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375B1 -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375B1
KR830002375B1 KR1019790004102A KR790004102A KR830002375B1 KR 830002375 B1 KR830002375 B1 KR 830002375B1 KR 1019790004102 A KR1019790004102 A KR 1019790004102A KR 790004102 A KR790004102 A KR 790004102A KR 830002375 B1 KR830002375 B1 KR 83000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xy
alkyl
propionic acid
carbon atoms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190A (ko
Inventor
쇼노브스키 후베르트
비에링게르 헬만
괴체르 헬무트
Original Assignee
하인리히 벡커
훽스트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베르하르트 벡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인리히 벡커, 훽스트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베르하르트 벡크 filed Critical 하인리히 벡커
Priority to KR101979000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375B1/ko
Publication of KR83000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0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from ketenes by reaction with ammonia or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의 새로운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에서
R1은 할로겐, NO2, CN 및/또는 CF3이고;
n은 1 또는 2이고: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이고;
R3는 탄소수 3내지 6의 알케닐, 탄소수 3내지 6의 알키닐; 히이드록시-(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탄소수 1내지 4의 알콕시-(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디-(탄소수 1내지 4)의 알킬아미노-(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시아노-(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티오-(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티오-(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탄소수 5내지 6의 사이클로 알킬, 메틸-사이클로 헥실, 페닐-(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피리딜 또는 피리미딜 이고;
또는 R2및 R3는 함께 2개 이하의 탄소원자가 질소 및/또는 산소로 치환될수 있는 4내지 7-원환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반식(I)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II)의 페녹시-페녹시-온로피프산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III)의 상응하는 아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에서
R2및 R3는 상술한 바와 같고
R4는 할로겐 원자 또는 OR(여기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임)이다.
방법 (A)
일반식(II)의 R4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는 산할라이드와 아민과의 반응은 불환성 유기 용매(예를 들면 메틸 에틸 케튼, 디메톡시에탄,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내에서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형성에 의해 유리된 할로겐화 수소를 결합 시키기 위해 3급 유기 염기(예를들면 트리에틸아민) 또는 알카리성 화합물(예를들면 산화마그네슘 또는 탄산칼륨) 존재하에서 반응시킨다. 일반적으로 25 내지 80℃범위에서 반응을 시킨다.
반응이 완결되면, 형성된 염을 여과하거나 또는 수세하고, 임의적으로 유기 용매를 제거한후 아미드(I)을 분리시킨다.
방법 B
일반식(II)의 R4가 OR을 나타내는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수용액에서, 과량의 아민(III)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아미드(I)로 전환 시킨다.
일반식(II)의 출발 화합물은 문헌에 공지된 방법(예를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개공보 제 2,632,581호)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화합물(I)은 통상의 방법(예를들면 재결정)으로 정제할 수 있다.
유사한 구조의 기조의 화합물(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개공보 제 2,632,581호, 미합중국 특허 제 3,652,645호 참조)과 비교할때, 본 발명 화합물은 농작물에서 보다 우수한 제초작용 및 선택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발아전 방법으로 본 화합물은 여러 농업분야에서 중요한 경제문제를 야기하는 수많은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에 대해 휼륭한 제초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합물은 유럽 및 미국의 농업지역에서 중요한 잡초(예를들면 거위풀(갈리움/Galium), 그외에 다른 형태의 잡초들을 방제한다.
본 발명 화합물(I)은 수많은 농작물(예를들면 곡류, 쌀, 옥수수, 콩, 목화, 포도)에 내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식물의 재배에서 헥타르당 2.4kg의 농도에서도 피해는 전혀 없거나 피해가 있어도 약간만 나타났다.
본 신규 화합물은 활성 물질로서 화합물 2내지 95%를 함유한 제초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혼합하여 유화성 농축물, 수화제, 분무성 용액, 분제 및 입제등으로 제형할수 있다.
수화제는 물에 균일하게 분사될수 있는 제형으로 활성화합물 이외에 희석제 또는 분활성 물질, 습윤제(예를들면 플리옥스에틸화 알킬페놀류, 플리옥스에틸화 지방알콜류, 알킬설포네이트류 또는 알킬페닐설포네이트류) 및 분산제(예를들면 나트륨 리그닌 설포네이트류, 나트륨 2, 2'-디나프틸메탄-6, 6'-디설포네이트, 나트륨-디부틸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또는 오레오일 메틸 타우린의 나트륨염을 함유한다.
유화성 농축물을 유기용매(예를들면 부탄올, 사이클로헥사논, 디메틸포름아미드, 크실렌 또는 고비점의 방향족 화합물 또는 탄화수소류)에 용해시켜,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의 유도제, 예를들면 칼슘 알킬아릴설포네이트(예:칼슘 도데실 벤젠-설포네이트)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예 : 지방산 플리글리콜 에스테르, 알킬아릴 플리글리클에테르, 지방알콜 플리글리클 에테르, 프로필렌옥사이드/에틸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농축생성물, 지방알콜/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농축생성물, 알킬 플리글리콜 에테르,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플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플리옥시에틸렌 솔비를 에스테르)를 가아혀 수득한다.
본제는 활성 화합물을 미세한 고체물질, 예를들어 고령토, 벤토나이트, 피로필리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탈크, 천연 점토와 함께 마쇄시켜 얻는다.
분무성 용액은 흔히 유기용매 및 적당한 불활성 추진제에 활성 물질을 용해시켜 에어로졸로서 상품화한다.
입제는 흡수성의 과립상 불활성 물질에 활성 화합물을 분무시키거나, 또는 접착제, 예를들어 플리비닐알코올, 나트륨 플리아크릴레이트 또는 광유를 사용하여 모래, 고령석 또는 과립성분활성 물질과 같은 담체의 표면에 활성 화합물의 농축물을 적용시켜서 제조할수 있다. 적합한 제형은 바람직하다면 비료와 혼합하여, 비료 입제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수 있다.
제조 조성물의 경우에 있어서, 시판용 제형 내의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다양하다. 수화제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예를들면 약 10 내지 80%이며 나머지는 상술한 제형 첨가제를 함유한다. 유화성 농축물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약 10 내지 80%이다.
분제는 보통 5내지 20%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며 분무성 용액은 약 2내지 20%를 함유한다. 입제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의 함량은 활성 화합물이 액체인가 또는 고체형태인가에 따라 또 사용된 보조제, 충진제 및 기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좌우된다.
시판용 제제(농축물)는 통상의 상법으로, 예를들면 수화제 및 유화성 농축물의 경우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여 사용할수 있다. 분제, 입제 및 분무 용액은 일반적으로 사용전에 불활성 물질로 더 희석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제조효과를 얻는데 필요한 활성 성분의 양은 온도, 습도 및 기타의 의적 조건에 따라 다르다. 활성 물질은 예를들면 0.1 내지 10.0kg/ha로 광범위하게 변화될수 있지만 0.3 내지 5kg/ha 범위가 바람직하다.
분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다른 제초제 및 토양 살충제와 병용할수 있다.
다른 가능한 사용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활성화합물을 비료와 혼합함으로써 비료 및 제조 효과를 얻게 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 것이다.
[제조 실시예]
방법 (A)
트리에틸아민 0.1 물을 산클로라이드(II, R4=할로겐 원자)0.1물이 용해되어 있는 톨루엔 50㎖에 가하고 25℃ 내지 40℃에서 아민(III) 0.1 물을 적가한다. 톨루엔 층을 분리시키고, 수세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한다.
톨루엔을 증류시킨 후, 최종 생성물을 유리시키고 재결정시켜 정제한다.
방법 (B)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에스테르(II, R4=OR) 0.1 몰을 40℃에서 50% 아민(III) 수용액 0.2 몰에 가한다.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교반 하고, 흡인 여과후, 침전물을 수세하고 결정성 잔유물을 건조시킨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화합물들은 다음 표에 열거하였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제형실시예]
[실시예 A:]
물에 쉽게 분산될수 있는 수화제는
활성물질 : 2-〔3-(2', 4'-디클로로페녹시)-6-니트로페녹시〕-프로피온산 메톡시 에틸아미드 25 중량부,
불활성물질 : 석영을 함유한 고령토 64 중량부, 칼륨 리그노설포네이트 10 중량부 및
습윤 및분산제 : 나트륨 오레오일-메틸 타우리드 1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핀(pin)분쇄기로 분쇄하여 수득한다.
[실시예 B:]
제초제로 사용할수 있는 적합한 분제 조성물은
활성물질 : 2-〔3-(2', 4'-디클로로페녹시)-6-니트로페녹시〕-프로피온산 메톡시 에틸아미드 10 중량부 및
불활성물질 : 탈크 9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햄머(Hammer)분쇄기로 분쇄하여 수득한다.
[실시예 C:]
유화성 농축물은
활성물질 : 2-〔3-(2', 4'-디클로로페녹시)-6-니트로페녹시〕-프로피온산 메톡시 아미드 15 중량부,
용 매 : 사이클로헥산 75%중량부 및
유화제 : 옥스에틸화된 노닐페놀(10EO) 10 중량부로 부터 수득한다.
[실시예 D:]
입제는
활성물질 : 2-〔3-(2', 4'-디클로로페녹시)-6-니트로페녹시〕프로피온산 메톡시에틸아미드 약 2내지 15 중량부 및
불활성과립담체 : 애터펄자이트(attapulgite), 과립 경석 및 석영 모래로 구성된다.
[생물학적 실시예 :
](발아 전시용)
잡초를 포트(pot)에 파종한후,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화제 농축물의 수성 분사액 형태로 토양에 분무한다. 식물은 제초 작용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그 결과를 육안으로 평가하고 피해율로서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로서 이 물질이 매우 휼륭한 제초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수많은 잡초를 잘 억제하였음을 알수 있다.
(발아후 사용)
여러종의 잡초를 포트에 파종하고 온실내에서 약 3주일간 15 내지 25cm높이로 성장시킨다. 다음 본 발명 화합물로 이 식물들을 처리한다. 사용후 거의 4주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본 발명 화합물은 만족할만큼 잡초를 억제하였으며 비페녹스 5-(2, 4-디클로로 페녹시)-2-니트로벤조산 메틸에스테르(표 1 참조)비교 화합물 보다우수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농작물의 내성
농작물을 포트에 파종하고 본 발명 화합물로 발아전 처리한다. 포트를 온실에 보관한다.
본 화합물을 사용후 4주일간 결과를 평가하여 표 II에 나타내었다. 헥타르당 활성물질(AS) 2.4kg의 높은 용량에서도 농작물에는 피해가 전혀 또는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 화합물은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 선택적인 제초제로서 유효하다.
[표 1]
여러종의 잡초에 대한 제조 작용, %]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SAL=강아지풀 ECG=피 AMR=비름 MAT=개꽃 CRS=제충국
[표 II]
발아전 사용에서 농작물에 대한 적합성(피해 %)]
Figure kpo00007

Claims (1)

  1. 다음 일반식(II)의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III)의 아민과 반응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일반식(I)의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8
    상기 일반식에서 R2는 할로겐, NO2, CN 및/또는 CF3;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R3는 탄소수 3내지 6의 알케닐, 탄소수 3내지 6의 알키닐, 하이드록시-(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탄소수 1내지 4의 알콕시-(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디-(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아미노-(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시아노(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탄소수 1내지 4)의 알킬티오-(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탄소수 5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 메틸-사이클로헥실, 페닐-(탄소수 1내지 4)의 알킬, 피리딜 또는 피리미딜을 나타내는데 R2및 R3는 함께 2개 이하의 탄소원자가 질소 및/또는 산소로 치환될수 있는 4내지 7-원환을 형성하며 n은 1또는 2이고, R4는 할로겐 원자 또는 OR(여기에서 R은 탄소수 1내지 8의 알킬)을 나타낸다.
KR1019790004102A 1979-11-22 1979-11-22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KR83000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102A KR830002375B1 (ko) 1979-11-22 1979-11-22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102A KR830002375B1 (ko) 1979-11-22 1979-11-22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190A KR830001190A (ko) 1983-04-29
KR830002375B1 true KR830002375B1 (ko) 1983-10-25

Family

ID=1921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102A KR830002375B1 (ko) 1979-11-22 1979-11-22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3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190A (ko) 198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21401A (ja) 除草性フェノキシプロピオン酸n−アルキル−n−2−フルオロフェニルアミド化合物
JPS61126071A (ja) 農園芸用殺菌剤
JPH0333701B2 (ko)
US4945113A (en) herbicidal sulfonamide derivatives
EP0006347B1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regulating soybean plant growth utilizing substituted benzazolylthioalkanoic acids
EP0088066B1 (en) 3,5-bis (trifluoromethyl) phenoxy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KR830002375B1 (ko) 페녹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CA1120034A (en) Phenoxy-phenoxy-propionic acid amides,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and their use as herbicides
US4334909A (en) N-(Alkoxymethyl)-2'-nitro-6'-substituted-2-haloacetanilides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nts
EP0003075A1 (en) N-Amides of 2-benzothiazolinone and their use as plant growth regulants
KR920002793B1 (ko) 벤질우레아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399069A (ja) 植物成長調整剤としての新規オキサゾリジノン、及び―チオン
US4448399A (en) Benzthiazolyl-2-thioalkanoic nitriles
HU193705B (en) Selective herbicidal compositions of prolonged effect, containing alpha-chlorine-acetamide-derivatives as active substance
JPH0655705B2 (ja) アシルアミノバレロニトリ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除草剤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EP0118982A1 (en) Organic phosphorous quinoxalinone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US4039313A (en) Herbicidal methods using 4-chlorobenzyl-N,N-hexamethylenethiolcarbamate
KR810000852B1 (ko) 신규 안식향산 아닐리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567251B2 (ja) テトラヒドロフタルイミド誘導体
KR930011525B1 (ko) 제초력이 있는 신규 페녹시 벤조일 말론산 에스테르 유도체
JPS6143160A (ja) シクロヘキセンジカルボン酸ジアミド類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US4323677A (en) N-Amides of 2-benzothiazolinone
KR830001714B1 (ko) 디페닐 에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0803B1 (ko) 피리딜옥시-페녹시알칸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5279A (ja) 新規なオキシムエーテル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