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461B1 - 회전 및 왕복 수트 블로워(soot blower)기구 - Google Patents

회전 및 왕복 수트 블로워(soot blower)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461B1
KR830002461B1 KR1019800001265A KR800001265A KR830002461B1 KR 830002461 B1 KR830002461 B1 KR 830002461B1 KR 1019800001265 A KR1019800001265 A KR 1019800001265A KR 800001265 A KR800001265 A KR 800001265A KR 830002461 B1 KR830002461 B1 KR 83000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conduit
frame
reciprocat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196A (ko
Inventor
패튼 설리반 로버트
루이스 쟈콥스 클라이드
Original Assignee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엘돈 에이취. 루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엘돈 에이취. 루더 filed Critical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3000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 및 왕복 수트 블로워(soot blower)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여 그 작동위치로 강제로 이동시키도록 준비된 비작동위치에 있는 수트 블로워의 평면도.
제2도는 전기동력장치와 랜스(lance)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을 도시하는 제1도의 2-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랜스에 기계적으로 링크하여 회전되는 랜스를 왕복 운동시키는 프레임을 도시한 제1도의 선 3-3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4도는 증기밸브로의 연결을 작동시키는 랜스의 돌출부분을 도시하는 제1도의 4-4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5도는 랜스와 증기밸브 사이의 링크옅결된 후부를 도시하는 제1도의 5-5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6도는 블로워의 프레임에 장치되어 랜스에 링크 연결되어 작동되는 증기밸브를 나타낸 제1도의 6-6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본 발명은 랜스(lance)의 작동 및 비작동위치 사이에서 랜스를 회전 및 왕복 운동시키는 로용의 짧은-행정형 벽 수트 블로워(short-stroke wall soot blow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일 동력원을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회전 및 왕복 운동하는 벽 수트 블러워를 작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실용 보일러에서 연료의 연소는 막대한 양의 미립자 물질을 생성하며 이것이 가열된 표면에 축적되어 연소로부터 기화될 액체에 전달되는 열량을 감소시킨다. 석탄연소를 그을음 또는 찌꺼기의 형태인 미립자 물질을 많이 생성시킨다. 석탄의 품질이 낮아질수록 연소에 의해 가열된 표면에 미립자물질의 축적이 보다 급속하게 된다. 열전달에 유해한 상기 축적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로 공간내에 제거 장치를 주기적으로 삽입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수트 블로워가 통상 사용된다.
본질적으로, 수트 블로워는 그 끝이 노즐로된 도관(conduit)으로써 로 벽의 개구(opening)에 삽입된다. 수증기 또는 다른 증발기체가 이 도관에 공급되어 큰 힘으로 그것의 노즐을 통하여 분출된다. 분무(spray)의 형태로 정확한 방향으로 향해서 이 도관으로부터 분출되는 수증기는 가열된 표면의 넓은 면적의 미립자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대형-다층의 실용보일러에 있어서, 200개 이상의 수트 블로워를 사용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열을 지은 이들 수트 블로워는 로 개구에 장치되어, 세로 20cm정도 간격으로 줄을 지어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의 랜스들은 가열된 표면의 축적물을 차례로 제거하기 위해 그 작동 및 비작동위치 사이를 왕복 운동하면서 연소과정에서 가열면 뒤에 있는 증기화 액체(Vaporizable liquid)의 열전달효율을 유지한다.
수트 블로워가 작동하는 환경은 당연히 더럽다. 보일러 주위의 대기중의 석탄먼지가 상기 공구 수명에 악영향을 주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먼지는 수트 블로워 랜스를 왕복운동 및 회전시키는 전기 동력장치와 상기 수트 블로워 사이의 기계적인 시스템에 유해하다.
짧은 행정형 벽 블로워에 있어서, 찌꺼기의 침전에 의해서 메워지는 로 개구를 통해 중앙도관 즉 랜스의 심(core)을 뽑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장애는 상기 랜스를 그 작동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해결된다. 그러므로, 랜스의 노즐끝을 로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해서 랜스와 그 절삭장취위에 장착되어 그것을 작동시킬 기구가 필요하다. 한번 로의 내부로 삽입되어, 청소증기가 로의 내부벽에서 미립자물질의 축적물을 제거하는 형태로 방출된다. 다른 증기도 사용할 수 있으나 고압의 수증기가 청소 매체로서는 가장 유용하다. 수증기는 이송관을 통하여 각 블로워에 전달되고 랜스의 다른 케이싱은 이송관의 실질적인 길이를 초과하여 회전 및 왕복 운동한다. 명백하게, 공급관의 외면각 랜스 케이싱의 후부 사이의 밀봉수단이 청소매체를 넣어 이것을 케이싱 전단에 설치된 노즐에서 분사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 따라서, 실용보일러 주위환경에 있어서, 기계적 운동과 밀봉에 유해한 오물로부터 각각 연결되어 작동하는 블로워의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격리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트 블로워의 랜스를 회전시키도록 기계적으로 링크된 동력장치를 단일체로 계획한 것으로서 그 동안 랜스는 그 작동 및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일으키도록 고정점에 기계적으로 링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랜스가 그 작동위치에 도달하여 그곳에서 회전하는 소정기간동안 상기 랜스에 청소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회전 및 왕복운동하는 랜스상의 돌출물의 증기 공급밸브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장점 및 특징들은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을 고려하여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확실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트블로워의 주요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 구성은 위에서 내려다본 것이다. 참조번호 1에서 나타낸 로의 내부는 개구(3)를 지닌 벽(2)과 함께 제1도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개구(3)를 통하여 수트블로워의 랜스가 연장되어 그 작동위치에 위치된다.
로 내부벽 구조가 최소한으로 나타나 있다. 로 벽의 내면상의 로 관(4)이 수개 도시되어 있다. 이 관들 및 이관들이 부착되어 있는 로 벽이 수트 블로워에 의하여 청소된다. 그 을음, 찌꺼기, 미립자들은 로 벽의 이곳에 축적되므로 개구(3)를 통하여 삽입된 랜스의 끝에서 분사된 증기에 의하여 청소하여 제거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랜스가 제1도에 도시된 비 작업위치에서 짧은 거리만 연장될 뿐이며, 랜스의 끝에서 분사된 증기를 로의 "내면 및 이 내면에 부착된 상기 관들 위의 퇴적물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용이하게 인정되므로 숙련된 기술자들에게는 만족한 구성인 것이다.
특히, 상기관(4)이 벽(2)에 부착될 때 개구(3)를 형성하는 데 충분한 로 벽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비틀어진다. 또한, 벽(2)위에 찌꺼기, 그을음 등의 퇴적물이 개구(3)를 막아버릴려는 것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개구를 막는 이 퇴적물은 대단히 단단하여 랜스가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방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랜스의 전방 팁(tip)에는 절삭장치가 이 절삭장치는 랜스가 전진위치에서 회전될때 상술한 바와같은 예상되는 장애인 퇴적물을 유효하게 절석한다.
본질적으로는 증기 안내도관인 랜스는 그를 지지하기 위한 틀(frame work)을 구기하고있다. 이 골격에 의하여 지지된 랜스는 청소기능을 수행하도록 회전과 동시에 왕복운동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청소증기로서 수증기의 사용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수증기가 양호한 고압증기로서 설명되는 것은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랜스를 위한 지지체는 개구(3)의 둘레에 부착된 제1프레임(5)으로 부터 시작된다. 이 프레임은로의 외측에 직접 부착되어서 시일(seal)겸 스크레퍼(scraper structure)용 하우징(housing)으로 제공되며 이 하우징을 통하여 랜스가 출입한다.
상기 랜스 지지용의 기본틀은 제2프레임(6)에 장착되며 창을 필요한 만큼 수용하기 위해 로 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2프레임은 뒷판(8)으로 뻗은 측면부재로 제1프레임(5)에 고정된 앞판(7)을 포함하는 견고한 장방형의 구조체로서 나타나 있다. 이 뒷판은 랜스용의 증기 이송관이 관통하는 벽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뒷판은 밸브 자체의 지지와 아울러 증기원과 이송관 사이에 접속된 증기용 제어밸브의 연결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마련된다. 상기 앞판(7)은 개구(9)를 갖으며 이 개구를 통하여 랜스가 연장되고 또한 지지부재가 프레임(5)내의 시일 및 스크래퍼 구조물로 연장되고 있다.
랜스 자체는 기본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뉘어 나타나 있다. 랜스는 본질적으로 도관 또는 파이프이며, 제1의 또는 절발의 도관(10)은 프레임(6)의 정면벽을 관통하여 지지되어 있고 프레임(5)을 관통하여 개구(3)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도관(11)은 후발으로 뻗은 것으로서 제1의 도관구역에 연결되어 이들 두 구역은 함께 블로워의 랜스를 구성하고 있다.
노즐(12)은 랜스도관(10)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노즐에서 공기가 분사되어서 로벽(2)의 퇴적물이 제거된다. 본 발명은 이들 노즐의 형상, 위치, 발향과는 관계가 없다. 노즐은 수트블로워의 작용으로서 로의 내부벽을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위하여 그들의 작동위치로 간단히 이동된다.
랜스의 뒷부분에 있어서, 이송관(13)은 제2프레임(6)의 뒷판(8)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제2도관(11)속으로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칫수로 장치된어 있다. 종래 공지의 글랜드(gland)가 도관(11)의 내부벽과 이송관의 외부벽 사이에 설치되어 고압 수증기가 노즐(12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수증기는 이송관(13)과 도시안된 증기원을 연결하는 도관을 통해 이송관(13)에 공급된다. 밸브(14)는 증기원에서 이송관(13)으로의 수증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것은 밸브(14)가 랜스의 노즐(12)이 그들의 작업위치내로 이동될때까지 폐쇄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밸브(14)는 개발되어 고압수증기가 노즐(12)로 흘러서 수트블로워의 목적을 수행키 위해 분출된다. 그러므로, 랜스는 제1도에 나타나는 위치로부터 그 좌측인 제2의 위치인 "작동위"까지 왕복운동한다. 이 왕복운동이 일어나는 동안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해 랜스는 또한 회전된다. 이것은 랜스가 링크 연결되어 있는 동력장치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것은 랜스가 링크 연결되어 있는 동력장치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것은 랜스가 링크 연결되어 있는 동력장치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동력장치는 프레임(6)상에 부착되어 연결을 통해 랜스를 왕복운동시키도록 가역 회전 가능하다. 그러므로 회전 및 왕복운동을 이러한 단일 동력장치에 의하여 일어난다. 랜스를 왕복운동시키는 이유는 노즐(12)을 로 내부(1)내의 그들의 작업위치에 삽입시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직접적인 이유에 의한 것임은 명백하다. 다음으로, 이러한 왕복운동중의 회전은 개구(3)를 막는 장애물을 관통하기 위해 절삭부재(15)로 절삭작용을 처음부터 마련한 것이 명백해진다. 또한 한번의 작동위치에서, 랜스는 그들의 청소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원형 패턴으로 노즐로부터 증기를 분사시키기 위하여 회전된다.
랜스는 제1도관(10)에 동력장치에 동력을 부가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된다. 문제는 도관(10)과 모터(16)사이에 기어트레인(geartrain)을 마련하는 것이다. 모터(16)는 요구하는 대로 가역이 가능한 간단한 전동기이다. 상기 모터는 도시된대로 프레임(6)이나 그것의 한쪽의 고정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모터의 특별한 부착위치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데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장치는 상기 모터(16)와 도관(10) 사이의 연결로서의 기어 트레인인다. 제1도관(10)은 이 도관이 통과하는 구조체에 유효하게 맞물리도록 한 횡단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이런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이 좋고 또한 이 단면은 프레임(6)의 앞판(7)에 회전 가능토록 장치된 테이블(17)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그러므로, 테이블(17)의 회전에 의하여 랜스가 회전하고 베어링은 왕복운동중에 테이블(17)과 도관(10)의 표면사이를 굴러서 구름접촉을 한다. 테이블이 자리를 잡으면, 스프로켓(sprocket)과 체인(chain) 연결(18)은 상기 테이블과 모터(16)의 춘 사이에 부착된다. 그러면, 모터가 구동하여 두 회전발향중 어느 한 발향으로 랜스가 회전할 것이다. 회전되는 동안, 랜스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와 제1도의 왼쪽에 도시된 작동위치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데 자유롭다. 제2도의 단면은 모터와 랜스(10)의 연결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왕복운동은 도관(11)과 프레임(6) 사이의 적당한 연결에 의하여 제공된다. 특히, 도관(11)의 외면은 프레임(6)에 고정된 돌출물에 의해 맞물리는 나선홈(spiral groorve, 19)을 구비하고 있다. 랜스가 회전할 때, 프레임과 도관(11) 사이의 이 고정연결은 랜스를 왕복 운동시킨다. 프레임(6)과 도관(11)을 연결하는 돌출물은 요오크(yoke, 20)이다. 이 요오크는 프레임(16)에 한끝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끝은 아래로 뻗어서 홈(19)과 맞물려 있다. 어떠한 숙련자도 이해할 수 있으므로, 요오크를 홈의 양측에 강제적으로 맞물리도록 하여 랜스의 회전력에 의하여 결국 랜스가 길이 방향이동을 일으키게 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크는 홈의 왼편에서 홈(19)과 맞물린다. 이 랜스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오른쪽에 도시된, 랜스의 작업위치로의 전방이동을 일으킨다.
모터(16)가 랜스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작동위치로 이동된다고 가정하면, 도관(11)의 끝이 스프링(21)의 끝과 맞물리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랜스의 좌측이동이 완료되면 스프링(21)이 압춘되어 랜스를 우측으로 되돌리도록 하는 힘이 미치게 된다. 그러나, 스프링(21)의 힘은 극복되고 랜스는 스프링(21)의 힘을 버티면서 그 작동위치에 도달한다. 제3도는 도관구역(11)관 프레임(6) 사이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랜스의 작동위치에서, 본 발명은 노즐(12)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밸브(14) 연결부의 작동을 제공하고 있다. 이 작동을 제공하는 연결은 여러가지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레이트(22)는 랜스도관(10) 및 (11)의 연결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22)는 랜스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랜스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플레이트(22)는 랜스가 그 작동위치로 향하여 전진할 때 좌측 즉, 전방으로 움직여진다.
랜스가 작동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21)이 상기 플레이트(22)를 압박한다. 역시, 로드 돌출물(23)은 플레이트(22)의 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랜스가 그 작동위치에 도달할 때 돌출물(23)이 캠(24)과 접촉하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캠(24)은 밸브로드(25)에서 아랫쪽으로 연장하여 이 부분에서 돌출물과 맞물려 플레이트(22)의 경로에서 명백한 원호를 그리며 회전되며 이 결과 캠은 밸브로드(25)를 회전시켜 증기밸브(14)를 개방한다.
돌출부(23)를 장착한 플레이트는 캠(24)을 지나쳐서 전방으로 운반된다. 스프링(21)은 랜스의 후방으로 압춘력을 가하도록 압춘된다. 요오크(20)가 환상홈(26)에 도달하여 모터(16)가 랜스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맞물리는 동안 랜스는 작동위치에서 공급관을 지나온 증기를 노즐에서 방출한다.
상기 모터(16)를 역회전시키므로서 스프링(21)의 압춘력을 요오크(20)가 나선홈(19)과 맞물리면서 랜스를 후방이동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랜스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요오크(20)와 나선홈(19)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랜스를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후퇴시킨다. 로드 돌출부(23)를 장착한 플레이트(22)가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향하여 후퇴할 때, 캠(24)은 그 반대쪽으로 이것과 맞물려서 밸브 로드(25)를 반전시켜 이것에 의하여 밸브(14)를 폐쇄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랜스의 왕복운동의 1 사이클(cycle)이 완성된다. 랜스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그 전방의 작업위치로 이동하며 그후 제1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모터(16)에 의한 랜스의 회전은 왕복운동을 일으킨다. 또한, 작업위치에서 노즐(12)로부터 작업을 하기 위해 분출되는 증기를 위해 랜스는 예정된 시간 또는 요구되는 회전수 만큼 회전된다. 밸브(14)는 랜스가 그 작업위치에 도달할때 개방되고 랜스가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려질때 닫혀진다. 왕복운동하는 동안, 랜스는 제1프레임내의 구조물에 의해서 청결하게 문질러진다.
전방 랜스 도관(10) 주위의 프레임(5) 내에 스크레퍼 시일 구조물(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크레퍼시일 구조물은 시일판(31)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각의 시일판은 테이블(17)의 전면에 차례로 장착된 핑거(finger, 32)상에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핑거(32)는 앞판(7)의 개구(9)를 관통하여 테이블(17)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봉 형태의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도는 모터(16)와 랜스도관(10)사이의 연결부의 일부로서 테이블(17)을 나타낸다. 프레임-하우징(6)은 테이블(17)을 둘러싸고 또한 그 상부에 모터(16)를 적재한다. 스프로켓(18)은 모터(16)에 의해서 회전된다. 체인(18A)은 스프로켓(18)과 테이블(17)상의 스프로켓(33)을 연결한다.
테이블(17)은 이것의 림(rim)부에 부착된 지지용 에지베어링(edge bearing)을 갖고 있다. 림베어링(34)과 협동하여 지지베어링(reatining bearing)은 테이블(17)과 앞판(7) 사이에서 완전한 저 마찰 회전접촉을 제공한다.
로울러(36)는 랜스도관(10)을 지지하는 테이블(17)의 춘선상의 관통구 주위에 밀집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 결과 모터(16)와 랜스도관(10) 사이의 완전한 링크연결이 되는데 이 링크연결을 통하여 모터(16)는 조작자의 지시에 따라 두 방향중 한 방향으로 랜스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3도는, 브래키트(40)를 통하여 프레임(6)의 판 끝에 요오크(20)를 부착한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브래키트 캠(24)을 밸브(14)에 연결하는 밸브로드(25)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 배치되며, 프레임(6)의 판끝 아랫쪽에 부착된다. 요오크(20)의 아래끝은 홈(19) 및 홈(26)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로울러(41)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링크기구는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고 랜스가 모터(16)에 의하여 회전될 때 랜스에 대하여 왕복운동하는 힘을 부가한다.
제4도는 로드(25)에 부착된 캠(24)을 나타내고 있는데 캠(24)은 로드에 부착된 돌출물(23)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로드돌출물(23)을 부착하고 있는 플레이트(22)는 차례로 랜스의 구성 부분(10)과 (11)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6)의 외형 및 모터는 도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제5도는 밸브로드(25)의 후단부와 증기밸브(14) 사이의 링크기구를 상술하기 위해서 도시되어 있다. 로드(25)는 이 로드에 장착된 아암(50)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암(50)은 조정링크(51)에 의하여 제1아암(52)에 접속되며 이 제1 아암은 아암(52)에 장착된 로드(53)를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50 내지 53)은 밸브로드(25)가 수증기 밸브(14)를 개폐하는 직진링크 기구를 형성하여 간단히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구조물들의 이동제어는 랜스가 두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캠(14)이 로드 돌출부(23)에 의해서 맞물려지므로 증기밸브(14)를 작동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6도는 뒷판(8)에 부착된 것처럼 증기밸브(14)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의 로드(53)에는 실제로 상기 증기밸브와 접촉하는 제2 아암(54)이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연결트레인의 단부이다. 캠(24)에서 로드(25)를 지나서 아암(50)에 이어서 링크(51), 아암(52)에, 다시 로드(53)에, 끝으로 아암(54)까지의 링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수증기밸브(14)가 간단히 개폐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여, 증기는 증기원(도시안됨)에서 이송관(13)으로 유입되고 혹은 차단된다. 증기는 랜스가 그 작업위치에 있을 때 이송관으로 유입된다. 랜스가 그 작업위치에서 이동되면, 증기는 이송관에서 차단된다.
결국 어떠한 것도 더 이상 간단히 요구되고 성취되지 않는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장치의 고유하고 분명한 다른 장점들과 함께 상기 목적의 모든 결과를 얻기에 적합하게 나타나 있다.
어떤 특징이나 작은 조합들도 유용하고 또다른 특징이나 작은 조합들의 참조없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정심에 의해서 완전하게 된다.
많은 가능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되고 기술된 모든 사실들은 참고일 뿐이지 제한적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랜스도관이 관통하여 왕복운동하는 개구(opening)와 이송관이 상기 로의 개구를 통하여 작동할때 밸브(14)가 개방되어 이송관을 통하여 청소유체를 랜스도관속으로 유입되는 청소유체의 이송관에 시일되어 연결된 랜스도관을 가진, 로 벽에 접속되어 프레임(6)내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연장되는 랜스도관(10,11)용 왕복 구조물을 가진 회전 및 왕복 수트블로워 기구에 있어서, 외부에 나선 홈(19)이 마련된 랜스도관(11)과, 프레임에 장착되어 랜스도관이 역회전 할때 그 범위를 넘어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선홈과 맞물려 연장되는 요오크 돌출물(20)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왕복 수트 블러워기구.
KR1019800001265A 1979-03-26 1980-03-26 회전 및 왕복 수트 블로워(soot blower)기구 KR830002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23,998 US4248180A (en) 1979-03-26 1979-03-26 Mechanism for rotating and reciprocating a soot blower
US23,998 1979-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96A KR830002196A (ko) 1983-05-23
KR830002461B1 true KR830002461B1 (ko) 1983-10-26

Family

ID=2181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265A KR830002461B1 (ko) 1979-03-26 1980-03-26 회전 및 왕복 수트 블로워(soot blower)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248180A (ko)
EP (1) EP0016308B1 (ko)
JP (1) JPS55128721A (ko)
KR (1) KR830002461B1 (ko)
AU (1) AU532305B2 (ko)
CA (1) CA1130666A (ko)
DE (1) DE3067495D1 (ko)
IN (1) IN153714B (ko)
ZA (1) ZA801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481A (en) * 1981-02-17 1983-06-1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Soot blower
JPS59179180U (ja) * 1983-05-18 1984-11-30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トラクタにおけるラジエ−タ廻りの熱風防止構造
EP0195994A3 (de) * 1985-03-29 1987-02-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Rohrgassen-Manipulator zum Hochdruckabschlämmmen von Wärmetauschern
US6164956A (en) * 1997-02-11 2000-12-26 Ge Energy & Environmental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sh deposits in a combustion device
US6782902B2 (en) * 2000-01-12 2004-08-31 Diamond Power International, Inc. Sootblower lance tube for dual cleaning media
US7544646B2 (en) 2004-10-06 2009-06-09 Thomas Michael Band Method for lubricating a sootblower
US20080185027A1 (en) * 2007-02-06 2008-08-07 Shamp Donald E Glass furnace cleaning system
US8176883B2 (en) * 2009-02-26 2012-05-15 Diamond Power International, Inc. Retractable articulating robotic sootblower
US7865996B1 (en) * 2009-12-18 2011-01-11 Diamond Power International, Inc. Sootblower with progressive cleaning arc
KR101748802B1 (ko) * 2016-10-18 2017-06-19 주식회사 지스코 수트 블로워 및 이를 이용한 튜브형 열 교환기의 세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34882A (ko) *
DE255453C (ko) *
GB456718A (en) * 1935-02-13 1936-11-13 John William Leslie Simpso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oot blowers for boilers and the like
US2257936A (en) * 1937-07-19 1941-10-07 Diamond Power Speciality Boiler cleaner
US2255671A (en) * 1939-06-20 1941-09-09 Guy H Hall Power transmitting mechanism
GB542242A (en) * 1940-05-29 1942-01-01 Ivor Power Specialty Company 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 pressure operated blowers for cleaning tubes ofsteam generators and the like
GB565110A (en) * 1943-07-08 1944-10-26 Babcock & Wilcox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 heater cleaners
GB630502A (en) * 1945-12-22 1949-10-14 Babcock & Wilcox Ltd Improvements in fluid heater cleaners
US2442045A (en) * 1945-12-22 1948-05-25 Diamond Power Speciality Soot blower construction
US2486585A (en) * 1946-01-24 1949-11-01 Diamond Power Speciality Rotary retracting soot blower construction
US2696016A (en) * 1950-04-11 1954-12-07 Diamond Power Speciality Retractable soot blower
US2760222A (en) * 1952-02-28 1956-08-28 Superior Ab Soot removing apparatus for steam boilers and the like
US3226258A (en) * 1963-09-25 1965-12-28 C H Heist Ohio Corp Method for removing incrustations
GB986658A (en) * 1964-03-06 1965-03-17 Superior Ab Improvements in sootblower apparatus for steam boiler plants and the like
US3377026A (en) * 1966-01-24 1968-04-09 Diamond Power Speciality Retractable cleaning mechanism for boilers and other heat exchangers
BE874576A (fr) * 1979-03-02 1979-07-02 Sadacem INSTALLATION DE COMMANDE AGISSANT SUR LA ROTATION ET LE DEPLACEMENT LONGITUDINAL D'UNE LANCE DE SOUFF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16308A3 (en) 1980-12-10
EP0016308A2 (en) 1980-10-01
DE3067495D1 (en) 1984-05-24
EP0016308B1 (en) 1984-04-18
ZA801765B (en) 1981-03-25
AU5681380A (en) 1980-10-02
CA1130666A (en) 1982-08-31
US4248180A (en) 1981-02-03
IN153714B (ko) 1984-08-11
AU532305B2 (en) 1983-09-22
KR830002196A (ko) 1983-05-23
JPS571725B2 (ko) 1982-01-12
JPS55128721A (en) 198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461B1 (ko) 회전 및 왕복 수트 블로워(soot blower)기구
EP1535011B1 (en) Multi-media rotating sootblower and automatic industrial boiler cleaning system
KR840000449B1 (ko) 수트 블로워의 회전 및 왕복운동 기구
KR100265920B1 (ko) 열교환기를 세척하기 위한 관형 물 분사기
KR101379609B1 (ko) 후퇴가능한 관절식 로봇 수트블로어
US45038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deposits from highly heated surfaces
CA1204352A (en) Furnace air port cleaner
GB2112304A (en) Cleaning highly heated surfaces
FI91897B (fi) Laite kemiallisen regenerointiuunin ilma-aukkojen puhdistamiseksi
CA1167333A (en) Rotary wall deslagger
US4257359A (en) Mechanism for rotating and reciprocating a soot blower
KR20090025556A (ko) 가스배관 세척장치
US4174549A (en) Soot blowing apparatus
US7055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sootblower from a single motor to a dual motor drive
US20110296837A1 (en) Cleaning device for a convection section of a thermal power plant
GB2112303A (en) Removing deposits from highly heated surfaces
CN214700752U (zh) 紧凑型螺旋推进式蒸汽吹灰主机装置
KR101026769B1 (ko) 더스트 제거장치가 구비된 폐열 보일러
EP0032962A1 (en) Actuating mechanism for a soot blower
GB74341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removing soot and other foreign matter from steam generating plant and other heat-exchangers
JP2568832B2 (ja) ス−トブロワ
EP0023937A1 (en) Soot blowing system
CN112728568A (zh) 紧凑型螺旋推进式蒸汽吹灰主机装置
CN219850341U (zh) 一种清焦装置及黑液处理系统
SU17091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вода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газов из электродуговой сталеплавильной печ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