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092Y1 -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 Google Patents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092Y1
KR830002092Y1 KR2019820002522U KR820002522U KR830002092Y1 KR 830002092 Y1 KR830002092 Y1 KR 830002092Y1 KR 2019820002522 U KR2019820002522 U KR 2019820002522U KR 820002522 U KR820002522 U KR 820002522U KR 830002092 Y1 KR830002092 Y1 KR 830002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tank
water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김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2019820002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점선원륜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상부탕수조 7 : 집수관
9 : 분지관 8,8',8" : 온수배출관
14 : 에어변 15 : 배수관
17 : 사이폰관
본 고안은 난방용 온수순화관에 배관 사용되는 구멍탄온수 보일러에 있어서 연소통의 측열을 받게되는 하부수조의 낮은 온수와 상승열 받게되는 상부탕수조의 고온수로 분리 가열하여 짧은 시간내에 고온수로 가열하여 신속 순환하도록 된 구멍탄온수 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이 여러개되는 연립주택이나 단독주택의 경우에 방마다 단통의 구멍탄보일러 설치가 어려운 주택 구조인 경우에는 구멍탄연소통이 여러개(2통-4통) 붙은 다수통의 구멍탄 보일러를 삳용함이 통상이다.
이러한 보일러 구조는 구멍탄의 연소화력을 효율적으로 수열하여 고온수를 얻기 위해서는 구멍탄 연소통의 측열을 받게되는 하부구족와 직접적인 상승열을 수열케되는 상부탕수조로 분리되는 구조로함이 바람직한 보일러 구조인데 종래는 하부수조와 상부탕수조를 직접연결시킨 것이어서 물을 끓이는 시간이 장시간 요할분 아니라 온수의 순환이 늦고 또 난방용 온수순환관에 공기가 차면 순환이 순조롭지 못하여 동력에 의한 강제순환펌프를 사용하였는바 이는 정전시나 순환펌프의 고장시에는 난방이용상 문제점이 있으며 고온수로 짧은시간내에 가열순환시키지 못하여 온수난방 이용에 효과적인 보일러를 얻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 그와 같은 문제점과 결함을 감안하여 개량한 것으로 상부 온수탱크 하부에형 집수관을 설치하여 하부수조의 배수관을 연결시킨 공지의 것에 있어서 집수관과 상부탕수조 사이에 온수배출관을 설치하고 그 중간분지관에 공지의 에어변을 착설하여 상부탕수조에 물공급을 하부수조의 배수관, 집수관 및 온수배출관을 통해 유입하도록 하므로서 연소통의 측열을 받게되는 하부수조의 낮은온수와 고온의 상승열을 받게되는 상부탕수조의 고온수로 분리가열할수가 있어 짧은시간에 고온수로 가열함과 동시에 신속순환 하도록하고 또, 밀폐된 온수탱크와 보충수 통 사이에는 사이폰관을 연결설치하여 토출되는 온수탱크내의 과량온수 및 기포의 배출을 용이케하여 온수의 절약과 고온수의 순환을 더욱 촉진되도록 착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것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구멍탄 연소통(3)(3')(3") 주연에 보일러의 하부수조(1)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모두 관통된 공간의 연소실(2)이 구성되도록 보일러의 상부탕수조(4)를 평행으로 착설하여 격판(5)(5')으로 구획하고 또
보일러(B) 보다 높이 설치한 온수탱크(6) 하부에형 집수관(7)을 설치하여 하부수조(1)의 배수관(15)을 연결시킨 공지의 것에 있어서형 집수관(7)과 상부탕수조(4) 사이에 온수배출관(8)(8')(8")을 각각 설치하여 상부탕수조(4)에 물공급을 배수관(15) 집수관(7) 및 온수배출관(8)(8')(8")을 통해 유입되도록하고 그 온수배출관(8)(8')(8")의 중간에는 분지관(9)을 각각 연결설치하여 내부에 원추형개폐변(10)이 내설되며 저판(11)에 통공(11')과 망판(12)을 형성하여 개폐변(!0)이 상부기공(13)을 수위에 따라 개폐하도록된 공지의 에어변(14)을 설치하여 상부탕수조(4)의 탕수가 그의 증기압으로 인하여 집수관(7) 상단에 착설한 역지변(7)을 개변시키고 온수탱크(6) 내로 토출되도록하고 분지관(9) 내의 수위가 떨어질때, 에어변(14)이 개방케되어 하부수조(1)로 부터 상부탕수조(4)에 물공급을 신속용이하게 하고, 또, 보일러(B)상부의 온수탱크(6) 내의 기포 및 과량온소를 사이폰관(17)을 통해 보충수통(16)으로 배출하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19는 보충수관(18)에 설치한 역지변 20, 20'는 온수순화관, 21은 보충수통(16) 상부에 설치된 부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보충수통(16)에서 보충수관(18)의 역지변(19)을 통해 온수순화관(20)으로 부터 보일러(B) 내의 하부수조(1)에 물공급이 되고 이 물은 다시 배수관(!5)을 통해 집수관(7) 및 온수배출관(8)(8')(8")을 통해서상부탕수조(4)에 물이 공급케되어 만수가 되는데 이 때 하부수조(1) 및 상부탕수조(4)등의 내부에 들어있는 공기는 에어변(14)의 개폐변(10)이 개변상태에 있기 때문에 에어변(!4)의 기공(13)을 통해 배기되고 물이 만수되면 공급된 수위에 의하여 에어변(14)의 개폐변(10)이 닫히게 된다.
이때 통상의 방법으로 구멍탄연소통(3)(3')(3")에서 가열하면 그 연소통(3)(3')(3")의 구멍탄 연소의 측열은 하부수조(1)를 가열하고 또 직접적인 상승열은 연소실(2)을 통하여 상부탕수조(4)를 가열하게 되는데 상부탕수조(4)는 하부수조(1)보다 그의 체적이 작고 또 구멍탄의 고온상승열을 받기 때문에 구멍탄연소통(3)(3')(3")의 측열을 받는 하부수조(1)의 온수보다 단시간에 고온수를 얻게되며 이 고온수는 상부탕 수조(4) 내부에서 끓은 상태에 따라 포화증기압상태의 고온수로 되어서 온수배출관(8)(8')(8")을 통해 집수관(7)의 역지변(7')을 개방시키면 온수탱크(6)로 토출되고 토출된 고온수는 온수탱크(6)에서 온수순환관(20)(20')으로 순환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탕수조(4)의고온수가 역지변(7')을 자동개방시키면서 온수배출관(8)(8')(8") 및 집수관(7)을 통해 온수탱크(6)에상승 토출될때에는 온수배출관(8)(8')(8")의 분지관(9)에 착설된 에어변(14)의 개폐변(10)은 닫친상태에서 도출하고 고온수의 토출고 인하여 상부탕수조(4)의 고온수가 줄어분지관(9) 내의 수위가 떨어질 때 에어변(14)의 개폐변(10)이 하부로 개방케되어 다시 공기의 배출통로가 되기 때문에 하부수조(1)로 부터 상부탕수조(4)에 예열된물을 신속 용이하게 공급시키게 되며 또 수위가 차면 다시 에어변(14)의 개폐변(10)은 수위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은 분리된 상부탕수조(4)의 신속한 가열에 의하여 계속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로 계속적인 온수순환이 원활이 되고 또, 밀폐된 온수탱크(6) 내에 온수가 만수되었을 때에는 사이폰관(17)을 통해 보충수통(16)으로 배출케되므로 온수탱크(6)의온수가 유실되는 폐단이 없고, 또, 온수탱크(6) 내의 온수가 적은량의 상태에서 온수 순환관(20)(20')으로 수놘될시에는 사이폰관(17)을 통해 기포의 제거는 물론 공기의 공급배출이 되므로 온수의 순환이 신속 원활하여 온수난방 효과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온수탱크(6) 하부에형 집수관(7)을 설치하여 하부수조(1)의 배수관(15)을 연결시킨 공지의 것에 있어서 집수관(7)과 상부탕수조(4) 사이에 온수배출관(8)(8')(8")을 설치하여 상부탕수조(4)에 배수관(15) 집수관(7) 및 온수배출관(8)(8')(8")을 통해 예열수를 유입하도록 하고 온수탱크(6)와 보충수통(16) 사이에 사이폰관(17)을 연결설치하여된 구멍탄 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KR2019820002522U 1982-04-01 1982-04-01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KR830002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2522U KR830002092Y1 (ko) 1982-04-01 1982-04-01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2522U KR830002092Y1 (ko) 1982-04-01 1982-04-01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092Y1 true KR830002092Y1 (ko) 1983-10-10

Family

ID=1922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522U KR830002092Y1 (ko) 1982-04-01 1982-04-01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0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206B1 (ko) * 2013-03-08 2014-09-22 나기열 고효율 온수 겸용 난방용 연탄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206B1 (ko) * 2013-03-08 2014-09-22 나기열 고효율 온수 겸용 난방용 연탄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468444A3 (ru) Паросилова установка
CN102135320B (zh) 热能水暖循环系统
KR830002092Y1 (ko) 구멍탄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ES8609797A1 (es) Sistema de control de puesta en marcha y cuba de seguridad para reactores nucleares regenerables rapidos de metales licuados.
JPS57179590A (en) Heat accumulating device
GB984307A (en) Deaerating apparatus for liquids
KR840000158Y1 (ko) 구멍탄 보일러의 온수순환장치
KR910007568Y1 (ko) 온수 보일러의 배기구
US4383643A (en) Boiler tank for efficiently circulating low-temperature water
SU383688A1 (ru) Термический деаэратор
CN204987520U (zh) 一种单胆双腔式家用太阳能热水器
KR880003718Y1 (ko) 온수기
KR810001306Y1 (ko) 태양열장치의 집열유체 보충장치
KR810000020Y1 (ko) 온수 보일러
CN215061964U (zh) 用于蒸汽发生器的节能减排装置
GB936541A (en) Improvements in hot water circulating apparatus for domestic space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SU1276876A1 (ru) Термический деаэратор
KR850001189Y1 (ko) 증기보일러의 보충수 주입장치
KR800001144Y1 (ko) 온수 보일러의 이중 배관용 보조물탱크
KR810000761Y1 (ko) 아파트용 구멍탄 온수보일러
SU1171651A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890006913Y1 (ko) 온수 보일러의 온수 순환장치
KR820002015Y1 (ko) 연탄용 강제 순환 보일러
KR820002108Y1 (ko) 온수보일러의 강제순환기
KR800001198Y1 (ko) 온수보일러용 중계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