호에 응답하여, 마이크로컴퓨터(33)는 램프(RAMP) 및 업(up)신호를 종료시킨다. 따라서, TCV 는 변화를 중지한다. 또한 정지(STOP)신호에 반응하여, 전송(T) 게이트(48)는 변별기(21)에 의해 발생된 자동미세동조신호를 램프발생기(27)에 인가하도록 작동된다. 자동미세동조신호에 응답하여, TCV는 필요에 따라 수정되어 검출된 반송파 및 45.75메가헤르쯔간의 주파수 편차를 감소시키도록 국부발진기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AFT VALID의 발생 후에 동기처리기(11) 및 자동이득제어(19)를 안정시키고 마이크로컴퓨터(33)에 의하여 결정되는 미리 결정된 시간지연, 즉 40밀리초지연 후(플로우챠트에 도시안됨), 마이크로컴퓨터(33)는 자동이득제어검출기(41) 및 동기검출기(39)의 출력신호를 검사한다. 동기검출기는 동기처리기(11)에 의하여 발생된 평균값의 수평동기펄스가, 즉 검출된 반송파가 화상 반송파로써 음성 반송파와 같은 불필요한 반송파가 아님을 나타낼 때 미리 결정된 범위내에 있을 때, 즉 동기유효(SYNC VALID)신호를 발생시킨다. 자동이득제어기(41)는 IF처리기(5)를 위한 자동이득제어신호가 미리 결정된 드레스 호울드값 이상일 때, 즉 검출반송파가 화상을 재생하는 충분한 신호강도를 가짐을 의미할 때 자동이득 제어유효(AGC VALID)신호를 발생시킨다. RF자동이득제어신호는 통상적으로 그의 신호 강도가 감지될 수 있을 정도가 될 때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RF자동이득제어신호보다 IF 자동이득제어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예정된 IF자동이득제어의 드레스 호울드값은 신호 강도에 대하여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동이득제어의 사용은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
자동미세동조 유효(AFT VALID)신호와 동기유효(SYNC VALID)신호 및 자동이득제어 유효(AGC VALID)신호 무두가 발생되는 경우 동조처리는 선택된 채널에 대한 RF반송파 동조로서 종료된다. 그러나 자동미세 유효신호가 발생되지 않았거나 또는 동기유효신호 또는 AGC유효신호중의 어느 한 가지 신호도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마이크로컴퓨터(33)에 의해 램프 및 업신호가 개별적으로 재생되고, TCV가 증가되게 한다.
TCV가 다음의 높의 채널에 해당하는 크기로 되게 하여 RF반송파를 오동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채널이 선택된 후, 선택된 채널에 대한 하부경계 TCV가 도달하는 것을 비교기(47)가 검출하자마자 마이크로컴퓨터(33)는 선택된 채널에 대한 상부 경계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스시킨다. 그후 TCV의 크기가 업신호에 응답하여 증가되면서 상부 경계에 도달될 때 어떠한 RF반송파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업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비교기(49)는 아웃 오브 레인지(out of RANGE)신호를 발생시킨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33)은 업신호를 종료시키고 다운신호를 발생시킨다. 업신호가 종료된 후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다운신호 및 램프신호에 응답하여, 램프발생기(27)는 TCV의 크기가 업신호와 관련된 크기와 대략 같은 비로 증가되게 한다.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33)는 하부 경계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서되게 한다.
TCV의 크기가 다운신호에 응답하여 증가되어 하부 경계에 도달될 때 RF반송파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TCV가 다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비교기(49)는 다른 아웃 오브 레인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33)는 다운신호를 종료시키고 업신호를 다시 발생시키며 상부 경계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스한다(특히 제4c도, 제4d도 및 제5도의 "(B)"부분 참고).
RF반송파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다른 채널을 선택하지 않는 한 하부 및 상부 경계 사이에상향 및 하향에 대한 서치(search)를 번갈아가며 계속한다. 통상적으로 선택된 채널에 대한 허용가능한 RF반송파가 존재할 경우, 채널이 선택된 후 제1의 샹향 서치동안 검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다음의 높은 채널에 대해 RF반송파가 오동조되지 않도록 하고 RF반송파를 선택된 채널이 선택되는 시간에는 없게 되며 그후 존재하게 될 경우라도, 선택된 채널에 대하여 동조되도록 상향 및 하향의 서치가 교대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접속이 풀려지고, 안테나가 새로운 위치로 회전되는 등의 이유로 RF반송파의 수신에 대한 일시적인 방해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변별기(21)에 의해 발생된 자동미세동조신호는, TCV가 선택채널에 대한 RF반송파를 동조되게 하는 크기와 관계없이 드리프트되게 한다. 선택된 채널에 대한 RF반송파가 동조되기 전에, TCV가 최종 어드레스된 메모리 위치와 관련된 경계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드리프트될경우 TCV는 그 반대의 경계를 지나 검출되지 않고 그 인접채널의 동조범위내로 드리프트될 수 있다. 이러한 드리프트를 방지하여 인접채널의 RF반송파 오동조를 방지하도록, 채널이 동조되는 동안(즉, 새로운 채널이 선택되지 않는 동안), 마이크로컴퓨터(33)는 선택된 채널의 하부 및 상부 경계에 해당하는 메모리위치를, 예를 들면 0.5초의 예정된 소정속도를 교대로 어드레스시키고 그와 동시에 다운 및 업신호를 교대로 발생시킨다(특히 제4e도 및 제5도의 "(C)"부분 참고). 다운신호에 응답하여, 비교기(49)는 TCV가 상부 경계양단에서 드리프트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 결과, 선택된 채널에 대한 RF반송파가 동조된 후, 비교기(49)는 선택된 채널과 관련된 상부 또는 하부 경계중의 어느 한 경계를 TCV가 지나는지의 여부를 교대로 결정한다.
TCV가 다시 하부 경계를 지나는데 의해 TCV범위의 외부에서 드리프트될 경우, 비교기(49)에 의해 발생된 아웃 오브레인지 신호에 응답하여, 마이크로컴퓨터(33)는 램프신호 및 패스트 업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램프발생기(27)는 TCV의 크기를 급속히 증가시킨다. 그후, 하부 경계를 다시 지날 때 비교기(47)는 교정방향으로 인 레인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33)는 다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결과, 램프발생기(27)는 TCV의 크기가 천천히 증가되게 하고 상기와 같이 경계 사이의 서치작동이 개시된다.
TCV가 상부 경계를 지나므로 TCV범위 외부에서 드리프트될 경우 비교기(49)에 의하여 발생되는 아웃오브래인지신호에 응답하여 마이크로컴퓨터(33)는 램프신호 및 패스트 다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램프발생기(27)는 TCV의 초기를 급속히 감속시킨다. 그후, 상부 경계를 다시 지날 때 비교기(47)는 교정 방향으로 인 래인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33)는 다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램프발생기(27)는 TCV의 크기를 천천히 감소시키며 경계 사이에 서치작동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이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그 이전에 선택된 채널과 다른 대력내일 때의 동조작동은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미리 선택된 채널과 동일한 대역내일 때의 동조작동과 약간 다르다. 그 차이는 서로 다른 대역내의 두 채널의 동조전압크 기간의 관계가 무엇인지를 예기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한다. 예를 들면, 채널 5에 대한 TCV의 크기가 채널 10에 대한 TCV의 크기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다. 그러므로, TCV의 크기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램프되는지는 미리 알 수 없다. 따라서,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그 이전에 선택된 채널과 다른 대역내일 때, TCV는 특정대역내에서 최하부 경계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일 수도 있으며 그후 선택채널에 대한 하부 경계까지 램프된다. 특히 새로이 선택된 채널이 그 이전의 선택된 채널과 다른 대역내에 있을 때, 마이크로컴퓨터(33)는 램프신호의 수퍼패스트 다운신호를 발생시킨다(특히 제4b도 참조). 이에 따라 램프발생기(27)는 TCV의 크기가 소정시간 동안 패스트램핑 비율보다 더 빠른 밀리세컨드당 0.5볼트 예정된 비로 급속히 감소되게 하는데, 여기서 소정시간이라 함은 TCV가 각각의 대역내에서 가장 낮은 경계전압보다 더 낮은 미리 결정된 크기에 도달하도록 설정된 실간을 의미함. 그후, 마이크로컴퓨터(33)는 패스트 업신호를 발생시키고 선택된 채널에 대한 하부 경계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스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조작동은 새로이 선택된 채널 및 그 이전에 선택된 채널이 동일한 대역내일 때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서치형 동조장치는 미리 예정된 상태를 갖게 한 RF반송파를 검출하고 동조할 수 있으며 밀 예정된 상태를 가지지 않는 RF반송파를 통과시킬 수 있다. 동조제어장치(25)는 수상기가 턴온된 후 신호검출장치가 허용가능한 RF반송파를 가지는 가장 낮은 채널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수상기가 턴온될때, 전력 상승검출기(51)는 전원(23)에 의해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33)는 가장 낮은 채널 예를 들면, 채널2의 상부 경계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를 어드레스하고, 램프 및 업신호를 발생시킨다(특히 제4a도 참조).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33)는 표시장치(32)에 인가된 채널번호 "2"를 나타내는 2진 신호를 발생시킨다. 램프 및 업신호에 응답하여, 램프발생기(27)은 TCV의 크기가 증가되게 한다. RF반송파가 신호 탐지장치에 의해 검출될 경우, 즉 TCV의 크기가 채널 2에 대한 상부 경계에 도달되기 전에 자동미세동조 검출기(37)와 동기검출기(39) 및 자동이동검출기(41)에 의해 검출될 경우 동조처리는 동조된 채널 2 및 표시된 채널번호 "2"에 대한 RF반송파의p발생 종료와 동시에 종료된다. 아웃 오브레인지신호의 발생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F반송파가 검출되기 전에, TCV의 크기가 채널 2에 대한 상부 경계를 초과할 경우, 마이크로컴퓨터(33)는 비교적 높은 채널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를 연속적으로 어드레스하고 RF반송파가 검출될 때까지 각각의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2진 신호를 발생시킨다.

Claims (1)

  1. 각 채널에 관련된 RF반송파를 동조제어신호의 크기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동조하여 상기 RF반송파중의 선택된 어느 한 반송파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보유 반송파를 가진 IF신호를 유도하는 튜너와, 선택된 채널의 키보드(31)는 나타내는 2진 신호를 발생시키게 한 채널선택장치와, 2진 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291)와, 메모리 위치를 선택적으로 어드레스하도록 2진 신호에 응답하는 마이크로컴퓨터(33)와, 메모리 위치의 어드레스된 어느 한 신호와 동조제어신호의 크기에 대한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47,49)와 IF신호가 미리 결정된 상태로 될 때를 결정하는 발생기에 연결된 검출기(37,39,41)와 다수의 메모리 위치를 가져 각 채널에 대한 상부 및 하부 경계를 나타내는 2진 신호를 기억케 한 메모리와, 선택된 채널의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2진 신호에 응답하는 새로운 채널을 선택할 때 선택된 채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및 하부 경계 위치를 선택적으로 어드레스하는 제어기(33)들로 구성시킨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동조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33)및 메모리(29)와 협동하게 하므로 선택된 채널에 대한 제1의 경계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크기로부터 제어신호 크기가 램프형식으로 증가 또는 감소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발생기(27)오, 메모리 위치중 어드레스된 어느 한 위치로 관련된 경계가 동조제어신호의 크기의 변화시키는데 응답하여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비교기(47,49)와, 동조제어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데 응답하여 선택채널에 대한 상기 제1경계에 도달될 때 제어기(33)와 비교기(47,49)중 어느 한 장치에 응답하여 작동되게 한 미리 결정된 상태를 IF신호가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검출기(37,39,41)와 검출기(37,39,41)에 응답하여 작동하게 하므로 IF신호가 미리 결정된 상태로 된 후에는 동조제어신호의 크기를 실지로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고, 비교기(47,49)에 응답하여 작동하게 하므로 동조제어신호의 크기를 변화시켜 선택채널에 대한 제2경계에 도달되게 할 때 동조제어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게 하는 발생기(27)들로 구성시킨 전자식 동조장치.
KR1019800003767A 1979-09-28 1980-09-27 전자식 동조장치 KR830002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80,105 US4291413A (en) 1979-09-28 1979-09-28 Search type tuning system with direct address channel selection apparatus
US80105 1979-09-28
US080105 1979-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85A KR830003985A (ko) 1983-06-30
KR830002629B1 true KR830002629B1 (ko) 1983-12-06

Family

ID=2215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767A KR830002629B1 (ko) 1979-09-28 1980-09-27 전자식 동조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291413A (ko)
JP (1) JPS5657323A (ko)
KR (1) KR830002629B1 (ko)
AT (1) AT385161B (ko)
AU (1) AU540212B2 (ko)
CA (1) CA1154098A (ko)
DE (1) DE3036351C2 (ko)
FI (1) FI75954C (ko)
FR (1) FR2466904B1 (ko)
GB (1) GB2060295B (ko)
IT (1) IT11338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9767A (en) * 1980-11-27 1983-12-06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Automatic digital control device for exact frequency tuning of a receiver
US4374437A (en) * 1980-12-29 1983-02-15 Zenith Radio Corporation Variable ramp speed TV tuning system for rapid channel tuning
US4525865A (en) * 1983-10-03 1985-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Programmable radio
JPS6196833A (ja) * 1984-10-17 1986-05-15 Sony Corp テレビ受像機
US4727591A (en) * 1986-09-04 1988-02-23 Arvin Industries, Inc. Microprocessor controlled tuning system
US4823387A (en) * 1987-05-08 1989-04-18 Rca Licensing Corporation Television tuning system with provisions for tuning RF signals with scrambled video information
EP0302290B1 (en) * 1987-08-03 1994-12-14 Motorola Inc. Automatic frequency control system
EP0307910A3 (en) * 1987-09-17 1990-11-22 Amskan Limited Signal locating apparatus
AU605354B2 (en) * 1987-09-17 1991-01-10 Amskan Limited Signal locating apparatus
US4814887A (en) * 1988-05-23 1989-03-2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US5161023A (en) * 1990-09-24 1992-11-0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evious channel feature in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multiple rf inputs
US5182646A (en) * 1990-09-24 1993-01-2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Linkable scan lists for a television receiver
US5103314A (en) * 1990-09-24 1992-04-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coded system for selection of rf input terminals and associated scan lists
US5483688A (en) * 1993-01-22 1996-01-09 Seiko Communications Holding N.V. Adaptive automatic antenna tuning method and apparatus
SG49798A1 (en) * 1993-06-30 1998-06-15 Funai Electric Co Receiving tv station selection unit of tv-vtr
US20060063503A1 (en) * 2002-06-17 2006-03-23 Koninklikle Phillips Electronics Nv Receiver and tuner with electronically tuned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0403B2 (ko) * 1974-02-14 1978-10-27
GB1503334A (en) * 1974-02-25 1978-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uning apparatus using a voltage-dependent reactance element
JPS5267201A (en) * 1975-12-01 1977-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ation selecting unit
US4155043A (en) * 1976-04-28 1979-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hannel selection apparatus including a scanning system
US4093921A (en) * 1977-03-17 1978-06-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crocomputer processing approach for a non-volatile TV station memory tuning system
CA1142660A (en) * 1978-01-31 1983-03-08 Tatsuo Ito Electronic tuning radio receiver
US4264976A (en) * 1978-03-17 1981-04-28 Sanyo Electric Co., Ltd. Tuning control apparatus for digital tuner
NZ193794A (en) * 1979-05-30 1984-03-30 Rca Corp Channel identification in multiband sweep tu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024912A0 (it) 1980-09-25
US4291413A (en) 1981-09-22
AU540212B2 (en) 1984-11-08
FI75954C (fi) 1988-08-08
ATA480180A (de) 1987-07-15
FI802966A (fi) 1981-03-29
DE3036351A1 (de) 1981-04-16
AU6261080A (en) 1981-04-09
GB2060295B (en) 1983-06-29
KR830003985A (ko) 1983-06-30
IT1133820B (it) 1986-07-24
FR2466904B1 (fr) 1985-10-18
GB2060295A (en) 1981-04-29
JPS5657323A (en) 1981-05-19
JPS6318895B2 (ko) 1988-04-20
DE3036351C2 (de) 1985-11-21
CA1154098A (en) 1983-09-20
FI75954B (fi) 1988-04-29
FR2466904A1 (fr) 1981-04-10
AT385161B (de) 1988-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629B1 (ko) 전자식 동조장치
US4408349A (en) Receiver provided with a frequency synthesizer capable of storing fine tuning information
US4654884A (en) Radio receiver with switching circuit for elimination of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US4685150A (en) Tuning of a resonant circuit in a communications receiver
JPH09307405A (ja) 高速チャンネル検出、記憶及び切替え装置並びにその方法
CA1178384A (en) Self tracking tuner
US4763195A (en) Television tuning system with provisions for quickly locating active cable channels
US4025953A (en) Frequency synthesizer tuning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s
US4038689A (en) Frequency synthesizer tuning system with manual fine tuning control
US5199109A (en) Multi channel scanning receiver with improved signal strength detecting circuitry
US5193005A (en) Channel selecting apparatus having a channel skip function
US4823387A (en) Television tuning system with provisions for tuning RF signals with scrambled video information
US5438688A (en) Channel selecting method and highspeed scanning radio receiver which concurrently scans multiple channels
US4805230A (en) Tuning method
US2896018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pparatus
US4868892A (en) Tuning system with provisions for calculating the local oscillator frequency from an aft characteristic
US4317225A (en) Channel identification apparatus useful in a sweep type tuning system
CA2020387C (en) Station selecting apparatus
US4956711A (en) Automatic balancing system for communications receiver apparatus
US5303398A (en) Stabilit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uning system
US4245351A (en) AFT Arrangement for a phase locked loop tuning system
US4344187A (en) Radio receiver with system for maintaining optimum tuning
US4352205A (en) Tuning system
US4380826A (en) Control system for channel selection
US4249259A (en) Digital channel selection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