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155Y1 - 육묘기용 히터(Heater) - Google Patents

육묘기용 히터(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55Y1
KR830002155Y1 KR2019830003811U KR830003811U KR830002155Y1 KR 830002155 Y1 KR830002155 Y1 KR 830002155Y1 KR 2019830003811 U KR2019830003811 U KR 2019830003811U KR 830003811 U KR830003811 U KR 830003811U KR 830002155 Y1 KR830002155 Y1 KR 830002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water
water tank
nursery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3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607U (ko
Inventor
소우이치 아오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게이분샤 세이사구쇼
데쯔가 게이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게이분샤 세이사구쇼, 데쯔가 게이조우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게이분샤 세이사구쇼
Priority to KR2019830003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155Y1/ko
Publication of KR830000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육묘기용 히터(Heater)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육묘기용 히터의 제1실시예의 수직 절단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절단 분해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관한 육묘기용 히터의 제2실시예의 수직 절단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수직절단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관한 육묘기용 히터의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육묘기요 전체의 정면도.
제8도는 종래의 육묘기용 전열히터 및 수조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육묘기 전체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벼농사의 모육성에 사용하는 육묘기용 히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육묘기는 초기에는 가습, 가온하는 것이나, 후기에는 비가습, 가온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하여 종래의 육묘기에 있어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에 배치한 전열히터(12)에서 적당한 공간(A)을 두고, 수조(13)를 배치하여 초기에는전열히터(12)에서 발생하는 열과 수조(13)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하여 가습, 가온을 행하고, 후기에는 수조(13)를 비워두고 전열히터(1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비가습, 가온을 행하여왔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것에에서는 가습, 가온시에 있어서의 수조(13)의 수온이 대략 45℃ 정도로 되기 때문에 수증기의 발생량이 부족하고, 또한 비가습, 가온시에는 전열히터(12)에서 발생하는 가온된 기체가 수조(13)의 주변을 우회하여 상승 되므로 육묘실내가 비교적 고온으로 되고, 수조(13)의직상부에는 가온 기체가흐르지 않기 때문에 육묘상자(11)중의 상토가 마르기 수비고, 더욱 이 육묘실(8)의 상부(B)와 하부( C)와의 온도차가 생기기 쉬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는 상방향에 요입 부분이 있는 천정판 이고, (3)은 천정판(4)의 하면에 배치하여 고정 설치한 중간 수조이고, 이 중간수조(3)와 천정판(4)에 의하여 수실을 형성하고, 또한 이 수실으 긴 방향으로 2개로구분되어 있다.
(5)는 중간 수조(3)에 면하는 천정판(4)에 분산설치한 다수의 작은 승온기체 상승공이고, (6)은 중간수조(3)에 면하는 천정판(4)에 설치된 급수구로서, 이상과 같이 하여서 상부 유니트가 구성되어 있다.
(1)은 직사각형 상자형의 히터 케이싱(Cassing)이고, (2)는 히터 케이싱(1) 내에 수납된 히터본체이다.
그리고 히터 케이싱(1) 위에는 상기 상부 유니트를 붙이고 떼기가 가능 하도록 고정 설치하고, 또한 중간 수조(3)에는 물이 없는 상태에서 히터 본체(2)를 가열하여도 견ㄷ딜 수가 있는 재료로 중간수조(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10)은 급수구(6)를 막는 캡으로서, 필요에 따라 붙일 수 있는 것이다. 급수구(6)에서 물(7)을 중간수조(3) 내에 넣어 사용하면, 히터본체(2)의열은 그 대부분이 중간수조(3)의 밑을 통하여 물(7)에 전달 되고, 물(7)은 80-90℃ 정도까지 상승 하면서 수증기를 발생한다.
이 수증기는 승온기체상승공(5)을 통하여 육묘실98) 내에 전달 되며 이로인하여 육묘실(8) 내를 충분하게 가습, 가온 상태로 하는 것이된다. 또하 미리 중간수조(3)에 주입한 수 량을 조정하여 두는 것에 의하여, 초기의 필요한 기간중에는 승온을 행하고, 적당한 시기가 된 때에는 중간수조(3)의 물(3) 전부를 증발하게 하고, 그 후에 자동적으로 비가습, 가온의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된다.
이때에 중간수조(7)의밑을 통하여 따뜻하게된 중간수조(3) 중의 공기가 승온 기체 상승공(3)을 통하여 육묘실(5) 중에 전달 되는 것이므로, 온화한 가온을 행할 수 있고, 과습으로될 염려도 없으며, 또한 천정판(8)의 직상부에 위치한 육묘상자에도 가온기체가 미치는 것이므로, 자칫 하면 낫은 온도로 되기 쉬운 육묘실내의 하무가 따뜻해지고, 육묘실내의 상부(B)와 하부(C)와의 온도차도 거의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중간수조(3)가 긴 방향으로 2개로구분되어있는 것이므로, 중간수조(3)가 약간 경사진 때에도 균일한 수심으로 할수 있어 가습, 가온에 효과적이다.
또한 수실을 2개로 구분한 것은 제4도 및 제6도에 있어 칸막이벽(9)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수실의 하반부만으로도 좋은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한 벼의 육묘실내 하부에 배치한 육묘기용 히터는 상방향에 요일부분이 있는 직사각형의 천정판(4)과, 이천정판(4)의 하면에 배치하여 고정 설치한 중간수조(3)에 의하여 수실을 형성 하고, 또한 이 수실은 긴 방향으로 2개로 구분하고, 천정판(4)의 상면에는 급수구(6)를 설침함과 동시에 다수의 작은 승온기체 상승공(5)을 분산 설치하여 상부 유니트를 구성 하는 한편, 내부에는 히터본체(2)를 수납한 직사각형상자형의 히터 케이싱(1) 위에 상기 유니트를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게 놓아서 고정하고, 또한 히터본체(2)를 가열 하여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중간수조(3)를 구성한 것이여서 히터 본체(2)의 육묘실(8)에 대하는 표면 온도가 비교적 낮고,가온이 온화하며 또한 승온중에 건조되지 아니하고, 또한 육묘실(8)에 대하는 표면 온도가 비교적 낮고, 가온이 온화하며 또한 승오중에 건조되지 아니하고, 또한 육묘실의 상하으 온도차가 거의 없으며, 그 위에 승온중에만 물이 있고 일정 온도로 되면 보통의 히터로 동작하여 과습의 염려가 ㅇ벗으며, 또한 육묘의 도중에 급술할 필요가 없는 등의 많은 특직을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육묘기용 히터는 중간수조(3)와 천정판(4)이 항상 고정 설치된 관계로 외부의 힘에 대하여 견고한 구조체로 되어 있어, 물 주입시에 있어 변형이 없을 정도의 얇은 판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체(2)의 고장시에는 상부 유니트를 뗄 수 있는 것이므로 매우 취급하게에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천정판(4)과 중간수조(3)로 형성된 상부 유니트를 히터 케이싱(1)의 위에서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도록 설치 하여서 된 육묘기용히터.
KR2019830003811U 1980-12-23 1983-04-29 육묘기용 히터(Heater) KR830002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3811U KR830002155Y1 (ko) 1980-12-23 1983-04-29 육묘기용 히터(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890 1980-12-23
KR2019830003811U KR830002155Y1 (ko) 1980-12-23 1983-04-29 육묘기용 히터(Hea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890 Division 1980-12-23 1980-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07U KR830000607U (ko) 1983-08-03
KR830002155Y1 true KR830002155Y1 (ko) 1983-10-17

Family

ID=7016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811U KR830002155Y1 (ko) 1980-12-23 1983-04-29 육묘기용 히터(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1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922B1 (ko) * 2002-10-26 2005-06-28 주식회사 남진농기 육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07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24241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umidifying apparatus
ES476169A1 (es) Plancha electrica de vapor perfeccionada
GB1273795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ter vaporizer units
KR830002155Y1 (ko) 육묘기용 히터(Heater)
ES8102666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calefactores de energia solar
FR2364411A1 (fr) Reservoir de stockage pour liquide de chauffage a temperature moderee
US1456417A (en) Air moistener
FR2435006A2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chauffage d'eau utilisant un capteur solaire
JPS57196033A (en) Storage type hot water feeder
SU947242A1 (ru) Утюг
SU1710937A1 (ru) Термический деаэратор
JPS54100549A (en) Storage type electric water boiler
JPH0424928Y2 (ko)
US1262068A (en) Water-evaporator.
KR880003863Y1 (ko) 제빵기용 발열장치
SU680737A1 (ru) Нагревательна установка
KR850002891Y1 (ko) 연탄 뚜껑을 이용한 증기보일러
KR790002067Y1 (ko) 가정용 온수 난로
US1737008A (en) Humidifier
KR890001413Y1 (ko) 보일러용 냉·온수 순환기
JPS5910498Y2 (ja) 暖房機の加湿装置
GB117794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Humid Atmospheres
JPS5371358A (en) Automatic feeding hot water pot
JPH0127785Y2 (ko)
JPH046402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0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