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445Y1 -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445Y1
KR820002445Y1 KR2019810005355U KR810005355U KR820002445Y1 KR 820002445 Y1 KR820002445 Y1 KR 820002445Y1 KR 2019810005355 U KR2019810005355 U KR 2019810005355U KR 810005355 U KR810005355 U KR 810005355U KR 820002445 Y1 KR820002445 Y1 KR 820002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iler
hot water
reflux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5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김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명 filed Critical 김동명
Priority to KR2019810005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온수보일러의 환류관을 급수조부분에 노출시키므로서 환류구부분의 압력을 온수유출구의 압력보다 저하시키도록한 종래의 것에 있어서, 환류구 선단에는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2단제어판을 장설하여 보일러의 온수가 환류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일러의 온수유출구와 환류관이 노출된 급수조 사이에 압력차를 발생시켜 온수의 순환작용이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한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수보일러는 일반적으로 온수유출관관 환류관이 다같이 동일한 보일러 동체에 관접되어 있는 것이어서, 온수유출관 사이에 압력차가 크게 발생되지 못하는 것이었고 따라서 환류작용이 제대로 행하여 지지못하므로서 난방관 내의 온수는 장기간 정체상태로 있게되거나 또는 보일러내의 온수가 환류관측으로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었으며, 환류관을 별도의 저수탱크에 관접하게 된 것(실용신안출원공고 제80-1896호)에 있어서도 서로 연통된 보일러와 저수탱크 사이에 큰 압력차를 형성시키지 못하여 온수의 순환작용이 원활하게 행하여 지지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여 온수유출관과 환류관 사이에 압력차를 크게 형성시켜 온수의 순환작용이 촉진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 본체(1)일측에 설치된 저수탱크(2)상부에 급수통(4)이 연결되고 급수통(4)과 저수탱크(2)를 연결하는 단관부(5)에는 환류관(3)이 상향되게 입설된 공지한 것에 있어서, 환류관(3)의 유출구(3′)에는 유출구(3′)를 폐쇄하는 변판(6)을 재치하며, 변판(6)하측으로 환류관(3)이 삽통하는 제어판(7)을 연결편(8)으로 연결하여 변판(6)이 상승하면 제어판(7)이 단관부(5)하단의 급수구(5′)를 폐쇄하도록 구성하여서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일러 본체(1)에서 가열된 온수는 난방관을 거쳐 단관부(5)에 상향되게 입설된 환류관(3)의 유출구(3′)로 부터 유출되고 유출된 환류수는 저수탱크(2)에서 다시 보일러 본체(1)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것은 종래와 같은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사용중 보일러본체(1)와 난방관 속에 기포가 진입하여 이상압력이 발생하거나, 보일러 본체(1)의 온수가 저수탱크(2)측으로 역류하여 저수탱크(2)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이 압력이 환류관(3)에 삽착된 제어판(7)의 하면부에 미치게 되므로서 제어판(7)이 상승하여 단관부(5)의 하단이 급수구(5′)를 폐쇄하게 하고 환류관(3)의 외주벽과 제어판(7)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부만이 남게되어 순간적으로 급수통(4)과 저수탱크(2)간에는 큰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저압부인 급수통(4)내에 개방된 환류관(3)으로부터 난방관의 물이 밀려나오게 되고 계속하여 보일러 본체(1)내의 온수는 난방관으로 진입하면서 온수의 순환이 촉진되게 되는 것이다.
일단 순환작용이 정상화되면 저수탱크(2)내의 압력도 정상으로 회복되면서 제어판(7)이 하강하게 되고, 이때 급수통(4)내의 냉수가 단관부(5)로 유하하게 되는바, 환류관(3)의 유출압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변판(6)이 환류관(3)의 유출구(3′)를 자동적으로 폐쇄하게 되므로서 환류관(3)내로 급수통(2)의 냉수가 역유입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적으로는 난방관 부분에서의 급격한 냉각등 온도변화에 따라 난방관내의 온수가 응축되어 난방관내에 기포가 발생하고, 이기포가 보일러 본체(1)에 유입되면 고온에 의하여 폭발하면서 보일러 본체(1)내에 이상 압력이 발생하는 현상이 수시로 반복되는 것이므로 본 고안과 같이 환류부에 변판(6)과 제어판(7)을 장설하게 되면 역류현상이나 온수의 정체현상이 없어지고 원활한 순환작용을 행하게 되는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보일러 본체(1)의 일측에 급수통(4)과 일체로 형성된 저수탱크(2)를 설치하고 급수통(4)과 저수탱크(2)를 연결하는 단관부(5)에 환류관(3)을 상향되게 입설시킨 공지의 것에 있어서, 환류관(3)의 유출구(3′)에 변판(6)을 재치하고 변판(6)하측에는 단관부(5)의 급수구(5′) 개폐하는 제어판(7)을 환류관(3)에 삽통되게 연결하여서 된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장치.
KR2019810005355U 1981-07-30 1981-07-30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KR820002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355U KR820002445Y1 (ko) 1981-07-30 1981-07-30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355U KR820002445Y1 (ko) 1981-07-30 1981-07-30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445Y1 true KR820002445Y1 (ko) 1982-11-25

Family

ID=1922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5355U KR820002445Y1 (ko) 1981-07-30 1981-07-30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4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8839A (en) Water heating and storage system
JPS6029856B2 (ja) 熱水を得るための装置
KR820002445Y1 (ko) 온수보일러의 순환촉진 장치
KR200176948Y1 (ko) 가스보일러용 응축수받이의 배기가스 차단장치
JPS5666644A (en) Controlling device for temperature of forced circulation type bath unit
KR930007293Y1 (ko) 온수 보일러
JPS57192735A (en) Room cooling, heating and hot-water supplying device
JPS6122739B2 (ko)
FR2385043A1 (fr) Installation de chauffage
KR0135891B1 (ko) 온수난방장치의 온수순환방법
KR800001198Y1 (ko) 온수보일러용 중계관
US5033673A (en) Hot water circulating system
KR810000781Y1 (ko) 구멍탄용 온수 보일러
KR940008233Y1 (ko) 내압조절기능을 갖는 온수보일러의 팽창탱크
JPS6240282Y2 (ko)
KR19980016052A (ko) 양방향 순환펌프를 이용한 가스보일러의 난방배관폐쇄시 과압토출구조
KR850000089Y1 (ko) 태양열 난방장치의 축열조 급수조절 장치
JPS6115036A (ja) 浴槽給湯追焚装置
JPS6364699B2 (ko)
KR830001943Y1 (ko) 1수조 다열 배관용 온수중계관
KR880001809Y1 (ko) 오일 보일러의 온수 순환장치
JPS6364701B2 (ko)
JPS5810925Y2 (ja) 太陽熱利用の貯湯装置
JPS6364700B2 (ko)
JPH013800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