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43Y1 -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 Google Patents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43Y1
KR830001943Y1 KR2019810006829U KR810006829U KR830001943Y1 KR 830001943 Y1 KR830001943 Y1 KR 830001943Y1 KR 2019810006829 U KR2019810006829 U KR 2019810006829U KR 810006829 U KR810006829 U KR 810006829U KR 830001943 Y1 KR830001943 Y1 KR 830001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sides
opening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6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030U (ko
Inventor
채석대
Original Assignee
채석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석대 filed Critical 채석대
Priority to KR2019810006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43Y1/ko
Publication of KR830002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030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계관몸통 2 : 보충수 유입관
3 : 온수유입관 4, 5 : 온수배분관
6, 7 : 온수배출공 8, 9 : 주개폐판
8', 9' : 배기공 10가, 10나 : 지지축
11 : 지지축 12 : 부채꼴형 분배판
13, 14 : 보충수 유입구 15, 15' : 보충수개폐판
15" : 횡통공 16, 16' : 보조개폐판
18 : 나사공 19 : 나사봉
24 : 온수보일러
본 고안의 하나의 온수조에서 가열된 온수를 큰방과 작은방에 동시에 공급하여 난방을 실시할때에 배관된 온수파이프의 길이에 관계없이 양측방에 모두 온수의 공급이 원만하도록 하는 온수 중계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수보일러 중계관은 온수가 유입되어 중계관에 형성된 온수배출관으로 배분될 때 위로는 깨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아래로 온수가 유출되게한 것이나, 온수배출관에 연결된 온수배관의 저항이 양측에서 일정하지 않을때 저항이 많이 걸리는 온수배출관에는 온수의 역류현상이 생겨서 온수순환이 여의치 못해 난방이 고르게 되지않는 결점이 있으므로 큰방은 춥고 작은방은 덥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수중계관 몸통(1)의 중앙부 횡격판 양측으로 배출공(6)(7)을 형성하여 중앙부 저면으로 원호상 요입부(10)를 만든 그곳에 부채꼴형상으로된 분배판(12)을 핀(11)으로 축설하여 양측배출공(6)(7)에 축설된 주개폐판(8)(9)과 견인로우프(20)(20')로 연결시키고, 분배판(12)정면측벽 원호상 안내홈(12')에 고정나사봉(19)의 내측단이 투입되게 하며 보충수 유입관(2)의 내부양측으로 형성되는 보충수 유입구(13)(14)에 보충수개폐판(15)(15')을 유착하여 횡통공(15")내측에 각각 스프링(16")에 탄압되는 보조개폐판을 탄설시키며 몸통(1)저면부 중앙에 온수유입관(3)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온수배출관(4)(5)을 돌설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고정나사봉(19)을 나해하여 분배판(12)이 축봉(11)을 중심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양측은 수배출관(4)(5)중 일측 온수배출관(4)에는 호스 길이가 짧은 온수파이프(22)를 연결하고 타측 온수배출관(5)에는 호스의 길이가 긴 온수파이프(23)를 연결하여 중앙부 온수유입관(3)으로 보일러의 온수를 주입시키면 온수가 분배판(12)의 저면부로 유입되어 양측배수구(6)(7)로 배출될때 호스의 길이가 긴 온수배관(23)이 연결된 온수배출관(5)에는 반대측보다 온수순환 저항이 커서 온수의 배출량이 저항이 적은 온수배출구(6)쪽으로 치우치게 되는즉, 그쪽 개폐판(9)이 많이 열리게 되어 반대측 배출구(7)에는 물이 더욱적게 공급되는 현상이 생길수 있지만, 본 고안은 이때를 대비하여 분배판(12)과 개폐판(8)(9)사이에 일정한 길이의 견인로우프(20)(20')를 결속했기 때문에 일정각도 이상으로 개폐판이 벌어지면 견인 로우프가 분배판(12)을 당겨서 배출량이 큰 배수공(6)의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타측의 배출구(7)가 더 커지게 되어 배수량을 크게하는 조절기능이 있는바, 배관호스의 길이에 관게없이 알맞은 량의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온수중에 가스가 있으면 개폐판(8)(9)에 뚫어진 통공(8')(9')으로 배기되어 상측공간에 있는 보충수 유입구(13)(14)의 개폐판(15)(15')에 뚫어진 통기공(15")을 통해 배기되므로 내부에 가스가 채이지 않는 장점이 있고, 역류되는 압력이 있을 경우에는 보충수유입구(13)(14)에 있는 개폐판(15)(15')내측으로 압력이 작용되어 일정압력이상이 되면 통기공(15")을 막고 있는 보조개폐판(16)(16')의 스프링(16")을 열고 외부로 배기되어 압력이 낮아지게 되나, 일정압 이상이 될때까지는 스프링 힘으로 보조개폐판(16)(16')이 개폐되지 않으므로 역압력을 내부에서 수용하여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게되는족 종래보다 매우 실용적인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것과 같이 온수중계관 몸통(1)의 중앙부 횡격판 양측으로 배출공(6)(7)을 형성하여 중앙부 저면으로 원호상 요입부(10)를 만든 그곳에 부채꼴형상으로된 분배판(12)을 핀(11)으로 축설하여 양측배출공(6)(7)에 축설된 주개폐판(8)(9)과 견인로우프(23)(20')로 연결시키고, 분배판(12)정면측벽 원호상 안내홈(12')에 고정나사봉(19)의 내측단이 투입되게 하며, 보충수 유입관(2)의 내부양측으로 형성되는 보충수유입구(13)(14)에 보충수 개폐판(15)(15')을 유착하여 횡통공(15")내측에 각각 스프링(16")에 탄압되는 보조개폐판을 탄설시키며, 몸통(1)저면부 중앙에 온수유입관(3)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온수배출관(4)(5)을 돌설한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KR2019810006829U 1981-10-05 1981-10-05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KR830001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6829U KR830001943Y1 (ko) 1981-10-05 1981-10-05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6829U KR830001943Y1 (ko) 1981-10-05 1981-10-05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943Y1 true KR830001943Y1 (ko) 1983-09-27
KR830002030U KR830002030U (ko) 1983-11-14

Family

ID=1922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6829U KR830001943Y1 (ko) 1981-10-05 1981-10-05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030U (ko) 198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22525B1 (de) Heizbarer spülkasten für intelligente toilette
DE3166039D1 (en) Solar heating system and valve
KR830001943Y1 (ko)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US6119951A (en) Expansion control for a closed fluid circulation system
KR800001198Y1 (ko) 온수보일러용 중계관
KR810000927Y1 (ko) 보일러용 물탱크
KR820002445Y1 (ko)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CA2038856A1 (en) Thermostat-controlled heating device for a bidet of a water closet
KR920005344Y1 (ko) 온수보일러의 안전수위 조절장치
JPS57175841A (en) Hot water supply device
KR840000158Y1 (ko) 구멍탄 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JPS6240282Y2 (ko)
KR830002971Y1 (ko) 온수보일러의 온수분배 장치
KR910000127Y1 (ko) 연탄 보일러의 온수 순환장치
AT375165B (de) Ausdehnungsgefaess fuer warmwasserheizungsanlagen
KR870002038Y1 (ko) 온수 순환탱크의 온수 역류방지장치
JPS5910534Y2 (ja) 温水器
KR820002108Y1 (ko) 온수보일러의 강제순환기
KR910007566Y1 (ko) 온수순환촉진기용 안전장치
KR900009674Y1 (ko)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KR830002092Y1 (ko)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KR880002068Y1 (ko) 상향식 온수 보일러의 온수 순환 촉진장치
KR880001926Y1 (ko) 온수보일러용 온수저장통
JPS5838322Y2 (ja) 給湯暖房機の給水装置
JPS5818113Y2 (ja) 混合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