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341B1 -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341B1
KR830002341B1 KR1019800000050A KR800000050A KR830002341B1 KR 830002341 B1 KR830002341 B1 KR 830002341B1 KR 1019800000050 A KR1019800000050 A KR 1019800000050A KR 800000050 A KR800000050 A KR 800000050A KR 830002341 B1 KR830002341 B1 KR 83000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agnetic
tape
magnetic head
magnetic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벤스타이너 왈터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귀스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to KR101980000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하나의 리일로 부터 드럼형상의 테이프 안내부재 및 자기헤드 구조체를 통해 다른 리일까지 이르는 자기 테이프의 통로를 보이는 기록재생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3도는 자기테이프상의 트랙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위치설정소자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회로도.
제6도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단일의 위치 설정소자로써 자기헤드의 트랙킹을 행하는 장치의 상세도.
제7도는 제1도의 선 Ⅶ-Ⅶ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8도, 제9도 및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한 드럼부분의 상세도.
제11도는 자기헤드의 전기적작동 또는 비작동을 위한 회로도.
제12도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
제13도는 제12도와 유사한 도면.
제14도는 제13도의 선 XIV-XIV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15도는 드럼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제7도와 유사한 도면.
본 발명은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록재생장치는 제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헤드와, 자기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드럼형 테이프 안재부재와, 자기테이프 이송용의 구동장치를 구비하되, 테이프 안내부재는 자기테이프 근처에 배치되고, 자기테이프는 테이프 안내부재의 의주면의 적어도 일분분상에 걸처 통과하여 제1의 레벨로 회전하는 자기헤드를 통과하게 되며, 자기헤드는 자기테이프 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제1의 자기테이프 부분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트랙을 주사하게 되며, 또한 구동장치에 의해서는 경사트랙을 주사하게 되며, 또한 구동장치에 의해서는 트랙주사를 위해 소정의 속도를 갖고서 제1의 이송방향으로 자기테이프가 이송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자기테이프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나머지 제2의 자기테이프 부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미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를 제1의 이송 방향과는 역으로 제2이송 방향으로 되감은 후,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전과 같이 제1의 이송방향으로 함과 동시에, 자기헤드의 회전방향도 전과 같이 제1의 회전방향으로 하여야 했으므로, 이같은 종래의 기록 장치에서는 테이프의 제1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인 제2이송방향으로 테이프를 역이송하는 중에는 기록 재생을 행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 성취에 의해, 자기테이프가 구동장치에 의해 트랙주사를 목적으로 소정의 속도를 갖고서 제1의 이송방향과는 반대방향의 제2의 이송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고, 이같은 제2이송 방향으로서의 자기테이프 이송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헤드가 제1의 레벨로 부터 자기테이프 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를 두고 이격된 다른 제2레벨에서 제1의 회전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의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을 주사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재생의 동작이 중단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고, 제1의 자기테이프상의 트랙 주사로 부터 제2의 자기 테이프상의 트랙주사로의 전환은 단순히 자기테이프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킴과 동시에 자기헤드를 제2의 자기테이프상의 트랙주사로의 전환은 단순히 자기테이프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킴과 동시에 자기헤드를 제2의 자기테이프상의 경사트랙과 상호작동하게끔 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게 되는데, 이것은 후술된 바와같이 즉 그 예로서, 제1 및 제2이송방향에서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자기헤드들을 축방향으로 이격시키거나, 축방향으로 이격된 자기헤드를 구비한 자기헤드 구조체의 회전방향을 역으로하는 등등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상기한 전환동작은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하거나, 조작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같은 종류의 장치에서는 자기테이프의 통로에 대해 엄격한 정확도가 요구되므로 자기테이프의 구동에 주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자기테이프를 상호 양방향, 제1 및 제2의 이송방향으로 테이프 안내부재에 걸쳐 정확히 통과시켜야만 하므로 더욱 주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동장치에 서로 역의 회전방향을 갖고서 대응하는 압압롤러와 제각기 상호 작동하는 두 개의 구동축을 구비시키되, 제1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행해지고, 제2의 자기테이프상의 트랙주사는 제2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자기헤드에 의해 행해지며, 자기헤드는 자기테이프 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서로간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레벨들에서 회전한다. 자기헤드 지지체로서 제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에 제공되어 있으며, 자기헤드가 드럼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전체폭에 걸쳐서 통과될 수 있으며 드럼의 일연부와 더불어 테이프 안내부재의 일연부에 관련하는 갭을 이루며, 제1의 이송방향으로의 테이프 이송중에 드럼의 일연부 근처의 제1의 레벨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송방향으로 자기 테이프가 이송되는 중에는 드럼이 제2회전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되 제2의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을 주사하는 자기헤드는 자기 테이프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드럼의 일연부로 부터 드럼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의 레벨에서 동작하게 되면, 이경우 드럼은 그 자체가 자기테이프에 대한 안내부재을 이루게되므로 유익하다.
이같은 점에서 제2의 테이프 부분상의 경사트랙을 주사하는 자기헤드가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며 제2의 레베에 위치되는 개구를 통할 수 있다면 드럼이 제2의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을 주사하는 자기헤드 근처의 테이프 안내부재를 형성하게 되므로 부가적인 드럼형의 테이프 안내부재가 필요없게 되어 유익하다.
게다가 자기 헤드가 테이프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드럼축방향으로 이격된 두 위치간에서 조정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하되, 제1의 위치에서 제2의위치로의 이동중에 드럼의 외주면으로 부터 내부에 수축되어 들어간후,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그후 다시 드럼의 외주면으로 부터 돌출되게 구성하면, 제1및 제2의 자기 테이브 부분상의 트랙에 대한 주사가 동일자기 헤드에 의해 행해질 수 있고, 이같이 자기헤드가 드럼의 외주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같은 작동에 의해 테이프 이송 또는 드럼의 회전시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헤드가 손상을 입지 않게되어 유익하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드럼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게하고, 자기테이프의 제1 및 제2이송방향, 드럼의 제1 및 제2회전 방향에 따라 관련하는 자기헤드가 관련하는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주사를 위해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하면, 제1 및 제2의 자기테이프 부분에 대해 제각기 하나의 자기헤드가 제공되므로, 관련하는 드럼의 회전방향이 선택된 경우, 관련하는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만이 두 개의 자기헤드 중의 하나에 의해 간단히 주사될 수 있어 유익하다.
이같은 점에서 조정장치에 의해서 제1의 자기헤드의 기계적 작동을 위해 제1의 자기헤드가 드럼의 외주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제1의 위치에 위치됨과 동시에 제2의 자기헤드는 제2의 위치로 부터 철수되게 하면, 두 개의 자기헤드중에서 하나의 자기헤드만이 관련하는 테이프 부분과 상호작동케 되므로, 자기헤드의 수명이 두배로 될 것이고, 상기와 같은 반경 방향의 이동은 자기테이프의 이송, 드럼의 회전시에 자기헤드 또는 자기테이프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것이며, 제 1 및 제2위치 즉, 자기헤드가 동작하는 위치는 정확하게 유지되고 또한 조정장치에 의한 작용이 없을 경우에는 작용을 하지 않게되며, 이들 두개의 자기헤드를 토글식으로 배열할 경우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유익하다.
두 개의 자기헤드 중에서 하나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킨다는 점에서 두 개의 자기헤드를 드럼의 외주면에 대한 반경 반향에 고정장착하고 드럼상에 스위칭 장치를 설치하여 그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두 개의 자기 헤드가 작동 및 비작동하게 되면, 기계적 구조가 간단해지고, 스위칭 조작이 통상적이라 좋으며, 스프리어스 신호가 피해지게 되므로 유익한다. 또한 이같은 점에서 드럼축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슬리브를 통해 스위칭 장치가 작동하게 하면 스위칭 장치의 작동이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게 되어 좋다. 그렇지만, 적합하기는 스위칭 장치가 반경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하여 회전드럼과 장치간에서 작용하는 스위칭 장치가 필요없게 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같은 자동 작동에 대해서는 드럼축에 대해 회전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회전방향에 따라 드럼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제동기에 의해 제동력이 가해질 수 있는 날개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자동작동에 대해 드럼축 및 드럼축과 평행한 편심축에 대해 수직한 평면내에서 선회할 수 있는 시계 추형 레벨을 제공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미 잘 알고 있는 바와같이, 자기헤드가 트랙을 정확하게 주사하고 트랙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은 중요하므로, 공지의 방식으로 자기헤드를 제어가능한 위치설정소자 즉, 트랙킹오차에 대응하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주사될 트랙에 대해 횡방향에서 자기헤드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소자를 통해 드럼에 접속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기헤드를 트랙에 따라 안내하기 위해 두 개의 자기헤드를 제각기 전기적 병렬접속의 제어가능한 위치설정 소자를 통해 드럼에 접속하여 이같은 병렬 접속에 의해 관련 제어전압이 위치설정 소자에 간단히 인가될 수 있게하는 것에 의해 회전드럼에 대해 단지 두 개의 공급 리이드선만이 필요하게 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같은 점에서 또한 자기헤드를 트랙에 따라 안내하기 위한 전기적 제어가능 위치 설정소자를 통해 두개의 자기헤드를 드럼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두 자기헤드에 대해 단지 하나의 위치설정소자만이 필요케 되도록 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며을 설명하겠다.
제1도에 있어서 샤시(1)상에는 카세트(2)가 놓여져 있는데 이 카세트는 장치의 작동개시위치에서 테이프틀(4)로 부터 안내롤러(5),(6)을 통해 테이프롤(7)까지 연신되어 있는 자기테이프(3)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카세트에는 리세스(8) 및 개구(9), (10)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틀(4),(7)은 리일(11), (12)에 수용되는데, 이들 리일(11),(12)은 제각기 권취맨드릴(13), (14)에 의해 제각기 구동될 수 있다.
자기 테이프상의 신호, 특히, 텔레비젼신호의 기록재생을 위해, 테이프는 카세트로 부터 나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헤드 구조체(15) 및 드럼형 안내부재(16)의 외주면의 일부분에 걸쳐 접하게되는데, 이는 안내테일(19), (20)을 따라 이동되는 테이프 안내부재(17)(18)에 의해 행해진다. 장치의 작동 개시 위치에서, 테이프 안내부재(17), (18)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2)의 리세스(8) 근처에 위치하고 안내핀(21), (22), (23), (24)은 카세트 리세스(8)근처에서 자기테이프의 후방에 있게 된다. 그후, 테이프 안내부재(17), (18)가 제각기 화살표 방향(25), (26)을 따라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동작위치에 이동되면, 안내핀(21), (22), (23), (24)은 자기테이프와 제각기 정합하게 되고, 테이프는 카세트로 부터 당겨져 나와 자기헤드 구조체(15) 및 테이프 안내부재(16)상에 접하게 되어, 자기테이프는 고정자기헤드(27), (28)와 동작적으로 접촉해서 통상의 방식으로 기록, 재생 또는 지움 작용하에 들어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헤드 구조체(15)가 두 개의 자기헤드(29), (30)를 구비하는데, 이들 자기헤드(29),(30)가 서로 대해 180°이격배치된 상태로 제1의 레벨에서 제1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자기헤드 구조체(15)의 화살표(31)로 도시된 제1의 회전 방향으로의 일회전중에 두 개의 자기헤드는 제각기 자기 테이프상의 경사트랙을 주사하게 된다.
제1의 이동 방향 즉, 테이프를 (4)로 부터 테이프 안내부재(16) 및 자기헤드 구조체(15)를 통해 테이프를 (7)에 이르는 제1의 이동방향(화살표(36)로 도시됨)과 반대의 제2의 이동방향(화살표(37)로 도시됨)으로 소정의 속도로서 테이프를 이동시켜 트랙을 주사하는 경우, 자기 헤드 구조체(15)의 회전방향은 (38)로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제3도에 도시한 제2의 자기 테이프 부분상의 경사트랙(42), (43)을 자기케이프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제1의 레벨로 부터 이격된 제2의 레벨에서 동작하는 두 개의 자기헤드가 주사하게 된다. 제1의 자기테이프부분(33 : 제3도) 상의 트랙주사로 부터 제2자기테이프부분(41 : 제3도) 상의 트랙주사로의 전환은 임의의 점에서 장치에 의한 자동적 제어나, 조작자에 의한 수동제어에 의해 자기테이프의 이동방향을 바꾸고, 자기헤드나 회전하는 레벨을 대응회전 방향에서 상응시키는 것만으로 충분케 되므로, 어떤 기다란 중단없이 즉시 행해질 수 있다.
트랙주사를 위해 소정의 속도로 이동되는 테이프의 이동방향을 반대로 할 목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44)를 사용하는데, 이구동장치(44)는 상호역 회전방향을 가지며, 압압롤러(45) 및 (46)과 제각기 상호작동하는 구동축(47) 및 (48)을 구비한다. 이들 구동축 중에서 구동축(47)은 자기테이프가 제1의 이동방향(36)으로 이동될 때 작동하며, 구동축(48)은 자기테이프가 제2의 이동방향(37)으로 이동될 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47), (48)은 샤시(1)상에 설치되며, 압압롤러(45) 및 (46)는 조정 가능한 테이프 안내부재(18) 및 (17)상에 제각기 설치되어 있어, 임의로 압압롤러(45), (46)는 자기테이프 및 대응하는 구동축과 동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제1도는 제1이동방향(36)으로 자기테이프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경우 구동축(46), (47)중에서 구동축(47)만이 동작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테이프 안내부재(18)는 테이프 안내부재(17)보다 더 후방에 있게되며, 구동축(47)은 압압롤러(45)와 접하여 상호작동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경우 테이프 안내부재(17)은 단지 동작위치 근방에 있게 되어 있으므로, 구동축(48)과 압압롤러(46)는 동작적으로 접하고 있지 않게되어 자기테이프의 제2의 이동방향과는 무관하게 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제1의 이동방향(36)으로의 자기테이프의 이동을 반대로 하여 제2의 이동방향(37)으로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안내부재(18)를 화살포(26)의 방향에 대해 역으로 조금만 이동시켜 압압롤러(45)와 구동축(47)와 구동축(47)간의 동작적인 접촉을 해제함과 동시에 테이프 안내부재(17)를 화살표(25)의 방향으로 조금 이동시켜 압압롤러(46)와 구동축(47)이 상호간에 동작적으로 접촉하게 한다. 또한 자기테이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권취 맨트릴(13) 또는 (14)의 회전방향을 대응시켜, 하나의 테이프릴(4) 또는 (7)로 부터 다른 테이프릴 상에 권취되게 함을 물론이다.
테이프 안내부재(16) 및 자기 헤드 구조체(15)에 관련배치되며 상호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두 개의 구동축(47), (48)을 가진 구동장치(44)는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에 대단히 중요하게 되는 이동방향(36), (37)에서의 자기테이프 안내부재(16) 및 자기헤드 구조체(15)에 걸친 자기테이프의 통로를 정확하게 한다. 이러한 테이프 안내부재(16) 및 자기헤드 구조체(15)의 구성 및 동작은 몇개의 예로서 후술될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장착판(49)은 샤시(1)상에 고착되는데, 이 장착판은 테이프 안내부재(16) 및 자기헤드 구조체(15)를 보유지지한다. 테이프 안내부재는 장착판(49)에 고착된 중공의 드럼을 구비하는데, 저면(50)에는 동축적으로 모터(51)가 고착되고, 구동축(52)은 드럼을 통해 연장한다. 구동축(52)상에는 또다른 중공의 드럼(53)이 장착되는데, 드럼연부(54)는 테이프 안내부재(16)의 연부(56)과 더불어 갭을 형성한다. 드럼(53)은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자기헤드 구조체(15)의 자기헤드들에 대한 지지체로서의 역활을 한다. 테이프 안내부재(16)의 외주면(57)에는 나선 계단형상부(5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나선 계단형상부(58)는 테이프 안내부재(16)의 연부(56)의 일점으로 부터 시작하여 180°되는 점까지 점차 하향한후 다시 상기 일점까지 상향하여 폐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경우 상기 180°되는 점은 구동축(52)에 평행한 외주면상의 선을 따라 측정하면 테이프 폭의 절반에 상당한다. 나선 계단 형상부(58)는 테이프(3)의 일연부에 대해 안내역활을 한다. 따라서 제2도를 참조해 볼 때 자기테이프의 제1이동방향으로의 이동의 경우, 드럼의 외주면(60)에 최초 접하게 되는 자기프이프의 폭 길이는 전체 상당하며, 드럼의 외주면(60)으로 부터 180°만큼 떨어진 점으로 부터 드럼을 떠나는 자기테이프의 폭길이는 절반에 상당한다
자기테이프의 제1의 이동방향으로의 상태에서 동작하는 자기헤드 구조체(15)의 자기헤드(29), (30)는 드럼(53)상에서 드럼 연부(54)근처에 서로 직경적으로 반대편에 배치되므로, 그 결과 자기헤드(29), (30)는 제1의 레벨로 회전하게되고, 자기테이프(3)와 동작적으로 접촉해서 전술되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기테이프(3)의 제1의 자기테이프 부분(33)상의 경사트랙(34), (35)를 주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직경적으로 대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개구(61), (62)가 드럼(53)에 형성되는데, 이들 개구들은 드럼의 연부(54)로 부터 자기테이프 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이들 구멍(61), (62)에는 또 다른 자기 헤드(39), (40)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자기 헤드(39), (40)는 제1의 레벨로 부터 자기테이프 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제2레벨에서 회전한다. 자기헤드(39), (40)는 드럼(53)이 모터(51)의 극성 변환에 의해 제1의 회전방향(31)과는 반대의 젠2의 회전 방향(38)으로 구동되고 자기테이프가 제1의 이동방향(36)과 반대로 제2의 이동방향(37)으로 이동될때, 제2의 자기테이프 부분(41)상의 경사트랙(42), (43)을 주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헤드(29), (30), (39), (40)는 자기테이프와 항상 동작적으로 접하고 있으므로, 드럼(53)의 회전방향에 따라, 자기헤드(29), (30), (39), (40) 중에서 두 개의 자기헤드(29), (30) 또는 (39), (40)만을 대응 레벨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게 하기 위해서 즉, 드럼(53)의 제1회전방향(31)에 대해서는 자기헤드(29), (30)만이 그리고 제2의 회전방향(38)에 대해서는 자기헤드(39), (40)만이 전기적으로 작동되어 기록중에는 자기헤드가 신호를 수신하고 재생중에는 자기헤드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가 제거되게하기 위해서 고정부(63)가 테이프 안내부재(16)에 고착되고 회전부(64)가 드럼(53)에 고착된 회전 변환기가 제공되는데 이들 고정부 및 회전부는 제각기 서로에 대해 대향배치되고 전기적으로 결합된 네개의 환형코일을 구비한다. 변환기 회전부(64)의 환형코일들은 네개의 자기헤드 중의 하나에 접속되며, 고정부(63)의 환형코일들은 장치의 전기 회로에 접속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드럼(53)은 네개의 자기헤드(29), (30), (39), (40)에 대해 지지체로서 제공되며, 자기헤드(29), (30)는 제1의 레벨에서 회전하고, 자기헤드 (39), (40)는 자기테이프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제1의 레벨로 부터 드럼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의 레벨에서 회전하고 자기헤드(29), (30)는 드럼(53)의 연부(54)근처에 배치된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53)은 자기테이프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자기헤드(39), (40)는 드럼의 제2연부(65)근처에 배치되므로 드럼(53)그 자체는 제조에 있어 더욱 간단해진다.
드럼 형태의 테이프 안내부재(16)는 드럼(53)과 상호작동 하며, 테이프 안내부재(16)에는 모터(51)가 고착되고, 구동축(52)상에는 드럼(53)이 장착된다. 여기서의 테이프 안내부재(16)는 제2도의 테이프 안내부재와 완전히 유사하다. 자기헤드(29), (30)는 갭 (55) 내에 배치되며, 이 갭은 드럼(53)의 연부(54)와 테이프 안내부재(16)의 연부(56) 간에 형성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헤드를 보유지지 하고 자기 테이프 폭의 대략 절반에 상당하는 높이만을 가진 드럼(53)이 외주면(60)과 더불어 테이프의 전체폭에 걸쳐 자기테이프(3)를 지지하고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부가적인 테이프 안내부재로서 또 다른 드럼(66)이 제공되는데, 이드럼(66)은 테이프 안내부재(16) 및 드럼(53)과 동축을 이루며, 드럼 안부(65)에 대향 배치되고 L형상의 브래테(67)에 의해 테이프 안내부재(16)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드럼(66)의 연부(68)와 드럼(53)의 연부(65)간에 갭(69)가 형성되는데, 갭(69)내에는 자기헤드(39), (40)이 배치된다. 드럼(66)의 외주면(70)은 테이프(3)에 대한 안내면을 구성하는데, 이것에 의해 자기테이프 구조체의 외주부에 걸친 자기테이프의 정확한 안내가 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헤드(29), (30), (39) 및 (40)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위치설정소자(71), (72), (73) 및 (74)를 통해 드럼에 접속된다. 이러한 위치설정 소자들은 주사될 트랙에 따라 관련자기헤드를 안내하는 역활을 한다. 이들은 제5도로 부터 명백히 볼 수 있듯이 압전 세라믹소자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제각기 두 개의 디스크(75)와 (76)으로 구성되고, 디스크(75)와 (76)간에는 전극(77)이 연장하며, 외측에는 전극(78), (79)가 제공된다. 자기헤드는 이러한 위치설정 소자의 자유단부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극들에 적당한 전기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위치설정 소자들은 위치 설정소자들의 주표면들에 수직하게 양방향으로 보다 크거나 작은 범위의 호를 그리면생 편향될 수 있어 관련자기헤드는 헤드에 의해 주사될 트랙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어 상기 트랙을 따라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설정소자들의 구성 및 구동에 해대서는 DE-OS 27, 41, 217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5도로 부터 명백하듯이 위치설정 소자의 외측전극(78), (79)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그결과 단지 두 개의 전기적 접속만이 하나의 위치설정 소자에 대해 필요케 된다. 자기테이프의 제1의 이동방향에서의 자기헤드(29), (30) 및 제2의 이동방향에서의 자기헤드(39), (40)는 제각기 인접트랙을 주사하기 때문에 자기헤드들에 제각기 연관된 위치설정 소자(71), (72) 및 (73)(74)에별개의 제어신호들을 인가하여 대응 트랙킹 교정을 행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가 접지 접속되는 경우 전체 다섯개의 접속이 네개의 위치설정 소자들에 필요하다. 회전드럼(53)에 대한 이러한 접속들은 슬립링을 통해 행해지므로 이러한 접속의 수가 최소로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위치설정 소자들은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는데, 이들 소자들은 드럼(5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및 2의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을 교대로 주사함시과 동시에 드럼의 회전주에 자기테이프와 동작적으로 접촉하는 자기헤드들 과관련된다. 비동작 상태의 자기헤드들은 제1 및 제2의 자기테이프부분 중 하나의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주사를 위해 자기테이가 사용되는 바와 같은 식으로 조정되나, 이들 자기들은 비동작상태에 있기 때문에 중요치 않다. 그러므로, 제5도로 부터 명백하듯이 위치설정소자(71), (74) 및 (72), (73)은 병렬로 접속되고, 그결과 네개의 위치설정 소자에 대해 단지 세개의 접속만이 필요하다. 이들 세개의 접속은 드럼(53)상에 배치된 동심의 접촉링(80), (81) 및 (82)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링들은 테이프 안내부재(16)상에 배치된 접동부재(83), (84) 및 (85)와 접촉한다. 접동부재(84)는 접지 접속을 이루는 반명, 접동부재(83)는 제1의 제어신호 발생기(86)에 접속되고, 접동부재(85)는 제2의 제어신호 발생기(87)에 접속된다. 트랙킹 오차의 방향에 따라 두 개의 제어신호 발생기는 정 또는 부의 제어신호를 공급하며, 트랙킹 오차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는 진폭을 가진 제어신호를 공급하므로써 그 결과 대응하여 위치설정 소들자은 편향될 것이다. 두 개의 제어신호발생기(86), (87)는 회로(88)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회로는 대응하는 오차 신호에 비례하며 회로(88)의 입력(89)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하지만 이 제어신호의 발생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있어 중요치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피했다.
제6도에는 헤드의 의해 주사될 트랙을 따라 자기헤드를 안내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에는 드럼(53), 테이프 안내부재(16) 및 드럼(66)이 구비된다. 이 경우에서 자기테이프(3)와 동작적으로 접촉하는 자기헤드(29), (40)는 드럼(53)에 형성된 슬로트(91)를 통해 연장하여 자기헤드(29), (40)에 대해 두 개의 레벨을 결정하는 홀더(90)상에 수용된다. 이 홀더(90)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위치설정소자(92)를 통해 드럼(53)에 접속되므로써, 자기헤드(29), (40)는 위치설정 소자의 편향과 부합하여 트랙을 따라 안내된다. 자기헤드가 그들의 레벨들에 평행하게 조정되게 하기 위해 판스프링(93)은 홀더(90)에 접속되는데, 이 스프링은 위치설정소자(92)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드럼(53)에 접속된다. 이렇게하여 위치설정소자(92) 및 판 스프링(93)은 홀더(90)에 대해 평행한 안내작용을 한다. 이러한 구성은 단일의 위치설정소자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되며 경제적으로 된다.
제2도, 제4도 및 제6도의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레벨에서 교대로 회전하는 자기 헤드들은 쌍을 이루어 동시에 드럼의 회전중에 자기테이프와 상호작동 한다. 이점에서 자기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따라 대응하는 자기 헤드들 만이 대응레벨 즉 자기헤드들이 자기테이프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을 주사하는 레벨에서 전기적으로 작동되어 회전한다. 이러한 자기헤드의 전기적 작동은 드럼의 회전방향, 자기테이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즉시 행해진다. 이후의 실시예들은 관련하는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주사에 대해 자기헤드의 기계적인 작동을 사용하여 기술하겠다. 이러한 기계적인 자기헤드의 작동은 드럼의 외주면에 관련하는 기계적인 헤드의 조저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예로서 필요한 변위는 드럼상에 배치된 상향작용 자석에 의해 얻어지며, 이것은 드럼상의 슬립링들을 통해 제어된다. 또한 장치로 부터 회전드럼으로의 소요의 이동을 전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러한 실시예는 제7도에 도시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드럼(53) 및 테이프 안내부재(16)의 구성을 활용한다.
제3도에는 자기헤드를 조정하는 실제의 구성적 단계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는데, 이것은 도면의 간료성을 목적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제7도에서 점설(94)으로 도시된 구성부분을 나타내는 별개의 확대도면을 통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제7도로 부터 명백하듯이, 레버(96)가 선회적으로 저어널되어 있으며 모터(51)의 축(52)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암(95)은 장착판(49)에 고착된다. 이 레버의 일단부(97)는 접속봉(98)에 대해 작동되믄데, 접속봉(98)은 장치의 이동가능 부품을 또는 상향작용 자석에 의해서 드럼의 회전방향, 자기테이프의 이동방향에 좌우되는 운동으로서 이후 레버(96)에 전달되는 운동을 수행한다. 레버(96)의 구형 타단부(99)는 중공의 드럼(53)이 고착된 축(52)을 따라 접동되는 제어 슬리이브(101)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슬로트(100)에 정합된다. 제어 슬리브(101)는 드럼(53)과 더불어 회전되게끔 드럼(53)에 접속되는데 이를위해 슬리브(101) 상의암 (102), (103)는 드럼(53)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여 서로 직경적으로 대향하는 리세스(104), (105)와 제각기 정합된다. 이렇게하여 제어 슬리브(101)는 드럼(53)과 함께 회전하고, 레버(96)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접속봉(98)의 운동이 드럼(53) 내측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돌기부(102), (103)는 트러니온(106) 또는 (107), 저어널 또는 동종의 것들을 그들의 단부에 구비하는데, 이들에 의해 제어 운동은 드럼상에 직경적으로 대향 배치된 자기헤드들에 부과될 수 있게 된다.
제8도에 도시된 제7도의 부분(94)은 자기헤드(29), (40)의 기계적 작동을 위한 조정장치(108)를 구비하는데 이것에 의해 헤드들은 드럼(53)의 외주면(60)에 관련하는 선회운동을 수행하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방향을 갖기 때문에 자기헤드들이 자기테이프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므로 자기헤드 및 자기테이프는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는 자기헤드의 조정을 위해 토글부재(109)가 제공되는데, 이 토글부재는 드럼(53)의 리세스(105)내에 선회적으로 저어널되어 축방향의 제어널부재(110)을 구비하며 <형 홈(111)과 정합된다. 홈(111)은 드럼(53)의 리세스(105)의 양측에 형성된다. 자기헤드(29), (40)는 토글부재의 외측면(112), (113)상에 제각기 배치되는데, 이들 외측면(112), (113)들은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다. 외측면(112), (113)에 평행한 두 개의 나사(114), (115)는 토글부재상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나사들의 자유단부들은 드럼사의 멈춤면(116), (117)과 상호작용하도록 되어 있어 자기헤드들의 단부위치가 드럼의 외주면(60)에 관련하여 조정될 수 있다. 리세스(118)에는 스핀들(119)이 배치되는데, 이 스핀들(119)은 조정장치(108)에 속하는 레버 구조체에 대해 정합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같은 레버구조체는 드럼리세스(105)의 스핀들(120)을 선회하며, 제어 슬리브(101)의 돌기부(103)상의 트러니온(107)과 정합하는 포크형단부(122)를 가진 레버(121)를 구비한다. 암(124)는 레버(121)의 타단부(123)상에 선회적으로 저어널되고 이 암의 포크형자유단부는 토글부재(109)상의 스핀들(119)과 정합한다. 암(124)에서 나선형 스프링이 감겨있는데, 스프링의 일단부는 암(124)상에 형성되어 있는 견부(126)에 접하며, 타단부는 스핀들(119)에 접한다.
제8도는 자기헤드(29)가 트랙주사를 위해 기계적으로 작동되어 있으며 드럼(53)의 외주면(60)근처에 배치되는 반면, 자기 헤드(40)는 기계적으로 비작동되어 있으며 드럼(53)의 외주면(60)으로 부터 후퇴되어 있는 위치에서 토글부재(109)와 더불어 조정장치(108)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나사(114)에 의해 고정되며 스프링(125)에 의해 결정되는 토글부재(109)의 위치는 멈춤면(116) 및 <형 베어링(111)과 스핀들(120)간에서 스프링(125)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1의 위치로 된다. 이렇게하여 자기헤드(29)의 위치는 중심위치에 의해 설정되고 애매모호하지 않게 결정된다. 게다가, 제어슬리브(101)로 부터 힘을 제거하면, 이 슬리브에 의해 전달될 운동은 비임계적으로 되며, 이점에서 공차가 무시된다.
조정장치(108)의 위치로 부터 자기헤드(40)가 기계적으로 작동되게 하기 위해 제어 슬리브(101)는 화살표(77)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레버(121) 따라서 암(124)는 드럼(53)의 외주면(60)에 관련하는 자기헤드의 위치가 나사(115)에 의해 정해져 이 외주면(60)으로 부터 자기헤드(29)가 철수되는 제2의 위치에 토글부재(109)가 스프링(125)의 영향력하에서 경사질때까지 선회되게 된다. 헤드(30), (39)의 조정을 위해, 제어슬리브(101)의 돌기부(102)상에서 트러니온(106)에 의해 작동되는 유사조정 장치가 제공된다.
제9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장치(108)는 두 개의 연결부재(128), (129)를 구비하는데, 이들 연결부재(128), (129)는 상호간에 결합되나 반대의 운동을 하는데, 이들 상에는 자기헤드(29), (40)가 제각기 배치된다. 이들 연결부재들은 판(130) 또는 (131)을 구비하는데, 이들 판(130), 또는 (131)은 관련자기헤드를 보유지지하며 연결부재를 구성하며, 또한 레버(132) 및 (133)를 구비하는데, 이들레버는 연결부재의 크랭크를 구성하며, 크랭크는스핀들(134) 및 (135)에 의해 드럼(53)의 리세스(105)내에 선회적으로 저어널된다 이들 레버 및 판들은 서로에 대해 분절되고, 이 경우 찬넬 형상의 베어링 위치부(136), (137) 및 (138)(139)는 판내에 형성되고 레버의 자유단부들상에 제각기 배치된 교차암(140), (141) 및 (142), (143)와 정합한다. 두 개의 인장스프링, 즉, 판(130)과 판(131)간에서 작용하는 인장스프링(144) 및 (145)에 의해서 판 및 레버들은 서로 부착작고, 그결과로써 이들 부품들간에는 분절접속이 이루어진다. 레버(132), (133)는 연결부재(128) 및 (129)에 대해 공통요소를 이루기 때문에 그 결합은 마디부를 이루되 운동방향은 반대로 된다. 연결부재에 대한 제어 슬리브(101)의 운동 전달을 위해, 레버(132)에 접속된 암(146)이 제공되는데, 이 암의 포크형 자유단부는 제어 슬리브(01)의 암(103)상의 트러니온(107)과 정합한다.
드럼(53)의 외주면(60)에 관하여 자기헤드(29), (40)의 단부 위치를 정하기위해, 판(130), (131)이 나사(147), (148)이 제공되는데, 이들 나사들은 드럼으로 부터 리세스내에 돌출된 멈춤부재(149), (150)와 상호작동한다. 나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자기헤드의 관련 단부위치들은 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위치에 의해 애매모호하지 않게 자기헤드들의 단부위치들을 정하기 위해 암(151)은 레버(133)상에 장착되고 이 암은 드럼의 리세스(105)내에 클램핑된 판 스프링(152)과 상호작동 하는데, 이 스프링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암을 선회시키려 한다.
자기헤드(40)의 기계적 작동은 화살표(127) 방향으로 제어 슬리브(101)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연결부재(128), (129)가 암(146)의 영향하에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는 결과로써 판(130)은 드럼(53)의 외주면(60)으로 부터 철수되고, 판(131)은 나사(148)가 멈춤부재(150)에 접할때 까지 외주면 쪼을 향해 위치된다. 이때 판스프링(152)은 다시 경사 동작을 초래하고 그결과 자기헤드(40)의 단부위치로 중심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제10도에 있어서, 임의의 트랙주사를 위해 자기헤드 구조체가 양 레벨에서 교대로 회전하되, 각 레벨에서 댕응하는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에 대응하게 되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180°이결된 두 개의 자기헤드들은 제각기 대응하는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을 연속 주사할 것으로 추축되므로, 두 개의 자기헤드들은 자기테이프 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양 레벨간에서 이동될 수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제8도 및 제9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0도는 두 레벨간에서 자기헤드(154)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장치(153)를 보이고 있다. 자기헤드가 하나의 레벨로 부터 다른 레벨로 이동될때, 자기헤드가 우선 드럼(53)의 외주면(60)으로 부터 내부로 철수된 후,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다음드럼의 외주면 쪽으로 다시 복귀되므로써, 자기헤드 또는 자기테이프의 손상이 피해지게끔 하기 위해서는 취하여만 할 것이 있다. 이같은 경우에 있어서 조정장치(153)는 자기헤드(154)를 보유지지하는 판(156)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155)를 구비한다. 연결부재(155)의 크랭크들은 네개의 암을 구비하는데, 이들 중 두개의 암(157), (158)은 판(156)은 양측부단에 배치되고 판(156)에 대해 또한 드럼(53)의 리세스(105)의 측벽들에 분절된다. 이렇게하여 판(156)은 암들 사이의 원호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게다가 조정장치(153)는 암(157), (158)에 대해 분절되고 제어 슬리브(101)의 암(103)상의 트러니온(107)을 가진 포크형 단부와 정합하는 봉(159)을 구비한다.
자기헤드(154)의 두 레벨에서의 두 단부위치는 드럼(53)의 외주면 근처에서 나사(160), (161)에 의해 정해질 수 있는데, 이들 나사들은 판(156)상의 멈춤부재(162), (163)와 상호작동한다. 자기헤드(154)의 두 단부위치들에 대해 적합한 중심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인장스프링(164)이 제공되는데, 이 스프링은 리세스(105)의 측벽내에서 선회암(158)의 베어링점 및 봉(159)과 선회암(157)간의 분절점에 작용한다. 자기헤드(154)는 화살표(57) 방향으로 제어 슬리브(101)를 이동시키고, 연결부재(155)가 봉(159)을 통해 원호를 따라 선회되게 하고, 스프링(164)에 의해 단부위치가 결정되게 하는 것에 의해 도시된 중심위치로 부터 다른 레벨의 중심 위치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 작동 또는 전기기계적 조합작동 대신에 자기헤드들을 트랙주사에 대해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기적 작동에 대해 이것이 자기헤드의 최근방에서 행해지면 어떠한 교란이 피해지므로 특히 유익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헤드의 전기적 작동을 위해 드럼상에는 스위칭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스위치는 그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자기 헤드를 스위치 온 상태로 하고 다른 헤드들을 스위치 오프 상태로 한다. 이러한 경우, 자기헤드들에 대해서는 부가적인 기계적 작동이 더 이상 필요치 않게되기 때문에 이같은 점에서 자기 헤드가 반경방향에서 드럼의 외주면에 관련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되면, 기계적 구성이 대단히 간단해저 유익하다.
제11도는 자기헤드의 전기적 작동을 위한 회로를 도시한 것이고 제12도는 스위칭 장치의 작동을 위한 기계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11도를 참조해볼 때, 제11도에는 두 개의 스위치(165), (166)이 제공되는데, 스위치(165)는 자기헤드(29), (40)과 관련되며, 스위치(166)은 자기헤드(30), (39)와 관련된다. 이들 스위치의 스위칭 장치에 따라, 자기헤드(39), (40) 또는 자기헤드(29), (30)가 단락회로를 구성하며, 이에 따라 회전 변압기(167)의 구성은 간단히 되는데, 이는 간료성을 위해 제12도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이 간단해지는 까닭은 변압기가 단지 고정 및 회전적인 두개의 환형 권선만을 필요로 하며, 동작될 필요가 없는 자기헤드들은 직접적으로 단락회로 상태로 되어 그 결과 신호 공급의 점에서 어떠한 구별도 필요없기 때문이다.
제12도에 보여지는 바와같이 드럼(53)상에 직접 배치된 스위치(165), (166)의 작동은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암(168)이 장착판(49)에 고착되며, 장착판(49)의 자유 단부상에는 레버(169)가 선회적으로 저어널된다. 레버(169)의 일단부(170)는 포크형으로서 제어봉(171)상에 배치된 트러니온(172)과 정합하고, 그결과 제어봉의 운동은 레버(169)에 전달된다. 드럼(53)이 장착되는 모터(51)의 샤프트(52)상에는 슬리브(173)이 스프링(174)의 작용에 역행하여 이동하게끔 배치된다. 슬리브(173)상의 돌기부(175)는 드럼(53)의 리세스(176)과 정합하며, 그 결과로써 슬리브는 드럼과 더불어 회전을 위해 드럼에 결합된다. 슬리브(175)상에 형성된 견부(177)는 스위치(165), (166)의 스위칭 암(178), (179)에 대량 배치되고, 그 결과로써 구동샤프트(52)과 동축의 원추형부분(180)은 레버(169)의 자유단부(181)가 정합하는 슬리브(173)상에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슬리브(173)는 작은 마찰만을 받으며 레버(169)에 의해 스프링(174)의 작용에 반하여 이동되어, 이에 따라 스위치(165), (166)가 작동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의 다른 적합한 작동은 스위치(165), (166)가 드럼(5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얻어지는데, 이는 각종의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의 제1실시예는 제13 및 제14도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165), (166)이 드럼(53)상에 직경적으로 배치되고, 그들의 스위칭암(178), (179)는 드럼의 회전 방향들에 있어 접선적으로 연장한다. 드럼(53)이 장착되는 샤프트(52)의 자유단부상에는 날개부(182)가 배치되는데, 이 날개부는 두 개의 암(184), (185)이 돌출하여 나오는 허브(183)를 구비한다. 두 개의 스위치(165)와 (166)간에서 핀 형상의 구동기(186)가 날개부(182)의 통로에서 드럼상에 제공되는데, 이는 드럼의 회전방향(31)으로 날개부(182)를 구동한다. 장착판(49)에 접속되는 암(187)에는 샤프트(52)의 자유단부 쪽으로 연장하는 판스프링(188)이 고착되고, 샤프트(52)와 대면하는 단부상에는 환형의 마찰 피복부(189)가 제공되며, 이 피복부(189)는 날개부(182)의 허브(183)와 상호작동하여 그 결과로써 판 스프링(188)은 마찰 피복부(189)와 더불어 제동부재(180)를 장치의 측부에 구성하고 이 제동부재(180)는 날개부(182)에 대해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예로서 드럼(53)이 회전방향(31)으로의 회전을 개시할 경우, 날개(182)는 구동기(186)가 날개부(182)의 암(185)에 다달고, 그 후날개부(182)가 드럼(53)과 더불어 회전방향(31)을 따라 이동되고 회전할때까지 제동부재(190)에 의해 보유된다. 이때, 스위치(165), (166)는 작동되지 않는다.
드럼이 회전방향(31)과 반대의 회전방향(38)으로의 회전을 개시하는 경우, 날개부(182)는 제동부재(190)에 의해 다시 보유되고, 구동기(186)은 날개부(182)의 암(185)으로 부터 이동되어 멀어진다. 드럼이 더욱 회전되면, 스위치(165), (166)의 스위칭 암(178), (179)는 암(184), (185)와 제각기 상호작동하여 날개부(182)를 이동시키려 한다. 제동부재(190)의 제동력에 대해 마찰력의 영양하에서 스위치암(178), (179)는 작동되지 않게되고, 날개부(182)도 드럼에 의해 구동되어 그 결과 상기 드럼과 더불어 회전하게 된다. 드럼의 회전방향(38)에 있어서 스위치(165), (166)는 계속 작동되고, 이에 의해서 소망의 스위칭 동작을 행한다. 두 개의 스위치중의 하나만을 작동되게 하는 식으로 드럼의 회전방향(38)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를 작동케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위해 구동기(186)는 드럼상에 배치된 두 스위치 중의 하나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드럼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자동작동을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면 가속 및 원심력이 얻어진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목적을 위해 시계추형상의 레버(191)가 제공되는데 이 레버는 드럼축(52) 및 드럼축에 평행한 축(192)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드럼에 대해 선회 할 수 있다. 레버(91)의 휴지위치 즉, 도면에 실선으로 도시되고, 드럼의 고정시에 스프링(193)에 의해 비교적 작은 힘으로 정해지는 레버의 휴지 위치로 부터 레버(191)는 드럼(53)이 회전방향(38)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때 드럼의 가속의 결과로 인한 반발력의 영향하에 화살표(194)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결과 제15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위치는 드럼상에서 멈춤부재(195)에 의해 정해지고, 레버(191)는 작용하는 원심력의 영향하에 멈춤부재와의 정합을 유지한다. 만일 드럼(53)이 제동을 받게되면, 레버(191)는 멈춤부재(195)로 부터 상승되고 그의 휴지 위치쪽으로 이동된다. 만일 드럼(53)이 제2의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하면, 헤버(191는 화살표(194)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 위치는 드럼상에서 다른 멈춤부재(196)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레버(191)에 의해서 스위칭 장치의 스위치들 즉, 레버의 두 통로에서 드럼상에 배치된 스위치들이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스위치(197), (198) 및 (199), (200)는 레버(191)상에 장착한 영구자석(201), (202)에 의해 작동되는데 레버(191)의 이동방향에서 드럼상에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자기헤드 구조체의 회전방향은 자기테이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역전될 수 있다. 제16도에 기초를 두어 이제 하나의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이 실시예에는 두 레벨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두 개의 자기헤드군이 제공되므로 그 결과 자기헤드 구조체의 회전방향을 역전될 필요가 없다.
샤시(1)에는 모터(51)에 고착된 드럼형태의 구이프 안내부재(16)를 수용하는 장착판(49)이 장착되는데, 그의 샤프트(52)상에는 디스크(203)가 자기헤드(29), (30)에 대한 지지부재로서 장착된다. 이렇게 하므로써 자기헤드(29), (30)는 디스크(203)와 구이프 안내부재(16)간에 형성된 갭(55)내에서 테이프 안내부재(16)의 연부(59) 근처에서 소정의 헤벨로 회전한다.
게다가 형상의 지지부재(204)는 장착판(49)에 접속되고, 그의 림(205)상에는 드럼형상의 테이프 안내부재(206)이 장착되며, 이는 테이프 안내부지(16) 및 샤프트(52)와 동축을 이루며 디스크(203)에 관련하는 연부(207)를 가진 갭(208)을 형성하고, 갭 내에서는 자기헤드(29), (39)가 회전한다. 테이프 안내부재(206)의 외주면(209)은 테이프 안내부재(16)의 외주면(59)과 유사하게 자기 테이프(3)에 대해 안내면으로서의 역활을 한다. 지지부재(204)의 림(210)에는 드럼형상의 테이프 안내부재(211)가 접속되는데, 이 테이프 안내부재(211)의 연부(712)는 테이프 안내부재(206)와 마주한다. 또한, 테이프 안내부재(21)는 테이프 안내부재(206)와 동축상에 배치된다. 또한 테이프 안내부재(211)에는 모터(210)가 고착되고, 태이프 테내부재(211)의 샤프트(214)에는 자기헤드(39), (40)를 보유지지하는 디스크(215)가 장착된다. 디스트9215)와 테이프 안내부재(216)의 일연부간에는 갭(217)이 형성되며, 디스크(215)의 테이프 안내부재(211)의 연부(212)간에는 갭(218)이 형성된다. 자기헤드(39), (40)는 테이프폭의 절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자기헤드(29), (30)의 제1의 회전레벌로 부터 이격된 제2의 회전레벨에서 갭(217), (28)내에서 회전한다. 테이프 안내부재(211)의 외주면(219)은 외주면(209), (59)와 마찬가지로 자기테이프(3)에 대해 안내면으로서의 역활을 하고, 그 결과로써, 이들 외주면들은 자기테이프에 대해 그의 전체폭에 걸쳐 테이프 안내부재로서 구성된다.
디스코(203), (215)는 관련 모퍼(51), (213)에 의해 대응회전 방향으로 구동되고, 자기헤드(29), (30) 및 (39), (40)는 자기테이프 부분들상의 트랙주사를 위해 두 레벨에서 작동된다. 따라서 관련하는 자기테이프 부분상의 트랙주사를 위해서는 자기테이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관련 레벨에서 회전하는 자기헤드들을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상기에서는 몇가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할 것인데, 이는 분명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자기테이프 부분(33)상의 경사트랙을 주사하는 자기헤드(29), (30)를 드럼(15)에 설치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자기테이프부분(41)상의 경사트랙을 주사하는 자기헤드(39), (40)를 드럼(51)에 설치하고, 드럼(15)을 회전방향(38)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자기테이프(3)를 이동방향(37)으로 이동시킬 수 있수록 구동하는 모터(5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 장치.
KR1019800000050A 1980-01-08 1980-01-08 기록 재생장치 KR83000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050A KR830002341B1 (ko) 1980-01-08 1980-01-08 기록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050A KR830002341B1 (ko) 1980-01-08 1980-01-08 기록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341B1 true KR830002341B1 (ko) 1983-10-22

Family

ID=1921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050A KR830002341B1 (ko) 1980-01-08 1980-01-08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34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9473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P0197602B1 (en) Magnetic-tape apparatus
US4264937A (en) Magnetic tape guide alignment device
US5067035A (en) Error prevention in a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with at least one rotating head
KR860000638A (ko)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
KR930001877B1 (ko) 비디오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장치
KR830002341B1 (ko) 기록 재생장치
JPH0373072B2 (ko)
JPH075531Y2 (ja) 記録装置用のヘッドシリンダ装置
EP0462276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880002652B1 (ko) 녹음 및 재생장치
US5239432A (en) Magnetic tape cassette having a slot for inserting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head therethrough and a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use with such magnetic tape cassette
EP0205207B1 (en) Device for magnetically recording and/or reading signals
KR930006207Y1 (ko) 녹음 및 재생 장치
US3179752A (en) Capstan servo system
US2929633A (en) Mechanism for driving the head-supporting body in the magnetic sound recording and reading machine
EP0718836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a positioning mechanism for a tape guide drum
KR830000823B1 (ko) 자기(磁氣)테이프 구동장치
US5764381A (en) Internal drum recorder with array imaging
JP280907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154793Y1 (ko) 가압롤러 부재를 구비한 자기 테이프 장치
JP2791041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587898B2 (ko)
JPS63183666A (ja) 基準トラツク検出機構
KR200229009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포스트 구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