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140Y1 -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회로 - Google Patents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40Y1
KR830002140Y1 KR2019810001987U KR810001987U KR830002140Y1 KR 830002140 Y1 KR830002140 Y1 KR 830002140Y1 KR 2019810001987 U KR2019810001987 U KR 2019810001987U KR 810001987 U KR810001987 U KR 810001987U KR 830002140 Y1 KR830002140 Y1 KR 830002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leaning
water
pump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1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786U (ko
Inventor
마사오 이와나미
Original Assignee
후지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시도 후꾸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8584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428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694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9027Y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시도 후꾸시게 filed Critical 후지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0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3Arrangements specially designed for simultaneous and parallel cleaning of a plurality of condui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4238With cleaner, lubrication added to fluid or liquid sealing at valve interface
    • Y10T137/4245Cleaning or steam steril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회로
제1도는 컵식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계통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의 판매운전시 및 세정시의 상태를 표시한 회로도.
제4도, 제6도,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상이한 다른 실시예의 세정시를 표시한 회로도.
제5도, 제7도는 각각 제4도, 제6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판매운전시를 표시한 회로도.
제10도는 절환콕의 구조단면도.
제11도는 접속구의 구조단면도.
본 고안은 청량음료 등을 판매하는 컵식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우선 상기 컵식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계통을 제1도에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수도 등의 급수원(1)에 접속해서 판매기내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우트밸브가 붙은 물받이(2)로부터는 2본의 급수관로(3), (4)가 인출되어 있다.
그 한쪽의 관로(3)는 제빙수 급수관로로서 제빙기(5)와의 사이를 접속한다. 다른쪽의 관로(4)는 냉수급수관로로서 도중에 송수펌프(6)와 도시되어 있지 않는 냉수조에 침지한 냉각코일(7)과, 급수밸브(8)를 개재해서 선단의 토출노즐(9)이 만곡단(10)의 윗쪽으로부터 컵(11)에 면해서 개구하도록 배관되어 있다.
또, 탄산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에서는, 탄산가스용기(12)와 접속된 소오다수제조기(13)에 상기의 급수밸브(8)에서 분기된 급수분무노즐(14)이 접속되고, 또한 소오다수제조기(13)에서 탄산수밸브(15)를 개재해서 인출된 탄산수급수관로(16)의 선단토출노즐(17)이 상기 토출노즐(9)과 가지런히 컵(11)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음료의 원료시름은 시롭탱크(18)에서 시롭펌프(19)를 개재해서 끌어낸 시롭공급관로(20)에서 컵(11)에 공급된다.
상기 음료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동작은 잘 알려져 있으며, 판매지령에 따라서, 밸브, 펌프 및 제빙기가 작동하고, 만곡단(10)에 놓인 컵(11)에 각각 소정량의 시롭, 냉수, 탄산수 및 얼음이 손님의 선택에 따라서 공급된다. 또한 자동판매기에 따라서는 제빙기(5)내지는 소오다수제조기(13)가 장비되어 있지 않는 것도 있다. 이 종류의 자동판매기는 위생관리의 면에서, 특히 기내급수계통의 살균세정을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급수계통의 세정에는 미리 살균세정용액(이하 단순히 "세정액"이라 호칭한다)을 준비해두고, 세정시에는 먼저 이 세정액을 급수계통의 관로에 공급한 후에, 다시 수세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 종래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방법은, 미리 음료용 세정살균용액을 준비해두고, 입단 급수관로내의 물을 빼낸뒤에 물받이(2)의 뚜껑을 열어서, 세정액을 투입한다. 이 상태대로 30분정도 방치하고, 다음에 각 밸브를 열고, 동시에 펌프를 시동해서 세정액을 토출노즐에서 외부로 배출한다. 그후 다시 수도물을 물받이에 공급하면서 마찬가지인 조작을 행하여 세정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세정방식은, 급수계통의 관로의 선단토출노즐이 만곡단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할 수 없이 세정액을 장시간 계통관로내에 체류시킨채인 상태로 세정, 살균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세정에 요하는 작업시간, 즉 판매운전의 휴지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또한 이에 덧붙여서 세정공정의 태반에서는 세정액이 정지된채, 교반, 유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세정효과가 낮은 등의 난점이 있었다. 이때문에, 시장의 요구로서는 단시간으로 더우기 효과적인 세정이 행할 수 있는 세정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급수계통의 세정이 단시간으로, 더우기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한 신규한 세정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이 발명에 의해서 급수계통의 세정에 있어서 이 급수관로에 펌프로 송액되는 세정액을 통출노즐에서 회수하고, 재차 송수펌프의 흡입측에 환류시켜서 강제 순환하려고, 상기 급수펌프의 상류측에서 절환콕을 개재해서 급수관로에 연통시켜지는 분기관로를 끌어내고, 이 분기관로에 선단이 상기 급수관로의 토출노즐과 착탈자재케 접속 가능한 호오스를 접속해서 구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에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음료판매시 및 급수계통의 세정시의 상태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2도 이강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의 시롭공급관로는 생략되어 있다. 제2도에 있서서 송수펌프(6)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물받이(2)에는 급수관로(4)와는 별개로 세갈레 분기콕으로서의 절환콕(21)이 접속되고 이 절환콕(21)을 개재해서 냉수급수관로(4)에 연통시켜지도록 끌어낸 분기관로에 세정액이 되돌아오는 라인으로서의 호오스(22)가 접속되어 있다. 이 호오스(22)는 예를들어 가요호오스로서, 그 선단에는 급수관로(4), (16)의 토출노즐(9), (17)과 착탈자재케 접소가능한 접속구(23)를 갖추고 있으며 이것들로서 세정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중 세갈래 분기콕으로서의 절환콕(21)의 일레는 제10도와 같으며 콕의 하우징은 부호 a, b, c로 표시한 제1, 제2, 및 제3의 포오트를 가지고, 로울러식의 플러그를 점선궤적에 연해서 선택적으로 이동조작하므로서, 포오트 a-b, a-c, b-c 혹은 a-b-c간이 도통된다. 그리고 제2도에 표시함과 같이 제1의 포오트(a)는 물받이(2)에 제2의 포오트(b)는 호오스(22)에 접속되어, 다시 제3의 포오트에는 드레인 호오스(24)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접속구(23)는 예를들면 제11도와 같은 쌍가지 플러그 구조로서 만들어지고, 토출노즐(9), (17)에 봅았다 찔렀다 자재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세정회로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자동판매기의 판매운전시에는, 제2도와 같이 호오스(22)의 접속구(23)는 토출노즐(9), (17)과 절리되고 있으며, 또한 절환콕(21)은 도시한 절환위치에 선택된 포오트(a)와 포오트(b), (c)의 사이가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물받이(2)의 물은, 급수관로(4)를 통해서 컵(11)에 공급되고, 자동판매기는 통상의 판매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판매운전을 중단해서 급수계통의 세정을 행할 경우에는, 우선 급수계통내에 체류하고 있는 물을 모두 뺀다.
제3도와 같이 접속구(23)를 토출노즐(9), (17)에 접속하고, 또한 절환콕(21)을 포오트(a)-(b)가 도통하는 위치에 절환한다. 따라서, 제3도의 접속상태에서는 물받이(2)→송수펌프(6)→급수밸브(8)→토출노즐(9)→접속구(23)→호오스(22)→절환콕(21)→물받이(2)를 경유하는 순환회로가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로 물받이(2)에 세정살균용액을 투입하고, 급수밸브(8)르 열어서 송수펌프(6)를 시동하면 세정액은 점선화살표로 표시함과 같이 상기의 순환회로를 연속적으로 강제 순환해서 흐르고, 급수계통을 세정한다. 이러한 강제 순환세정에 따라면, 종래의 체류세정방식과 비교해서 훨씬 세정효과가 높고, 또한 세정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 세정효과는 실지 테스트에 의해 확증되고 있다. 세정이 끝나면 절환콕(21)을 전환해서 포오트(a)-(c)간을 도통시켜, 이 상태로 펌픔(6)에 의한 송액을 행하므로서 세정배출액이 드레인호오스(24)를 개재해서 계외로 배출된다.
또 탄산수 급수관로(16)의 세정을 행할 경우에는, 급수밸브(8)를 소오다수 제조기(13)측에 절환하고, 또한, 소오다수 제조기내에 탄산가스압을 가하므로서 상기 급수관로(4)와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도한 세정후의 배출액은 드레인 호오스(24)를 사용하지 않고 접속구(23)를 토출노즐에서 떨어지게 해서 배출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절환콕(21)은 세가닥 콕입 필요는 없고, 단순한 개폐절환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절환콕(21)을 급수관로(4)와는 별개로 물받이(2)에 접속한 예를 표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4도, 제5도에 표시함과 같이, 절환콕(21)으로서 세가닥 콕을 사용하고 송수펌프(6)와 물받이(2)와의 사이의 급수관로(4)에 직접적으로 삽입하고, 또한 세가닥 콕의 제3의 포오트(c)에 호오스(22)를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제4도는 세정시, 제5도는 판매운전시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세정시에는, 송수펌프(6)→밸브(8)→토출노즐(9), (17)→접속구(23)→호오스(22)→절환콕(21)→송수펌프(6)를 경유하는 세정액의 순환회로가 형성되고, 앞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세정액을 연속적으로 강제 순환시켜서 세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2도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이것에 제빙기로의 급수관로를 결합한 응용실시예를 제6도, 제7도에 표시한다. 즉 제2도에서는 절환콕(21)의 제3의 포오트(c)에 드레인 호오스(24)가 접속되어 있었으나, 드레인 호오스(24)대신에 제6도의 실시예에서는, 제빙기(5)의 급수입구에 연설된 제빙수 급수관로(3)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판매운전시에는 제7도에 표시됨과 같이, 절환콕(21)을 토오트(a)-(c)간이 도통하는 위치에 절환해서 물받이(2)에서 제빙기(5)로의 급수를 행한다.
다음에 세정시에는, 먼저 밸브(8)와 밸브(15)를 열고, 펌프를 운전해서 물받이(2) 및 급수관로(4), (16)내에 잔류되어 있는 물을 배수하고, 한쪽에서는 절환콕(21)을 포오트(a)-(b)-(c)간의 상호 도통의 위치에 절환해서 제빙기(5), 제빙기 급수관로(3) 및 물받이(2)와 절환콕(21)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관로(25)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을 호오스(22)를 통해서 유하 배수시킨다.
다음에 제6도와 같이 호오스(22)의 접속구(23)를 토출노즐(9), (17)에 접속하고, 절환콕(21)을 포오트(a)-(b)간의 도통위치에 절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인 순환회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세정액을 물받이(2)에 투입하고, 밸브를 열어서 펌프(6)를 운전하므로서, 세정액이 급수관로(4), (16)를 강제 순환해서 제정을 행한다. 이어서 접속구(23)를 접속한 채로 절환콕(21)을 포오트(b)-(c)간 도통의 우치로 절환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세정액을 펌프송액하므로서, 세정액은 제빙수 급수관로(3) 및 제빙기(5)의 내부를 씻어낸 후에 제빙기(5)의 얼음토출구에서 외부로 배수된다. 마지막으로 세정액 대신에 새 물을 물받이(2)에 공급해서 상기와 마찬가지인 조작을 행하여 세정의 마무리를 행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세정공정중에서 제빙기(5) 및 제빙기에 이르는 제빙수 급수관로(3)의 세정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병기(5)에 이르는 급수관로의 오염이 그다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급수관로(4)의 순환세정을 행한 뒤에 접속구(23)를 토출노즐에서 벗겨, 호오스(22)를 통해서 물받이(2)내의 세정액을 자체중량으로 유하시키는 것만으로도 된다.
그러나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세정시에 세정액이 급수계통내를 순환하므로서 각 급수관로의 파이프 관벽에 부착하고 있던 물때 등의 이물이 박리되어서 세정수와 함께 관로내를 부유순화하므로서, 이 결과 물떼 등이 송수펌프(6), 냉수밸브(8), 탄산수밸브(15) 등의 근소한 틈새에 막혀, 트래블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다음에 이 문제의 해결을 기도한 몇 개의 응용실시예를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한다.
먼제 제8도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6도의 실시에서의 물받이(2)와 절환콕(21)과의 사이의 관로(25), 특히 물받이(2)예 가가운 개소에는 물떼 등의 부유이물 제거수단으로서 세가닥 콕을 채용배수콕(26)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제3의 포오트(c)에는 드레인호오스(24)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콕(21)은 통상시에는 포오트(a)-(b)간을 도통시켜 두고 세정공정시의 도중에서 필요에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오트(b)-(c)간이 도통하는 위치로 절환된다.
즉 호오스(22)의 선단을 노즐(9),(7)에 접속해서 새정액 순환회로를 형성하 후의 당초의 세정기간은 배수콕(26)을 도시된 위치로 절환해서 송수펌프(6)를 운전한다. 따라서 세정액의 강제송액으로 급수관로의 벽으로부터 박리된 물떼 등의 이물은 물받이(2)를 경유해서 재차 송수펌프(6), 급수밸브(8) 등으로 향하지 않고, 물받이(2)의 바로 앞에서 배수콕(26), 드래인 호오스(24)를 경유해서 계로 밖으로 배제된다.
특히 제빙기(5)는 단번에 다량의 얼음을 제빙해서 저빙실에 저장한 뒤는, 얼음이 매진되기 까지는 제빙운전을 정지한 채로 있으므로, 제빙수 급수관로는 판매할 때마다 물이 통류하는 냉수급수관로(4)에 비해서 관내의 물이 장시간 체류된 채가 되므로 물떼다 발생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물받이(2)의 출구부 부근에서 세정시에 배급콕(26)을 통해서 관로내의 물을 일부 배수하는 것은 제빙수 급수관로내의 물떼를 배제할때 극히 효과적이다.
또 같은 관점에서 세가닥콕(21)은 될 수 있는한 제빙기(5)에 근접시킨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적당한 시간만 배수콕(26)의 포오트(b)-(c)간을 도통시간 후는 재차 배수콕(26)을 포오트(a)-(b)가 도통하는 위치에 되돌려, 세정액을 급수계통에 강제 순화시켜서 세정을 계속한다.
다음에 제9도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물제거수단으로서 제8도에서 설명한 배수콕(26)대신에 같은 개소에 스트레이너(27)가 착탈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공정에 있어서 물받이(2)로 향하여 흘러오는 물떼 등의 유리된 이물은 스트레이너(27)로 포획되고, 냉수급수관로(4)에 재침입하는 것을 저지해서 펌프, 밸브 등으로의 막힘트래블을 미연에 방지한다. 즉 스트레이너(27)는 세정작업이 종료하면 적당히 벗겨서 세정된다.
또한 상기 제8도 및 제9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유리된 이물의 제거수단으로서의 배수콕(26) 혹은 스트레이너(27)는 제2도 혹은 제4도와 같은 제빙기를 갖추지 않은 급수계통의 세정회로에 적용하여도 마찬가지인 효과를 올릴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세정작업공정의 밸브, 펌프 및 절환콕 등의 조작은 작업자가 수동조작하거나, 혹은 미리 정한 세정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프로그램 제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정공정을 프로그램제어로 자동적으로 행할 경우에는, 자동판매기의 기내에 물받이와는 별개로 미리 세정액탱크를 준비함과 동시에, 예를들면 세정회로내에 저트펌프를 삽입설치하고, 순화회로에 물을 순환 송류시키는 과정에서 제트펌프를 작동시키므로서, 세정탱크내의 농축세정액을 흡입해서 급수관로에 도입하고, 자동적으로 세정프로그램을 진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급수계통의 송수펌프를 활용해서 급수계통의 세정시에는 급수관로 및 새로 설치한 세정회로와의 사이에서 형성된 순환회로를 통하여, 세정액을 강제순환 송류해서 세정을 행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계내에 세정액을 체류시켜 행하는 세정방식에 비해서 훨씬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세정에 요하는 작업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물받이(2)에서 끌어내어, 송수펌프(6) 및 밸브(8)를 개재하여 선단의 토출노즐 (9)을 만곡단(10)의 컵(11)에 면하도록 배관된 급수관로(4)를 가진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 급수계통의 세정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로(4)에 펌프로 송액되는 세정액을 토출노즐(9)에 회수하고, 재차 펌프의 흡입측에 환류시켜서 강제 순환하기 위하여, 상기 송수펌프(6)의 상류측에서 절환콕(21)을 개재해서 급수관로(4)에 연통시켜지는 분기관로를 끌어내고, 또한 이 분기관로에 선단이 급수관로(4)의 토출노즐(9)과 착탈자재케 접속가능하는 호오스(22)를 접속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회로.
KR2019810001987U 1980-06-24 1981-03-20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회로 KR8300021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58480U JPS5714289U (ko) 1980-06-24 1980-06-24
JP55-88584 1980-06-25
JP55-132694 1980-09-18
JP13269480U JPS6029027Y2 (ja) 1980-09-18 1980-09-18 カツプ式飲料デイスペンサにおける給水系統の洗浄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86U KR830000786U (ko) 1983-08-03
KR830002140Y1 true KR830002140Y1 (ko) 1983-10-15

Family

ID=2642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1987U KR830002140Y1 (ko) 1980-06-24 1981-03-20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65210A (ko)
EP (1) EP0042591B1 (ko)
KR (1) KR830002140Y1 (ko)
DE (1) DE3162873D1 (ko)
DK (1) DK2771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75U (ja) * 1983-06-22 1985-01-11 ハウス食品工業株式会社 三方バルブの洗浄用配管
FR2562053B1 (fr) * 1984-04-03 1987-03-06 Sodima Union Coop Agricoles Installation pour la distribution automatique, a la demande, de doses individuelles de yaourt a boire aromatise au choix
IT1180246B (it) * 1984-12-28 1987-09-23 Tetra Dev Co Unita' di riempimento asettico per macchine confezionatrici di prodotti a comportamento fluido a lunga conservazione
DE3635329A1 (de) * 1986-10-17 1988-04-28 Ucosan Bv Reinigungseinrichtung fuer das rohrleitungssystem einer whirlpool-wanne sowie austrittsventil fuer whirlpool-wanne
US4941593A (en) * 1989-01-11 1990-07-17 Hicks Robert C Cleaning system for beverage delivery conduits
GB2228049A (en) * 1989-01-26 1990-08-15 Millington Richard Co Ltd Cleaning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5427220A (en) * 1992-03-13 1995-06-27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processing apparatus
US5336334A (en) * 1992-07-13 1994-08-09 Universal Epsco, Inc. Method for cleansing a portable keg tap
US5348058A (en) * 1992-11-06 1994-09-20 National Instrument Company, Inc. Clean-in-place filling machine
US5289691A (en) * 1992-12-11 1994-03-01 The Manitowoc Company, Inc. Self-cleaning self-sterilizing ice making machine
FR2703988B1 (fr) * 1993-04-15 1995-06-02 Vouillaume Distribution Sa Dispositif de séquestration de calcaire et de prévention bactérienne en distribution automatique.
US5329950A (en) * 1993-05-14 1994-07-19 Sanirab Corporation Clean-in-place process and equipment
EP0756577A4 (en) * 1993-10-29 1998-02-11 Alan Edwin Board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LIQUID DELIVERY SYSTEMS
GB2290831B (en) * 1994-06-14 1998-04-01 Fenwick Hoi Tong Pau A fluid recovery system
US5553743A (en) * 1994-10-27 1996-09-10 Milk Specialties Company Liquid diet delivery system and control valve for use therein
KR100254793B1 (ko) * 1997-12-08 2000-05-01 윤종용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의 케미컬 분사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되는폐액조
CA2271632C (en) * 1998-05-15 2007-03-27 Imi Cornelius Inc. Low profile ice maker
WO2000072178A1 (en) * 1999-05-20 2000-11-30 Lancer Partnership, Ltd. A beverage dispenser including an improved electronic control system
GB2361282A (en) 2000-04-12 2001-10-17 Versar Inc Methods,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cleaning pipes using a fluorocarbon solvent and fluorinated surfactant
KR100394359B1 (ko) * 2001-05-25 2003-08-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재순환식 컵 음료 자동판매기
DE10239594B4 (de) * 2002-08-28 2006-06-14 Niro-Plan Ag Abgabevorrichtung für Getränke
ITMO20020343A1 (it) * 2002-11-28 2004-05-29 Lord S R L Macchina per distribuire bevande.
US6889603B2 (en) * 2002-12-24 2005-05-10 Nestec S.A. Clean-in-place automated food or beverage dispenser
JP4589729B2 (ja) * 2002-12-24 2010-12-0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浄化機構を備えた食品分配器
US8181825B2 (en) * 2005-02-08 2012-05-22 Nestec S.A. Hygienic beverage mixing and whipping assembly
US7562793B2 (en) * 2005-02-08 2009-07-21 Nestec S.A. Dispensing device with self-cleaning nozzle
DE602006011503D1 (de) * 2005-08-26 2010-02-11 Fbd Partnership Lp Lebensmittelautomat
DE102006047969A1 (de) * 2006-10-11 2008-04-17 Niro-Plan Ag Vorrichtung zur Zubereitung und Ausgabe von Getränken mit Reinigungseinrichtung
DE102007022798A1 (de) 2007-05-11 2008-11-13 Sig Technology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Reinigen mehrerer Rohrleitungen oder Rohrleitungssysteme
US8678239B2 (en) * 2007-07-13 2014-03-25 The Coca-Cola Company Clean in place system for beverage dispensers
EP2272408A1 (de) * 2009-07-08 2011-01-12 Jura Elektroapparate AG Getränkeber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Getränkebereitungsmaschine
DE102012105443B4 (de) 2012-06-22 2019-08-01 Miele & Cie. Kg Strömungsleitungssystem für Fluide und Getränkeautomat mit einem derartigen Strömungsleitungssystem
CN105078254A (zh) * 2015-09-23 2015-11-25 苏州市玄天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净饮水机
EP3621498B1 (en) * 2017-05-10 2021-09-15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module and method of cleaning said device
NL2018886B1 (en) * 2017-05-10 2018-11-15 Douwe Egberts Bv Beverage dispensing device
CN111820748B (zh) * 2019-04-19 2022-11-0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供给装置的水路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SI3847898T1 (sl) * 2020-01-10 2023-05-31 Frigomat S.R.L. Stroj za izdelavo tekočih, poltekočih ali gostih trdnih prehrambenih izdelkov, opremljen s samodejnim pralnim sistemom in postopek čiščenja takega stroj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42808A (en) * 1929-11-19 1931-02-12 Herbert Edward Green Improvements in the method of and means for cleansing pipes, conduits, and the like
US2023854A (en) * 1935-04-09 1935-12-10 Petricone Sabatino Means for cleaning dispensing systems
US2978143A (en) * 1955-04-25 1961-04-04 Square Mfg Company Ingredient supply system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3338153A (en) * 1964-04-06 1967-08-29 Universal Match Corp Vendor
US3390626A (en) * 1966-04-25 1968-07-02 Universal Match Corp Coffee vendor with cleaning system
US3638448A (en) * 1970-05-06 1972-02-01 Umc Ind Cleaning system for the ice maker of a vendor
US3898861A (en) * 1973-08-20 1975-08-12 Cornelius Co Beverage dispenser
US4051034A (en) * 1973-09-18 1977-09-27 The Coca-Cola Company System for water disinfection
FR2264240A1 (en) * 1974-03-14 1975-10-10 Benhaim Albert Device for circulating pipe cleaning liquids - uses reservoirs fitted with valves to control supply
DE2413375A1 (de) * 1974-03-20 1975-10-2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en aus massen, die styrol- und aethylenpolymerisate enthalten
NL7809471A (nl) * 1978-09-18 1980-03-20 Friesland Condensfab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gekoelde of warme en gekoelde dranken uit poeder en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62873D1 (en) 1984-05-03
EP0042591A1 (en) 1981-12-30
DK277181A (da) 1981-12-25
EP0042591B1 (en) 1984-03-28
US4465210A (en) 1984-08-14
KR830000786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140Y1 (ko) 음료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급수계통의 세정회로
US8146612B2 (en) Warewasher with water energy recovery system
US5392797A (en) Single motive pump, clean-in-place system, for use with piping systems and with vessels
US4805649A (en) Beverage glass washer
KR20050088474A (ko) 현장 세정 음식 또는 음료 자동 분배기
KR102280246B1 (ko) 음료 공급 장치
US5427126A (en) Satellite eductor clean-in-place system
KR20180082331A (ko) 세정 시스템
US2808842A (en) Apparatus for washing dishes
US6209339B1 (en) Modular ice delivery system for a beverage dispenser
US3744263A (en) Recirculation system for meltdown water from an ice storage compartment
US3020741A (en) Water supply means for washing machine
CN109312519B (zh) 洗衣机的操作方法和实施这种方法的洗衣机
USRE30537E (en) Method for rinsing and chemically sanitizing food ware items
US4094329A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sanitizing containers
EP3344109A1 (en) Detergent dispensing device for a dishwasher
US4832752A (en) Cleaning and deliming glass washer spray nozzles
US1686313A (en) Centrifugal starching apparatus
CN209049232U (zh) 双泵法全自动清洁球清洗管式膜系统
JPS6029027Y2 (ja) カツプ式飲料デイスペンサにおける給水系統の洗浄回路
CN109414736B (zh) 瓶清洁装置和使用瓶清洁装置清洁瓶的方法
JPS5912707Y2 (ja) カツプ式飲料自動販売機における給水系統の洗浄回路
JPS631969Y2 (ko)
EP3424400B1 (en) Operating method of a professional tunnel dishwashing machine
JP2008200575A (ja) 受乳装置の洗浄方法及び洗浄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