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20B1 - 화상주사기록(畵像走査記錄)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주사기록(畵像走査記錄)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20B1
KR830001720B1 KR1019800003930A KR800003930A KR830001720B1 KR 830001720 B1 KR830001720 B1 KR 830001720B1 KR 1019800003930 A KR1019800003930 A KR 1019800003930A KR 800003930 A KR800003930 A KR 800003930A KR 830001720 B1 KR830001720 B1 KR 83000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image
address
circuit
writ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610A (ko
Inventor
미쮸히꼬 야마다
도시아끼 나까데
Original Assignee
다이니뽕 스크린 세이죠 가부시끼 가이샤
이시다 도꾸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뽕 스크린 세이죠 가부시끼 가이샤, 이시다 도꾸지로오 filed Critical 다이니뽕 스크린 세이죠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20B1/ko
Publication of KR83000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3/00Colour separation; Correction of tonal va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주사기록(畵像走査記錄)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브록도(block圖).
제2도는 원화(原畵) 및 이 원화에 대응하는 복제(複製)화상의 예.
제3도는 제1도의 원고(原稿)프리셋트(preset)장치의 CRT상에 표시된 각 복제화상의 트리밍(trimming)선상(線像).
제4도는 제1도의 원화실린더에 원화를 장치한 상태.
제5도는 제1도에 표시한 트리밍회로의 일예.
제6도는 제1도에서의 원고프리셋트회로의 데어터 설정부의 일예.
제7도는 제6도의 데이터 설정부에 대한 제어신호의 일예.
제8도는 제1도에서의 타이밍(timing) 제어회로의 일예.
제9도는 제8도의 타이밍 제어회로의 타이밍 차아트(chart).
제10도는 제1도의 애드레스 메모리(addressmemory)에 적어 넣어야할 애드레스 지정신호의 일예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컬러스캐너(color scanner)등의 화상주사기록장치에 따라서, 복제조건 및 복제배율이 다른 다수의 원화를 감광재료상의 소망의 위치에 소망의 트리밍(trimming) 촌법으로서, 레이아우트(layout)하여,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화주사수단을 복수개가진 화상주사기록장치에서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컬러스캐너를 사용하여서 복제조건과 복제배율이 다른 다수의 원화에의 한장의 감광재료상에 소망의 레이아우트와 같이 배치된 배치기록물을 얻으려면, 각 원화를 한점씩 원화실린더에 장치하고, 원화를 교환할 때마다 색수정, 계조(階調)수정등이 복제조건과 복제배율을 컬러스캐너에 설정하여 직접 광전주사하는 것에 의해서, 각 원화에 대응하는 색분해화상을 얻고 동일분해색의 색분해화상을 기록한 필름을 투명시이트상에 소망의 레이아우트에 따라 첨가하고 이 첨가한 것을 다시한번 다른 감광재료상에 소부(燒付)하는 것에 의해, 소망의 레이아우트에 따라서 배치된 색분해판을 얻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은 다수의 원화를 광전주사할 때마다 복제조건과 복제배율의 선정을 직접하지 않으면 안되며, 다수의 원화에 대응하는 각 색분해판을 각 분해색에 따라 각각 동일 레이아우트에 아주 정밀하게 첨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막대한 노력과 시간이 걸림과 동시에 사용되는 필름량이 대단히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다.
근래에는 복제조건과 복제배율이 상이한 다수의 원화와, 대응하는 각 기록화상을 소망의 레이아우트에 따라 배치된 각 색분해판을 직접 얻으려고 한 컬러스캐너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는 이 원화의 복제조건과 복제배율을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방법은, 이러한 다수의 원화를 광전주사함에 있어, 이것들의 원화가 장치되는 원화주사수단을 복수개 설치하고, 동일 감광재료상에 기록하여야할 다수의 원화를 일괄처리하므로써, 인력과 시간을 대폭 단축함과 동시에 그 원화에 대응하는 기록화상을 소망의 레이아우트에 따라 배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방법의 일실시예에 관한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원화주사수단(A), (B), (C)는 각각 원화실린더(1A), (1B), (1C)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2A), (2B), (2C)와 각 원색실린더에 접속된 로우터리 엔코오더(rotary encoder)등의 펄스발생기(3A), (3B), (3C) 및 각 조임나사(5A), (5B), (5C)를 회전구동하는 전동기(4A), (4B), (4C)에 따라서, 각 원화실린더의 축선방향으로 각각 평행이동하여서, 각 원화실린더에 접착된 원화를 각각 광전주사하는 주사헤드(head)(6A), (B), (6C)로 구성되어 있다.
각 주사헤드(6A), (6B), (6C)(6C)에는 선형부호기(linear encoder)등의 펄스발생기(7A), (7B), (7C)가 비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화주사수단의 각 원화실린더에 여러장의 원화를 장착함에 있어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제2(a)도~제2(f)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원화의 번호와 동제2(a)도~제2(f)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광전주사할 필요가 있는 부분의 촌법(寸法)으로 건반등의 입력수단에 따라 원고프리셋트(preset)장치(30)에 입력함과 동시에 각 원화의 복제조건 및 복제배율을 원고프리셋트장치(30)에 입력한다.
다음에 제2(a')도~제2(f')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기한 각 원화의 광전주사부분에 각각 소정의 복제배율을 걸어서 트리밍 선상에 상당하는 신호를, 대응하는 각 원화의 번호를 기입해서 원고 프리셋트장치(30)의 CRT상에,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트리밍 선상이 상호중첩하지 않게하고, 한편 불필요한 것이 일어나지 않게 CRT관면(管面)전체를 디스크 메모리(disc memory)(36)의 기억영역으로 한비(比)에 의해서 표시한다.
그 다음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치한 CRT상의 트리밍 선상을 보면서, 대응하는 원화를 어느 원화실린더에 장치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즉 복제화상(b'), (f'), (c')에 대응하는 원화(b), (f), (c)에 대하여는 원화실린더(1A), (1B), (1C)를 먼저 장치한 다음 복제화상(d')에 대응하는 원화(d)에 대하여는, 원화(b), (f), (c)중 우선 주사가 종료하는 원화가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원화실린더내의 일방(一方), 예를들면 원화실린더(1A)에는 화상(e')에 대응하는 원화(e)에 따라 원화실린더(1B)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제3도에 표시한 각 복제화상의 트리밤 선상을 보면서 대응하는 원화를 장착하여 원화실린더를 결정한다. (물론 이것은 콤퓨타등의 연산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지시하여도 좋다.)
이 정보는 원고 프리세트장치(30)에 설정하고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원화(a)~(f)를 소정의 원화실린더(1A), (1B), (1C)에 장착한다.
이러한 조작은 각 원화의 불필요한 부분을 피크업(pick up)하지 않기 때문에, 또 피크업된 화상신호를 디스크 메모리(36)에 효율이 양호한 것을 적어 넣을 수 있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레이아우트 조작과는 그 의미가 차이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고 프리셋트장치(30)에 설정되는 각 원화의 복제조건, 즉 컬러스캐너에 셋트업(set up)하여야할 계조수정(階調修正), 색수정의 정도, 하이라이드(high light)및 새도우 포인트(shadow poing)농도등의 색분해조건은 색분해 시뮬레이션 시스템(simal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할 수가 있다.
소정의 원화실린더의 각 원화의 장치가 끝나면 각 원화실린더(1A), (1B), (1C)에 장착된 각 원화(a)~(f)의 트리밍 포인트의 좌표 P1(xbo, ybo)~P12(xa1, ya1)을 각 주사헤드(6A), (6B), (6C)에 부속의 뷰워(Viewer)(도시되어 있지않음)에 의해서 검출하고 각 원화실린더(1A), (1B), (1C)에 설정된 원점에서의 거리를 각각 주주사와 부주사방향에 각 펄스발생기(3A), (3B), (3C) 및 (7A), (7B), (7C)를 사용하여 펄스수로서 계수하고, 각 좌표치에 대응하는 계수의 수를 각각 대응하는 트리밍회로(9A), (9B), (9C)와 원고 프리셋트장치(30)에 설정하여 둔다.
각 원화실린더(1A), (1B), (1C)에서의 각 원화트리밍 포인트의 좌표치는 원고 프리셋트장치(30)에서, 각 원화에 기입한 번호와 같이 콤퓨타등의 연산회로(34)에 입력되고, 각각 디스크 메모리(36)에 대응하는 애드레스, 예를들면 원화(b)의 경우, 트리밍 포인트의 좌표치 P1(xbo, ybo) 및 P2(xb1, yb1)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Xb0, Yb0) 및 (X1, Yb1)(36)로 나타낸다.
모든 원화에서의 트리밍 포인트의 좌표치가 디스크 메모리(35)에 대응하는 애드레스에 변환되어 애드레스 메모리(30)에 기입된다. 따라서 실제에 각 원화를 주사하는 경우에 각 원화의 화상신호는 각 원화가 원고 프리셋트장치(30)내의 CRT에 흠결없이 배치된 형에 따라 디스크 메모리(36)에 후술하는 것과 같은 효율이 양호한 고을 기입하게 된다.
전기한 전단계를 걸쳐서 제4도에 표시한 각 원화(a)~(f)는 각 주사헤드(6A), (6B), (6C)에 따라 광전 주사하고, 화상신호는 다음 각 AD변환기(Analog digital 變換器)(8A), (8B), (8C)로 디지틀화하고, 각 트리밍회로(9A), (B), (9C)에 입력된다. 이 트리밍회로(9A), (9B), (9C)는 예를들면,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트리밍회로에는 그 도면중 쇄선으로 표시한 회로블록을 대응하는 각 원화실린더에 장착하여서 원화의 수만큼 배치하였다.
제5도중, (9A1)는 원화실린더(1A)에 장착된 원화(b)에 대응하는 트리밍회로(9A)의 일부를 표시하고, (40) 및 (47)은 타이밍회로(12A)에서 입력하는 부주사방향의 x크록크펄스(clock pulse) 및 주주사방향의 y크록크펄스를 각각 계수하는 계수기, (41), (43), (48), (50)은 대소비교기, (42), (44), (49), (51)는 원화(b)의 트리밍 포인트 프리셋트를 표시한다.
대소비교기(41)은 계수기(40)로서 계수된 값 x가, 프리셋트장치(42)에 설정되어 있는 값 xbo이상 되었을때, 곡 x
Figure kpo00001
xb0이고, 하이레벨(high level)신호 「H」를 출력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대소비교기(43)은, x
Figure kpo00002
xb1일때, 대소비교기(48)은, y
Figure kpo00003
yb0이고, 또 대소비교기(50)은 y
Figure kpo00004
yb1일때 각각 하이레벨신호 「H」를 출력한다.
(45), (52), (53)은 앤드게이드(AND gate)회로, (46)은 앤드게이트(53)에서 하이레벨신호 「H」가 입력되어진 사이에서만 화상신호를 통하게 하는 스위치회로이다.
따라서 제4도에 표시한 각 원화실린더(1A), (1B), (1C)에 장착된 원화를 광전주사하면, 각 트리밍회로(9A), (9B), (9C)에서는 각 원화(a)~(f)에서의 광전주사할 필요가 있는 부분만이 출력된다.
위에 트리밍 수정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출력화상을 면적에 따라 약간 여유를 두게하는 것이 좋을 때가 있다. 이 경우에 비치된 이들 화상신호를 각각 대응하는 색연산회로(10A), (10B), (10C)에 입력되기 이전에, 원고 프리셋트회로(30)의 각 데이타 설정부에 적어 넣어진 각 원화의 복제조건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하여 색연산회로(10A), (10B), (10C)에 설정된다.
예를들면, 제6도에 표시한 원화실린더(1A)에 대응하는 데이터 설정부의 경우 이 데이터 설정부는 쉬프트 레지스터(55) 및 (56)으로 구성되었고, 이 쉬프트 레지스터(55) 및 (56)에는 각각 원화(d) 및 (b)에 대응하는 복제조건 및 복제배율을 적어넣었고 제1 번목(番目)에 광성주사되는 원화(b)에 대한 복제조건 및 복제배율을 각 원화(b), (d)에 대응하는 복제조건 및 복제배율을 원고 프리셋트회로(30)에 적어넣은 것을 근거로하여 쉬프트 레지스터(56)로부터 색연산회로(10A)와 배율설정회로(11A) 및 제어회로(13A)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설정부에서 전송하지 않으면 안되는 복제조건 및 복제배율은 제2 번목의 원화(d)이후가 된다.
그때문에 제7(a)도에 표시한 트리믹회로(9A)에서 각 원화(b), (d)에 각각 대응해서 출력되는 게이트신호(원화(b)의 경우에는 제5도의 앤드게이트회로(45)에서의 출력신호)에서 제7(b)도에 표시한 쉬프트펄스(57)를 작성하고, 쉬프트펄스(57)에 따라 원화(d)에 대응하는 복제조건을 쉬프트 레지스터(55)부터 (56)에 이동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색연산회로(10A), (10B), (10C)은 화상신호와 색수정 및 계조수정등, 소망의 수정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본 출원인의 소유인 1980년 한국특허출언 제1987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디지틀(digital)처리방식의 연산회로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제어회로(13A), (13B), (13C)는 각 원화실린더(1A), (1B), (1C)에 장착된 각 원화의 복제배율에 따라 기록헤드(26)에 대한 주사헤드(6A), (6B), (6C)의 상대적 이송속도를 제어하여서, 복제화상에서의 부주사방향의 배율을 변화하는 것이다.
배율변환회로(11A), (11B), (11C)는 일단 메모리장치에 적어넣은 화상신호를 그 메모리장치에서 읽어야 할때 메모리장치의 애드레스를 증복하거나 생략하는 것에 따라 복제화상에서의 주주사방향의 배율을 변화하게 한다.
배율변환회로(11A), (11B), (11C)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는, 다음 각 래치(latch)회로(14A), (14B), (14C)를 개입하여서, 각각 대응하는 원-라인 바퍼메모리(one line buffer memorY)(15)의 애드레스 0번지부터 순번으로 적어넣어진 각 배율변환회로(11A), (11B), (11C)에 대응해서 만들어진 원-라인 바퍼메모리(15)에 따라 써넣어야 하고 읽어야 하는 타이밍이 중첩하지 않게 타이밍 제어회로(29)로써 제어된다.
제8도는 이 타이밍 제어회로(29)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입력부라는 것은 원화주수단(A)로부터의 화상신호를 기입하는 경우를, 제9도에 표시한 타이밍 차아트(time chart)와 더불어 설명하겠다.
입력측의 타이밍회로(12A)(제1도에 도시하였음)에서 입력되는 제9(b)도에 표시한 크록크펄스 신호기는 계수기(51)와 인버어터(inverter) 및 앤드게이트회로의 조합에 따라 제9(c)도, 제9(d)도, 제9(e)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분활된 후 프립플롭(flip-flop)회로(이하 F/F회로라 칭한다)(61), (62), (63)에 입력된다.
이 F/F회로(61), (62), (63)을 각각 제9(c)도, 제9(d)도, 제9(e)도에 표시한 셋트상태가 된다.
그 F/F회로(61), (62), (63)부터는 각각 제9(g)도, 제9(h)도, 제9(i)도에 에 표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가 출력된다.
이 펄스신호는 다음 D타입 F/F회로(61), (62), (63)에 각각 입력된다.
제9(f)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출력측 타이밍회로(28)(제1도에 표시하였음)부터의 크록크 펄스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크록크 펄스신호가 하이레벨의 사이에서만이 F/F회로(634), (65), (66)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오알게이트(OR gaite)회로(67)부터의 출력신호는 제9(j)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된다.
계수기(68)은, 제9(j)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오알게이트(67)부터의 출력신호를 계수하여 제9(k)도, 제9(l)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는 3진 계수기이다.
그 계수기(68)부터의 출력신호는 다음의 인버어터(inverter)와 앤드게이트 회로와의 조합에 의해서 성립된 코우드 해석기(decoder)(69)에 기입하여 앤드게이트회로에 입력되고, 이 앤드게이트 회로에서의 코우드 해석기(69)의 출력신호는 지연회로(70)을 경과한 출력측 크록크펄스에 의해 제어되어서 제9(m)도, 제9(n)도, 제9(o)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펄스신호가 되고 최종적으로 오알게이트회로(71)부터 제9(p)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펄스신호가 그 기입된 펄스신호에 의해서 출력된다.
한편 제8도와 제9도에 표시한 (a)는 입력측의 스타아트 펄스신호이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서 기입된 펄스신호에 따라 각 입력부에 대응하는 각 원-라인 바퍼메모(15)의 애드레스 0번지부터 순차 기입한 화상신호는 출력측 타이밍회로(28)에서 읽어낸 펄스신호에 따라, 각 원-라인 바퍼메모리(15)의 애드레스 0번지부터 데이터 선택회로(16)과 대응하는 번지도 동시에 읽게되고 읽어진 화상신호는 원고 프리셋트장치(30)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이 원고 프리셋트장치의 CRT상에 표시된 트리밍 선상을 따라, 데이터 선택회로(16)부터 시계열적(時系列的)으로 선택 출력된다.
데이터 선택회로(16)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는 전기한 바와 같이 각 원화에서의 트리밍 포인트의 좌표치와 대응해서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의 애드레스로하여 기입된 제1의 애드레스 메모리(35)의 애드레스 지정신호를 기점으로하여, 인터페이트(interface)(17)를 지나서 일단,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에 기입된다.
제1의 애드레스 메모리(35)에 기입되는 애드레스 지정신호는, 예를들면 각 원화실린더(1A), (1B), (1C)상의 좌표는 제1도의 디스크 메모리(36)의 애드레스와 비례관계가 되게끔 설정하여, 원-라인 바퍼메모리(35)에서 이 디스크 메모리(36)에 전송되는 각 원화의 트리밍 영역의 스타아트 좌표인 제4도의 P1(xbo, yd0), P1(xb0, yb0), P5(xf0, yf0)…와 엔드좌표인 제4도의 P2(xb1, yb1), P4(xd1, yd1), P6(xf1, yf1)…를 근거로하여, 원화실린더(1A), (1B), (1C)상의 각 주사선에 따라 대응하는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의 스타아트 애드레스 및 앤드애드레스로서 디스크 메모리용 연산회로(34)를 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하여진 제1의 애드레스 메모리(35)의 애드레스 지정신호는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기입되어진다. 즉 제10도중의 (X0O, y0O), X0m, Y0m)은, 제4도의 원화실린더(1A)에 장착된 원화(b)의 트리밍 포인트의 좌표에 대응하는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의 애드레스이다.
굵은선으로 포위된(X0O, Y0O), (X0l, Y0O)…(X0m, Y0O) 및 (X0O, Y0n), (X0l, Y0n)…X0m, Y0n)는 각각 출력필름상의 각 주사선에 대응하는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의 스타아트 애드레스 및 앤드애드레스에 상당하고, 제1의 애드레스 메모리(35)에는 이러한 스타아트 애드레스 및 앤드애드레스만이 기입된다.
이와 같이하여 제1의 애드레스메모리(35)의 제1의 디스크 메모리(35)의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의 애드레스 지정신호를 기입한 후, 레이아우트(lay out)의 편집지시를 디지타이즈(digitizer)(31)상에서 행하여진다.
디지타이즈(31)의 좌표와 제의 디스크 메모리(37)의 애드레스와 기록실린더(21)에 장착된 출력필름상의 좌표를 미리 간단히 비례관계가 되게끔 설정하여 두면 디지타이즈(31)에 의해서 읽어낸 레이아우트 용판하의 원고의 좌표는 레이아우트용 연산회로(32)에 의해서,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에 대응하는 애드레스에 용이하게 변환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에 적어넣은 원화영역을 그전대로, 레이아우트만 변한기록화상으로 하여 복제하는 경우에는, 연산회로(32)로 변환된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의 각 스타아트 애드레스 및 각 엔드애드레스를 원화번호와 같이, 제2의 애드레스 메모리(33)에 적어넣으면 좋다.
다시, 레이아우트 용판하(版下)원고상의 좌표를 디지타이즈(31)에 의해서 읽어내려할때, 원화의 트리밍 영역을 부분적으로 복제화상으로 하여 기록하는 경우등 집적회로(集積回路)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 집적회로에 상당하는 판하원고상의 윤곽을, 디지타이즈(31)의 활자선에 의해서 트레이싱하여 출력필름상의 각 기록주사신에 대응하는 각 좌표를 독해(讀解)하고, 그 각 좌표를 전기한 방법으로, 연산회로(32)에서 대응하는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의 애드레스에 변환한 후, 원화번호와 같이 제2의 애드레스 메모리(33)에 적어넣으면 좋다.
그런데 집적회로는 특정의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그 형상을 수식으로 표현하여 얻은 경우, 즉 집적회로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디지타이즈(31)에 의해서 독해되는 중심좌표를 (Xi', Yi')반경을 r(정수)라고 하면 수식은 (X'-Yi')2+(Y'-Yi')2=r2가 된다. 따라서 집적회로의 윤곽좌표는,
(XM', Yi±
Figure kpo00005
(단, XM'은 펄스미타이다.)
이 집적회로의 윤곽좌표를 연산회로(32)에 입력하여, 기록실린더(21)에 장착된 출력필름상의 각 기록주사선에 대응된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의 스타아트 애드레스 및 앤드애드레스를 연산하여서 전기한 방법으로 원화번호와 같은 제2의 애드레스 메모리(33)에 적어넣으면 좋다.
다시 전기한 바와 같이 수식으로 표현하지 아니한 복잡한 형상의 집적회로가 필요가 있을경우, 즉 원화상의 인물을 트리밍할 경우에는, 전기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에 화장신호를 적어 넣어야 하는데 이때 스위치회로(19) 및 디지타르-아나로그(digital-analog)변환기(20)를 개입하여서, 화상신호를 기록헤드(26)에 인가하여 그 기록헤드(26)의 기록광비임(beam)을 제어하여서 기록실린더(21)상의 필름에 복제화상을 먼저 기록한다.
그렇지만 기록된 복제화상을 사용해서 그 복제화상상의 인물의 윤곽을 디지타이즈(31)의 활자신으로서 드레싱함에 따라 필요한 좌표치를 독해하고 그 좌표치를 기점으로 출력필름상의 각 기록주사선에 대응하는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의 애드레스를 연산회로(32)로 연산하고 전기한 방법으로 원화번호를 제2의 애드레스 메모리(33)에 적어넣는다.
이와 같이하여 제2의 애드레스 메모리(33)에 적어넣은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의 각 애드레스는 다음 제1의 애드레스 메모리(35)에 적어넣은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의 애드레스와 함께 각 원화를 순차 연산회로(34)에서 읽을 수가 있고, 그 연산회로(34)에 있어서 레이아우트에 의해서 배치된 트리밍 혹은 집적 회로 처리가 시행된 각 복제화상에 따라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의 스타아트 애드레스 및 앤드 애드레스가 출력필름상의 주사선에 따라 정리된다.
이것과 동시에 그 디스크 메모리(37)의 스타아트 애드레스 및 앤드애드레스를 연산되어 최종적으로 제2의 애드레스(33)에는 애드레스 0번지로부터 순차, 레이아우트에 따라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 및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의 각 애드레스가 대응되게 적어 넣어지고, 화상신호는 제2의 애드레스 메모리(33)부터의 애드레스지정에 따라서 제1의 디스크 메모리(36)에서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에 전송된다.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에는 각 원화의 화상신호가 최종적으로 출력필름상에 기록되는 복제화상의 레이아우트와 전부 동일한 배치로 대응되게 애드레스에 적어 넣어져 있고, 제2의 디스크 메모리(37)로부터 순차 읽어지는 화상신호는 일단 원-라인 바퍼메모리(18)에 적어넣고, 기록실린더(21)의 회전속도와 동기(同期)한 타이밍회로(2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읽어진다.
원-라인 바퍼메모리(18)에서 읽어진 화상신호는, 스위치회로(19) 및 D. A변환기(20)를 개입하여서 주사헤드(26)에 입력된다. 기록실린더(21)에 장착된 출력필름상에는 레이아우트용 판하원고에 따라 복제화상을 기록한다.
제1도중의 (22), (24)은 전동기, (23)은 로타리 엔코오터, (25)은 이송나사, (27)은 리니아 엔코오터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복제배율 및 복제조건이 다른 다수의 원화를 복수개의 원화주사수단을 일괄하여 광전주사하는 것에 의해서 색분해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레이아우트를 편집할시에 연산을 메모리장치의 애드레스 레벨에서 행하기 때문에, 메모리장치사이의 데이타 전송을 고속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복수개의 원화주사수단에 각각 원화를 장착하여, 그 복수개의 원화주사수단에서 병열적으로 얻어진 화상신호를 시계열 화상신호로 변환해서, 일단 제1의 메모리장치에 적어넣고, 그런 연후에 지정된 레이아우트에 따라 각 원화의 필요부분에 대응하는 화상신호를 제2의 메모리장치에 전송하여, 이 제2의 메모리장치에 적어넣은 화상신호를 근거로하여 기록수단을 제어하여서 소정의 레이아우트대로 복제화상을 기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주사기록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KR1019800003930A 1980-10-13 1980-10-13 화상주사기록(畵像走査記錄)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KR83000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930A KR830001720B1 (ko) 1980-10-13 1980-10-13 화상주사기록(畵像走査記錄)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930A KR830001720B1 (ko) 1980-10-13 1980-10-13 화상주사기록(畵像走査記錄)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610A KR830004610A (ko) 1983-07-16
KR830001720B1 true KR830001720B1 (ko) 1983-08-31

Family

ID=1921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930A KR830001720B1 (ko) 1980-10-13 1980-10-13 화상주사기록(畵像走査記錄)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610A (ko) 198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155A (en) Method for partially smoothing retouch in electronic color reproduction
US501807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uge image information at high speed
EP0238976B1 (en) Method of tint generation and apparatus therefor
JPS6230427B2 (ko)
US5029228A (en) Image data filing system
JPS6230426B2 (ko)
JP2905059B2 (ja) 色値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S6341051B2 (ko)
US5163122A (en) Image processing system
GB2149262A (en) Processing image data in image reproduction system
JPS61102253A (ja) インキ供給量データファイル作成方法及びインキ供給量データ作成方法
JPS6230424B2 (ko)
JPH029501B2 (ko)
JPS58204668A (ja) 画像走査記録方法
US5177623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GB20708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data for a photo-electric scanner
KR830001720B1 (ko) 화상주사기록(畵像走査記錄)장치에서의 화상집합방법
JPH055140B2 (ko)
JP2905060B2 (ja) 色値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S58191564A (ja) 露光画像変形用スキヤナ−
SU1140090A1 (ru) Масштаб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S58140881A (ja) 画像処理方式
JPS58162952A (ja) トリミングスキヤナ−
KR850001102B1 (ko) 화상 데이터 압축방법
JP2547748B2 (ja) 画像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