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84Y1 -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84Y1
KR830001384Y1 KR2019800005499U KR800005499U KR830001384Y1 KR 830001384 Y1 KR830001384 Y1 KR 830001384Y1 KR 2019800005499 U KR2019800005499 U KR 2019800005499U KR 800005499 U KR800005499 U KR 800005499U KR 830001384 Y1 KR830001384 Y1 KR 830001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spring
pin
conductor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5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577U (ko
Inventor
사토우쿄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00005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84Y1/ko
Publication of KR830000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속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각각 본 고안의 1실시 예에 의한 회로접속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사시도.
제2도는 절연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 측면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정면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평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배전반에 사용되는 핑거(finger) 접촉자와 같은 회로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회로접속장치에 있어서, 도체와 별도부재에 의한 가동접촉편을 도체면과 직교(直交)시켜 이들이 대향되도록 설치하면 다수의 가동접촉편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접촉점이 증가하여, 그만클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양호한 회로접속장치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의한 장치는 예로써 도체와 일체로 구성시키고 그 자체가 탄성을 가진 접속부에 다른 도체를 촉입시키는 회로접촉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또 고가로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는 데도 불구하고 그다지 사용하지 않았던 것이다. 본 고안은 위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체면과 직교하고, 또 도체를 통하여 대향하도록 설치된 여러개의 가동접촉편을, 스프링받이와 함께 핀으로 계지케하며, 또 다시 이스프링받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에 의해 대향하는
제1도는 회로접속장치를, 그리고 제2도는 절연 케이스에 수납된 회로접속장치의 측면단면을, 또 제3도는 제2도의 정면단면을, 제4도는 제2도의 평면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1)(1a)는 여러개의 소체(素體)를 병설하여 구성한 한 쌍의 가동접촉편으로서, 가동접촉편(1)(1a)은 도체(2)의 폭방향에 직교됨과 동지에 가동접촉편(1)(1a) 상호간의 평행으로, 도체(2)를 협지하면서 대향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 가동접촉편(1)(1a)의 단부(3)(3a)는 각각 도체(2) 상하면에 접촉하게 되고 철부(凸部)(4)(4a)는 도체(2)에 설치된 각공(角孔)(5)에 이동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6)(6a)는 스프링받이로서, 가동접촉편(1)(1a)의 소체간에 상하방향에서 삽입되어,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7)(7a)는 스프링재로서, 스프링받이(6)(6a)의 단부에 설치된 스톱퍼(8)(8a)와 가동접삽편(1)(1a) 사이에 배설되고, 가동접촉평촉(1)(1a)의 접촉부(9)(9a)가 왼쪽으로 닫혀지도록, 또 스프링받이(6)(6a)가 바깥쪽으로 열려지도록 작동한다. (01)(10a)는 가동접촉편(1)(1a) 및 스프링받이(6)(6a)를 계지하는 판이며, 양단에 이탈방지용 철편(凸片)이 돌출되어 J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 찹조)
2개의 스프링받이(6)(6a)가 중첩된 부분에 착설된 핀구멍(11)(12a)과 가동접촉편(1)에 착설된 핀구멍(13)에 핀(10)이, 또 스프링받이(6)(6a)의 핀구멍(11a×12)과 가동접쪽편(1a)의 핀구멍(13a)에는 핀(10a)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또, 이탈방지용 철편중 한촉은 핀구멍(11)(12a)(13) 및 (11a)(12)(13a)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14)는 회로접속장치가 외부의 전선등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은 절연게이스로서, 도체(2)를 협지하면서 나사부재(15)로 고정시킨 L자상부재(16)(16a)를 통하여 나사부재(17)에 의해 단단히 조여져 있다. (18)은 가동접참편(1)(1a)의 접촉부(9)(9a)에 협압(挾壓) 접속시킨 도체이다(제2도 참조).
다음으로 본 장치를 조립하는 순서에 대하면 설명한다. 도체(2)의 각공(5)에 상하방향에서 각각 1조(組)의 가동접촉편(1)(1a)의 철부(4)(4a)를 삽입하여 가고정(假固定)시킨다.
이어서 스프링부재(7)(7a)가 섭설되어 있는 스프링받이(6)(6a)를 가동접촉편(1)(1a) 사이에 각각 상하 방향에서 가동접촉편(1)의 핀구멍(13a)과 스프링받이(6)(6a)의 핀구멍(11)(12a)및 가동접촉편(1a)이 핀구멍(13a)과 스프링받이(6)(6a)의 핀구멍(11a)(12)이 각각 동일위치에서 겹쳐질때까지 스프링부재(7)(7a)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압압하면서 삽입시킨다.
또 이와 같이하여 연통된 핀구멍(11)(12a)(13) 및 핀구멍(11a)(12)(13a)에 핀(10) 및 핀(10)를 각각 삽입한 후, 스프링받이(6)(6a)에 가하지고 있는 압압력을 풀면, 2개의 스프링받이(6)(6a)는 스프링부재(7)(7a)의 탄발력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눌려져 복귀한다.
즉, 스프링받이(6)가 제2도중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핀구멍(12)의 단부가 핀(10a)과 접촉하면 핀(10a)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핀(10a)의 양단 철부편이 가동접촉편(1a)의 외측면에 개합되어 가동접촉편(1a)이 계지된다. 또, 스프링받이(6a)가 도면중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핀구멍(12a)의 단부가 핀(10)을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하여 핀(10)에서 가동접촉편(1)이 계지되고 회로접속정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 위 회로접속장치에 절연케이스(14)를 취부하는 데는 도체(2)에 L자항부재(16)(16a)를 나사부재(15)에 고정하고 또 다시 L자상부재(16)(16a)에 나사부재(17)로써 절연케이스(14)를 체결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회로접속장치에 있어서, 가동접촉편(1)은 도체(2)면과 접촉하는 단부(3)가 지점이 되고 여기에 스프링부재(7)의 탄발력이 작동하여 접촉부(9)를 안쪽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 가동접촉편(1a)도 동일하게 접촉부(9a)가 안쪽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가동접촉편(1)(1a)의 접촉부(9)(9a)는 접촉측의 도체(18)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보통 접촉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접촉부(9)(9a)의 간극의 크기는 그 사이에 삽입되는 접속도체(18)의 두께보다 좁게 구성되면 된다. 또한, 접촉부(9)(9a)에 접속도체(18)가 삽입되면, 접촉부(9)9(9a)는 각각 바깥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가동접촉편(1)(1a)은 그 단부(3)(3a)를 지점으로 하여 제3도 중 화살표 A와 B로 표시한 방향으로 각각 회동하므로, 가동접촉편(1)(1a)은 핀(10)(10a)을 통하여 스프링받이(6a)(6)를 화살표(A)(B)방향으로 이동시키게되며, 또한 스프링받이(6b)(6)의 스톱퍼(8)(8a)와 가동접촉편(1)(1a)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7)(7a)를 양쪽에서 압축하게되므로, 접촉부(9)(9a)에 있어서의 접촉압력은 강력한 것으로 된다. 또, 스프링부재(7)(7a)의 탄발력이 증대되면 도체(2)와 접촉하는 가동접촉편(1)(1a)의 단부(3)(3a)의 접촉압력을 더 증대시키게 되어, 양호한 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도체를 통하여 대향 설치된 한쌍의 가동접촉편과, 이 가동접촉편의 양쪽에서 삽입되고, 입부가 겹치도록 설치된 스프링받이와, 한쪽의 가동접촉편의 핀구멍 및 스프링받이의 중첩부에 연동되는 핀구멍에 삽입된 제1의 핀과, 가른가동편의 핀구멍 및 스프링받이의 중첩부에 연통되는 핀구멍에 삽입된 제2의 핀과, 가동접촉편을 안쪽방향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각 스프링받이를 바깥쪽으로 작동시키는 스프링부재에 의해 구성하였으므로, 대향된 가동접촉편의 대향부에, 이것과 접촉되는 도체가 삽입되면 각 가동접촉편은 바깥방향으로 회동하고, 또 각 스프링받이는 안쪽으로 이동하여 스프링부재를 양쪽에서 압축하여 접촉부와 접속도체의 접촉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조립에 있어서도 가동접촉편과 스프링받이에 착설되어 있는 핀구멍에 2개의 핀을 삽설하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부(3)(3a)가 도체(2)에 접촉하고, 이 접촉부(9)(9a)가 도체(2)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접촉편(1)(1a)은 도체(2)를 양측에서 협삽하게 대향 배설한 접속장치에 있어서, 소정위치에 핀구멍(13)(13a)이 형성된 가동접촉편(1)(1a)과 가동접촌편(1)(1a)에 형성된 핀구멍(13)(13a)과 중첩하는 핀구멍(11)(12)(11a)(12a)이 각기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촉편(1)(1a)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링받이(6)(6a)와 가동접촉편(1)의 핀구멍(13)과 핀구멍(11)(12a)에 각각 삽통된 핀(10)과, 가동접촉편(1a)의 핀구멍(13a)과 스프링받이(6)(6a)의 중합부의 핀구멍(11a)(12)에 삽통된 핀(10a)와 상기가동편(1)(1a)과 스프링받이(6)(6a)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대향하는 가동 접촉편(1)(1a)을 상호 근접하게 가세하는 스프링부재(7)(7a)를 구비하여서된 접속장치.
KR2019800005499U 1980-08-26 1980-08-26 접속장치 KR830001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5499U KR830001384Y1 (ko) 1980-08-26 1980-08-26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5499U KR830001384Y1 (ko) 1980-08-26 1980-08-26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77U KR830000577U (ko) 1983-06-17
KR830001384Y1 true KR830001384Y1 (ko) 1983-08-06

Family

ID=1921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5499U KR830001384Y1 (ko) 1980-08-26 1980-08-26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134A (ko) * 2000-06-19 2001-11-28 조경석 초음파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77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3459A (en) Plug-in type sockets for testing semiconductors
US3474389A (en) Electric connector
JP3302720B2 (ja) Icソケット
US5895286A (en) Terminal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US2825037A (en) Printed-circuit card clamp
US3980376A (en) Zero insertion/retraction force connector
KR930015188A (ko) 전기 접속기
JPS6251171A (ja) コネクタ
KR950021890A (ko) 저 삽발력 전기 커넥터
JPH0449227B2 (ko)
KR930000792Y1 (ko) 코넥터 장치
KR100356902B1 (ko) 전기부품용 소켓
US3995129A (en) Key switch component
US3493706A (en) Slide switch actuator
US3294932A (en) Wiping contact switch
KR830001384Y1 (ko) 접속장치
KR860002118A (ko) 코일 조립체
KR940020619A (ko) 절연체 제거 전기 단자 조립체(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US4046982A (en) Switch means for short-stroke push-button keys
GB1594540A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s
KR100549028B1 (ko) 스위치 장치
JPS5936853Y2 (ja) 接続装置
US4924040A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KR940003439A (ko) 전기 핀 필드
JPH08171967A (ja)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