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823B1 - 자기(磁氣)테이프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기(磁氣)테이프 구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823B1 KR830000823B1 KR7900068A KR790000068A KR830000823B1 KR 830000823 B1 KR830000823 B1 KR 830000823B1 KR 7900068 A KR7900068 A KR 7900068A KR 790000068 A KR790000068 A KR 790000068A KR 830000823 B1 KR830000823 B1 KR 830000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sette
- drive
- rail
- hub
- magnetic t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하우징 상에 인도된 슬라이드와 두 측면에 추축회전할 수 있는 보호판이 설치된 반전할 수 있는 비데오 카세트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비데오 카세트의 사시도.
제3도는 하우징 속으로 수축된 슬라이드와 제1위치내에서 추축회전된 개구 보호판이 부착된 제2도의 사시도.
제4도는 그의 제2위치에 추축 회전된 보호판이 부착된 제3도의 사시도.
제5도는 상술된 도면들에 따른 비데오 카세트의 스푸울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내의 화살표 VI-VI에 따른 횡단면도.
제7도는 추축회전할 수 있는 카세트 지지기, 상기 카세트 지지기내에 위치되고 있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따른 비데오 카세트 및 상기 하우징 속으로 수축되고 있는 슬라이드 등이 설치된 구동장치가 부착된 비데오 레코오더의 횡단면 일부도.
제8도는 제9도의 화살표 VIII-VIII에서 본 횡단면내의 리일 중심 부하기와 비데오 카세트 그리고 그의 하부 진동 위치내에 카세트 지지기가 부착된 제7도의 일부 확대도.
제9도는 제7도 및 제8도의 비데오 레코오더의 일부 평면도. 여기서 비데오 카세트는 상기 구동장치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카세트 지지기는 하부로 진동하고 있으며, 비데오 카세트와 카세트 지지기는 그들의 아래에 위치된 부분이 보이도록 부분적으로 생략되었다.
제10도는 제9도 내의 화살표 X-X에 따른 횡단면도.
제11도는 구동 스핀들상의 중앙에서 자유롭게 작동되도록 한 실제의 평면도.
제12도는 리일 허브와 구동 스핀들상의 횡단 일부도. 여기서 상기 리일 허브는 구동 스핀들 내에서 탄력부하된 보올의 도움으로 멈춤 링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탱하고 있다.
제13도는 제12도의 상사도(相似圖). 여기서 리일 허브는 자기적으로 멈춤링에 대하여 지지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자기 헤드를 따라서 얇고 유연한 자기 테이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자기테이프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A) 제1및, 반전된 제2위치내에 상기 자기헤드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고, 제1 및 제2인접리일 허브가 회전평행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중심이 적어도 사실상 원형인 내부벽을 갖고 있고, 상기중심 실정 구멍으로 부터 얼마간 방사상으로 떨어져 있는 곳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 구멍과 마찬가지로 중앙중심 설정구멍을 규정하는 부품이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리일 권선 부품의 두 단부 벽에 평행이고 그 사이의 중앙에 있는 구동 부품과 디스크형 중심설정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축에 서로 수직인 곳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져 있는 평면내에 대체로 원형인 외부벽과 두 개의 환형 단부벽들이 배치되어 있는 소위 "반전 할 수 있는" 자기테이포 카세트와 : 상기 제1리일 허브와 동축인 제1구멍과 상기 제2리일 허브와 동축인 제2구멍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작동시 상기 두 리일 허브를 축방향으로 밀폐시키는 제1 및 제2평행평면 주벽과 : 상기 두 주 벽에 연결된 두 측면 벽들과 : 상기 주벽들에 연결된 하나의 배면벽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경우, 부분적으로 열려진 전면벽은 상기 배면 벽 반대측 전면에 있는 상기 두 주면벽들을 연결하며, 자기 테이프의 길이는 상기 제1리일 허브에 연결된 제1단부와 상기 제2리일 허브에 연결된 제단부를 갖고 있으며, 그로인해 상기 제1리일 허브로부터 상기 제2리일 허브상의 리일까지 상기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전면을 따라서 직선의 테이프 부분을 권취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2리일 허브로부터 상기 제1리일 허브상의 리일가지 상기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전면을 따라서 직선의 테이프 부분을 되감게 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구동장치는 또한,
B) 상기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리일 허브내에 있는 상기 중심설정 구멍과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중심 실정핀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평행인 회전측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 제1, 제2구동 스핀들 및 하나의 프레임 : 상기 중심설정핀으로부터 얼마간 방사상으로 떨어져 있는 곳에 배치되어있고, 상기 구동 스핀들의 회전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억눌려 있고, 그리고 작동중 상기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리일 허브내의 구동구멍과 협동하도록 되어 있고 : 각 구동스핀들 상에 자유단으로 되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핀과 : 그의 제1또는 그의 제2위치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주벽과 각각 협력하기 위한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므로서 상기 두 구동 스핀들의 구동핀들 및 상기 중심설정핀들과 협동하는 상기 두 리일 허브내의 작동위치내에서 상기 구동장치상의 자기테이프 카세트를 지지하고 있는 카세트 지지장치등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자기테이프 구동장치는 미합중극 특허 명세서 제3,027,110호에서 이미 잘 알려진 것이다. 이와같은 자기테이프 구동장체에 있어서, 다수의 구동 구멍들은 디스크형 중심실정장치와 상기 리일 중심의 회전측으로 부터 똑같은 방사상 거리에 있고 서로 똑같은 거리로 떨어져 있는 각 리일 중심의 구동부품내에 형성되어 있다. 만약 상기 두 리일 중심용으로 두 개로 분리된 권선 모오터가 사용된다면, 그 권선 모오터의 스핀들도 또한 상기 리일 중심을 설정하기 위한 중심 설정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기테이프 카세트내의 리일 허브위치는 카세트 지지장치상의 카세트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공지된 자기테이프 구동장치는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 또는 재생 오디오 신호용으로 쓰여진다. 비데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사용시보다 사실상 훨씬 더 큰 대역폭의 신호들이 기록되거나 또는 재생되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자기테이프 구동장치는 적당하지 못하다. 보통 사용되고 있으며 소비 시장용으로 설계된 자기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은 비스듬히 연장된 방향으로 밀접한 트랙으로서 회전 비데오 헤드를 사용하여 자기테이프 상에 기록된다. 이 비스듬한 트랙들은 몇 몇 자기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대략 100mm의 길이에서 대략 18내지 23미크론의 폭을 갖고 있으며, 중간 간격이 없이 서로가 같은 자기테이프 구동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하여, 하나의 특정한 비데오 레코오더 상에 기록된 비데오 카세트는 특성의 손실없이 나머지 비데오 레코오더상에서 재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테이프의 이송과 인도의 높은 정확성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상기 자기테이프의 신장(伸張)의 변동과 이에 따른 자기 테이프내의 장력의 변동이 최소화된다. 실제로 비데오 레코오더는 나머지 비데오 레코오더에 의하여 상기 자기테이프 상에 기록된 트랙을 읽을 수 있어야만 하며, 더우기 화상의 질에 악영향을 주는 시간오차도 제거되어야 한다. 부과된 엄정한 양립성의 요구에 비추어 확정되지 않은 마찰력이 자기테이프 리일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하게 하는 어려운 문제점을 안게된다. 또한, 테이프 장력변동등 기타의 원인들이 가능한한 배제되어야 만한다. 종래의 비데오 레코오더는 정확한 테이프 이송 속도와 최저 테이프 장력 변화를 얻기 위해서 몇 개의 서어보 시스템을 이용한다. 일예로서, 캡스턴의 회전속도는 서어보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며, 동시에 회전 자기 헤드의 구동용 또 다른 서어보 시스템이 장치되며, 그 경우 자기 홉드 제어용 및 구동 스핀들의 구동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자기 테이프 내에서 발생하는 장력 변동의 결과로서, 자기테이프 리일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최종 언급된 서어보 시스템 및 기타의 서어보 시스템에도 오차를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테오 레코더 사용에 매우 적합한 자기테이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축방향으로 리일 허브를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각 구동 스핀들은 리일 허브의 환형 단부벽과 협동하도록 구동스핀들을 따라서 회전하는 멈춤장치등으로 구성된 리일 허브 위치설정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구동장치는 작동중 리일 허브위치장치에 반하여 리일 허브를 탄성적으로 압압하기 위한 탄성부하장치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위치에 있어서 리일 허브 및 리일은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벽에 완전하게 정렬되어 감기도록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테이프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 자기테이프 카세트 내의 리일은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나머지 부분들과, 특히 상기 두 개의 주벽과,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지지되며, 그 사이 자기테이프내의 보다 많은 장력변동이 회피된다.
많은 자기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구동장치치는 및폐된 위치내의 작동위치에서 자기테이프 카세트를 유지시키기 위한 그리고 개방위치내의 자기테이프 카세트를 삽입 또는 이탈시키기 위한 개방 및 밀폐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카세트 지지기를 장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그와 같은 카세트 지지기가 장비된 비데오 키세트 레코오 이용으로 장점이 있으며, 작동중 제1 및 제2리일 허브 부기등으로 구성된 상기 리일 허브 위치에 반하여 상기 리일허브를 탄성적으로 압압하기 위한 탄성 부하장치 부품에 대하여 중심 설정하기 위함 중심 설정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제1 및 제2 압축스프링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중심설정부 반대 조건의 중심설정위치에서 점 접촉을 통하여 리일 허브 부하와 협동한다. 이 실시예의 첫째 장점은 최소화 축력이 구동 스핀들 상에 미치게 되지만 그 사이 어떤 인장력도 구동스핀들에 작용하지 않는 것이다. 둘째 장점은 부하 장치가 회전 대칭이며 결국 리일의 어떤 불평형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빠른 전진 또는 역전 권취중 자기테이프의 신속한 이송에 매우 중용하다. 이로인해 분당 2500회전까지 속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은 속도는 빠른 권취중 초당 대략 3m의 테이프 속도에 해당한다. 기타 장점은 그 구조가 간단하며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이동이구동스핀들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음 실시예는 카세트 지지기가 부분적으로 열려져있는 저면을 구비하고 있고, 그 저면이 구동장치의 카세트 지지장치와 두 개의 리일 중심 부하기용 베어링 구멍이 있는 베어링 부품과 대면하고 있으며, 그 부품이 카세트 지지장치로 부터 떨어져서 대면하고 있으며 리일 중심 부하기가 베어링 부푼내의 베어링 구멍내에에서 작동할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리일허브 부하기가 저면방향내에서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 부재를 가지며, 그 카세트 지지기가 저면 방향내의 삽입된 카세트를 축진시키기 위한 탄성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일 허브 부하기와 카세트 지지기의 지면사이 거리와,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크기와 리일 허브 및 구동장치상의 카세트 지지장치가, 카세트 지지기의 개방 위치에서 자기테이프 카세트가 리일 중심부하기를 접촉하지 않고, 카세트 지지기의 저면위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알맞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카세트 지지기의 밀폐된 위치에서 자기테이프 카세트가 그 카세트 지지기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카세트 보지장치에 의하여 지지되며 리일 중심부하기가 베어링 부품의 베어링 구멍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리일 허브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리일 중심 부하기는 카세트 지지기내로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더구나, 어떤 분리된 도움도 리일 중심까지 리일 부하기를 운반하는데 필요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것은 상기 카세트 지지기가 그의 개방된위치로 부터 밀폐된 위치까지 이동될 때 자동적으로 영향을 발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를 적당히 사용하므로서 얻어지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디스크형 중심설정장치의 부품과 구동 구멍들을 규정하는 리일 중심의 구동부품은 구동 스핀들의 구동핀과 협동 하도록 평면 벽 부분을 가지며, 그 평면 벽 부분은 사실상 리일 중심의 축방향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뻗쳐져 있고, 그로 인해 구동핀이 리일 중심으로 이송하고 있는 힘중 탄젠트 방향이 아닐 방향으로 이송되는 힘을 저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핀과 구동구멍의 벽사이에 매우 작은 유동을 필요로 할뿐이다. 왜냐하면 구동핀의 방사상 위치 내에서의 공차가 구동구멍의 연장부에 의하여 취재지기 때문이다. 때문에, 구동핀과 구동 구멍의 벽 사이의 충격은 리일의 이동이 그 리일의 시동 또는 정지동안 반전될때 최소가 되며, 자기테이프 구동장치 수명과 구동의 정확성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 다른 장점은 구동스핀들의 베어링장치가 비접선력에 의하여 불필요하게 부하되지 않는 것이며, 이것은 상기 비접선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토오크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동스핀들에 관계된 자기테이프 리일의 잘 규정된 위치를 얻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중요시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리일 허브의 환형 단부 벽의 각각이 서로 똑같이 떨어져 있는 곳과 관련된 리일 허브의 회전축으로 부터 방사상으로 똑같이 떨어져 있는 곳에 배치되어 있는 3개의 축방향으로 뻗쳐져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일 중심의 환형 단부 벽들과 협동하도록 구동스핀들을 따라 회전하는 멈춤 장치의 각각이 관련된 구동스핀들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되어있는 평면내에 배치된 환형 멈춤 표면을 가지며, 그로인해 리일 중심과 상기 멈춤 장치가 서로 3점 접촉부에 의하여 협동한다. 리일 허브가 일반적으로 사층성형 공정에 의해 열가성 플라스틱 물질로 부턱 제조되기 때문에, 축방향 돌출출부의 설비는 아무런 실제적인 기술적 문제점을 알고있지 않다. 구동스핀들을 따라 회전하는 멈츰 장치는 금속 멈춤고리의 정밀하게 기계가공한 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리일 허브를 구동 스핀상에서 완전히 유동이 없는 중심설정을 확실하게 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리일 허브의 중심설정 구멍은 구동장치의 중심설정 핀의 횡단크기보다 훨씬 적은 횡단크기를 갖고 있으며, 그리고 이 디스크형 중심실정 장치와 구동부품들은 리일 허브의 회전축에 관계되어 방사상으로 뻗쳐져 있는 홈들을 규정하고 중심설정 구멍내에서 단락된 부분등으로 구성되며, 그곳에서 차단되도록 구동 스핀들의 중심설정핀 상으로 미끄러져 있는 구동부품과 디스크형 중심 설정장치를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그 부품들은 약간 굽어져 있는 홈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카세트 지지기에 연결된 리일 허브 부하기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작동증 리일 허브 위치설정 장치에 반하여 탄력적으로 압압하는 탄력 부하장치는 복수의 압력부재를 가지며 그 부재는 각 구동 스핀들 상에 부착되며 또한 제1위치와 관련된 구동 스핀들의 회전 축선 가까이의 제2위치 사이에서 한정된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또 제1위치를 향해 압력부재에 부하를 가하기 위한 탄력장치를 가지며, 각 리일 허브의 관형권취 부품의 내부벽은, 압력 부품용으로 내부가 환형인 멈춤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환형 멈춤장치상의 압력 부품인 베어링은 작동중 리일 허브를 멈추게 하며, 상기 탄성 장치는 그곳으로 발생된 힘을 발산 시킨다. 그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리일 허브위치 장치쪽으로 향해져 있다. 분명히, 구동스핀들상에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장치하거나 또는 구동스핀들로 부터 자기테이프 카세트를 이동시키는 동안, 그 구동 스핀들이 갑작스럽게 밀러거나 또는 끌리게 되는 것을 피한다는 것은 중요하다. 본 실시예는 균일하게 계속해서 증가하도록 요구된 힘을 필요로 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두개의 단부벽들의 각각 가까이에 있는 관형 리일 권취 부품들의 각 내부 벽이 자기테이프 카세트가 구동장치상으로 이동될때, 환형 멈춤 장치가 도달될때가지 그들의 제2위치쪽으로 그들의 제1위치로 부터 압력 부품들을 점차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환형 멈춤장치까지 점차로 하강시켜 감소시키는 직경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나머지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중 리일 허브 위치설정 장치에 반하여 탄력적으로 압압하는 탄력 부하장치가 구동스핀들의 고착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전연 움직일 수 없는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관형 리일 권취 부품의 단부벽들 각각의 가까이에 있는 리일 허브는 자화할 수 있는 물질로 된 전기자 고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구동 스핀들 전기자 고리와 접합하여 리일 허브 위치설정 장치에 반하여 자기적으로 리일 허브를 끌어내리기 위한 자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자 고리와 접합하여 리일 허브위치 설정장치에 반하여 리일 허브를 끌기 위한 자기장치가 전자석을 구성할 때에도, 이 실시예는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스위칭하므로서 구동스핀들상의 축력을 확대하지 않고도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예를 사용하므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얻게된다. 구동 스핀들 상의 자기 장치는 외벽이 절두원뿔형을 하고있는 환형 영구자석등으로 구성되며, 그의 최저 지경을 갖고 있는 부분은 중심 설정 핀의 자유단 쪽으로 직경되며, 그 전기자 고리는 구동 스핀들 상에 있는 영구 자석의 외벽 형태에 상응 하는 원뿔 형태의 내벽을 갖고있고, 사실상 균일한 두께의 공기 갭이 각 영구자석의 외벽과 자기적으로 이것과 자기적으로 협동하는 전기자 고리의 내벽 사이에 있는 작동위치내에 형성된다. 상기 자석과 전기자 고리의 중요성은 주로 처음에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작동 시킬 때 커다란 공기 갭이 상기 영구자석과 모든 리일 허브의 전기자 고리 사이에 나타난다는 사실에 있다. 그래서 구동스핀들의 노선설정 핀상의 리일 허브의 중심 설정 장치가 역으로 중심설정중 리일 허브로 뻗쳐져 있는 자기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전기자 고리에 상응하는 벽과 영구자석의 형태는 최적의 힘 통로특성이 얻어지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작동중 구동스핀들상의 영구자석은 리일 허브의 전기자 고리에 둘러싸여지며, 그로인해 표유전자계는 만족스런 방법으로 차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보다 자세하게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면 설명에서 여러가지 부품들이 상이한 참조번호에 의하여 지적되어 있고, 두 개의 동일한 부품이 사용될 경우는 똑같은 참조 번호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도면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중요할 때 "a" 또는 "b"를 추가하여 구별한다.
비데오 카세트(1)(제1내지 4도 및 제7내지 9도)는 소위 "반전할 수 있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이며 이것은 제1위치와 반전된 제2위치에서 비데오 레코오더의 회전 자기 헤드와 협동하게 된다. 이 카세트는 제1 및 2 근접 배치된 리일 허브(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허브는 병렬 회전축(2) 둘레에 회전되면 그 각각에 부착된 사실상 원통형인 리일권취부(部材)(4)는 적어도 사실상 원형인 내부벽(5)를 갖고 있으며, 사실상 원형인 외벽(6)과 두 환형 단부벽(7)은 서로가 수직인 곳으로 부터 회전축(2)까지 얼마간 떨어져 있는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형 중심 설정 및 구동 부재(8)는 중심설정 구멍(9)로 부터 얼마간 방사상으로 떨어져 있는 곳에서 중심설정구멍(9)과 6개의 구동구멍(10)을 규정하는 부품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리일 권취 부품의 두 단부벽(7) 사이에 병렬로 위치한다. 리일허브(3)의 양측면에 투명한 플랜지(11)가 고착되며 이로인해 리일 허브(3)와 두 개의 플랜지(11)를 조합하여 스푸을(12)를 구성한다. 리일 허브에 자기테이프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허브는 그 원주상에 요부(13)을 가진다. 자기테이프의 단부는 상기 요부내로 눌려지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클램핑 장치에 의하여 거기에 보유된다.
상기 비데오 카세트에 있어서, 두 스푸울(12)은 작동시 제1구멍(15a)을 각각 갖고 있는 두 개의 평행평면 주벽(14)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밀봉되며, 구멍(15a)은 제2리일 허브(3b)과 동축인 제2구멍(15b)와 마찬가지로 제1리일 허브(3a)와 동축이다. 상기 주벽(14)은 상기 벽(16), 배면벽(17) 그리고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배면벽(17)의 반대측 전면에 배치된 전면벽(18)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카세트는 일정 길이의 자기테이프(19)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1단부에 부착된 제1리일 허브(3a)와 제2단부에 부착된 제2리일 허브(3b 에(연결된다. 그로인해 제1리일 허브(3)로 부터 제2리일 허브(3b)상의 리일(20b)에 감기며 제2리일 허브(3b)로부터 제1리일 허브(3a)상의 리일(20a)에 되감기도록 되어있다. 직선 테이프 부분은 카세트의 전면을 따라서 통과한다. 슬라이드(21)는 카세트 하우징 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인도되며, 그의 수축된 위치내로 보호대(22)를 미끄러 인입시킨다. 그리고 이 보호막을 제1방향에서 피봇트되어 개방되도록 하거나(제3도 참조), 또는 제2방향내에서 피봇트되어 개방되도록 한다(제4도 참조). 비록 이 카세트가 반전할 수 있다하더라도, 카세트의 전면의 자기테이프(19)의 직선 부분은 항상 구동 장치상의 카세트의 위치와 관계없이 같은 측면으로부터 비데오 레코오더의 부품에 인입될 수 있다. 슬라이드(21)는 스프링캡(24)에 접하고 있는 압력 스프링(23)에 의하여 전면쪽으로 탄성있게 부하된다. 이 카세트의 각 측면 상에는 구멍(122)와 구멍(123)을 갖고 있으며, 두 리일 허브(3)의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는 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약간 큰 반경을 갖고있다. 이 구멍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구동장치의 위치설정핀을 취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비데오 카세트에 대한 또 다른 정보는 미공개의 네델란드 특허원 제78 04 936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프레임(25)와 두 개의 구동 스핀들(27)등으로 구성하며 이 스핀들은 평행회전축(26)둘레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원추형 자유단(29)을 감고 있는 중심핀(28)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자기테이프 카세트(1)의 리일 허브(3)내에 있는 중심구멍(9)와 각각 협동하게 된다. 중심설정 핀(28)의 각 전기 구동모터(31)의 모터스핀들(30)과 일체이다.
중심 설정 핀(28)으로 부터 얼마간 방사상으로 떨어진 거리에서, 각 구동스핀들(27)상의 둥근 자유단(33)에 부착된 구동 핀(3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구동 핀은 압력 스프링(117)의 힘에 반하여 구동 스핀들(27)의 회전축(26)과 평행인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늘려져 있을 수 있다. 이 구동 핀은 비데오 카세트(1)의 리일 허브(3)내에 구동 구멍(10)과 협동하게 된다.
비데오 카세트의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내에서 비데오 카세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25)상에 카세트 지지장치(34)와 (3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제8도를 보면 알수 있는 바와같이 작동위치내의 구동장치상에 상기 카세트를 유지하기 위한 삽입된 카세트의 주벽(14)과 협동하며, 그곳에 있는 두 개의 리일 허브(3)는 중심설정핀(28)과 구동 핀(32)와 협동한다. 이 지지장치(34)와 (35)는 프레임(25)과 함께 쌓여 있는 돌출부와 그 돌출부(35)내에 고착되어 있는 테이프 가이드 소자(40)용 금속 고착핀(36)등으로 구성한다. 이것들은 원추형 단부(37)을 갖고 있으며 원형부(38) 및 (11)에 부착된 비데오 카세트의 테이프 가이드 부품(40)의 홈(39)와 맞물린다. 이 테이프 가이드 부품은 카세트의 주벽(14)을 넘어서 뻗쳐져 있으며, 이로인해 카세트가 그의 작동위치내에 있을 때 상기테이프 가이드 부품(40)은 카세트 지지장치(35)상에 직접 위치된다. 때문에 상기 테이프 가이드 부품의 정확한 위치는 비데오 레코오더의 부품에 관계되는 것이 확실하며, 이 레코오더는 비데오 카세트 하우징의 공차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자기테이프와 협동한다.
상기 테이프 가이드 부품은 주벽(14)내에서 얼마간 방사상으로 축방향 동작을 하며, 거기에 고착된 핀(36)은 구동장치상에 카세트 하우징을 고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거기에는 제10도를 보면 알수 있는 바와같이 프레임(25)상에 또 다른 고착 핀(124)이 장치되어 있다.
상기 리일 허브(3)을 축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구동 스핀들(27)은 각이직 멈춤장치(41)의 형태를 하고 있는 멈춤장치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멈춤장치는 리일 허브(3)의 환형 단부벽(7)과 협력하도록 상기 구동 스핀들을 따라서 회전한다. 작동중 리일 허브(3)의 각각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탄성 부하장치에 의하여 멈춤장치(41)에 대해 탄력적으로 압압되며, 리일허브부하기(43)와 판스프링(42)로 구성한다. 리일허브(3)는 카세트(1)내에서 적절한 높이에 지지되어 스푸울(12)은 비데오 카세트의 벽을 완전히 피해 주행한다.
비데오 레코오더는 밀폐된 위치내에서 작동하고 있는 비데오 카세트를 보유하고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비데오 카세트(1)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삽입시킥 위하여 개방된 위치(제7도)와 밀폐된 위치(제8)도사이에서 구동될 수 있는 카세트 지지기(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카세트 지지기는 서로 떨어져 있어 배면 관(46)에 의하여 연결된 두 개의 측면 판(45)로 구성하며, 그곳에 있는 비틀림 판 스프링(47)에 의해 카세트 지지기는 프레임(25)의 지주(48)상에 부착된다. 더구나, 이 카세트 지지기는 저면 판(49)과 연결부품(50)등으로 구성하며, 그것은 두 개의 측면판(45)을 상호연결한다. 작동중 멈춤장치(41)에 대해 리일 허브(3)를 압압하는 탄력부하 장치는 작동시 저어널되는 리일 중심 부하기와 카세트 지지기(44)의 연결부품(50)내에리일허브 부하기(43)등으로 구성하다. 리일 허브 부하기의 각각은 리일 허브(3)의 원통형 리일 권취부품에 관련된 리일 허브 부하기를 중심설정하기 위한 중심설정부(5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일 허브 부하기는 판 스프링(42)에 의하여 각각 부하되어 있으며, 점 접촉부를 통하여 중심설정부(51)의 반대편 중심설정 고착위치에서 리일 중심 부하기(43)과 협력하여, 소위 둥근 견부(52)와도 협동하며, 작동위치내에서 구동스핀들(27)의 회전축(26)상에 배치되어 있다.
카세트 지지장치(34)와 (35)로 부터 떨어져서 면하고 있는 측면상의 카세트 지지기(44)는 연결 부품(50)에 연결된 베어링 부품(53)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베어링 부품들은 연결부품(50)에 연결된 굽은 금속조각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베아링 부품(53)내의 베아링 구멍(54)은 리일 허브 부하기(43)용으로 형성되며 그 구멍들은 리일 허브 부하기가 회전할 수 있는 만큼의 그리고 베어링 구멍내에서 작동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만큼의 직경을 갖고 있다. 리일 중심 부하기 각각은 카세트 지지기의 저면(49)의 방향에서 축의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칼러(55)를 구비하고 있다. 카세트 지지내에 위치된 카세트. 레버(56)의 도움으로 저면 49에 대하여 장력 스프링(57)을 압압하며, 측면 판(45)상에서 저어널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레버(56)은 측면 판(45)의 구멍(59)를 통하여 통과하는 핀(58)과, 그 위에서 작용하는 스프링(57)등으로 구성한다. 기타 측상에 있는 각 레버는 베어링 핀(112)상에 장착되며 회전 고리(113)에 의하여 상기 핀 상에 보유되어 있다. 리일 중심 부하기(43)과 저면(49) 사이의 거리, 자기 레이프 카세트(1)과 리일 허브(3)의 크기, 카세트 지지기(44)와 카세트 지지장치(34) 및 (35)의 크기는 모두 카세트 지지기의 개방위치내에서(제7도) 비데오 카세트가 리일 허브 부하기를 접촉하지 않고 카세트 지지기의 저면(49)를 넘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밀폐위치내에서(제8도) 비데오 카세트가 카세트 지지기(44)의 저면(49)로부터 떨어져 있는 곳에서 카세트 지지장치(34)와 (35)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서로가 적합하게 되어있고, 그리일 허브부하기(43)은 베어링 부품(53)의 베어링 구멍(54)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리일 허브(3)와 협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레이프 이송의 균등성 및 자기레이프중의 장력에 악영향을 가질 바람직하지 못한 마찰력 또는 토오크는 작동중 스푸울(12)에 미치지 않는다.
제5도는 리일 허브(3)내의 구동 구멍(10)이 둥글지는 않지만 적어도 타원형을 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작동중 구동스핀들(29)의 구동핀(32)가 비접선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리일 허브(3)에 전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 구멍(10)은 평면벽 부분(60)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제한되며, 리일 허브의 회전축(2)에 관련되어 사실상 방사상으로 뻗쳐져 있다. 초과 또는 부족한 형태의 타원형은 구동스핀들의 회전축(26)에 관련된 구동 핀(32)의 반격 거리내에서 공차를 취하게 된다.
리일 허브(3)의 환형 단부벽(7)의 각 리일 허브의 회전축(2)으로 부터 반경마큼 떨어져 있는 곳에 서로 똑같이 떨어져 있는 곳에 배치된 3개의 축방향으로 직결된 돌출부(61)등으로 구성한다. 구동스핀들(27)을 따라서 회전하는 환형 멈춤부(41)은 각각 구동스핀들(27)의 회전축(26)에 수직한 평면내에 배치된 환형 멈춤 표면(62)를 갖고 있다. 때문에 리일 허브(3)와 멈춤장치(41)은 3점 접촉장치에 의하여 서로 협동하고, 그로 인해 명백하게 규정된 그의 멈춤장치상에 있는 각 실패의 위치는 보증된다.
제9도는 카세트 지지장치(34)와 (35)상에 비데오 카세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제9도 내의 횡단면 X-X의 고착점에서, 원추형 단부(125)를 갖고 있는 고착핀(124)은 카세트의 구멍(122)와 맞물리며, 그곳에 부착된 상기 고착핀의 원통형부분은 경사작동시 맞물리게 된다. 제2고착핀 (124)는 비데오 카세트의 구멍(123)과 맞물린다(제4도와 제9도 참조).
제11도에는 스푸울(114)와, 이 스푸울의 회전축에 관련되어 방사상으로 뻗쳐있고 그리고 중심설정 구멍(63)내에서 단락하는 구멍(66)을 구비하고 있는 디스크형 중심설정 및 구동부품(65)와, 구동장치의 중심설정핀(28)의 직경보다 훨씬 작은 직경을 갖고있는 리일 허브(64)의 중심설정 구멍(63)의 횡단 크기에 관한것이다. 방사상 홈(66)의 각각은 중심 설정 구멍(63)의 반대측상에 있는 횡단홈(67)내에서 단락한다. 이 홈들에 의하여, 구동스핀들의 중심설정핀(28)상으로 상기 디스크형 중심설정 및 구동부품(65)를 클램프하는 것은 가능하며 그 부분들은 약간 굽어져 있는 홈(66)과 (67)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스푸울의 뜻어난 중심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왜냐하면, 상기 스푸울과 구동장치의 중심설정 핀 사이의 어디에서도 작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분명히, 그와 같은 중심설정 핀상의 스푸울을 정열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축력이 요구되며, 그 사이 스푸울의 재이동은 어떤 출력을 또한 필요로 한다.
이것은 2개의 본 발명을 위한 실시예의 경우 즉 제12,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의 경우에도 적용한다. 제12도는 중심설정핀(115)와 리일 허브(68) 사이의 협동 관계를 도시하고 위으며, 그것은 단지 자세히 말하자면 이점에 기술된 리일중심(3)과는 다르다. 이 리일 허브(68)도 또한 디스크형 중심설정 및 구동부품(71)내의 6개의 구동 구멍(70)과 마찬가지로 중심노선설정구멍(69)를 갖고 있다. 상기 관형 리일 권취부품는 양측면상에 리일프랜지(72)을 갖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상기 도면내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리일 권취부품(73)의 원통형 외벽(72)상에서 리일(74)가 권취된다. 부품(75)은 상기 중심노선 설정핀(115)상으로 클램프되며 그리고 구동스핀들(116)의 일부를 형성한다. 부품(76)의 플랜지형부 부분(77)은 그의 상한 측상에 환형 멈춤 표면(82)를 구성하며, 그 표면은 상기 중심 설정핀(115)의 회전축(79)에 수직인 평면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중상기 멈춤부(77)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리일 허브(68)를 압압시키기 위한 탄성부하장치는 보올(80)의 형태로 다수의 부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것은 각 구동스핀들상에 장착되며 회전축 (79)의 가까이에 있는 제1 또는 외부위치와 제2 또는 내부위치 사이의 제한된 범위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부품들은 압력스프링(81)에의 하여 그들의 외부 위치쪽으로 부하되어 있다. 상기 리일 허브(68)의 관형 리일 권취부품(72)는 그의 단부벽(82) 가까이에 있는 보올(80)에 대한 내부의 환형 멈춤 장치(83)를 구비하고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올(80)은 작동중 환형 멈춤 장치(83)을 버리고 있다. 그것들은 멈춤부(77)쪽으로 직결된 성분을 갖고 있는 상기 멈춤장치상에 힘을 가한다. 이 멈춤장치(83)은 보올 중앙의 아래에 위치하는 점에서 원추형 표면에 서로 접하고 있다.
리일 허브(68)의 단부 벽(82) 가까이에 있는 관형 리일권취 부품(72)는 원추형 내부 벽(84)를 갖고 있으며, 이 벽의 직경은 환형 멈춤장치(83)보다 작게 감소한다. 이 내부벽은 상기 환형 멈춤장치(83)이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설정중 구동장치상에 도착될 때까지 보올(80)을 점차 외측위치로부터 내측위치로 이동시키는 일을 한다. 내부벽(83)은 리일 허브(68)의 관형 리일 권취부품(72)의 부품을 형성하는 금속 고리(85)에 속한다. 구동스핀들(116)에 속하는 부품(76)상에 있는 원형 금속 초리이브(86)은 보올(80)을 보유하기에 알맞도록 되어 있다. 보올(80)의 고착위치에서, 둥그런 구멍(87)은 보올(80)의 최대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고 있는 슬리이브 내에 형성된다. 그로 인해 보올은 슬리이브로부터 돌출할 수 있으나 스프링(81)에 의하여 구멍의 외부를 누를 수는 없다. 구동핀(88)은 부품(76) 내측에 있는(89)에 고착된다.
압력스프링(90)은 상방으로 고리(89)를 압압하며 기타 단부에 부착된 멈춤고리(91)를 버리고 있다. 이 구조의 결과로서, 상기 구동핀(88)은 회전축 방향으로 제한된 영역에 탄력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제13도에 있어서, 리일허브(92)는 금속 고리(85)이 대신에 상이한 형태의 금속고리(92)가 이용된것을 제외하고는 제11도의 그것과 사실상 동일하다. 이 고리는 전기자 고리로서 작용하며, 영구자석(94)의 형태로 자기장치와 협동하는 자하할 수 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것은 구동스핀들(95)의 부품을 형성하며, 금속 전기가고리(93)에 의하여 리일 허브 위치 설정 장치로서 작용하는 멈춤장치(96)에 대하여 끌어내어져 있다. 이 멈춤장치는 모터스핀들(100)에 고착된 부품(98)의 일부를 형성하며 그것은 나사(99)의 도움으로 중심설정핀으로서 작용한다. 영구자석(9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나사 장치에 의하여 플라스틱 지지체(101)상에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멈춤장치(96)에 연결되어 있다. 그 부품(98)은 나사부착부분(102)를 가지며 이 부분에 캡(103)이 부착된다. 이 캡 바로 밑에는 고리(104)가 배치되며 이 고리에 구동스핀들(105)이 고착된다. 압력스프링(106)은 상기 고리(104)를 상방으로 압압하여 플라스틱 지지체(101)에 의하여 지지된다.
구동스핀들(95)상에 있는 영구자석(94)는 환형이며 그리고 점두원추형내의 외벽(107)을 갖고 있으며, 이 외벽의 최저 직경과 접해있는 부분은 중심설정핀(100)의 자유단(108) 가까이에 위치된다. 전기자 고리(93)은 구동스핀들(95) 상에 있는 영구자석(94)의 외벽(107)의 형상에 상응하는 원추형 형태의 내부벽(109)를 갖고 있다. 작동위치에 있어서(제12도 참조), 사실상 균일한 두께의 공기 갭(110)은 영구자석(94)의 외벽(107)과 전기자고리(93)의 내벽(109)의 내벽(109) 사이에 형성된다. 그 표면(107)상에 있는 영구자석은 다수의 교대로 배열하는 북극과 남극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작동위치에 있어서 자기력선은 상기 전기자 고리(93)에 의하여 정확하게 차폐되며, 이것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표유자계의 결과로서 어떤 문제점도 발생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캡(103)과 멈춤장치(96)도 또한 자화할 수 있는 금속으로 구성한다.
Claims (1)
- 프레임(25)을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의부면(14)에 결합시키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게 한 카세트 지지장치(34, 35)를 카세트 홀더(44)로 구성되게하여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 및 제거되게하며, 구동장치를 제1 및 제2구동 스핀들(27)로 구성시키되 각 구동스핀들이 각 리일 허브(3)에 접합시킨 중심 설정장치(28)와 각 리일허브의 구동구멍(10)에 각축으로 부터 방사상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배열한 구동핀(32)으로 구성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평행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두 개의 리일 허브로 구성시킨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장치에 있어서, 각 스핀들(27)을 그와 회전하는 허부축위치 설정면으로 형성하여 리일허브의 단부벽(7)과 결합시키고, 카세트 지지장치(34, 35)를 카세트 동작시 축위치 설정면을 압압하는 판스프링(42)과 리일허브부하기(43)로 구성시키며, 각 허브(3)가 중심 설정면과 결합되게 하고, 판스프링(42)을 리일허브부하기(43)와 접속 배열하여서 리일허브부하기(43)를 스핀들(27)로 향하여 압압하게하므로 중심설정부(51)가 허브(3)상의 중심면과 결합되게한 자기테이프 구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0068A KR830000823B1 (ko) | 1979-01-10 | 1979-01-10 | 자기(磁氣)테이프 구동장치 |
KR8204324A KR830000824B1 (ko) | 1979-01-10 | 1982-09-24 | 자기테이프 카세트 |
KR1019830000355A KR830000805B1 (ko) | 1979-01-10 | 1983-01-29 | 자기테이프 카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0068A KR830000823B1 (ko) | 1979-01-10 | 1979-01-10 | 자기(磁氣)테이프 구동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204324A Division KR830000824B1 (ko) | 1979-01-10 | 1982-09-24 | 자기테이프 카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823B1 true KR830000823B1 (ko) | 1983-04-19 |
Family
ID=1921050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900068A KR830000823B1 (ko) | 1979-01-10 | 1979-01-10 | 자기(磁氣)테이프 구동장치 |
KR8204324A KR830000824B1 (ko) | 1979-01-10 | 1982-09-24 | 자기테이프 카세트 |
KR1019830000355A KR830000805B1 (ko) | 1979-01-10 | 1983-01-29 | 자기테이프 카세트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204324A KR830000824B1 (ko) | 1979-01-10 | 1982-09-24 | 자기테이프 카세트 |
KR1019830000355A KR830000805B1 (ko) | 1979-01-10 | 1983-01-29 | 자기테이프 카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830000823B1 (ko) |
-
1979
- 1979-01-10 KR KR7900068A patent/KR830000823B1/ko active
-
1982
- 1982-09-24 KR KR8204324A patent/KR830000824B1/ko active
-
1983
- 1983-01-29 KR KR1019830000355A patent/KR8300008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824B1 (ko) | 1983-04-19 |
KR830000805B1 (ko) | 1983-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34140A (en) | Magnetic tape cassette drive system | |
KR850002422Y1 (ko) | 기록 재생용 디스크 카세트 | |
US3898814A (en) | Mechanism for clamping and driving a flexible disc | |
EP0375358B1 (en) | Helical scan tape record apparatus and method | |
US3737880A (en) | Flexible disc with air intake in turntable | |
US4315290A (en) | Apparatus for shifting the magnetic read/write head carriage in a floppy disk drive unit | |
USRE36016E (en) | Disc storage device having an integrated driving system | |
US4056833A (en) | Turntable assembly for video cassette recorder/reproducer | |
US4654740A (en) | Magnetic tape cassette with tape reel assembly having floating reel hub | |
KR830000823B1 (ko) | 자기(磁氣)테이프 구동장치 | |
US4570254A (en) | Drive motor having moving rotor for compact disc player apparatus | |
JPS63503337A (ja) | 磁気記録再生装置 | |
JPH07235163A (ja) | カセットテープおよびテープ走行装置 | |
US4945436A (en) | Double-sided recording method using slanted guide plates upstream and downstream of recording heads | |
CA1075808A (en) | Flexible disc recorder with skewed transducer transport | |
JPH07226050A (ja) | テープカセット | |
US3417937A (en) | Device for adjustably driving two parallel reel spindles | |
US6643907B2 (en) | Medium fixing method and medium support apparatus | |
US4675763A (en) | Magnetic disk drive with a disk leveling mechanism | |
KR890003560B1 (ko) | 자기 디스크(disk)구동장치 | |
US5237471A (en) | Integrated driving system for signal-processing devices | |
JP2519676B2 (ja) | 情報処理装置 | |
JPS6356853A (ja) | 記録担体ロ−デイング装置 | |
KR200154793Y1 (ko) | 가압롤러 부재를 구비한 자기 테이프 장치 | |
WO1984001462A1 (en) | A mechanism for clamping and spinning a flexible dis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