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134A - 초음파 벨트 - Google Patents

초음파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134A
KR20010105134A KR1020000033606A KR20000033606A KR20010105134A KR 20010105134 A KR20010105134 A KR 20010105134A KR 1020000033606 A KR1020000033606 A KR 1020000033606A KR 20000033606 A KR20000033606 A KR 20000033606A KR 20010105134 A KR20010105134 A KR 2001010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ultrasonic
abdomen
wai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석
Original Assignee
조경석
주식회사 쏘닉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석, 주식회사 쏘닉테크 filed Critical 조경석
Priority to KR102000003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5134A/ko
Publication of KR2001010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1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장 이상의 천이나 인조가죽 등을 인체의 허리와 복부부위를 충분히 감쌓을 수 있는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단하여 둘레를 재봉하여서 된 벨트 본체(1)와; 상기 벨트 본체(1)의 양단부에 재봉 고정되어 벨트를 허리 및 복부부위에 멧을시 가압력을 주는 탄력밴드(2)와; 상기 탄력밴드(2)의 단부 일측면에 각각 재봉되어 벨트 자체가 인체의 허리 및 복부부위를 감쌓은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접착밴드(3)로 구성된 의료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1)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수개의 초음파 진동자(4₁-4n)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기 초음파 진동자(4₁-4n)들은 상기 벨트 본체(1)의 외측에 설치된 제어부(5)에 의해 순차적 또는 무작위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작동되도록 하여 초음파의 온열 및 진동작용을 통한 복부 등에 존재하는 지방을 분해시켜 복부 등의 비만을 억제할 수 있고, 또 혈행의 흐름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 벨트{Ultrasonic Belt}
본 발명은 초음파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개의 초음파 압전소자를 벨트내에 매설시켜 초음파의 온열, 진동, 효소의 활동성 증가작용을 통해 복부에 존재하는 지방의 분해를 촉진시켜 복부의 비만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에 있는 지방의 일부는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이 되고, 다른 일부는 에너지원이 된다. 그 밖에 남은 지방은 지방조직으로서 체내에 축적되고 이 지방세포로 저장되어 있는 지방을 저장지방이라고 하는데, 저장지방의 대부분은 피하에 있는 지방조직으로 축적된다.
근육 등의 에너지가 부족해지면 피하에 축적된 지방이 혈액 속으로 방출되어 근육 등에 운반되어 에너지원으로서 이용된다. 피하에 있는 지방은 막 태어난 아기에서는 전신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하지방의 분포는 균일성이 없어지고 피하지방이 많은 곳과 적은 곳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피하지방의 불균인한 분포는 체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성인병 등과 관계가 깊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당뇨병 환자 등에서는 피하지방이 복부에 많이 침착하는 분포를 보이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이러한 복부의 저장지방은 식생활이 개선된 현대에서는 비만의 큰 원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여성들이 원하는 아름다운 몸매에는 치명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운동으로서 체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고 다이어트를 통해 지방의 합성을 막는방법이 있으나, 부분적인 비만에는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한편, 소리의 일종이나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 대략 20,000Hz 이상의 초음파가 있는데, 이는 재질에 따라 반사되는게 미묘하게 달라 이 특징을 이용한 것이 초음파 진단장치이다.
이와같은 초음파 진단장치는 몸속에 초음파를 보내 반사상태를 컴퓨터로 분석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태아가 움직이는 모습을 모니터로 볼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되어 있으며, X-선에 비해 인체에 해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혈액의 흐름이나 양을 측정하는 데도 이용되고 있다.
의료용구에 이용되는 또 다른 예는 초음파로 결석을 분쇄하는 치료기로 신장, 방광에 생긴 결석을 초음파의 강력한 충격파로 부수면 소변과 함께 결석이 배출된다.
초음파를 사용하면 빠른 진동과 공동화현상 (Cavitation)이라는 발포작용으로 인해 작은 틈새도 세정이 가능하여, 근육통, 관절통, 요통, 신경통 등 만성 질환의 치료에도 초음파 진동이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치료 요법의 장점은 통증이 가시는 작용이 뛰어나며 효과가 빠르다는 것이다.
또한, 초음파를 피부 미용에 응용한 것이 초음파 미용기기로, 초음파에 의해 진피의 섬유세포가 피부에 탄력을 주고, 초음파의 진동과 온열작용에 의해 지방의 분해가 촉진되어 피부가 조여지고, 이와같이 지방이 분해되면 최종적으로 연소되어 에너지가 되는 과정을 이화라고 하며, 초음파의 매우 빠른 진동이 이화를 촉진한다.
이는 초음파의 온열효과도 영향을 주는데, 우선 온열이 지방을 이화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고, 그것에 진동이 작용하여 이화가 촉진된다. 진동과 온열효과가 림프액의 흐름이나 붓기를 개선하고, 피부의 물질대사를 정상화하여 조직이 조여지고 다듬어 진다.
또한, 리파제는 지방 분해효소로서 몸안에 있는 지방을 분해하는 작용이 있는데, 이는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등에 의해 지방분해 작용을 시작하는데, MHz 대역의 초음파는 효소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궁극적으로 지방의 분해가 촉진된다.
그러나, 강력한 초음파는 지방을 순식간에 분해해 버리지만 피부의 색이 변하고 분해된 지방을 인위적인 방법으로 빼내야 하는 문제점도 있고, 또 성형외과 등 의사가 시술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 의료용 벨트는 벨트내에 진동자나 히터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단순히 복부를 포함한 허리부위를 맛사지하거나 온열을 통해 근육을 풀어줄 수 있을 뿐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초음파의 온열 및 진동작용을 이용하여 복부의 지방을 분해시켜 복부 등의 비만을 억제할 수 있고, 또 혈행의 흐름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활발히 할 수 있는 초음파벨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허리와 복부부위를 충분히 감쌓수 있도록 소정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단된 벨트 본체와; 상기 벨트 본체의 양단부에 재봉 고정되어 벨트를 허리 및 복부부위에 멧을시 가압력을 주는 탄력밴드와; 상기 탄력밴드의 단부 일측면에 각각 재봉되어 벨트 자체가 인체의 허리 및 복부부위를 감쌓은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접착밴드로 구성된 의료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수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기 초음파 진동자들은 상기 벨트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 순자적 또는 무작위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온열 및 진동작용을 통해 복부의 지방을 분해시킬 수 있어 복부 등의 비만을 억제할 수 있고, 또 혈행의 흐름을 촉진시킬 수 있어 신진대사도 활발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초음파 벨트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초음파 벨트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진동자의 측면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제어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벨트 본체 2 : 탄력밴드
3 : 접착밴드 4₁-4n : 초음파 진동자
5 : 제어부 51 : 중앙처리부
52 : 스타트/정지 스위치부 53 : 타임 설정부
54 : 타임 메모리부 55 : 강약 조절부
56 : 키입력부 57 : 랜덤 발생부
58,59 : 디스플레이부 60 : 스위칭부
61,62 :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부 63₁-63n : 초음파 발진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초음파 벨트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초음파 벨트의 전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초음파 벨트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진동자의 측면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제어부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면, 두장 이상의 천이나 인조가죽 등을 인체의 허리와 복부부위를충분히 감쌓을 수 있는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단하여 둘레를 재봉하여서 된 벨트 본체(1)와; 상기 벨트 본체(1)의 양단부에 재봉 고정되어 벨트를 허리 및 복부부위에 멧을시 가압력을 주는 탄력밴드(2)와; 상기 탄력밴드(2)의 단부 일측면에 각각 재봉되어 벨트 자체가 인체의 허리 및 복부부위를 감쌓은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접착밴드(3)로 구성된 의료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1)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수개의 초음파 진동자(4₁-4n)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기 초음파 진동자(4₁-4n)들은 상기 벨트 본체(1)의 외측에 설치된 제어부(5)에 의해 순차적 또는 무작위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는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부(51)와; 초음파 진동자의 작동 및 정지를 위한 스타트/정지 스위치부(52)와; 각 초음파 진동자의 작동시간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타임 설정부(53)와; 상기 타임 설정부(53)에 의해 설정된 작동시간을 기억하여 중앙처리부(51)의 제어 데이타로 공급시켜 주는 타임 메모리부(54)와; 초음파의 세기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강약 조절부(55)와; 각 초음파 진동자(4₁-4n)의 설정 및 그들의 구동순서 등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56)와; 상기 중앙처리부(51)의 제어를 받아 소정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랜덤 발생부(57)와; 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구동시간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8,59)와; 상기 랜덤 발생부(57)의 제어를 받어 수개의 초음파 발진부에 대한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60)와; 각부에 직류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제 1 전원 공급부(61)와; 상기 강약 조절부(5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수개의 초음파 발진부(63₁-63n)에 공급되는 전압을 변경시켜 공급해 주는 제 2 전원 공급부(62)와; 상기 스위칭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선택적으로 발진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제 2 전원 공급부(62)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부응하는 초음파 발진신호를 발생시켜 상기한 수개의 초음파 진동자(4₁-4n)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수개의 초음파 발진부(63₁-63n)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초음파 벨트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진동자(4₁-4n)는 기존의 초음파 미용기에서 사용하는 초음파 진동자 보다 면적(약 Φ60)이 훨씬 넓어 방사면을 갖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자(4₁-4n)는 두장 이상의 천이나 인조가죽 등을 인체의 허리와 복부부위를 충분히 감쌓을 수 있는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단하여 둘레를 재봉하여서 된 벨트 본체(1)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수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에폭시를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하였다.
이때, 상기 초음파 진동자(4₁-4n)의 배치간격은 약 10∼20mm 정도로 하고, 상기 벨트 본체(1)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초음파 처리가 가능한 것을 사용하되 총 길이는 약 34∼38cm 정도이며, 좀 더 넓은 면적 부위를 처리하기 위해서 다수의 초음파 진동자(4₁-4n)를 더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한편, 초음파를 인체의 한 부위에 계속해서 집중적으로 조사하면 과도한 초음파 에너지로 인해 피부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5)를 통해 초음파 진동자(4₁-4n)를 순차적 또는 무작위로 일정 시간동안만 가동시켜 한 곳에 장시간 집중적으로 초음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막아 화상 등의 위험성을 배제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에서 각각의 초음파 진동자(4₁-4n)로 그 갯수 만큼의 리드선을 설치하였다.
물론, 초음파 출력은 장시간 이용해도 인체에 해가 없는 최대 1W/cm2이 되도록 설계하였고, 출력이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가변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초음파 에너지는 출력과 사용시간에 비례하므로 적절한 초음파 에너지가 조사될 수 있도록 최대 출력에서의 최대 사용시간은 제한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5)를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부(51)와, 초음파 진동자의 작동 및 정지를 위한 스타트/정지 스위치부(52), 각 초음파 진동자의 작동시간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타임 설정부(53), 설정된 작동시간을 기억하는 타임 메모리부(54), 초음파의 세기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강약 조절부(55), 각 초음파 진동자(4₁-4n)의 설정 및 그들의 구동순서 등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56),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랜덤 발생부(57), 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구동시간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8,59), 수개의 초음파 발진부에 대한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60), 제 1 및 제 2 전원 공급부(61,62) 및 스위칭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발진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 2 전원 공급부(62)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부응하는 초음파 발진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개의 초음파 발진부(63₁-63n)로 구성하므로써 상기한 제반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초음파 진동자(4₁-4n)는 고유 공진주파수를 갖는 압전세라믹소자(4A)를 진동판(4B)에 고정시킨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압전세라믹소자(4A)에 교류를 인가하면 두께 방향으로 수축·팽창 작용하여 두께 방향으로 초음파가 발생되고, 이러한 초음파가 금속의 진동판(4B)을 따라 전달되므로, 강약 조절부(55)에 의해 설정된 전압에 부응하는 교류전압을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62)에서 각각의 초음파 발진부(63₁-63n)에 인가시키면 각각의 초음파 진동자(4₁-4n)들이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되면서 설정된 세기를 갖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4₁-4n)들은 재봉을 통해 벨트 본체(1)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즉 인체에 직접 닿는 부위에는 구멍을 천공시켜 초음파 진동자(4₁-4n)의 진동판(4B)이 인체의 피부에 직접 닿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벨트 본체(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탄력밴드(2)는 신축성이 있으며 복부 등 해당 부위의 크기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고, 접착밴드(3)를 이용하여 단단히 복부 등에 고정이 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초음파 벨트는 저주파수의 강력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을 분해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주고 인체에는 해가 없는 저출력의 MHz 대역 초음파를 이용하였다.
지방은 분해가 되면 지방산이 되고 혈액을 통해 배출되어 근육으로 가서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초음파의 온열 및 진동 작용으로 인하여 지방은 분해가 되기 쉬운 상태로 변하게 되고 혈액 및 림프액의 흐름이 촉진되기 때문에 혈액으로의 지방산 배출이 원활해진다.
운동을 함으로서 에너지를 소비해야 지방은 연소되지만 초음파 벨트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지방을 분해할 수 있는데, 통상 1초에 수백만 번에 이르는 초음파의 진동작용으로 인해 세포의 운동이 활발해지므로 운동의 효과가 세포하나 하나에 미치게 되어 보다 쉽게 지방을 분해할 수 있다.
또, 지방을 분해하는 작용이 있는 호르몬은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등인데, 초음파의 진동작용으로 이러한 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고 결국 몸안에 축적된 지방이 분해된다.
이와같이 분해된 지방산은 재빨리 혈액으로 내보내져 근육에 운반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을 하면 근육에 분포해 있는 모세혈관을 흐르는 혈액량이 증가하고, 그러면 지방세포에서 분해하여 방출된 지방산은 빠르게 혈액 속으로 들어가 근육에 운반되므로 어떠한 운동을 하여도 노르아드레날린과 같은 지방분해를 증가시키는 호르몬이 분비되고 혈류를 촉진시킬 수 있어 운동, 초음파 등을 통한 혈액 및 림프액 등의 흐름이 증가되는 것이 지방분해에서 중요하다.
한편, 기존의 초음파 지방 흡입기는 상대적으로 강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시술을 행하게 되고, 또 초음파 미용기도 통상적으로 사용 시간이 20분 정도를 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는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시 발생하는 열이응용 범위를 제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또한, 강력한 초음파는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그 사용 강도의 한계가 정해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초음파 주파수는 통상의 미용 및 의료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1MHz 대역의 초음파를 이용하였으며, 초음파 강도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1W/㎠ 이하의 초음파를 이용하였고, 초음파 진동자를 가로방향으로 여러장 배열하여 복부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초음파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초음파 미용기를 이용하여 복부 등을 초음파 처리도 할 수 있으나, 기존 초음파 미용기의 초음파 방사면의 면적이 좁아 넓은 면적을 처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고, 사용자가 계속해서 움직여야 하나, 본 발명의 초음파 벨트는 인체에는 장시간 사용해도 해가 없는 초음파 출력을 이용하였으며, 또 초음파 진동이 다수의 초음파 진동자로 부터 순차적 또는 무작위로 나오도록 하므로써 발열 및 한곳에 집중적인 초음파 처리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MHz 대역의 초음파 온열 및 진동작용을 복부 등 인체 특정부위에 직접 작용시켜 지방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고, 또 지방세포에 있는 지방을 분해시켜 빨리 혈액으로 내보낸 후 초음파의 작용으로 인하여 증가된 혈행을 통해 몸밖으로 빨리 배출시키는 방식을 통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지방의 분해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분비가 원활해져 지방이 분해되는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어 결국 복부 등 인체의 특정부위에 필요 이상 많은 지방이 있을시 이의 분해를 촉진시켜 복부 및 허리 등을 포함한 인체의 특정부위에 대한 비만을 완화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두장 이상의 천이나 인조가죽 등을 인체의 허리와 복부부위를 충분히 감쌓을 수 있는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단하여 둘레를 재봉하여서 된 벨트 본체(1)와; 상기 벨트 본체(1)의 양단부에 재봉 고정되어 벨트를 허리 및 복부부위에 멧을시 가압력을 주는 탄력밴드(2)와; 상기 탄력밴드(2)의 단부 일측면에 각각 재봉되어 벨트 자체가 인체의 허리 및 복부부위를 감쌓은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접착밴드(3)로 구성된 의료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1)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수개의 초음파 진동자(4₁-4n)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기 초음파 진동자(4₁-4n)들은 상기 벨트 본체(1)의 외측에 설치된 제어부(5)에 의해 순차적 또는 무작위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초음파 벨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는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부(51)와; 초음파 진동자의 작동 및 정지를 위한 스타트/정지 스위치부(52)와; 각 초음파 진동자의 작동시간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타임 설정부(53)와; 상기 타임 설정부(53)에 의해 설정된 작동시간을 기억하여 중앙처리부(51)의 제어 데이타로 공급시켜 주는 타임 메모리부(54)와; 초음파의 세기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강약 조절부(55)와; 각 초음파 진동자(4₁-4n)의 설정 및 그들의 구동순서 등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56)와; 상기 중앙처리부(51)의 제어를 받아 소정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랜덤 발생부(57)와; 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구동시간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8,59)와; 상기 랜덤 발생부(57)의 제어를 받어 수개의 초음파 발진부에 대한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부(60)와; 각부에 직류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제 1 전원 공급부(61)와; 상기 강약 조절부(5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수개의 초음파 발진부(63₁-63n)에 공급되는 전압을 변경시켜 공급해 주는 제 2 전원 공급부(62)와; 상기 스위칭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선택적으로 발진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제 2 전원 공급부(62)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부응하는 초음파 발진신호를 발생시켜 상기한 수개의 초음파 진동자(4₁-4n)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수개의 초음파 발진부(63₁-63n)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벨트.
KR1020000033606A 2000-06-19 2000-06-19 초음파 벨트 KR20010105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606A KR20010105134A (ko) 2000-06-19 2000-06-19 초음파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606A KR20010105134A (ko) 2000-06-19 2000-06-19 초음파 벨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107U Division KR200217162Y1 (ko) 2000-05-18 2000-05-18 초음파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34A true KR20010105134A (ko) 2001-11-28

Family

ID=4581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606A KR20010105134A (ko) 2000-06-19 2000-06-19 초음파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51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866A (ko) * 2002-09-12 2004-03-20 주식회사 뷰닉스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40049580A (ko) * 2002-12-06 2004-06-12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관절염 치료를 위한 초음파 물리치료패드
WO2019039692A1 (ko) 2017-08-22 2019-02-28 주식회사 세라젬 진동자를 구비한 마사지기
WO2022249160A1 (en) * 2022-09-04 2022-12-01 Masoumi Najjarkolaei Pouria A slimming device equipped with carbonic paper mold and ultrasonic stimul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577U (ko) * 1980-08-26 1983-06-17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접속장치
JPH01129853A (ja) * 1987-11-16 1989-05-23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振動治療器
KR0163107B1 (ko) * 1996-05-13 1998-12-15 김고정 초장파 발생장치
KR0182249B1 (ko) * 1990-10-11 1999-05-01 지. 스판 제임스 등벨트
KR19990087808A (ko) * 1996-03-15 1999-12-27 페릿스 에이맥브래이어 몸통에 장착되는 초음파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577U (ko) * 1980-08-26 1983-06-17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접속장치
JPH01129853A (ja) * 1987-11-16 1989-05-23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振動治療器
KR0182249B1 (ko) * 1990-10-11 1999-05-01 지. 스판 제임스 등벨트
KR19990087808A (ko) * 1996-03-15 1999-12-27 페릿스 에이맥브래이어 몸통에 장착되는 초음파 치료장치
KR0163107B1 (ko) * 1996-05-13 1998-12-15 김고정 초장파 발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866A (ko) * 2002-09-12 2004-03-20 주식회사 뷰닉스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40049580A (ko) * 2002-12-06 2004-06-12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관절염 치료를 위한 초음파 물리치료패드
WO2019039692A1 (ko) 2017-08-22 2019-02-28 주식회사 세라젬 진동자를 구비한 마사지기
KR20190021513A (ko) 2017-08-22 2019-03-06 주식회사 세라젬 진동자를 구비한 마사지기
WO2022249160A1 (en) * 2022-09-04 2022-12-01 Masoumi Najjarkolaei Pouria A slimming device equipped with carbonic paper mold and ultrasonic stimu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1088B1 (en) Ultrasonic plantar fasciitis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US20190151192A1 (en) Ultrasonic irradiation apparatus and system, and ultrasonic irradiation method
US79097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local blood and lymph circulation using low and high frequency vibration sweeps
KR100752432B1 (ko) 복합기능 피부 마사지기
KR20200024281A (ko) 내부 장기, 부상 및 통증 치료 방법
KR101034029B1 (ko) 의료용 복합 비만치료 장치 및 그 전극패드
WO2011077466A1 (en) Ultrasound device for treating cellulite and localized adiposity
KR20170034010A (ko) 안마 및 소염 기능을 갖는 요대
KR100611142B1 (ko)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KR200217162Y1 (ko) 초음파 벨트
KR101196712B1 (ko) 지방분해 시술용 핸드 피스
KR20010105134A (ko) 초음파 벨트
JP2005253501A (ja) 複合処理装置
KR200398559Y1 (ko) 모듈화된 곡면 밀착형 초음파 치료 및 미용기
KR20110117476A (ko) 초음파 및 고주파 겸용 비만치료기기
US20210236861A1 (en) Portable ultrasonic stimulator
KR100918100B1 (ko) 진동자를 구비한 레이져 치료기
KR100561333B1 (ko)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KR20020065309A (ko) 초음파 진동/저주파를 이용한 복부비만 치료방법 및 그 장치
KR200175618Y1 (ko) 피부 마사지장치
KR20050023377A (ko) 한방 습식 고주파/저주파 온열밴드
KR101288644B1 (ko) 진동 마사지 장치
KR20020065308A (ko) 휴대용 안면피부 미용/비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7863A (ko) 휴대용 초음파 자극기
KR200288742Y1 (ko) 안마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